• 제목/요약/키워드: pod dry weight

검색결과 60건 처리시간 0.027초

Influences of Different Planting Times on Harvest Index and Yield Determination Factors in Soybean

  • Park, Sei-Joon;Kim, Wook-Han;Seong, Rak-Chun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97-102
    • /
    • 2000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harvest index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harvest index and yield determination factors by different planting times in the determinate soybean cultivars, Shinpaldal and Danbaeg. Optimum planting were 23 May in 1995 and 1996. Late planting were 13 June in 1995 and 6 June in 1996. Growth period from planting to physiological maturity (R7) was shortened as planting time was delayed in two cultivars due to shortening of reproductive growth period in Shinpaldal, and of vegetative growth period in Danbaeg. Stem weight was distinctly decreased in late planting compared to optimum planting, but seed weight of both cultivars was not different between planting times. Also, seed number per pod and harvest index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late planting and the high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wo factors. It was suggested that increase of harvest index in late planting would be related with high assimilate use efficiency due to increase of sink capacity. The results of correlation and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for yield determination factors showed that main factor on yield determination was pod number per plant at R5 stage associated with dry matter accumulation during early reproductive growth period, seed number per pod and harvest index were the second factor, and one hundred seed weight was the third factor. The result of this experiment indicated that yield determination in soy-bean was dependent mainly on pod number per plant related to dry matter accumulation by early reproductive growth period, and the increase of seed number per pod and harvest index could compensate for yield decrease by shortening of vegetative growth period in late planting. Such result suggests that optimum planting date can be delayed from mid May to early June in improved soybean cultivars in Korea.

  • PDF

Source-sink Relationships of Soybean as Influenced by Drought Stress during the Pod and Seed-developing Stage

  • Shin Seong-Hyu;Park Keum-Yong;Shin Sang-Ouk;Lim Sea-Gyu;Ha Tae-Joung;Kim Do-Soon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310-317
    • /
    • 200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drought stress during the pod developing and seed filling stage on source-sink relationships of soybean (Glycine max). Drought treatments were imposed by withholding water at the full-pod stage, 19 days after flowering, and then limited watering was relieved at 15 days after the initiation of drought treatment. Soybean seed yield was reduced by 39% mainly due to decreased pod number under drought stress, but the 100-seed weight was relatively less reduced. In spite of the 15-day drought during the full-pod stage, soybean produced good seeds showing similar l00-seed weight, protein, starch and soluble sugar content to those from the well-watered. Although drought during the full-pod stage caused source limitations; i.e. accelerated leaf senescence and reduced leaf soluble sugars, it did not cause limitations of other source characteristics such as SGR and leaf starch level. This is because the reduction in size of sinks, such as pod and seed abortions compensated for source limitations, resulting in balanced source-sink as expressed by LAR and the ratio of leaf area to seed dry weight. Drought stress during the pod developing and seed filling stage did not disrupt the source-sink balance

Relationship between Nodulating Characters and Yield Components in Supernodulating Soybean Mutants

  • Park Sei Joon;Youn Jong Tag;Kim Wook Han;Lee Jae Eun;Kwon Young Up;Shin Jin Chul;Seong Rak Chun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5-10
    • /
    • 2005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clarify the functions of supernodulating characters on seed yield determination through the comparison of agricultural traits of supernodulating soybean mutants, Sakukei4, SS2-2, and their parent cultivars, Enrei and Shinpaldalkong2. The plant dry weights of supernodulating mutants, Sakukei4 and SS2-2, were $52\%$ and $61\%$ of their wild type parents at full seed stage (R6). However, the relative growth rate (RGR) from the pod set stage (R3) to R6 of Sakukei4 was 0.022 g/g/day and that of SS2-2 was 0.016 g/g/day, which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ir parents. Nodule number and dry weight were increased in two supernodulating mutants by the R6 stage. The nitrogen concentrations of leaf, petiole and stem of Sakukei4 were higher than those of Enrei. SS2-2 showed higher nitrogen concentration in petiole than Shinpaldalkong2 had. The positive correlations were appeared between nodule dry weight, plant dry weight and pod number, in two supernodulating mutants during the period from R3 to R6 stage. Although all of the yield components and seed yield were lower in two supernodulating mutants than their parents at the stage of full maturity (R8), the harvest index was higher in supernodulating mutants. The increasing rates of pod number to stem dry weight in two supernodulating mutants showed the higher than those of two their parents at R8 stage. In conclusion, the relative growth rates during the early to the middle reproductive growth period were higher in supernodulating mutants than the wild types. This could be resulted in an increase in pod number. The increase of relative growth rate was the result of the successive supplement of nitrogen source from biological nitrogen fixation (BNF) of nodules during the middle reproductive growth period in supernodulating mutants.

방사선처리가 고추의 생육과 항산화 효소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r $\gamma$-Radiation on Growth and Antioxidant Enzyme Activities in Red Pepper)

  • 권순태;정은아;김재성
    • 생명과학회지
    • /
    • 제11권6호
    • /
    • pp.612-617
    • /
    • 2001
  • 고추의 유모에 감마 방사선($^{60}$Co)을 조사하여 식물의 생육, 수량, 엽록소 함량및 항산화효소, superoxide dismutase (SOD) 및 peroxidase(POD)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고추의 초장은 1 Gy 처리에 의해 무처리보다 16.6%가 증가하였은 고선량인 20Gy 및 50Gy 처리에 의해서 는 각각 22.0 및 75.0%가 감소하였다. 잎의 수는 1Gy 및 5Gy처리에서 각각 41.2%및 24.9%가 증가하였으나 20Gy이상의 고선량에서는 감소하였고, 과실은 1및 5Gy 처리에의해 착과수가 증가하였고, 건물중 기준으로 각각 58.4및 49.4%가 증가하였다. 저선량의 방사선의 처리는 고추의 엽록소함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증가된 활성은 다시 감소하여 처리후 20일에는 무처리와 비슥하거나 낮았다. 50Gy를 처리한 후 5일째에 측정한 SOD 및 POD의 효소 활성은 무처에 비하여 각각 5.5 및 6.0배가 증가하였다.

  • PDF

Salinity Tolerance of Blackgram and Mungbean: I. Dry Matter Accumulation in Different Plant Parts

  • Karim, M.A.;Raptan, P.K.;Hamid, A.;Khaliq, Q.A.;Solaiman, A.R.M.;Ahmed, J.U.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6권5호
    • /
    • pp.380-386
    • /
    • 2001
  • Dry matter(DM) accumulation in different plant parts of two Vigna spp., blackgram(Vigna mungo) and mungbean(Vigna radiata), was compared at different levels of salinity. Two vaarieties of each of blackgram (Barimash-1 and Barimash-2) and mungbean(Barimung-3 and Barimung-4) were grown with 50, 75 and 100mM NaCl solutions and tap water as a control till maturity. The DM accumulation in all plant parts of the two crops devreased with the increasing salinity levels. The reducation was severe in mungbean compared to blackgram. On an average mungbean produced only 3% grain yield compared to 37% in blackgram at 100mM NaCl. The salinity induced growth reduction was relatively less in Barimash-2 than that in Barimash-1. In mungbean, the relative DM production of Barimung-3 was greater than Barimung-4. The extent of biomass reducation due to salinity in different plant parts was not similar. At maturity the rank of biomass accumulation (at 100 mM NaCl) in different plant parts of blackgram was in decreasing order by seeds pod$^{-1}$ (97%), branch plant$^{-1}$ (88%), 1000-grain weight (79%), plant height(72%), pods plant$^{-1}$ (50%), leaf weight and root mass(both 49%) and stem weight (48%). In mungbean, the rank was in decreasing order by 1000-grain weight (57%), leaf weight (54%), plant height (52%), seeds pod$^{-1}$ (50%), branch plant$^{-1}$ (41%), root weight (34%), stem weight (24%) and pods plant$^{-1}$ (6%). Therefore, salinity reduced grain yield more than straw and roots of the Vignaq spp., and blackgram is relatively more salt-tolerant than mungbean.

  • PDF

Improving Nutritional Quality of Cocoa Pod (Theobroma cacao) through Chemical and Biological Treatments for Ruminant Feeding: In vitro and In vivo Evaluation

  • Laconi, Erika B.;Jayanegara, Anuraga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8권3호
    • /
    • pp.343-350
    • /
    • 2015
  • Cocoa pod is among the by-products of cocoa (Theobroma cacao) plantation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pply a number of treatments in order to improve nutritional quality of cocoa pod for feeding of ruminants. Cocoa pod was subjected to different treatments, i.e. C (cocoa pod without any treatment or control), CAm (cocoa pod+1.5% urea), CMo (cocoa pod+3% molasses), CRu (cocoa pod+3% rumen content) and CPh (cocoa pod+3% molasses+Phanerochaete chrysosporium inoculum). Analysis of proximate and Van Soest's fiber fraction were performed on the respective treatments. The pods were then subjected to an in vitro digestibility evaluation by incubation in rumen fluid-buffer medium, employing a 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 (n = 3 replicates). Further, an in vivo evaluation of the pods (35% inclusion level in total mixed ration) was conducted by feeding to young Holstein steers (average body weight of $145{\pm}3.6kg$) with a $5{\times}5$ latin square design arrangement (n = 5 replicates). Each experimental period lasted for 30 d; the first 20 d was for feed adaptation, the next 3 d was for sampling of rumen liquid, and the last 7 d was for measurements of digestibility and N balance. Results revealed that lignin content was reduced significantly when cocoa pod was treated with urea, molasses, rumen content or P. chrysosporium (p<0.01) with the following order of effectiveness: CPh>CAm>CRu>CMo. Among all treatments, CAm and CPh treatments significantly improved the in vitro dry matter and organic matter digestibility (p<0.05) of cocoa pod. Average daily gain of steers receiving CAm or CPh treatmen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control (p<0.01) with an increase of 105% and 92%, respectively. Such higher daily gain was concomitant with higher N retention and proportion of N retention to N intake in CAm and CPh treatments than those of control (p<0.05). It can be concluded from this study that treatment with either urea or P. chrysosporium is effective in improving the nutritive value of cocoa pod.

콩 품종간의 상호접목이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eciprocal Grafting between Varieties on Growth and Yield in Soybeans)

  • 정승근;손석용;허성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339-346
    • /
    • 1992
  • 콩 품종간의 상호접목을 통하여 지상부와 지하부의 능력을 비교하여 콩품종개량이나 재배법 개선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황금콩, 팔달콩, 보광콩 및 장경콩을 공시하여 자가접목 및 품종간 상호접목을 하여 이식재배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보광콩의 초장이 106.3-109.8cm로 가장 컸으며 팔달콩이 68.6-70.3cm로 제일 작았는데, 접목에 의하여 초장이 감소되기는 하였지만 대목의 영향은 인정되지 않았다. 2. 엽수는 팔달콩이 9.6-9.8매로 가장 적었으며, 장경콩이 14.2-15.3매로 제일 많았는데 처리간의 차이는 없었다. 3. 개화일수는 접목에 의하여 2-4일 지연되어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황금콩과 팔달콩은 자가접목보다는 상호접목에서 지연정도가 켰으나 보광콩과 장경콩은 상호접목보다는 자가접목에서 지연정도가 더 커서 품종간에 접목에 대한 반응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4. 부위별 건물중에 대한 접목의 영향도 품종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여 황금콩과 팔달콩에서는 엽중에 대한 접목의 영향이 인정되었고, 보광콩과 장경콩의 상호접목에서도 장경콩이 보광콩의 부위별 건물중을 유의하게 감소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5. 경태는 접목에 의하여 증가하였으며, 분지수는 감소하였고, 보광콩은 접목에 의하여 증중이 감소하였다. 6. 수양은 자가접목이 비접목에 비하여 11%, 상호접목은 자가접목에 비하여 14%그리고 상호접목은 비접목에 비하여 24% 감소하였으며, 경중은 수양과 같은 경향이었으나 접목에 의한 감소가 29-32%로 정도가 수량에 비하여 더 켰으나 자가접목과 상호접목간의 차이는 거의 없었다. 7 .수확지수는 접목에 의하여 황금콩과 장경콩은 1.4-6.1% 그리고 팔달콩과 보광콩은 4.4-8.6% 높아졌다. 8. 접목하였을 때의 수양이나 경중은 대목보다는 접수로 사용된 품종의 유전적 특성에 의하여 좌우되었으며, 품종과 특성에 따라서 접목에 대한 반응의 차이가 인정되었다.

  • PDF

유ㆍ무한형대두품종의 재배조건에 따른 건물생산 및 형질변이에 관한 연구 (Studies on Dry Matter Production and Variation of Agronomic Characteristics of Determinate and Indeterminate Types of Soybean Cultivars (Glycine max L.) Under Different Growing Condition)

  • 박근용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17권
    • /
    • pp.45-78
    • /
    • 1974
  • 본 시험은 유ㆍ무한형대두품종에 대한다수성품종의 유종 및 재배기술개선의 기초자료로서 건물생산 및 제 형질간의 상호관계를 밝힐 목적으로 파종기, 재식밀도 및 시비수준이 다른 조건에서 광교, 동북태 및 수계5001를 유한형품종으로 그리고 Shelby, SRF-300 및 Harosoy를 무한형품종으로 하여 1972년부터 2개년에 걸쳐 작물시험장(수원)에서 실시하였는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개화기에 있어서의 건물중, CGR 및 LAI는 품종, 파종기, 시비수준을 막론하고 밀식할수록 증가하였고 개화기가 빠른 무한형품종들은 유한형품종보다 현저히 떨어졌으나 정엽전개기에는 오히려 유한형보다 무한형이 더 높거나 거의 같은 수준을 나타냈다. 2. 파종기별로 본 개화기의 건물중은 유ㆍ무한형 모두 5월 21일구와 6월 15일구가 거의 비슷하나 7월 10일구의 건물중은 낮았으며 시비수준이 높을수록 개화기에는 CGR을 비롯하여 건물중과 LAI도 높았다. 3. 엽면적지수(LAI)는 동일군내에서 품종간차이도 상당히 컸으나 무한형품종은 파종기, 재식밀도 및 시비수준을 막론하고 유한형품종보다 떨어지는데도 종실수량은 별로 떨어지지 않았다. 4. 조식 및 증비의 경우에는 밀식을 하면 정엽전개기 이후에 엽과 엽병부분의 낙하가 많으나 소식인 경우 또는 만파(7월 10일)에서는 엽과 엽병의 낙하가 적은 경향이 뚜렷하였다. 5. 식물체부분별로 보면 경중비율은 밀식할수록 높아지고 반면 엽중비율은 소식할수록 높아졌으며 만파할수록 경중과 엽병비율은 떨어지고 엽중비율은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6. 정엽전개기에 있어서 유한형품종은 맥중비율이 5월 21일구에서 25내외, 6월 15일구에서 8%내외, 7월 10일구에서는 9%내외이어서 매우 적은 반면 무한형품종은 5월 21일구에서 6%내외, 6월 15일구에서 14%내외, 그리고 7월 10일구에서는 21%내외로 매우 컸다. 7. 광교는 다비조건에서 도복된 후에도 황화낙엽이 적고 생육이 회복되나 SRF-300은 생육이 회복되지 않았다. 8. 종실수량은 5월 21일구가 가장 높았으나 6월 15일구와 별로 차이가 없고 7월 10일구는 감소가 컸는데 유한형품종들은 만파에 의한 감소정도가 비교적 적고 무한형품종은 그 정도가 컸었다. 9. 재식밀도의 적정수준은 수량면으로 보았을 때 5월 21일구에서는 a당 1,250∼2500개체, 6월 15일구에서는 2,500개체, 그리고 7월 10일구에서는 3,333개체수준이었다. 10. 전품종에 있어서 정엽전개기의 건물중과 LAI 그리고 맥비만기의 건물중은 수량과 높은 상관을 나타냈고 유한형품종에 있어서 최고의 수량을 기대할 수 있는 건물중의 적정선은 개화기때에 a당 25kg, 정엽전개기때에 50kg내외였으며 무한형품종에 있어서는 맥비만기의 LAI는 4∼5, 그리고 맥비만기의 건물중은 a당 80kg내외이었다. 11. 밀식을 하면 경장은 커지고 경태와 분지 및 절수는 적어져서 주경비율이 높아지고 절간장이 길어졌다. 경중, 절수, 맥수 및 종실수량의 주경비율은 밀식할수록 그리고 만파한 것이 높았으며 무한형이 유한형보다 높았다. 12. 밀식 또는 만파의 경우에는 맥수나 종실수량의 주경비율이 높아서 주경의존도가 높은 품종이 유리한 것으로 보였다. 13. 개화기와 정엽전개기의 LAI는 유ㆍ무한형 모두 단위면적당 총절수, 건물중 및 건경중과 높은 상관을 보였고 개화기의 LAI는 유한형의 경장 및 a당 맥수와의 상관에는 유의차가 없었으나 무한형의 경장 및 a당맥수와는 고도의 유의상관을 보였다. 14. 건물중은 LAI외에 CGR, 경장 그리고 a당 절수, 맥수 및 건경중과 높은 상관을 보였으나 경태와는 유의적인 상관이 없었다. 15. 도복지수는 LAI, 건물중, 경장 및 건경중과 높은 유의상관이 있었고 경태와는 무한형품조에 있어서 고도의 부의 상관을 보였으나 유한형품종에서는 유의상관이 없었으며 유한형품종에서는 수량과 고도의 정의 상관을 보였다. 또한 도복지수는 주경의 평균절간장과 고도의 정의 상관이 있었다. 16. 100립중은 밀식 및 만파 그리고 무비조건에서 떨어지는 경향이었고 주경보다 분지의 100립중이 낮았다. 17. 단백질함량은 어떤 재배조건에서도 변화가 거의 없으나 지방함량은 만파할 때 감소하는 경향이 뚜렷하였다.

  • PDF

대두 녹병에 대한 내병성 및 이병성 품종의 생리적 반응 (Studies on Physiological Reactions of Soybean Cultivars Tolerant and Susceptible to Rust (Phskopsora pachyrhizi Syd.))

  • 신두철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440-446
    • /
    • 1986
  • 열대 및 아열대지역의 대두재배에서 수량을 격감시키고 있는 콩녹병에 대한 내병성품종과 이병성품종을 공시하여, 본 병해의 진전과정과 생리적 및 수량관련형질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한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마음과 같다. 1. 이병성품종은 내병성품종에 비하여 병의 조기감염 및 진전이 빨랐으며, 녹병에 의한 낙엽은 콩 꼬투리가 반정도 등숙된 후부터 급격히 증가하였다. 2. LAI의 감소는 이병성품종이 내병성품종에 비하여 빨랐으며, 건전개체와 녹병 이병개체간의 엽녹소함양의 차리는 내병성품종에서 2.04%, 이병성품종에서 16.43%의 차이가 있었다. 3. 지상부 건물중은 녹병무발병구(살균제 처리구)에서는 계속 증가하였으나, 녹병발병구에서는 R$_{6}$ 생육단계 이후부터 감소하였고, 감소정도는 이병성품종이 내병성품종에 비하여 더 컸다. 4. 협과 종실의 건물중은 이병성품종의 녹병무발병구에서는 R$_{6}$생육단계 이후에 급격히 증가하였으나, 녹병발병구에서는 아주 완만하게 증가하였고, 내병성품종에서는 녹병의 영향을 적게 받아 녹병발병구에서 계속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5. 녹병은 불완전립과 빈 꼬투리 수를 증가시키고, 종실의 Oil 함양 및 길이, 폭, 두께를 감소시키며, 협수, 입수, 백립중을 감소시켜 수량을 격감시키지만 단백질 함양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6.수량에 대한 녹병의 영향은 내병성품종에서 22.3%, 이병성품종에서 68.7%의 수양감소가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