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ywood

검색결과 343건 처리시간 0.022초

내화처리합판(耐火處理合板)의 열판건조(熱板乾燥)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Press Drying of Fire-Retardant Treated Plywood)

  • 김종만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56권1호
    • /
    • pp.1-25
    • /
    • 1982
  • 건책물(建策物)의 내장(內裝)에 많이 사용(使用)하고 있는 합판(合板)은 가연성(可燃性) 물질(物質)로서 각종(各種) 대형(大型) 화재(火災)를 유발(誘發)하여 많은 인명(人命)과 재산(財産)의 손실(損失)을 초래(招來)하고 있다. 따라서 이로 인(因)한 피해(被害)를 최대한(最大限)으로 줄이기 위하여 내화합판(耐火合板) 제조(製造)의 필요성(必要性)이 절실(絶實)히 요구(要求)되며 또한 내화합판(耐火合板) 제조(製造)에서 우선적(優先的)으로 해결(解決)해야 될 합판(合板)의 건조(乾燥)에 관(關)해서 연구(硏究)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본(本) 연구(硏究)에서는 3.5mm으로 합판(合板)과 5.0mm 합판(合板)에 황산(黃酸)암모늄, 제(第) 1 인산(燐酸) 암모늄, 제(第) 2 인산(燐酸) 암모늄 및 수분처리(水分處理)는 6 및 9시간(時間)으로 처리(處理)하고 붕사(硼砂)-붕산(硼酸) 및 미나리스는 1, 3, 6 및 9시간(時間)으로 처리(處理)하였으며 90, 120 및 $150^{\circ}C$ 등(等)으로 열판건조(熱板乾燥) 실시(實施)한 후(後), 건조곡선(乾燥曲線), 건조속도(乾燥速度), 내화제(耐火劑)의 흡수량(吸收量) 및 내화도(耐火度) 등(等)을 연구검토(硏究檢討)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온냉욕법(溫冷浴法)으로 9후간(後間)의 내화처리(耐火處理) 실시(實施)하므로써 얻은 두께 3.5mm합판(合板)의 약제(藥劑) 보유량(保留量)은 제(第) 1 인산(燐酸) 암모늄 $1.353kg/(30cm)^3$, 제(第) 2 인산(燐酸) 암모늄 $1.331kg/(30cm)^3$, 황산(黃酸)암모늄 $1.263kg/(30cm)^3$ 붕사(硼砂)-붕산(硼酸) $1.226kg/(30cm)^3$으로 최저(最低) 보유량(保留量)에 도달(到達)하였으나 미나리스는 $0.906kg/(30cm)^3$로 미달(未達)되었다. 두께 5.0mm 합판(合板)의 약제(藥劑) 보유량(保留量)은 황산(黃酸)암모늄 $1.356kg/(30cm)^3$, 제(第) 2 인산(燐酸) 암모늄 $1.166kg/(30cm)^3$로서 최저(最低) 보유량(保留量)에 도달(到達)하였으나 제(第) 1 인산(燐酸) 암모늄, 붕사(硼砂)-붕산(硼酸)과 미나리스는 미달(未達)이었다. 2) 3.5mm와 5.0mm 합판(合板)의 건조곡선(乾燥曲線)은 6시간(時間)과 9시간(時間)의 내화처리(耐火處理)에서 약제처리(藥劑處理) 합판(合板)이 수분처리(水分處理) 합판(合板)보다 건조곡선(乾燥曲線)의 경사(傾斜)가 더 적었다. 그리고 두께에 따른 건조속도(乾燥速度)는 3.5mm 합판(合板)의 경우(境遇) 5.0mm 합판(合板) 건조속도(乾燥速度)보다 약(約) 3배(倍) 이상(以上) 더 빨랐다. 3) 약제별(藥劑別) 건조속도(乾燥速度)는 열판온도(熱板溫度) $120^{\circ}C$로 건조(乾燥)하였을 때 두께 3.5mm의 합판(合板)에서 제(第) 2 인산(燐酸) 암모늄이 가장 높은 경향(傾向)을 나타내었고 두께 5.0mm의 합판(合板)에서도 제(第) 2 인산(燐酸) 암모늄이 가장 높은 경향(傾向)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처리시간(處理時間) 6시간(時間) 이상(以上)에서 수분처리(水分處理) 합판(合板)의 건조속도(乾燥速度)가 더욱 높았다. 4) 열판온도(熱板溫度)에 따른 건조속도(乾燥速度)는 열판온도(熱板溫度)가 상승(上昇)함에 따라 뚜렷하게 상승(上昇)하였으며 두께 3.5mm 합판(合板)의 경우(境遇) 열판온도(熱板溫度) 90, 120 및 $150^{\circ}C$에서 각각(各各) 1.23%/min., 6.54%/min., 25.75%/min. 였고 두께 5.0mm의 합판(合板)에서는 각각(各各) 0.55%/min., 2.49%/min., 8.19%/min.를 나타내었다. 5) 내화처리(耐火處理) 합판(合板)의 내화도(耐火度)에 있어서 약제(藥劑)사이의 중량(重量) 감소율(減少率)은 두께 3.5mm와 5.0mm 합판(合板)에서 제(第) 2 인산(燐酸) 암모늄이 가장 적었고 다음은 제(第) 1 인산(燐酸) 암모늄이었으며 그 다음은 황산(黃酸)암모늄, 미나리스 및 붕사(硼砂)-붕산(硼酸)의 순서(順序)로 증가(增加)하였다. 착화시간(着火時間), 잔화시간(殘火時間), 이면(裏面)의 탄화면적(炭火面積)에 있어서는 제(第) 2 인산(燐酸) 암모늄이 가장 우수(優秀)하였고, 다음은 제(第) 1 인산(燐酸) 암모늄, 황산(黃酸) 암모늄, 붕사(硼砂)-붕산(硼酸), 미나리스순(順)으로 효과(効果)를 나타냈다.

  • PDF

침엽수재(針葉樹材)의 원목형질(原木形質)과 단판결함(單板缺陷)이 단판(單板) 및 합판제조수율(合板製造收率)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Softwood Log Property and Veneer Defect on Veneer-and Plywood Manufacturing Yield)

  • 서진석;박종영;조재명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6권4호
    • /
    • pp.40-47
    • /
    • 1988
  • Our plywood manufacturing industries which entertained prosperous stage in late 1970's have come to be in face of the problems of conceedingly obtaining good quality logs and yield up-grading, which is considered by future-replaceable forest resources. In view of this point, manufacturing characteristic on softwood plywood using Japanese larch, pitch pine as domestic plantation species, and western hemlock as foreign species was studied. In this study, veneer- and plywood manufacturing yields were discussed in relation to log properties and veneer defects (knots). The summarized conclusions were as follows: 1. The majority of sample logs belonged to second grade on the standard. And, eccentricity of larch was the highest 11%, about 2 times those of pitch pine, hemlock. 2. Knot frequency of occurrence of larch reached 19% within log height 8m, and pitch pine 13% within 4m. Correspondingly, the log height of larch available for plywood manufacture was higher by about 2 times that of pitch pine. 3. In the knot types, most of knots of larch appeared dead, whereas those of pitch pine and hemlock appeared live. In size of knots, larch and hemlock showed relatively small 1-2cm dia. by 70% or more and pitch pine did the larger 24cm by 65%. Generally the more knot emerged in the inner side of veneer than the outer. 4. Plywood manufacturing yields by peeling with spindle revolution lathe were 37% in larch > 32% in hemlock> 26% in pitch pine. S. Jointed core veneer yields by peeling with outer perimeter back-up lathe were 55% in hemlock> 53% in larch> and 48% in pitch pine.

  • PDF

합판접착제용(合板接着劑用) 미세목분증량제(微細木粉增量劑)에 관(關)한 연구(硏究) (On the Feasibilty of Milled Sanders as a New Extender for Plywood Glue)

  • 안기우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권2호
    • /
    • pp.3-10
    • /
    • 1973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characeristics of waste sanders(S)from. plywood and pre-finishing plywood surface sanding and double saw finishing, as a new extander in urea-formaldehyde resin(UFR) in plywood adhesive, and to focus, adhesive strength using the glue extended with milled sanders(MS) as extender, leveling the optimum amount of MS to be added, and examin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glue extended MS & S. Also economical good feasibility of substitution for wheat flour(WF) with MS as a new extender is analyzed and presented in details. Selecting three standard samples of 80, 100 and 180 mesh, sorking them in distilled water at $20^{\circ}C$, 24 hours, redrying at $105^{\circ}C$ and rescreening the sample with standard screen, again, the 3 samples of 80, 100, and 180 mesh are passed 23 percent through 80 mesh sander standard sample 27 percent through on 100 mesh and only 10.9 percent through 180 mesh, respectively. The particle size of retained parts are greater in size of redried form. It seems undoubtly that particles to be extended in glue are got swollen and become greater in size and coarser in shape. The shape of fresh S particles are irregular thin needle with small scale, as shown in Figure 5. PFS are so finer than plywood S that only 9.8 percent of the S retained on 100 mest screen, 24. 30 percent on 100-160 mesh, and 65.9% on 160-180 mesh. But particle size of the fresh S is large enough to make the viscosity of glue direct extended with S too high to apply it glue spreader. The glue extended with milled sanders(MS). 3 hours milled PFS or 6 hours milled plywood S, having particle sizes shown in Tables 7 and 8, as ratio of Reain/MS/WF/water: 100/8/8/10, indicate good viscosity of 16 to 24 ps, as shown in Figure 5, for applying direct to glue spreader, have high tensile-shear strength (adhesive strength), 102.4 kp/$cm^2$, and 94 percent wood failure.

  • PDF

요소수지의 F/U 몰비별로 제조된 목질패널의 포름알데히드 장기 방출 경향 (Long Term Formaldehyde Emission Trend of Wood Panels Manufactured by F/U Molar Ratios in Urea Resin Adhesive)

  • 박헌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73-78
    • /
    • 2000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measure formaldehyde emission with the passing of two years from plywood, sliver-board and strand-board bonded with urea resins which were made of 6 f/U molar ratios. The urea resins were manufactured by six kinds of formaldehyde/urea molar ratio of 1.0, 1.2, 1.4, 1.6, 1.8 and 2.0. 1. The plywood with molar ratio of 1.0 satisfied the KS F3101 $F_2$ directly after manufacture. The plywood with molar ratio of 1.2 satisfied m 3 days. The plywood with molar ratio of 1.4 satisfied the $F_3$ in 3 days and the $F_2$ in 600 days. And the plywood with molar ratio of 1.8 and 2.0 satisfied the $F_3$ in 365 days, but didn't satisfy the $F_2$ in 730 days. 2. Sliver-board with molar ratio of 1.0 and 1.2 satisfied the KS F3104 $E_2$ right after manufacture. Sliver-board with molar ratio of 1.4 and 1.6 satisfied in 150 and 360 days, respectively. Sliver-board with molar ratio of 1.8 and 2.0 satisfied in 730 days. 3. Strand-board with molar ratio of 1.0 and 1.2 satisfied the KS F3104$ E_2$ directly after manufacture. Strand-board with molar ratio of 1.4 and 1.6 satisfied in 150 days. But Strand-board with molar ratio of 1.8 and 2.0 didn't satisfied in 730 days.

  • PDF

물유리의 농도와 첨가제 종류에 따른 방염제의 성능 (Flame Retardancy of Plywood Treated with Various Water Glass Concentration and Additives)

  • PARK, Sohyun;HAN, Yeonjung;SON, Dong Won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9권1호
    • /
    • pp.44-56
    • /
    • 2021
  • 소방청의 방염성능기준에 제시된 45°멕켈 버어너법을 이용하여 물유리 농도와 첨가제 종류에 따른 합판의 탄화길이 및 면적 등의 방염성능을 측정하였다. 합판에 농도 20-50%의 물유리를 처리한 결과, 방염성능은 물유리의 농도와 비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그러나 30%를 넘는 고농도의 물유리로 처리된 합판의 표면에서 백화현상과 끈적임이 발생하여 농도 30%를 최적 조건으로 결정하였다. 농도 30%의 물유리에 서로 다른 비율의 첨가제를 추가하여 실험을 수행한 결과, 수산화칼륨 15% 조건과 수산화알루미늄 1-10%의 조건에서 방염성능 기준을 만족하였다. 반면에 황산마그네슘은 방염성능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물유리와 첨가제에 따른 방염성능의 결과는 방염제를 활용한 불연재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붕산처리(硼酸處理) 합판(合板)의 열판건조(熱板乾燥) 및 동적(動的) 탄성율(彈性率)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Press Drying and Dynamic Elastic Modulus of Plywood Treated with Boric Acid)

  • 김종만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5권3호
    • /
    • pp.56-67
    • /
    • 1987
  • Plywoods used for construction as a decorative interior material are inflammable and can make fire accidents, causing destruction of human life and property. Therefore, it is indeed required to make fire-retardant treated plywood. In this study, 3.7mm yellow meranti plywoods were soaked in 18% boric acid solutions and tap water by hot-cold bath for 1/2, 2/2, 4/2, 6/2 hours and redrying of treated plywoods was carried out by press drying at the platen temperature of 110, 130, 160, $180^{\circ}C$ and then i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solution absorption, drying rates, dynamic young's modulus. specific gravity and fire-retardant factors such as burning point, flame spread length. flame exhausted time, back side carbonized area and weight loss by treating time, treating solutions and platen temperature.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When plywood was impregnated with the hot bath temperature of $70^{\circ}C$ for 1. 2, 4, 6 hours and the cold bath temperature of $15^{\circ}C$ for 2 hours respectively, retentions of boric acid were 1.565, l.597, 1.643, 1.709kg/$(30cm)^3$ and all of them exceeded the minimum retention [1.125kg/$(30cm)^3$] even in the shortest treatment. 2. In hot-cold bath method for 1/2 hours, the drying rates of treated plywood remarkably increased with the extension of platen temperature of 110, 130, 160, $180^{\circ}C$ and the values of boric acid treated plywood were 5.900, 10.196, 45.42, 54.958m.c%/min and the values of water treated plywood were 6.014, 12.373, 46.520, 55.730m.c%/min and drying rates of water treated plywood were faster than those of boric acid treated plywood. 3. The values of boric acid treated plywoods in dynamic young's modulus were widely higher than those of water treated plywoods. And it can be observed that there were highly significant differences for treating time between dynamic young's modulus, and the values of boric acid plywoods increased with the extension of treating time but on the contrary water treated plywoods were decreased values with prolonged time 4. It was observed that there were highly significant differences for platen temperature between dynamic young's modulus. When the values of water treated plywoods in dyna nic young's modulus were abruptly decreased according to the rise of platen temperature. boric acid treated plywoods showed rather increased values at $160^{\circ}C$ of platen temperature. And in 2- way interactions, there were also highly significant for dynamic young's modulus between treating time x treating solutions and platen temperature x treating solutions. 5. Correlation coefficients of fire-retardant factors were shown in table 5. It could be recognized that there were close correlations between the treating solutions and burning point, flame spread length, back side carbonized area, flame exhausted time and weight loss, but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fire-retardant factors and treating time and platen temperature. 6. From table 6, it can be observed that there were highly significant differences for burning point, flame spread length, flame exhausted time, back side carbonized area, weight loss between treating solutions. And in 2-way interactions, there were highly significant for burning point, flame spread length, weight loss between treating time $\times$ treating solutions.

  • PDF

한국(韓國)의 합판수요(合板需要) 현황(現況)과 전망(展望) (A Status and View of Demand for Plywood in Korea)

  • 김재성;정대교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5권4호
    • /
    • pp.32-44
    • /
    • 1987
  • 장기간(長期間)의 극심(劇甚)한 불황(不況)의 여파(餘波)로 사양화(斜陽化)의 길에 접어든 합판산업(合板産業) 부양(浮揚)을 위(爲)해서는 장기적(長期的)인 안목(眼目)의 합판수요정책(合板需要政策)이 절실(切實)히 요망(要望)되고 있는 실정(實情)에 비추어 본(本) 연구(硏究)에서는 이에 필요(必要)한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제공하고자 1970~1985년(年)까지 16년간(年間)의 표본자료를 토대로 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結論)을 얻었다. 1) 국민(國民) 총생산(總生産)(GNP), 합판(合板)의 실질도매물가지수(實質都賣物價指數)(PWI) 및 건설자재(建設資材)의 실질도매물가지수(實質都賣物價指數)(CWI)를 설명변수(說明變數)(독립변수(獨立變數))로 합판(合板)의 국내수요량(國內需要量)(DDP)을 피설명변수(被說明變數)(종속변수(從屬變數))로 하는 합판수요(合板需要)의 예측모형(豫測模型)은 다음과 같다. $\bigcirc$ 합판수요(合板需要)의 예측모형(豫測模型) $^{in}DDP$=0, 65186+1.29412 $^{in}GNP$-0.28385 $^{in}PWI$-1.05011 $^{in}CWI$ DDP: 합판(合版)의 국내수요량(國內需要量)(천(千)S/F) GNP: 국민총생산량(國民總生産量)(Billion Won) PWI: 합판(合板)의 실질도매물가지수(實質都賣物價指數) CWI: 건설자재(建設資材)의 실질도매물가지수(實質都賣物價指數) 2) 추정(推定)된 회귀계수(回歸係數)의 크기로 보아 합판산업(合板産業)의 생산활동(生産活動)을 반영(反映)하는 설명변수중(說明變數中) 합판(合板)의 국내수요(國內需要)에 영향력(影響力)이 가장 큰 인자(因子)는 국민총생산(國民總生産)(GNP)이었다. 3) 예측모형(豫測模型)의 결정계수(決定係數)는 0.9로서 고도(高度)의 유의성(有意性)을 인정(認定)할 수 있다. 4) 추정(推定)된 회귀계수(回歸係數)의 부호(符號)가 GNP는 정(正)의 상관(相關)PWI, CWI는 부(負)의 상관(相關)으로 나타났다. 5) 예측기간(豫測期間)의 년평균(年平均合) 합판수요(合板需要) 증가율(增加率)은 9.4%로 표본기간(標本期間)의 년평균(年平均) 증가율(增加率) 10.2%보다 다소(多少) 둔화(鈍化) 되었다.

  • PDF

합판(合板)의 내화처리(耐火處理)에 관(關)한 연구(硏究) - III. 제1인산(第一燐酸)암모늄처리합판(處理合板)의 내화도(耐火度) (Studies on Plywood Treated Fire-Retardant - III. The Fire-Retardant Degree of Monoammonium Phosphate Treated Plywood)

  • 김종만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4권4호
    • /
    • pp.21-28
    • /
    • 1986
  • Plywood used for construction as a decorative inner material is inflammable and can fire accident, causing destruction of human life and property. In this study, 3.5mm Kapur plywoods were soaked in the 23% monoammonium phosphate solutions by cold soaking method 3, 6, 9hrs and hot-cold bath method for 3/3hrs, and redrying was carried out by press-drying at the platen temperature of 110, 130, 160, 180$^{\circ}C$, and then fire test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burning point, flame exhausted length, frame spread length, back side carbonized area and weight los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In cold soaking method for 3, 6, 9hrs. retentions of monoammonium phosphate were 0.377, 0.448, 0.498kg/(30cm)$^3$ respectively, and in hot-cold bath method for 3/3hrs, the retention was 1.331kg(30cm)$^3$ that exceeded the minimum retention 1.124kg/(30cm)$^3$. 2. Correlation coefficients among the variable were shown in table 2. From the table, it could be recognized that there were close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treatment and burning point, flame spread length, back side carbonized area, flame exhausted time and weight loss, and there was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reating time and back side carbonized area, but there was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laten temperature and burning point. 3. From table 3, it can be observed that there were highly significant differences for burning point, flame spread length, flame exhausted time, back side carhonized area, weight loss between treatments. And in 2-way interactions, there were also highly significant for burning point, flame spread length, flame exhausted time, weight loss between time x treatment. 4. It was observed that burning point, flame exhausted time, flame spread length, back side carbonized area, and weight loss in fire-retardant treated plywood were the best effects in fire-retardant treated plywood, water treated plywood and nontreated plywood. In conclusion, I can estimate that absorbed chemical contents by hot-cold bath method for 3/3hrs, have a lot of effects on fire-retardant factors such as burning point, flame spread length, flame exhausted time, backside carbonized area and weight loss, but platen temperatures have a little effects on the fire factors.

  • PDF

낙엽분말(落葉粉末)을 이용(利用)한 합판용(合板用) 접착제(接着劑)의 증량(增量)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Extending of Plywood Adhesives used Foliage Powder)

  • 김종만;박종열;이필우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83-100
    • /
    • 1979
  • 본연구(本硏究)는 합판용(合板用) 증량제(增量劑)로 사용(使用)하고 있는 도입소맥분(導入小麥粉)을 값이 싸고 대량생산(大量生產)이 가능(可能)한 낙엽분말증량제(落葉粉末增量劑)로 개발(開發)하여 대치(代置)키 위(爲)한 가능성(可能性)을 구명(究明)하기 위(爲)해서 계획(計劃)하고 착수(着手)되었다. 낙엽증량제(落葉增量劑)로 채취가공(採取加工)하기 위(爲)한 수종(樹種)은 침엽수종(針葉樹種)에서 소나무를 택(擇)하였고 활화수종(濶華樹種)에서는 미류나무, 참나무, 푸라타누스를 택(擇)하였으며, 각각(各各)의 낙엽(落葉)을 채취(採取)하여 $100{\sim}105^{\circ}C$에서 24시간동안(時間同安) 전건(全乾)시킨 다음 40 mesh로 분쇄한 분말(粉末)을 증량제(增量劑)로 사용(使用)하였으며, 이와 비교시험(比較試驗)을 위(爲)해서 소맥분(小麥粉)을 사용(使用)하였는데 소맥분(小麥粉)의 분말도(粉末度)는 100mesh의 것을 이용(利用)하였다. 증량방법(增量方法)은 합판접착용요소수지(合板接着用尿素樹脂)와 석탄산수지접착제(石炭酸樹脂接着劑)에 수종별(樹種別)로 낙엽분말(落葉粉末)과 소맥분(小麥粉)을 각각(各各) 10, 20, 30, 50 및 100%로 증량(增量)하여 합판(合板)을 가공(加工)한 다음 접착력(接着力)을 분석고찰(分析考察)하였다. 본연구(本硏究)에서 얻은 결론(結論)은 다음과 같다. 1) 요소수지접착제(尿素樹脂接着劑)에 10%를 증량(增量)한 합판(合板)의 상태접착력(常態接着力)은 소맥분증량(小麥粉增量)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은 무증량합판(無增量合板)이었고 낙엽분말(落葉粉末)을 증량(增量)한 합판(合板)은 가장 접착력(接着力)이 낮았다. 낙엽분말(落葉粉末)을 증량(增量)한 합판(合板)의 접착력순위(接着力順位)는 참나무 낙엽분말(落葉粉末)이 가장 좋았고 미류나무, 소나무, 푸라타누스낙엽분말(落葉粉末)의 순(順)으로 저하(低下)하였다. 2) 요소수지접착제(尿素樹脂接着劑)에 20%를 증량(增量)한 합판(合板)의 상태접착력(常態接着力)은 소맥분증량(小麥粉增量)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은 미류나무낙엽분말증량합판(落葉粉末增量合板)이었으며 이들은 모두 무증량합판(無增量合板)보다 접착력(接着力)이 높았다. 미류나무를 제외(除外)하고 접착력(接着力)이 불량(不良)하지만 낙엽분말증량합판(落葉粉末增量合板)의 접착력순위(接着力順位)는 소나무, 푸라타누소, 참나무의 순(順)으로 낮아졌다. 3) 요소수지접착제(尿素樹脂接着劑)에 30%를 증량(增量)한 합판(合板)의 상태접착력(常態接着力)은 소맥분증량(小麥粉增量)이 가장 높았고 다음은 무증량합판(無增量合板)이었으며 낙엽분말(落葉粉末)을 증량(增量)한 합판(合板)은 접착력(接着力)이 급격히 저하(低下)하여 불량(不良)하였다. 4) 요소수지접착제(尿素樹脂接着劑)에 50%와 100%를 증량(增量)한 합판(合板)은 소맥분증량합판(小麥粉增量合板)만 우수(優秀)한 접착력(接着力)을 보여 주었을 뿐 낙엽분말(落葉粉末)을 증량(增量)한 합판(合板)은 50%에서만 소나무, 미류나무에서 약(弱)한 접착력(接着力)이 측정(測定)되었고 기타(其他)의 낙엽분말(落葉粉末)은 박리(剝離)하였고 100%에서는 모든 낙엽분말증량합판(落葉粉末增量合板)이 박리(剝離)하여 접착력(接着力)이 측정(測定)되지 않았다. 5) 요소수지접착제(尿素樹脂接着劑)에 10%를 증량(增量)한 합판(合板)의 내수접착력(耐水接着力)은 상태접착력(常態接着力)과 같이 소맥분(小麥粉)이 가장 높았고 다음은 무증량합판(無增量合板)이었으며 낙엽분말(落葉粉末)을 증량(增量)한 합판(合板)은 미류나무를 제외(除外)하고 모두 낮은 접착력(接着力)을 나타냈다. 6) 요소수지접착제(尿素樹脂接着劑)에 20%를 증량(增量)한 합판(合板)의 내수접착력(耐水接着力)은 무증량합판(無增量合板), 소맥분증량합판(小麥粉增量合板), 낙엽분말증량합판(落葉粉末增量合板) 순(順)으로 접착력(接着力)이 낮아졌으나 낙엽분말증량합판(落葉粉末增量合板)은 미류나무와 참나무를 제외(除外)하고 박리(剝離)하였다. 7)요소수지접착제(尿素樹脂接着劑)에 30%이상(以上)을 증량(增量)한 합판(合板)의 내수접착력(耐水接着力)은 30%와 50%의 소맥분증량(小麥粉增量)에서 접착력(接着力)이 측정(測定)되었을 뿐 낙엽분말(落葉粉末)은 모두 박리(剝離)하여 접착력(接着力)이 측정(測定)되지 않았다. 8) 석탄산수지접착제(石炭酸樹脂接着劑)에 10%를 증량(增量)한 합판(合板)의 상태접착력(常態接着力)은 소맥분증량(小麥粉增量)이 가장 우수(優秀)하였고 낙엽분말증량합판(落葉粉末增量合板)은 접착력(接着力)이 낮았으나 그 순위(順位)는 참나무, 미류나무, 소나무 순(順)이었고 푸라타누스에서는 박리(剝離)하였다. 9) 석탄산수지접착제(石炭酸樹脂接着劑)에 20%를 증량(增量)한 합판(合板)의 상태접착력(常態接着力)은 소맥분증량(小麥粉增量)이 가장 우수히였으나 소나무 낙엽분말합판(落葉粉末合板)이 그 다음으로 급상승(急上昇)하였으며 다음 순위(順位)는 참나무, 미류나무의 순(順)으로 저하(低下)하였고 푸라타누스는 박리(剝離)하였다. 10) 석탄산수지접착제(石炭酸樹脂接着劑)에 30%를 증량(增量)한 합판(合板)의 상태접착력(常態接着力)은 소나무가 급상승(急上昇)한 접착력(接着力)으로 소맥분증량합판(小麥粉增量合板)보다 우수(優秀)하였으나 미류나무, 참나무는 20%증량(增量) 보다 저하(低下)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푸라타누스는 박리(剝離)하였다. 11) 석탄산수지접착제(石炭酸樹脂接着劑)에 50%와 100%를 증량(增量)한 합판(合板)의 상태접착력(常態接着力)은 소나무 낙엽분말증량합판(落葉粉末增量合板)과 소맥분증량합판(小麥粉增量合板)이 우수(優秀)한 접착력(接着力)을 보여주고 있는데 반(反)하여 미류나무, 참나무, 푸라타누스등(等) 활엽수낙엽분말(濶葉樹落葉粉末)의 증량(增量)은 박리(剝離)하여 접착력(接着力)이 측정(測定)되지 않았다. 12) 낙엽분말(落葉粉末)의 증량(增量)은 요소수지접착제(尿素樹脂接着劑)에서 미류나무 낙엽분말(落葉粉末)을 20%까지 첨가사용(添加使用)할 수 있으며 석탄산수지접착제(石炭酸樹脂接着劑)에서는 소나무 낙엽분말(落葉粉末)을 소맥분(小麥粉)의 증량(增量)과 똑같이 첨가사용(添加使用)할 수 있다.

  • PDF

폐목재파티클을 이용한 재생보드의 제조특성 (Manufacturing Characteristics of Boards Recycling Waste Wood Particle)

  • 김외정;서진석;한태형;박종영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2권1호
    • /
    • pp.120-127
    • /
    • 2006
  • 폐목질원료로서, 제재, 합판, PB, MDF와 폐침목 등의 해머밀에 의한 파쇄특성과 재생파티클 종류와 혼합비율에 따른 재생보드의 물성을 구명함으로써, 보드원료로서 재자원화 하는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재생보드의 휨성질은 목질원료의 입자형태 및 입도분포에 크게 영향을 받으며, 파티클, 섬유와 같은 element가 압축고화된 상태의 판넬(PB, MDF)로부터 재생한 파티클은 물성저하를 초래하였다. 그러나, 재생파티클에 이미 도포 경화된 수지에 의해 재생보드의 치수안정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보드원료로서의 적합한 요건은 건전폐목재(제재, 합판)와 저급폐목재(PB, MDF)의 적정한 혼용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건전폐목재 재생파티클과 재생 PB파티클의 혼용시험에서 제재파티클이 휨성질(MOR, MOE)과 박리강도에 기여하고, 합판파티클은 치수안정성에 더욱 기여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또한 보드의 중층용 원료로 재생PB파티클의 혼합비율을 증가함에 따라서 보드의 휨성능이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냈지만 혼합률 40%까지는 유의차가 없이 보드 15형(MOR : $153kgf/cm^2$, MOE : $27.5tonf/cm^2$) 수준의 성능이 구비되었다. 향후 생활폐목재(폐가구 등)와 같은 저급폐목재의 활용방안이 강구된다면 보드원료의 수급에 한층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