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astic film house

검색결과 220건 처리시간 0.025초

우리나라 중부지방 시설원예지 토양 및 지하수 환경 (Groundwater and Soil Environment of Plastic Film House Fields around Middle Korea)

  • 김진호;류종수;권순국
    • 한국농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공학회 2001년도 학술발표회 발표논문집
    • /
    • pp.479-483
    • /
    • 2001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know the soil properties and the quality of shallow groundwater in the plastic film house fields around mid-Korea. This study was conducted at 11 sites in Suweon, Pyungtaek, Yongin, and Chunchen on May, June, July and August in 1999. The the average concentration of nitrate-nitrogen was 19.1 mg/L, it reached almost to the limiting level, 20 mg/L. Moreover about 36.4% of survey sites exceeded limiting level to agricultural groundwater quality. And Sulfur concentrations also at some sites exceeded to agricultural groundwater quality limit level (50 mg/L), which could make damage to the crop. Nitrate-nitrogen, which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the groundwater quality, It has highly positive correlation with any other ion in groundwater. This result showed that groundwater quality management practices should be taken for the agricultural production as well as for environment at the plastic film house areas.

  • PDF

농경지 불투수면 변화에 따른 유역 수문 영향 분석 (Assessment of the Impacts of the Impervious Surface Change in the Farm Region on Watershed Hydrology)

  • 김학관;이은정;박승우;강문성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51권6호
    • /
    • pp.17-23
    • /
    • 2009
  • The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SWAT) model was used in this study to evaluate the hydrologic impacts by the impervious surface change in the farm region. The model was calibrated and validated by using four years (1999-2002) of measured data for the Gyeongancheon watershed in Korea. The simulation results agreed well with observed values during the calibration and validation periods. Land use scenarios including various changes of the plastic film house area in the farm region were applied to assess their effects on watershed hydrology.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surface direct (5.6%~14.0%) and total runoff (0.8%~1.5%) increased, but the groundwater discharge (10.7%~27.7%) and evapotranspiration (1.5%~3.3%) decreased as the plastic film house area (5.7%~12.4%) increased.

플라스틱 하우스의 구조 실태의 조사 연구 (Investigation of Actural State of Plastic Greenhouse Structures in Korea)

  • 김문기;고재군;이신호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113-124
    • /
    • 1987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isclose the problem of structural safety and the state of utilization of standard types of plastic film house through investigation of actural state of plastic greenhouses for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And also, the application method of standard types were proposed.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1. Plastic film houses investigated were not designed by the structural design conditions of loads and materials. 2.The construction method of greenhouses was not standardized. 3.Single type of standard greenhouses was nearly used and double types were applied to the standard type. 4.The standard frames of plastic film house were appeared to have structural lack of stability at the design snow and wind loads for most regions. 5.Safety snow depths and safety wind velocities were proposed for the frame intervals and pipe diameters of standard greenhouses.

  • PDF

영남지역 시설재배지 토양의 미량원소 함량 분포 (Distribution of Micronutrients in Plastic Film House Soils of Yeongnam Provincen)

  • 정종배;김복진;유관식;이승호;신현진;황태경;최희열;이용우;이윤정;김종집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214-223
    • /
    • 2006
  • 집약적으로 재배하는 시설작물의 품질과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적절한 미량원소의 관리가 필요하며, 따라서 시설재배지 토양중의 미량원소의 유효도에 대한 평가가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한다. 본 연구에서는 영남지역 주요 시설재배지 토양중의 미량원소 함량을 조사하였다. 딸기 재배지 96개소, 고추재배지 66개소, 토마토 재배지 74개소, 참외 재배지 97개소, 오이 재배지 63개소 등 총 396개소의 비닐하우스 토양 시료를 채취하였고, B, Cu, Zn, Fe 및 Mn에 대하여 총 함량과 가용성 함량을 조사하였다. 가용성 함량의 경우 B는 열수로 추출하였으며 Cu, Zn, Fe, Mn은 0.1 N HCl로 추출하였다. 비닐하우스 토양중 B, Cu, Zn, Fe, Mn의 총 함량 평균값은 각각 25, 32, 74, 21,316, $420mg\;kg^{-1}$으로 조사되었다. 이들 값은 비닐하우스 주변 노지 토양중의 총 함량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 조사지역별 그리고 재배작물별로 비교하변 비닐하우스 토양중의 각 미량원소들의 총 함량은 매우 다양하게 나타났다. 가용성 B, Cu, Zn의 함량은 전체 조사 토양에 대한 평균값으로 각각 2.1, 7.5, $35mg\;kg^{-1}$으로 나타났으며, 주변 노지 경작토양에 비하여 대부분 그 함량이 높았다. 가용성 Fe와 Mn의 경우에는 전체 평균값이 각각 156 및 $146mg\;kg^{-1}$이었으며, 가용성 Fe의 함량은 주변 노지 경작토양에 비하여 그 함량이 낮았다. 조사된 시설재배 토양중의 가용성 Zn, Fe, Mn의 함량은 모든 지역에서 대부분 일반작물 재배에 적정한 수준 또는 그 이상의 과잉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Cu의 경우 딸기, 토마토 및 오이 재배지에서는 가용성 함량이 대부분의 조사 토양에서 적정수준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추와 오이 재배지에서는 조사토양의 약 30%에서 적정함량에 미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B의 경우 딸기, 고추, 참외 재배지에서 가용성 함량이 적정수준에 미달하는 토양이 많았으며, 전체적으로 가용성 B의 함량이 과잉 수준인 토양은 다른 원소의 경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적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귀농인 참외재배 교육시스템 마련을 위한 생산기술 활용도 분석 (An Analysis on Usability of Oriental Melon Production Technology for Back-from-City Farmers)

  • 최돈우;장원철;김동춘;김태균
    • 농촌계획
    • /
    • 제20권4호
    • /
    • pp.45-54
    • /
    • 2014
  •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ck-from-city farmers with the information about the melon cultivation technology by surveying 268 farm houses in the major melon producing districts such as Seongju and Chilgok. For the purpose, this study classifies the essential technologies that the melon experts think as most important into 6 categories: size of plastic film house, covering film, varieties of oriental melon, lagging cover, ventilation method and ways to reduce repeated-cultivation damage. The result of the study shows that the back-from-city farmers should consider the following items when they choose to cultivate oriental melons. For the size of plastic film house, the ventilation method and the covering film of plastic film house, it is better to choose the latest technology. Even though it may require larger initial investment, the latest technology can increase the production and lower the cost. In case of variety, it is better to choose popular or the most widely grown ones rather than the new ones. The lagging cover should be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climate conditions such as average temperature and humidity, transplant time and harvest time of the farming region.

영남지역 시설재배지에 분포하는 Arbuscular 균근균의 포자 밀도 및 기내조건에서의 포자발아와 균사생장 특성 (Density of Arbuscular mycorrhizal spore of plastic film house soil in Yeongnam area and characterestics of AMF in vitro)

  • 박향미;남민희;강항원;이재생;고지연;강위금;박경배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203-209
    • /
    • 1999
  • 인산축적 시설재배지에서 Arbuscular 균근균의 이용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영남지역 시설재배지의 토착 Arbuscular 균근균의 분포밀도를 조사하고 in vitro에서 Arbuscular 균근균의 포자 표면살균 조건에 따른 포자발아 및 균사생장정도를 검토하였다. 시설재배지 토양에서 재배작물별 Arbuscular 균근균의 포자분포수는 수박에서 가장 높았으며 오이, 참외, 고추의 순이었으며 건토 100 g당 포자수는 101~207개 범위에 있었다. 한편, Arbuscular 균근균의 포자분포수는 B/F비가 낮을수록 증가하는 경향이었고 토양유효인산의 함량과는 $r=0.416^*$의 유의성 있는 정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Acaulospora spinosa와 Gigaspora margarita 두 균주를 대상으로 기내실험한 결과 Arbuscular 균근균의 포자표면살균은 두 균주 모두 2% Chloramin T 및2% Chloramin T와 항생제 혼합 처리시 50%이상의표면 살균력과 포자발아율을 보여 다른 화합물 처리보다 양호하였다. pH에 따른 Gigaspora margarita의 포자발아와 균사생장은 pH 5.0 ~ 9.0 사이의 넓은 범위에서 50%이상의 발아율을 보였으며, 초기 pH가 증가 할수록 균사생장이 양호한 경향이었으나 Acaulospora spinosa의 경우에는 pH 9.0에서 포자발아율이 가장 높았으며 균사생장은 실험한 pH의 범위에 상관없이 저조하였다.

  • PDF

Effect of Soluble-silicate or Chitosan Foliar Spray on Ginseng Cultivated in Blue-white Plastic Film House

  • Seo, Sang Young;Cho, Jong hyeon;Kim, Chang Su;Kim, Hyo Jin;Kim, Dong Won;An, Min Sil;Jang, In Bae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46-46
    • /
    • 2019
  • The experiments were performed in the Jinan (elevation: 300 meters above sea level), Jeollabuk-do. Seedlings (n = 63 per $3.3m^2$) of ginseng cultivar (Cheonpung, Yeonpung) were planted on April 10, 2015. Shading material of plastic film house was blue-white film. Before the Planting seedling, silicate (3 kg/10 a) or chitosan (40 kg/10 a) was fertilized and foliar sprayed on the leaves 1000 times dilution solution once a month from May to September every year. The growth results of 5-year old ginseng surveyed in 2018 are as follows. The average air temperature in the plastic film house was the highest at $26.6^{\circ}C$ and $26.5^{\circ}C$ in July and August, respectively, and the highest temperature was $40.5^{\circ}C$ in July. The maximum daily temperature of $35^{\circ}C$ or more was 30 days, with the average soil temperature being $24.9^{\circ}C$ in August. The chemical properties of the test soil are as follows. pH was 6.4~6.9 level and EC was 0.35~0.46 dS/m. The organic matter content was 33.5~41.4 g/kg, and available-P content was 251.9~306.8 mg/kg. Exchangeable cations contents, such as K, Ca and Mg were all the appropriate ranges. The soil microbial density surveyed by the dilution plate method was 10~50 times higher than that of control (Non-treatment) and actinomycete density was 3~6 times higher. Pathogens of the genus Fusarium by Metagenome analysis decreased 91.3% and 68.2% respectively in the foliar sprayed of chitosan and soluble-silicate. The light intensity (PAR) in the blue-white film plastic film house gradually increased until July and then decereased, with the average of light intensity in March-October was $120.3umol/m^2/s$. The growth of aerial parts such as plant height and stem length was better than non-sprayed group in silicate or chitosan treatments and Yeonpung cultivar was superior to the Cheonpung cultivar. The SPAD value was higher in Yeonpung cultivar foliar sprayed with soluble-silicate. The growth of underground parts such as root length and taproot length were better in chitosan and soluble-silicate treatment than control, especially in Yeonpung cultivar foliar sprayed with chitosan was good in taproot length and taproot diameter, and fresh weight of root was 60.1 g. Ginsenoside contents were 24.9 mg/g and 22.4 mg/g, in the Cheonpung cultivar foliar sprayed with soluble-silicate or chitosan respectively, 28% and 15% higher than control (19.5 mg/g). The incidence of disease by Alteraria panax and Botrytis cinerea was 3~9% and 4~9%, respectively. High temperature damage rate was 3~5%.

  • PDF

수증기(水蒸氣) 증류법(蒸溜法)에 의(依)한 토양중(土壤中) 유기염소계(有機鹽素系) 살충제의 잔류분(殘留分) 평가(評價) (Evaluation of Organochlorine Pesticide Residues in Soil by Steam Distillation)

  • 서용택;심재한;박노동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23-29
    • /
    • 1984
  • 수증기증류법(水蒸氣蒸溜法)으로 추출(抽出)하고 GLC-ECD를 사용(使用)하여 전라남도(全羅南道) 경작지(耕作地) 토양시료(土壤試料) 121점(點)(plastic film house 59, 밭 30, 과수원(果樹園) 32점(點)) 중의 6가지 유기염소계(有機鹽素系) 살충제 (${\gamma}-BHC$, heptachlor, dieldrin, p,p'-DDE, p,p'-DDD, p,p'-DDT)의 잔류분(殘留分)을 분석평가(分析評價)하였다. 총평균잔류량(總平均殘留量)은 과수원(果樹園)이 0.415ppm, plastic film house가 0.234ppm, 밭 토양(土壤)이 0.158ppm이었다. 전체(全體) 잔류수준(殘留水準)의 94%를 p,p'-DDT와 그 동족체(同族體)(p,p'-DDE, p,p'-DDD)가 차지했고, ${\gamma}-BHC$는 모든 공시토양(供試土壤)에서 검출(檢出)되었으며 검출범위는 $trace{\sim}0.050ppm$이었다. 총(總) 평균잔류양(平均殘留量)은 $p,p'-DDD>p,p'-DDT>dieldrin{\approx}heptachlor>{\gamma}-BHC{\approx}p,p'-DDE$ 순(順)이었다.

  • PDF

토양중 퇴비종류 및 처리조건별 아황산가스 발생 (Emission of Sulphur Dioxide Gas from Soils under Plastic Film House, Condition)

  • 김복영;이종식;최금주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72-76
    • /
    • 1998
  • 일반토양과 시설재배지 토양을 공시하여 1l 광구병에 토양 600g씩 충진하고 토양 1kg당 양송이퇴비, 계분퇴비, 돈분퇴비, 어분퇴비를 각각 0, 10, 20, 30, 40, 50g상당량을 시용하였다, 온도를 10, 20, 30, $40^{\circ}C$로 조절하고 중류수를 토양 1kg당 50, 100, 200, 300ml 첨가하여 각 처리별 아황산가스 발생량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아황산가스 발생량은 황함량이 적은 양송이퇴비, 계분퇴비 및 돈분퇴비에서는 적었으나 황함량이 많은 어분퇴비 처리구에서는 10g/kg처리에서 부터 매우 큰 차이로 증가 되었다. 어분퇴비처리구는 10g이하에서도 시 용량증가에 따라서 아황산가스 발생량이 현저히 증가되었고, 황함량이 적은 일반토양보다 황 함량이 많은 시설재배지 토양에서 가스발생량이 높았다. 아황산가스 발생량은 온도가 높을수록 증가되었으며, 수분 처리별로는 150ml 첨가구에서 가장 많이 발생되었다.

  • PDF

군위지역 오이 시설 재배지의 토양특성 변화 (Change In Soil Properties After Cucumber Cultivation Under Plastic Film House At Gunwi-Gun Area)

  • 이동훈;최충렬;김광섭;김평열;서정우;박만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24권
    • /
    • pp.43-47
    • /
    • 2006
  • 군위군 오이재배지역을 정밀토양도를 이용하여 토양특성을 조사하고, 군위군 노지 및 시설오이 재배지 토양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여, 연작과 관행적인 토양관리로 인하여 저하된 토양의 이화학적 특성을 오이재배에 적합한 토양으로 개량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이용하고자 토양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지역은 군위군 군위읍 외랑리 오이재배단지로서 주요 토양통은 토양도에 나타난 단북통과 신정통이 가장 넓게 분포하였으며, 점토함량은 시설재배지내 토양의 경우 양토이었으며, 시설재배지의 외부 토양의 경우 23.8%로 높게 나타났다. 오이재배지 토양의 화학적 특성 결과에 대한 오이재배지 토양의 적정범위와 비교하여 보면 일반적인 화학적 성질에서 서는 유효 인산의 함량이 적정범위보다 높은 것을 알 수 있으며, 치환성 양이온 함량은 시설재배지의 외부토양은 적정범위에 속하나 시설재배지 내부토양은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최상부 토양은 매우 높으나 10cm 이하는 깊이에 따라 뚜렷한 차이는 없었다. 오이 재배지 토양 중 중금속 함량은 모두 기준치보다 높게 나타났는데, 구리의 함량이 시설재배지가 노지재배지보다 높게 나타났다. 시설재배지의 경우는 다른 곳과 달리 표토 위에 부숙이 어려운 유기물의 과량투입에 따라 표토 위의 유기물 30% 이상의 유기물 층이 존재하여 모든 양분 성분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안정적인 생산을 위해서는 토양분석에 따른 토양관리법의 확립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