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aque

검색결과 1,336건 처리시간 0.028초

한국인의 치주조직상태에 관한 역학조사 (EPIDEMIOLOGICAL EVALUATION OF PERIODONTAL STATUS IN KOREAN ADULTS)

  • 한경윤;박준봉;정진형;정종평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24권3호
    • /
    • pp.458-471
    • /
    • 1994
  • To evaluate the periodontal status of Korean adults, 3,988 adults(20-69 years old) who lived in Kwangju, Chonnam, Taegu, and Kyungbuk districts were periodontally examined by plaque index(PI), calculus index(CI), gingival index(GI), periodontal disease index (PDI), and papillary bleeding index(PBI). The periodontal examination charts were grouped according to age and sex. And subsequently 200 periodontal examination charts in each age group were randomly selected according to sex. The differences of the indices among age groups and those between male and female in each age group were statistically analyzed by Chi-Square test. In PI, CI, GI, PDI, and PBI,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in the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in each age group(p>0.05). In male, PI of 60s age group($1.44{\pm}0.68$)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any age group(p<0.05), and in female PI of 20s age group($0.86{\pm}0.39$)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any other age group(p<0.05). CI of 60s age group in both male($1.67{\pm}0.70$) and female($1.63{\pm}0.91$)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any age group(p<0.05). GI of 20s age group in both male($0.85{\pm}0.66$) and female($0.67{\pm}0.60$) was significantly lower and GI of 60s age group in both male($1.37{\pm}0.60$) and female($1.44{\pm}0.84$) was higher than that of any age group(p<0.05). PDI in male was the lowest in 20s age group($0.70{\pm}0.73$), and was the highest in 60s age group($4.93{\pm}1.96$) (p<0.05). In female PDI of 20s age group($0.71{\pm}0.74$)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any age group(p<0.05). In male PBI of 20s age group($0.38{\pm}0.31$)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any age group(p<0.001). PBI in female was the lowest in 20s age group($0.35{\pm}0.30$) (p<0.001), and was the highest in 60s age group($1.09{\pm}0.76$) (p<0.05). The data insist that all the young populations of 20s age group should be interested in routine check for early diagnosis and prevention of periodontal disease, and a special education program of periodontal health care for young generation must be prepared, and the periodic recall check system for periodontal examination of middle age group must be supported by government.

  • PDF

Er:YAG 레이저를 이용한 법랑질 표면처리 후 치면열구전색재의 미세누출에 관한 평가 (ER:YAG LASER-TREATED ENAMEL FOR PIT AND FISSURE SEALANT: A COMPARISON OF MICROLEAKAGE)

  • 이선숙;이난영;이상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597-605
    • /
    • 2006
  • 교합면 치아우식증을 예방하기 위한 가장 보편적이면서 효과적인 방법으로 치면열구전색술이 소개되었다. 치면열구전색재의 도포시 열구내 유기물, 치태, 법랑질 잔사 등을 제거하여 전색재의 유지율을 증가시키고자 하는 여러 가지 방법들이 소개되고 있다. 최근 Er:YAG 레이저가 새로운 법랑질 표면처리방법으로 소개되고 있는데 이것이 기존의 다른 방법들과 비교하여 더 나은 결과를 보이는지 연구해보고자 하였다. 첫 번째 실험으로 Er:YAG 레이저 조사시 산부식과 유사한 형태를 보이는 조사 조건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이를 기초로 하여 법랑질 표면처리방법으로 전통적인 산부식 방법만을 시행한 경우(1군), 기계적 삭제방법인 열구성형술(Fissurotomy)을 시행한 경우(2군), Er:YAG 레이저만 조사한 경우(3군), Er:YAG 레이저 조사 후 산부식을 시행(4군)한 경우로 나누어 전색재를 도포하고 미세누출 정도를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주사전자현미경사진에서 100mJ, 5Hz Er :YAG 레이저로 조사시 산부식과 유사한 양상을 관찰할 수 있었다. 2. 기계적 삭제방법이 산부식만 시행한 경우에 비해 더 낮은 미세 누출을 보였으나 통계학적 유의성을 보이지는 않았다(p<0.05). 3. 산부식을 시행한 경우보다 레이저를 조사한 후 산부식을 시행한 경우가 더 낮은 미세누출을 보였다.

  • PDF

영유아의 구강위생관리방법 개선에 관한 연구 (IMPROVEMENT OF ORAL HYGIENE METHODS FOR EARLY CHILDHOOD)

  • 이광희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264-272
    • /
    • 2007
  • 연구 목적은 영유아의 구강위생관리방법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시중의 영유아용 구강위생관리용품을 조사하여 분류하고 안전성에 대한 문헌고찰을 실시하였으며, 익산시내 영유아 보육자들 672명에게 구강위생관리용품의 사용경험을 포함한 구강위생관리방법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영유아용 구강위생관리용품은 구강 티슈, 손가락 칫솔, 성장단계별 칫솔, 전동칫솔, 어린이용 칫솔, 삼켜도 되는 영유아용 치약을 포함한 성장단계별 치약, 어린이용 불소치약 등이 있었다. 사용 경험은 구강티슈가 62.5%, 손가락 칫솔이 70.9%, 3단계 칫솔이 55.9%, 삼켜도 되는 영유아용 치약이 87.4%이었다. 이를 닦아주기 시작한 때는 이가 날 때부터와 생후 1년경이 79.0%, 생후 2년경과 3년경이 21.0%이었고, 이닦기 중 치약을 삼키는 비율은 48개월 미만에서 22%이었고 $48{\sim}59$개월에서는 9%, 60개월 아상에서는 3%로 감소하였다. 보육자가 어린이 이를 닦아주는 비율은 48개월 미만에서 52%, $48{\sim}59$개월에서는 42%이었고 60개월 이상에서는 26%이었다. 영유아기 구강위생관리의 기본 방법은 이닦기를 통해 치아표면의 치태를 제거하는 것이며, 이닦기의 주된 방법은 칫솔질이고 치약을 보조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구강위생용품 사용시에는 질식, 삼킴, 목구멍 손상 등에 주의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3세 이전에는 불소치약의 사용이 권장되지 않으며, 사용시에는 최소량을 사용하고, 삼키지 않고 뱉도록 보호자가 지도 감독하여야한다.

  • PDF

Streptococcus mutans GS-5 Glucosyltransferase의 클로닝과 발현 (Cloning and expression of Streptococcus mutans GS-5 glucosyltransferase)

  • 김수경;김재곤;백병주;양연미;이경열;박정렬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73-82
    • /
    • 2008
  • 치아우식은 주로 mutans streptococci에 의해 야기되는 감염성 질환으로서 주 원인균에는 streptococcus mutans가 있다. S. mutans가 치아우식을 유발하는 분자 생물학적 기전은 몇 가지 단계를 포함한다. 먼저 S. mutans는 AgI/II와 같은 세포 표면의 섬유성 단백질을 매개로 치면의 타액성 피막에 일차적으로 부착한다. 두번째 단계에서 자당의 존재하에 glucosyltransferase(GTF)는 glucan과 같은 다당체를 합성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이렇게 합성된 glucan은 glucan binding proteins와 상호작용하여 치면세균막을 형성해서 세균의 군집화를 가능하게 한다. 많은 실험과 임상연구에서 S. mutans의 주요 항원(Ag I/II, GTFs, GBPs)들이 치아우식 병리기전에 영향을 준다고 알려져 왔고, 따라서 이런 항원들이 면역계에 작용하여 치아우식을 막는 백신으로 이용 가능하다. 본 실험은 streptococcus mutans GS-5로부터, GTFb, GTFc, GTFd 유전자를 복제하고 염기서열분석을 하였으며, 이중 GTFd가 먼저 재조합 단백질 생산을 위해 발현 벡터에 클로닝 되었으며, 이로부터 단백질이 발현됨을 확인하였다. 이번 실험에서 얻은 순수 GTF 항원은 동물실험을 통해 특정 GTF 활성부위에 대한 항체 생산에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불소 바니쉬와 클로르헥시딘 바니쉬의 항우식 효과 (ANTICARIOGENIC EFFECT OF FLUORIDE VARNISHES AND CHLORHEXIDINE VARNISHES)

  • 이숙희;김재문;김신;정태성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83-91
    • /
    • 2008
  • 치아 우식증은 구강 내 세균, 식이(음식물), 치아 및 타액 등의 숙주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한다. 이 중 치아의 탈회에 대한 저항성을 높이거나, 구강 내 세균의 산생성능을 낮춤으로써 치아우식을 예방할 수 있는 대표적인 약제로 불소와 클로르헥시딘이 있다. 이 약제의 구강 내 적용방법으로 치아에 대한 부착력이 뛰어나고 환자의 협조의존도가 비교적 적은 바니쉬 형태가 최근 들어 널리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불소와 클로르헥시딘 바니쉬의 항우식 효과를 생체 내에서 비교 평가하기 위하여, 구강 내 가철성 장치에 우치 시편을 식립하고 불소 바니쉬와 클로르헥시딘 바니쉬를 각각 도포하였다. 치태축적을 유도하여 법랑질 탈회를 통한 우식 유발 환경을 만들고 바니쉬 제제가 구강 내에서 우치 법랑질의 우식 예방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였다. 전자 현미분석 장치와 편광현미경을 사용하여 법랑질 표면의 Ca, P에 대한 정량적 변화를 분석하고 조직학적 관찰을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인공 우식병소에 대한 편광현미경 관찰 결과, 불소 및 클로르헥시딘 바니쉬 를 도포한 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법랑질 병소가 경미하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우식을 유발한 경우 Ca와 P의 감소량은 대조군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P<0.05), 불소 바니쉬군에서는 Ca와 P의 유의한 감소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클로르헥시딘 바니쉬군에서는 P만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P<0.05). 이상의 결과로 보아 불소 및 클로르헥시딘 바니쉬 제제의 사용이 항우식 효과를 나타낸 것으로 판단되나, 불소 바니쉬가 좀 더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 것으로 보인다.

  • PDF

구강 내 산도의 생체 내 측정을 위한 wireless pH telemetry의 개발 (THE DEVELOPMENT OF INDWELLING WIRELESS PH TELEMETRY OF INTRAORAL ACIDITY)

  • 김형준;김재문;정태성;김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10
    • /
    • 2008
  • 치아 우식증과 침식증의 진단과 예방에 있어 구강 내 환경, 특히 산도를 정밀하게 평가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본 연구는 구강 내의 산도측정을 위한 기존 방법들의 단점을 보완하고자 구강 내 무선 pH 원격측정 방법을 개발하고, 실제로 측정시의 효율성을 얻기 위해 시행되었다. 구강 외로 부착되는 부가적인 장치 없이 구강 내에만 장착하여 24시간 이상 수소이온농도지수(이하 pH)를 측정할 수 있는 무선 원격측정장치를 개발하고, 정확한 산도의 측정이 가능한지를 검증하였다. 그리고 이 장치를 실제 구강 내에 장착하여 피검자로 하여금 24시간 동안의 시간별 상세한 섭식과 활동 내용, 수면 상태를 기록하도록 하고 24시간 후 구강으로부터 수거하여 지난 24시간 동안의 pH의 변화를 획득하고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구강 내 장치와 구강 외 장치로 이루어진 구강 내 무선 pH 원격측정방법의 개발에 성공하였으며 24시간 동안 피검자의 구강 내 pH 변화를 측정한 결과, 피검자가 실제 섭취하였던 시간과 음식 종류에 일치하게 측정치를 얻을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장시간 무선 pH 원격측정방법을 이용하여 구강 내 pH를 측정할 수 있게 됨으로써, 기존의 유선 pH 원격측정방법이 가진 한계점을 극복할 수 있게 되어 구강 내 환경이나 우식학과 관련된 보다 광범위한 연구가 가능하게 될 것이다.

  • PDF

일개 농촌지역 저소득층 당뇨병환자의 관리 상태 (Management of Diabetic Mellitus in Low-income Rural Patients)

  • 김혜연;윤우준;신민호;권순석;안혜란;최성우;이영훈;조동혁;이정애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42권5호
    • /
    • pp.315-322
    • /
    • 2009
  • Objectives : Knowledge about the management status of diabetic melitus (DM) is essential to improve diabetic management. Moreover, low income is associated with poor adherence to treatment and increased mortality.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management status of DM in low-income patients in a rural area. Methods : We enrolled 370 patients with type 2 DM living in Gokseong county, JeollaNamdo. A well-trained examiner measured the height, weight, waist circumference, blood pressure,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fasting blood sugar and glycosylated hemoglobin (HbA1c) levels. Carotid ultrasonography was used to measure carotid artery carotid artery intima media thickness (IMT) and plaque. anklebrachial index (ABI) was used to evaluate peripheral artery disease. A fundoscopic examination was performed to evaluate diabetic retinopathy. A history of diabetes complications and health-related questionnaires were also completed. Results : The age of diabetic subjects was 68.7$\pm$8.7 years and the duration of diabetes was 8.9$\pm$8.2 years. Most (63.5%) had hypertension, and 45.7% had triglycerides below 150 mg/dl, 38.1% had low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LDL) cholesterol below 100 mg/dl, 48.7% had urine albumin to creatinine ratio (UACR) below 30 mg/g. Less than half (45.9%) achieved the goal of HbA1c less than 7% suggested by the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ADA). 10.6% had peripheral vascular disease, 11.9% had retinopathy, and 60.8% had chronic kidney disease. Conclusions : DM management in low income patients is very poor and requires further work to improve.

제2족지 수질부 유리피판을 이용한 수지첨부재건 치험례 (Finger Tip Reconstruction Using $2^{nd}$ Toe Pulp Free Flap - A Case Report -)

  • 박용순;홍종원;김영석;노태석;나동균
    • Archives of Reconstructive Microsurgery
    • /
    • 제19권1호
    • /
    • pp.37-45
    • /
    • 2010
  • Purpose: First introduced by Buncke and Rose in 1979, the neurovascular partial $2^{nd}$ toe pulp free tissue transfer has been attempted to reconstruct posttraumatic finger tip injuries. Although some surgeons prefer other reconstructive methods such as skin graft and local flap, we chose the partial $2^{nd}$ toe pulp flap owing to its many advantages. We report three successful surgical cases in which the patients had undergone this particular method of reconstruction. Methods: We retrospectively examined three cases of fingertip injury patients due to mechanical injury. Bone exposure was seen in all three cases, All had undergone partial toe pulp free flap for soft tissue defect coverage. Results: All flaps survived without any complications such as partial necrosis, hematoma or dehiscence. Although tingling sensation has returned in both cases, two-point discrimination has not returned yet. Currently no patient is complaining of any pain which gradually improved during their course of recuperation. All stitches were removed on postoperative 2 weeks. Patients are satisfied with the final surgical result and there are no signs of any edema or hematoma. Conclusion: The homodigital reconstruction of finger tip injury using the partial $2^{nd}$ toe pulp flap has numerous advantages compared to other reconstructive modalities such as its resistance to wear and tear and in that it provides a non-slip palmar digital surface. However it requires microsurgery which may not be preferred by surgeons. Advanced age of the patient can be a relative contraindication to this approach since atheromatous plaque from the donor toe can compromise flap circulation after surgery. We report three successful cases which patient age was considered appropriate. Further investigation with a larger number of cases and long term follow-up is deemed necessary.

  • PDF

Exophytic Verrucous Hyperplasia of the Oral Cavity - Application of Standardized Criteria for Diagnosis from a Consensus Report

  • Zain, Rosnah Binti;Kallarakkal, Thomas George;Ramanathan, Anand;Kim, Jin;Tilakaratne, WM;Takata, Takashi;Warnakulasuriya, Saman;Hazarey, Vinay Kumar;Rich, Alison;Hussaini, Haizal Mohd;Jalil, Ajura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7권9호
    • /
    • pp.4491-4501
    • /
    • 2016
  • Verruco-papillary lesions (VPLs) of the oral cavity described in the literature involve a spectrum of conditions including squamous papilloma, verruca vulgaris, focal epithelial hyperplasia, condyloma, proliferative verrucous leukoplakia and verrucous carcinoma. A majority of the VPLs are slow growing, benign in nature and have a viral aetiology. Virus associated benign mucosal outgrowths are not too difficult to diagnose either clinically or by microscopy. Apart from virus-associated lesions, VPLs harboring malignant potential or behaviour such as verrucous carcinoma, proliferative verrucous leukoplakia, oral verrucous hyperplasia (OVH), oral papillary squamous cell carcinoma (PSCC) and oral conventional squamous cell carcinoma with papillary features (CSCC) need to be further clarified for better understanding of their predictable biologic behavior and appropriate treatment. Current understanding of potentially malignant VPLs is perplexing and is primarily attributed to the use of confusing and unsatisfactory terminology. In particular, the condition referred to as oral verrucous hyperplasia (OVH) poses a major diagnostic challenge. OVH represents a histopathological entity whose clinical features are not well recognised and is usually clinically indistinguishable from a verrucous carcinoma and a PSCC or a CSCC. A consensus report published by an expert working group from South Asia as an outcome of the 'First Asian Regional Meeting on the Terminology and Criteria for Verruco-papillary Lesions of the Oral Cavity' held in Kuala Lumpur, Malaysia, recognised the clinical description of these OVH as a new entity named 'Exophytic Verrucous Hyperplasia'. Previously described clinical features of OVH such as the 'blunt' or 'sharp' variants; and the 'mass' or 'plaque' variants can now collectively fall under this newly described entity. This paper discusses in detail the application of the standardized criteria guidelines of 'Exophytic Verrucous Hyperplasia' as published by the expert group which will enable clinicians and pathologists to uniformly interpret their pool of OVH cases and facilitate a better understanding of OVH malignant potential.

박테리오파지 증폭 기법을 활용한 시가 독소 생성 병원성 대장균의 신속 검출 (Rapid detection of shiga-toxin producing E. coli by bacteriophage amplification assay)

  • 백다윤;박종현;조석철;이영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2권1호
    • /
    • pp.103-108
    • /
    • 2020
  • 본 연구는 식품에서 문제가 되는 시가독소생성 대장균(STEC)을 박테리오파지 증폭 기법을 통해 검출하고자 시가독소 생성 대장균에 대한 박테리오파지를 분리하였고 분리된 4종의 파지와 기 분리된 2종의 박테리오파지를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분리된 박테리오파지는 형태학적 특성 및 제한효소 절단 패턴 등을 통해서 동정하였다. 5종의 파지는 E. coli O157:H7 및 non-O157 시가독소 생성 대장균을 모두 저해하는 특징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박테리오파지 증폭 기법에서 중요한 단계인 세균에 감염되지 않은 박테리오파지를 제거하기 위해 10% (v/v) ferrous ammonium sulfate (FAS)을 사용하였으며 약 7-9 log PFU/mL 수준의 박테리오파지를 10분 내로 제거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시가독소 생성 대장균인 E. coli NCCP 13937을 검출하기 위해서는 약 6 log PFU/mL 이상의 박테리오파지 혼합액의 농도 및 약 4-5 log CFU/mL 이상의 목표 균주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조건을 바탕으로 실제 판매되고 있는 신선식품에서 시가독소생성 대장균을 검출한 결과, 5시간 이내에 증폭된 약 2-3 log PFU/mL의 plaque를 통해 검출이 가능한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박테리오파지 혼합액을 이용한 증폭 기법을 통해 시가독소 생성 대장균의 오염 여부를 보다 효율적으로 확인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고 이를 적용한 제품을 개발하여 검출 단계의 간편화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