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ine nut

검색결과 77건 처리시간 0.019초

들깨와 잣 첨가식이(添加食餌)가 흰쥐의 혈청(血淸) 지질(脂質)에 미치는 영향(影響) (The Effects of Perilla and Pine Nut Diets on Serum Lipids in Rats.)

  • 이용억;조후종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57-64
    • /
    • 1984
  • The study was performed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perilla and pine nut oils on hypercholesterolemia in cholesterol-fed male rats. All rats fed with the experimental diets for 3 weeks were decapitated to take serum. From the serum, the levels of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HDL-cholesterol, free cholesterol, phospholipid, lipoprotein and glucose were measured, and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experimental diets supplemented with perilla and pine nut did not influence on the body weight and on amount of food intake, but decreased significantly total cholesterol level by the rate of 22-30% 2. The perilla diets decreased the ${\beta}-/{\alpha}-lipoprotein$ value from 0.99 to 0.50-0.51, but the pine nut diets decreased to 0.68-0.69. 3. The 10% diets of perilla and pine nut decreased the triglyceride concentration by the rate of 11-14%, but it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4. The perilla diets increased the HDL-cholesterol level by the rate of 53-72%, and the pine nut diets 72-92%, but both of these diets did not influence on the free cholesterol concentration. 5. The perilla diets decreased phospholipid concentration by the rate of 20-23%, but it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6. The diets of 10% perilla and 5% pine nut decreased significantly the free fatty acid concentration by the rate of 48% and 34% respectively. 7. The diets of 10% perilla and pine nut decreased a little the glucose level, but it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잣에 존재하는 아밀라제의 특성 (Properties of Crude Amylase Isolated from Pine Nut)

  • 김정상;석호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98-402
    • /
    • 1994
  • 잣죽의 점도를 낮추는 주요원인이 amylase작용에 의한 것임을 증명하기 위하여 잣으로부터 조효소를 분리하고 작용특성을 조사하였다. 잣의 초산완충액 추출물에 ammonium sulfate를 가하여 $35{\sim}55%$ 포화되도록 하였을 때 침전하는 획분이 가장높은 ${\alpha}-amylase$의 specific activity를 나타내었다. 이 효소의 적정 작용조건은 $75^{\circ}C$, pH5.4이었으며 쌀가루에 첨가하여 amylograph 양상을 관찰한 결과 쌀가루의 점도를 크게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잣죽의 제조조건이 관능적 품질의 기호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rocessing Condition on Preference in Sensory Quality of Pine Nut Gruel)

  • 장선;이범수;금준석;안태회;은종방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33-37
    • /
    • 2003
  • 잣죽의 제조조건이 죽의 기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잣죽의 제조조건인 주입액의 양(쌀 무게에 대한 물의 체적 비), 잣 첨가량(쌀 무게에 대한 잣의 무게 비) 및 호화를 위한 가열조리시간을 요인변수로 중심합성계획법에 의하여 실험을 설계하고 기호도를 반응변수로 하여 그 조사 결과에 대하여 반응표면분석을 진행하였다. 주입액의 양, 잣 첨가량 및 가열시간 모두가 색상에 대한 기호도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주입액의 양과 잣 첨가량은 10% 유의수준에서 향에 영향을 주었다. 점성과 전반적 기호도에 대하여 주입액의 양은 1% 유의수준에서, 가열조리시간은 5%의 유의수준에서 영향을 미쳤다. 잣죽에 대한 기호도 검사에서 전반적 기호도는 많이는 점성에 좌우되었고 색상의 영향을 가장 적게 받았다.

잣 성분의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효과 (Cholesterol-Lowering Effect of Pine Nut in Plasma of Rats)

  • 박영서;정명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702-708
    • /
    • 2005
  • 잣의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효과를 동물실험을 통하여 확인하기 위하여 기본식이(정상군), 기본식이에 콜레스테롤을 첨가한 식이(대조군), 그리고 기본식이에 콜레스테롤과 여러 농도의 잣을 함유한 실험식이(실험군)를 각 군별로 섭취하게 한 결과 잣의 농도에 따른 식이섭취량과 체중변화량의 유의적인 차이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식이효율은 저농도로 잣을 섭취한 경우에는 대조군과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지만 10% 이상의 고농도의 잣을 섭취한 경우에는 식이효율이 높았다. 본 연구에 사용한 농노범위(1-20%)에서는 잣 섭취에 의해 혈중 콜레스테롤 함량과 동맥경화지수가 감소하는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이는 잣에 함유된 다량의 지방이 섭취됨으로써 잣이 지니는 콜레스테롤 저하효과가 감쇄하였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또한 잣 성분이 HMG-CoA reductase와 cholesterol esterase의 저해활성을 지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hexane과 물을 사용하여 잣 성분을 추출한 후 각 추출물에 대한 HMG-CoA reductase와 cholesterol esterase의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잣의 hexane 추출물은 66%의 HMG-CoA reductase 저해활성을 지니고 있었으며 물 추출물은 저해활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한편 잣의 hexane 추출물과 물 추출물은 cholesterol esterase에 대한 저해활성은 지니고 있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혈중 콜레스테롤의 함량 저하효과는 가공하지 않은 잣의 섭취에 의해서는 기대하기 어려우므로, 향후 잣의 hexane 추출물 중의 유용성분이 혈중 콜레스테롤 함량 저하효과를 지니는지에 대한 동물실험을 수행할 가치가 있다고 판단된다.

잣죽의 저장에 따른 이화학적 성질변화 (Studies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he Pine Nut's Gruel During Storage)

  • 이석원;배세경;이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40-146
    • /
    • 2000
  • 장기간 저장에 따른 잣죽의 이화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잣 함량별(0, 1, 3, 5%)로 죽을 제조하여 세가지 온도$(4,\;25,\;40^{\circ}C)$에서 저장하면서 그 변화를 조사하였다. 노화도는 모든 온도에서 저장 기간이 길어질수록 증가하였으며 그 증가 속도는 저장 초기에 급격하였다. 저장 온도에 관계없이 잣을 함유하지 않은 경우 가장 큰 노화도를, 그리고 3%의 잣을 함유한 경우에 가장 낮은 노화도를 보였으며 60일 동안 저장한 경우에도 $25^{\circ}C$$40^{\circ}C$에서는 약 10% 정도의 낮은 노화도를 나타내었다. 또한 모든 시료에서 60일 동안 저장한 경우에도 30%이내의 비교적 낮은 노화도를 보였다. 그리고 노화속도상수는 저장 온도에 관계없이 잣을 3% 함유한 시료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동일 함량에서 온도가 $4^{\circ}C$에서 $40^{\circ}C$로 높아질수록 각각 0.0704, 0.0524 및 0.0422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한편, 잣을 함유하지 않은 시료의 경우 잣을 함유한 시료에 비해 holding strength에서 final viscosity에 이르는 점도 증가속도(RVU/min)가 매우 높게 나타났으나 저장 온도간에는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으며, 1%의 잣을 함유한 시료의 경우는 저장 온도에 상관없이 저장기간에 따라 점도증가속도가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지방산도의 경우 저장 온도 및 기간에 관계없이 전체적으로 30mg KOH이하의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 PDF

잣나무림에서의 시기별 토층별 토양수분 특성분석 (Analysis of Soil Moisture Characteristics in Nut Pine Forest about Seasons and Soil Layers)

  • 홍은미;최진용;유승환;남원호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54권4호
    • /
    • pp.105-114
    • /
    • 2012
  • Soil moisture plays a pivotal role in hydrological processes, especially in the forest which covers more than 64% of the national land. Soil moisture was monitored to analyze soil moisture change characteristics in terms of time and soil layers in this study. 2 Years soil moisture change data was obtained from the experimental nut pine forest and statistical analysis including auto-correlation and cross-corelation among soil moisture data from different soil layers was conducted. Using the monitored soil moisture data, a relationship between soil moisture change and precipitation was analyzed and seasonal soil moisture change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From the result of inter-relationships among soil layers in terms of season and time lag, soil moisture change characteristics in the nut pine forest were upper soil layers were much sensitive than lowers, and seasonal variation if soil moisture for upper soil layers were bigger than lowers showing low correlation with precipitation in winter and spring due to freezing and snowfalls.

UAV 항공 영상에서의 딥러닝 기반 잣송이 검출 (Deep Learning Based Pine Nut Detection in UAV Aerial Video)

  • 김규민;박성준;황승준;김희영;백중환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5권1호
    • /
    • pp.115-123
    • /
    • 2021
  • 잣은 우리나라 대표적인 견과류 임산물이자 수익형 작물이다. 그러나 잣송이는 사람이 직접 나무 위로 올라가 수확하기 때문에 위험성이 높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로봇 또는 UAV(unmanned aerial vehicle)를 이용한 잣송이 수확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UAV를 이용한 잣송이 수확을 위해 UAV 항공 영상에서 딥러닝(deep learning) 기반의 잣송이 검출 기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UAV를 이용하여 실제 잣나무 숲에서 동영상을 촬영했으며, 적은 수의 데이터 보완을 위해 데이터 증강기법을 사용했다. 3D 검출을 위한 데이터로는 Unity3D을 이용하여 가상 잣송이 및 가상환경을 3D 모델링 하였으며 라벨링은 좌표계의 3차원 변환법을 이용해 구축했다. 잣 분포 영역 검출, 잣 객체에 대한 2D 및 3D 검출을 위한 딥러닝 알고리즘은 DeepLabV3, YOLOv4, CenterNet을 각각 이용하였다. 실험 결과, 잣송이 분포 영역 검출률은 82.15%, 2D 검출률은 86.93%, 3D 검출률은 59.45%이었다.

생리활성 추출물의 첨가급여가 육계의 성장능력과 혈청 및 고기의 콜레스테롤 함량, 지질산화에 미치는 영향

  • 이우진;박재인;김창혁;이규호
    • 한국가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가금학회 2005년도 제22차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회
    • /
    • pp.72-73
    • /
    • 2005
  • 육계사료 내 생리활성 추출물의 첨가 급여가 육계의 성장능력과 혈청 및 고기의 콜레스테롤 함량, 지질산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대조구는 무항생제 사료(C)를 급여하였고, 처리구는 대조구 사료에 잣송이 추출물 500ppm(T1), illite 1%에 추출물 500ppm(T2), 잣송이 2.5%(T3)를 첨가하여 5주간 급여하였다. 증체량과 사료섭취량은 대조구에 비해 처리구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혈청의 콜레스테롤 함량은 추출물 첨가구인 T1, T2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가슴살 역시 추출물 첨가구인 T1, T2 처리구가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다리살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추출물 첨가구인 T1, T2 처리구가 콜레스테롤 함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TBARS값은 가슴살과 다리살에서 추출물 첨가구가 낮은 경향을 보였다. POV값은 유의적인 차이는 보였지만, 처리간의 일정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 PDF

국내산 소나무, 잣나무, 낙엽송, 분비나무 정유의 제초활성 (Herbicidal Activities of Essential Oils from Pine, Nut Pine, Larch and Khingan Fir in Korea)

  • 윤미선;조해미;연보람;최정섭;김성문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2권1호
    • /
    • pp.30-37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의 대표적인 침엽수인 소나무, 잣나무, 낙엽송, 분비나무로부터 추출된 정유의 제초활성을 이해하는데 있었다. 소나무, 잣나무, 낙엽송, 분비나무 정유의 기내 종자발아 제초활성 검정 결과, 유채에 대한 $GR_{50}$ 값은 각각 0, 4,766, 1,865, $5,934{\mu}g\;ml^{-1}$으로 소나무를 제외하고는 제초활성을 나타내었다. 온실조건에서 소나무, 잣나무, 낙엽송, 분비나무 정유 10%를 5종의 화본과 잡초와 5종의 광엽잡초에 처리한 결과 도꼬마리를 제외하고는 24시간 내에 완전 고사되었으며, 처리 식물의 부위는 타는 듯한 화염상 증상을 나타내었고, 처리 3일 이후에는 신초가 재생하여 4종 식물 정유는 속효성, 비선택성, 비이행성 특성을 나타내었다. 소나무, 잣나무, 낙엽송, 분비나무의 정유를 GC-MS로 분석한 결과 각각 16종, 25종, 25종, 16종의 유기화합물이 검출되었으며, 이들 정유에는 탄화수소, 알코올, 케톤, 에스테르가 공통적으로 함유되어 있었다. 그리고 정유 4종의 주 화합물은 3-carene, bornyl acetate, camphene, limonene, ${\alpha}$-pinene, ${\beta}$-pinene, ${\beta}$-phellandrene 이었다.

들깨와 잣이 흰쥐의 혈액 성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erilla and Pine Nut on Blood Components in Rats)

  • Jho, Hu Jhong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99-106
    • /
    • 1984
  • The diets used to this experiment were composed only of stock diet for group A, a mixture of stock diet and 2% cholesterol for group B, and 5%, 10% perilia powder for group C, D and 5%, 10% pine nut for group E, F in addition to group B diet respectively. All groups fed with these experimental diets for 3 weeks were fasted for 15 hours at the end of the experiment, and then they were decapitated to take serum. The serum was used to measure the level of glucose,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HDL-cholesterol and lipoprotein composition.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Perilla and pine nut diets have no influence on body weight and food intake in cholesterolfed male rats 2. The blood glucose level was not changed significantly at groups C-F. 3. Total cholesterol level was significantly decreased by 21.6% ~ 29.7% at group C-F than at group B. 4. HDL-cholesterol level was increased by 51.3% ~ 86.1% at group C-F than at Group B. 5. The $\alpha/\beta$ ratio which is 0.51 at the group A was risen to 0.99 at the group B. However, this ratio was decreased to 0.5 0 - 0.51 at group C, D and to 0.68 - 0.69 at group E.F.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