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pigment content

Search Result 342, Processing Time 0.03 seconds

나무딸기 Anthocyanin 색소(色素)에 미치는 당류(糖類)의 영향 (Effect of Saccharides on Anthocyanin Pigments from Raspberries)

  • 주광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21-25
    • /
    • 1982
  • 나무딸기 과즙색소에 대한 당류의 안정화 효과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과즙의 당도, pH,적정산도는 저온구, 냉동구에서 80일간 저장 기간중 거의 변화가 없었으며 색소변화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2. 과즙의 색조(色調)와 색소액(色素液)의 저장중 변화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열화(劣化)되었으며 색소액의 변화는 색조보다 적었다. 3. 당류 첨가에 의한 색소액의 농색화 효과는 육탄당(六炭糖)이 가장 좋았으며 이 중에서도 D-galactose가 우수하였다. 그 다음 이당류(二糖類)였고 오히러 색소를 파괴시키는 것은 D-xylose와 L-rhamnose 였다. 4. 당 첨가에 의해 농색화된 색소액은 저장중 온도에 크게 영향을 받았으며 특히 저온구$(5^{\circ}C)$에서 거의 안정하게 보존되었다.

  • PDF

수지의 함량 변화에 따른 잉크 비히클의 유변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for The Effect of Variation of Resin Content on The Rheological Characteristics of Ink Vehicle)

  • 방종관;김성빈;김태환;이규일
    • 한국인쇄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17-128
    • /
    • 2005
  • Printing inks are basically dispersions of solid pigment particles in a vehicle. Pigment flocculation and/or colloidal aggregates created by thixotrope additives form a three- dimensional network in the inks. This structure complicates the flow behaviour of inks. However, if the internal structure is formed under control, the printing process will benefit from it because the ink must satify rheological requirements over a very wide range of shear conditions. The presence of internal structure results in the following prominent non-Newtonian rheological properties: viscoelasticity, yield stress, shear thinning and thixotropy. If the components of printing inks were changed, the rheological characteristics such as viscosity, yield stress, viscoelasticity and tack value were considerably varied. Thus, in this paper, the effects of changing the content of rosin modified phenolic resin on rheological properties of the vehicle will be studied. For that, the rheological properties were found by flow, yield stress, creep and oscillation measurements using Bohlin C-VOR Rotational Rheometer. And Emulsion rheology and its microstructure will be investigated.

  • PDF

한국산 호박의 Carotenoid 색소 (Carotenoid pigment of Pumpukin Culitivated in Korea)

  • 박용곤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2권5호
    • /
    • pp.508-512
    • /
    • 1999
  • In order to qualify and quantify carotenoid pigment of pumpukin were analyzed by HPLC column chromatography and spectrophotometry. Eightyseven percent of total carotenoids in the pumpkin was in the fiber amounting 65.33mg%. however flesh and skin contained 6.61 and 3.31mg% respectvely. A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of the carotenoids produced 2 different peaks. The components eluted in peak II showed blue color when treated with hydrochloric acid. The fact suggested it contained epoxide and the component in peak II was a monol. By the separation with HPLC. $\alpha$ and $\beta$-carotene were the major compounds in the carotenoids. In fiber the total $\beta$-carotene content was 1.6 times higher than in the flesh and skin. The fiber contained less unidentified compounds than other part which contained 27.3~32.8%.

  • PDF

Synthesis and Coloration Control of α-FeOOH Rods using Closed System

  • Yu, Ri;Lee, NaRi;Kim, YooJin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56권3호
    • /
    • pp.298-301
    • /
    • 2019
  • This paper details the synthesis of α-FeOOH (goethite) rods through the reaction of iron (III) nitrate with KOH as a strong base, and shape control of the particles for use as a yellow inorganic pigment. The crystal phase of the α-FeOOH crystal with OH content according to the addition of KOH and the change in morphology were investigated. The optical properties varied with the aspect ratios, and the yellowness increased with increasing aspect ratio. However, the enhanced chromaticity characteristics reversed beyond a certain critical aspect ratio. Thus, the relative optimal aspect ratio of the α-FeOOH rods as a vivid yellow inorganic pigment was derived. The morphology and coloration of the prepared rods were investigated in detail using X-ray diffraction (XR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UV-vis spectroscopy, and CIE Lab color parameter measurements.

적환 20일 무우 색소의 안정성에 관한 연구(I) (Study on the Stability of Anthocyanin Pigment in 'Comet' radish (I))

  • 박철진;나미경;오성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407-410
    • /
    • 1993
  • 적환 20일 무우('Comet' radish)를 0.1 HCl/MeOH 용매로 추출하여 얻은 anthocyanin 색소 농축액을 Amberlite CG-50 양이온 교환수지로 정제한 다음 분리정제된 이 색소의 안정성에 관하여 pH, 온도, ascorbic acid 등의 영향을 검토한 결과, pH가 1.0에서 8.0으로 증가할수록 색소 보존율이 감소하였으며 초기에는 pH 2.0, 3.0에서 보다 pH 1.0에서 anthocyanin파괴가 더 빨랐다. 저장온도가 $0^{\circ}C$에서 $40^{\circ}C$로 상승할수록 색소 파괴가 증가되었으며 10일 후 $0^{\circ}C$에서의 색소 잔존율은 92%, $40^{\circ}C$에서 48%였으며 반감기는 $0^{\circ}C$에서 94일, $40^{\circ}C$에서 12일이었다. Ascorbic acid의 농도가 0.015g, 0.03g, 0.05g으로 증가함에 따라 색소 잔존율은 감소되었으며 산소 존재하에서 잔존율이 더 낮았다.

  • PDF

Overproduction of Xanthophyll Pigment in Flavobacterium sp. JSWR-1 under Optimized Culture Conditions

  • Jegadeesh Raman;Young-Joon Ko;Jeong-Seon Kim;Da-Hye Kim;Soo-Jin Kim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4권3호
    • /
    • pp.710-724
    • /
    • 2024
  • Flavobacterium can synthesize xanthophyll, particularly the pigment zeaxanthin, which has significant economic value in nutrition and pharmaceuticals. Recently, the use of carotenoid biosynthesis by bacteria and yeast fermentation technology has shown to be very efficient and offers significant advantages in large-scale production, cost-effectiveness, and safety. In the present study, JSWR-1 strain capable of producing xanthophyll pigment was isolated from a freshwater reservoir in Wanju-gun, Republic of Korea. Based on the morphological, physiological, and molecular characteristics, JSWR-1 classified as belonging to the Flavobacterium species. The bacterium is strictly aerobic, Gram-negative, rod-shaped, and psychrophilic. The completed genome sequence of the strain Flavobacterium sp. JSWR-1 is predicted to be a single circular 3,425,829-bp chromosome with a G+C content of 35.2% and 2,941 protein-coding genes. The optimization of carotenoid production was achieved by small-scale cultivation, resulting in zeaxanthin being identified as the predominant carotenoid pigment. The enhancement of zeaxanthin biosynthesis by applying different light-irradiation, variations in pH and temperature, and adding carbon and nitrogen supplies to the growth medium. A significant increase in intracellular zeaxanthin concentrations was also recorded during fed-batch fermentation achieving a maximum of 16.69 ± 0.71 mg/l, corresponding to a product yield of 4.05 ± 0.15 mg zeaxanthin per gram cell dry weight. Batch and fed-batch culture extracts exhibit significant antioxidant activity.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JSWR-1 strain can potentially serve as a source for zeaxanthin biosynthesis.

자색고구마 분말과 자색 색소를 이용한 소시지의 아질산염 대체 효과 (Effect of Nitrite Substitution of Sausage with Addition of Purple Sweet Potato Powder and Purple Sweet Potato Pigment)

  • 이남례;김청식;유건성;박만춘;정완오;정운권;조윤정;김경희;육홍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6호
    • /
    • pp.896-903
    • /
    • 2015
  • 자색고구마를 이용하여 아질산염에 대한 대체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자색고구마 분말과 자색 색소를 혼합하여 첨가하였다. 자색고구마 분말의 함량은 소시지 식품유형을 고려하여 최대 10%까지 사용하였다. 아질산나트륨 0.15% 첨가구를 대조구(F1)로 하고, 자색 색소 0.2%를 첨가한 것을 F2, 자색 색소 0.2%와 자색고구마 분말 5%, 10%를 각각 첨가한 것을 F3, F4로 하였다. 아질산나트륨을 대신하여 첨가한 자색 색소 0.2%는 소시지의 적색도를 감소시키고 황색도를 증가시켜 아질산나트륨에 대한 대체 효과가 미흡하였다. 그러나 자색 색소 0.2%에 자색고구마 분말 5%를 추가함으로써 소시지의 적색도가 높아지고 황색도는 낮아졌다. 자색고구마 분말 함량 증가에 따라 적색도의 증가와 황색도의 감소는 유의적 비례관계를 나타내었다. 자색고구마 분말 5%와 자색 색소 0.2%의 첨가는 아질산나트륨 0.15%를 첨가한 소시지에서 나타나는 색도와 가장 유사해졌다. 자색고구마 분말은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칼슘, 칼륨, 마그네슘의 무기질이 증가하였고 경도, 검성, 씹힘성의 조직감이 떨어졌다. 관능평가 결과 자색고구마의 첨가가 소시지의 외관과 향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자색고구마 분말 5% 이상 첨가에 대한 색의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자색고구마 분말 10%의 첨가는 소시지의 맛과 질감을 떨어뜨렸다. 전체 기호도는 질감(0.901)> 외관(0.895)> 색(0.877)> 맛(0.844)> 향(0.688)의 순서로 유의적으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전체 기호도와 색도의 상관성은 밝기에서만 유의적인 양의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적색도와 황색도는 서로에 대해 음의 상관성을 보였다. 자색고구마를 이용한 소시지의 아질산염 대체 효과는 자색고구마 분말 5%와 자색 색소 0.2%를 사용하는 것이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갈참나무 4가계에서 스트레스 평가용 생리 지표들의 오존 민감성 (Ozone Sensitivity of Physiological Indicators for Stress Evaluation in Four Families of Quercus aliena Blume)

  • 김두현;한심희;이재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9권6호
    • /
    • pp.878-884
    • /
    • 2010
  • 오존에 노출된 갈참나무 4가계의 오존 내성 차이와 생리적 지표들의 오존 민감성은 광합성 특성, 광색소 함량, MDA 함량 및 항산화효소 활성과 같은 생리적 지표들을 표준화하여 결정하였다. 오존 처리 후, 갈참나무의 잎내 탄소고정효율 감소는 4가계 모두에서 관찰되었으며, 그들의 감소율은 대조구의 -24.1%에서 -56.9% 범위를 보였다. 광색소 함량은 가계 간 및 처리 간 차이가 뚜렷하였으며, 총 엽록소 함량의 감소는 SU4 가계에서 가장 높았고 (-40.6%), US2 가계에서 가장 낮았다(-18.8%). APX 활성은 가계 간 및 처리 간 차이를 뚜렷하게 보였으며, US2 가계를 제외한 3가계에서 대조구보다 높게 나타났다. 생리적 지표들을 기준으로 한, 갈참나무 4가계의 오존 내성은 US1 > SU4 > US2 > SU1의 순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광합성 특성, 광색소 함량과 APX 활성은 갈참나무의 오존 스트레스 내성을 평가하는데 적절한 지표로 판단된다.

실새삼의 광합성색소 생합성특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Biosynthetic Characteristics of Photosynthetic Pigments in Dodder(Cuscuta australis R. Br.) Plant)

  • 김진석;곽현희;김병철;조광연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314-324
    • /
    • 1997
  • 우리나라에서 자생하고 있는 실새삼에는 광합성색소 생합성과정이 존재하는지, 있다면 다른 식물에 비하여 어떠한 특징을 가지고 있는지를 알아보고 광합성색소 대사과정에 작용점을 가지는 제초제에 대하여 반응을 나타내는지를 확인하고자 실험하였다. 1. 야외의 자연광 조건에서 자라고 있는 실새삼 생육지의 엽록소함량은 메꽃 줄기와 비교하여 볼 때 9배가 낮았고, 메꽃 잎과 비교하여 볼 때는 약 50배 낮은 경향이었다. 2. 종자로부터 발아된 실새삼 유묘의 경우 선단부위가 색소함량이 가장 높았다. 생육지의 경우는 신장지(extension stem)에서 색소함량이 가장 높았고, 권지(twining stem), 선단 15cm 아래의 절간 순으로 엽록소와 카로티노이드 함량이 낮은 경향이었다. 그리고 생장이 계속됨에 따라 오래된 줄기에서의 엽록체 퇴화가 신속하게 일어나는 경향이었다. 3. 생육지의 색소함량은 광도에 따라 생체중 1g당 엽록소 함량이 20-170${\mu}g$까지, 카로티노이드 함량은 40-120${\mu}g$ 범위까지 변하는 경향이었다. 자연일장조건에서 채취하여 낮은 색소함량을 가진 줄기를 여러 광도에 24시간 둘 경우 91${\mu}Em^{-2}s^{-1}$PAR 내외의 광도까지는 초기색소함량의 3배까지 증가되었고, 광도가 456${\mu}Em^{-2}s^{-1}$PAR 이상에서는 엽록소 함량의 변화가 거의 없었다. 4, 5mM의 ALA를 외부에서 공급할 경우 메꽃의 근경으로부터 나온 신초에서는 Pchlide가 7배 이상 증가되었으나 실새삼 생육지 선단에서는 40% 정도만 증가되었다. 한편 ALA를 공급한 후 저광도에 둘 경우 미미한 엽록소 증가경향만 보여 상대적으로 실새삼은 ALA에 대해 매우 둔감한 특정을 보였다. 5. Paraquat, norflurazon, oxyfluorfen, diuron 등의 제초제를 처리할 경우 모든 처리에서 색소소실이 관찰되었다. 아울러 oxyfluorfen을 처리하면 일반식물에서와 같이 protoporphyrin IX의 축적도 얼어났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실새삼은 낮은 수준이지만 엽록소 및 카로티노이드 생합성과정이 정상적으로 작동되나 조직부위별로 그 수준이 다르고 주변환경의 영향 특히 광도에 따라 크게 조절되고 성장함에 따라 하부조직에서의 엽록체 퇴화가 빠른 특징을 보였다. 색소대사 과정에 작용점을 가지는 제초제들에 대하여 제초반응은 나타내지만 낮은 수준의 광합성색소 생합성 능력과 기주식물로부터의 영양분 탈취라는 특성을 고려하여 볼 때 탁월한 제초효과를 보여주지는 못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

유색미 품종별 유기용매 추출물의 항산화성 및 항변이원성 검정 (Antioxidant and Antimutagenic Activity of Solvent-Fractionated Layers of Colored Rice Bran)

  • 강미영;신수영;남석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951-958
    • /
    • 2003
  • 국내 외에서 수집 재배한 24품종 유색미를 순차적인 유기용매 처리에 의해서 지용성 분획과 색소를 함유하는 분획, 색소성분 만의 분획을 얻었고 각 분획이 가지는 항산화성 및 항변이원성을 검정하였다. 유기용매 추출이 진행되어 분획성분의 조성이 간단해질수록 품종마다 차이는 없지만 항산화성은 오히려 약화되는 경향이 있었는데. 특히 LK 1-3-6-12-1-1과 길림흑미의 항산화 활성이 상당히 낮았다. 70%에탄올 추출물에서는 항변이원성을 나타내던 유색미 품종들도 색소분획을 포함하는 분획들에서는 모든 품종에서 오히려 변이원생을 나타내고 있었으며, 특히 wx 124-153-45-7-1-1-1 및 LK 1B-2-1-1 등에서 강한 변이원성이 관찰되었다. 유색미 품종별 색소의 함량은 IR 17491-5-4-3-3>LK 1-3-6-12-1-1>LK ID-2-12-1>RGS No336. Elwee 등의 순서로 나타난다. 유기용매에 의해서 분획되는 성분들의 조성 및 함량이 유색미 품종들과 일반미 품종간에는 상당히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일반미 품종에 비교하면 유색미 품종들의 유기용매에 의해서 용출되는 수된 성분 분사들은 긴 탄화수소를 가진 성분들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