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ytophthora fruit rot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25초

Phytophthora cactorum에 의한 복숭아 과일역병 (Fruit Rot of Peach (Prunus persica) Caused by Phytophthora cactorum)

  • 임양숙;정기채;지형진;김진수;여수갑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99-101
    • /
    • 1998
  • A severe brown rot on peach fruit caused by a Phytophthora sp. has occurred at peach orchards in Taegu of Korea from late June to early August in 1997. Infected fruits showed irregularly round or circular water soaking brown regions. In the severe case, fruits were entirely rotten and surface of the fruits were wrinkled. Occasionally, white mycelia and abundant sporangia were developed on the surface of fruit. Inner tissues of the fruits were also discolored to brown. The causal fungus was identified as Phytophthora cactorum based on following characteristics. Sporangia were ovoid, conspicuously papillate, caducous and measured as 28.4~48.1$\times$21.9~37.2 (av. 39.9$\times$30.4) ${\mu}{\textrm}{m}$. Sexuality of the fungus was homothallic. Oogonia were 25.0~34.0 (av. 29.9) ${\mu}{\textrm}{m}$ in size. Most antheridia were paragynous and measured av. 10.5$\times$13.0 ${\mu}{\textrm}{m}$. Optimum temperature for mycelia growth was around 25~3$0^{\circ}C$. However none of the isolates grew under 7$^{\circ}C$ and over 35$^{\circ}C$. The fungus revealed high pathogenicity to fruits, shoots and leaves of peach, apple and pear with different degrees. Phytophthora fruit rot of peach caused by Phytophthora cactorum has not been reported in Korea previously.

  • PDF

대추 역병균의 Phytophthora citricola의 동정 (Phytophthora citricola, a Causal Agent of Jujube (Zizyphus jujuba) Fruit Rot)

  • 지형진;임양숙;정기채;조원대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402-407
    • /
    • 1998
  • Phytophthora rot on jujube fruit has occurred at several cultivation areas in Kyung-buk and Kyung-nam provinces. Symptoms consisted of brownish to reddish rot on fruits resulting in early drop or mummification. The causal fungus isolated from infected fruits and adjacent leaf stalks was identified as Phytophthora citricola, which has never been reported in Korea. Sporangia were semi-papillate, noncaducous and highly variable in shapes. Plerotic oospores with paragynous antheridia were abundant is single cultures. Sporangia of two isolates were measured as 38-76$\times$20-40 ${\mu}{\textrm}{m}$ and averaged 51.4$\times$27.0 and 55.6$\times$36.0 ${\mu}{\textrm}{m}$. Oogonia were ranged from 26 to 36 ${\mu}{\textrm}{m}$ and averaged 31.3 and 32.0 ${\mu}{\textrm}{m}$. Colony pattern was slightly radiated with sparse aerial mycelia on common media. Minium, optimum and maximum temperatures for mycelial growth were recorded at 7, 25, and 32$^{\circ}C$, respectively. Among tested media, 10% V8A was the best and $25^{\circ}C$ was better than 15$^{\circ}C$ for oospore formation of the fungus. The jujube isolates of P. citricola were readily differentiated from other closely related species in the genus, namely; P. nicotianae, P. citrophthora, P. cactorum, P. capsici, and P. plalmivora on the basis of PCR-RFLP of r-DNA. The fungus showed strong pathogenicty to jujube, apple, pear, orange, persimmon and eggplant, and relatively weak to citron, tomato, pepper and cucumber. In this study, P. citrocola is firstly identified and jujube fruit rot caused by the fungus is recorded as a new disease in Korea.

  • PDF

Phytophthora-Induced Diseases on Citrus in Jeju Island

  • Hyun, Jae-Wook;Lee, Seong-Chan;Kim, Kwang-Sik;Jee, Hyeong-Jin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17권3호
    • /
    • pp.184-188
    • /
    • 2001
  • Phytophthora-induced diseases on citrus in Jeju island have been considered of minor importance because of the use as root stock of trifoliate orange, which is immune to Phytophthora. However, brown rot on fruit, which severely occurred in 1998 and 1999, has become a great threat to citrus production in the island. About one-half of the surveyed orchards were infected in 1998 and 4 out of 19 infected fields showed over 20% fruit infection rate. The disease was less severe in 1999, with an estimated infected area and total fruit reduction of 3,155 ha and 15,300 tons, respectively. Typical gummosis was also occasionally observed on cv. Shiranugi, which is mostly cultivated under plastic film houses. Two types of Phytophthora were consistently isolated from various plant parts, identified as P. citrophthora and P. nicotianae. The former was isolated from the aerial parts of the fruit, young leaf, and shoot in the fields. Meanwhile, the latter was only isolated from the basal stem showing gummosis in plastic film houses.

  • PDF

Phytophthora nicotianae와 P. palmivora에 의한 대추역병 발생 (Occurrence of Jujube (Zizyhus jujube) Fruit Rot caused by Phytophthora nicotianae and P. palmivora)

  • 임양숙;정기채;김승한;윤재탁
    • 식물병연구
    • /
    • 제8권1호
    • /
    • pp.41-44
    • /
    • 2002
  • '97∼'98년에 경북지역의 대구와 경산, 군위, 영천, 청도등 대추과원에서 과실에 역병이 발생되었다. 병징은 과실이 적갈색의 반점이 생기며 심하면 미이라가 되고, 말라서 조기낙과되며 엽병과 신초에도 마름증상을 나타내기도 했다. 이병과에서 2종의 역병균이 검출되었는데 총 18개 역병균중 6균주는 P. nicotiamae로 동정되었고, 나머지 12균주는 P. palmivora로 동정되었다. P. nicotianae는 유두돌기가 뚜렷하고 비탈락성인 구형 혹은 난형의 유주자낭과 다량의 후막포자를 형성하였으며 유성생식형은 자웅이주로 A1 mating type이 조사되었다. P. palmivora는 유주자낭이 유두돌기가 뚜렷하고 탈락성이며 장타원형 혹은 난형, 구형 등이었고, 다량의 후막포자를 형성하였으며 유성생식형은 자웅이주로 A1 mating type이 조사되었다. 2종의 역병균 모두 대추와 배에 강한 병원성을 나타내었으나. 사과에는 병원성이 없었다. P. nicotiamae 와 P. palmivora에 의한 대추 역병은 국내에서 최초로 보고되는 것이다.

사과의 역병: II. Phytophthora cactorum과 P. cambivora에 의한 사과 과실역병의 발생 (Phytophthora Diseases of Apple in Korea: II. Occurrence of an Unusual Fruit Rot Caused by P. cactorum and P. cambivora)

  • 지형진;조원대;김완규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45-151
    • /
    • 1997
  • 1996년 5월 하순부터 7월 초순사이 경북 안동, 의성, 충북 청원 지방의 30개 이상의 사과 과수원에서 어린 과일에 역병이 대발생하였는데, 발병된 과수원에서는 이병주열과 이병과율이 각각 10~90%와 1~15% 정도였다. 이병된 어린 과일은 연한 갈색 혹은 진한 갈색으로 썩고 단단하였으며 병반은 건전부위로 경계가 불명확하게 확산되었다. 어린 잎이나 신초 역시 역병균에 감염되면 반점이나 수침상 혹은 마름 증상 들을 심하게 나타내었는데 이들로부터 총 39개 역병 균주를 분리하였다. 이들 중 Phytophthora cactorum으로 동정된 25개 균주는 모든 발생지역에서 분리되었으나 P. cambivora로 동정된 나머지 14개 균주는 안동지역에서만 수집되었다. P. cambivora 균주의 유성생식형은 모두 A1으로 조사되었으며 이들의 균학적 특성은 본문에 자세히 기록하였다. 본 실험에서 Koch의 가설이 증명되었으며, 두 균 모두 사과뿐 아니라 배와 복숭아의 어린 가지와 과일에 강한 병원성을 보였고 여러 채소과일에는 병원성이 없거나 아주 미약하였다. 사과 어린 과일 역병의 대 발생은 국내에 기록된 바가 없으며, 특히 P. cambivora에 의한 사과 과일역병의 발생은 세계적으로도 보고된 바 없다.

  • PDF

Phytophtora capsici에 의한 수박 역병 (Fruit and Vine Rot of Watermelon Caused by Phytophthora capsici)

  • 김병수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98-99
    • /
    • 1995
  • A disease causing fruit rot and leaf and vine blight on watermelon was found in Euseong in July, 1991 and in Bonghwa, Kyungpook province in August, 1993. Abundant zoosporangia characteristics of Phytophthora capsici wer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infected fruits. The zoosporangia were ovoid to ellipsoid, tapering to the base and with conspicuous papilla. The fungus isolated from the infected fruits was pathogenic on seedlings of watermelon, pumpkin, and pepper.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host range agreed with those of P. capsici. The watermelon disease caused by P. capsici was reported long time ago in Japan and America but rot yet in Korea. Thus, the disease on watermelon caused by P. capsici is reported as a new record in Korea.

  • PDF

집중호우에 의한 '후지'/M.26 사과나무의 침수 피해 분석 (Analysis of Flooding Damage by Heavy Rain on 'Fuji'/M.26 Apple Tree)

  • 최성용;허민순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9권3호
    • /
    • pp.362-366
    • /
    • 2001
  • 1998년 8월 중순 경북 북부지역에 있었던 집중호우에 의한 하천 범람으로 침수된 과수원을 군위, 의성, 안동에서 지역별 6개 과수원씩, 총 18개 과수원을 대상으로 '후지' 사과나무의 생육 상황과 주요 병해 이병률을 조사하였다. 조사 과수원의 침수 깊이는 70cm-350cm였고, 침수 기간은 6시간-72시간이었다. 침수 피해 사과원의 낙엽률, 발아율 및 이상개화 현상은 침수 깊이가 깊을수록, 침수 기간이 길어질수록 증가하였다. 새 뿌리 발생은 침수 기간이 길어질수록 급격히 감소하였고, 침수로 인한 뿌리 고사율은 16.2%로 나타났다. 잎의 갈색무늬병, 과실의 부패병, 역병 발생이 무침수 과원에 비해 크게 증가하였고, 조사 항목 간 상관분석 결과, 침수에 의한 이상 생육과 발병 증가가 침수 깊이보다는 침수 기간에 더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PDF

Phytophthora capsici Leonian균에 의한 가지의 갈색썩음병에 관한 조사 (An Investigation on the Brown Rot of Eggplant Caused by Phytophthora capsici Leonian)

  • 김병수;이응권;정봉구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77-79
    • /
    • 1975
  • 우리나라에서 Phytophthora capsici균에 의한 가지의 병해는 아직 그 발생이 보고되어 있지 않다. 근래 수원을 포함한 중부지방에 P. capsici균에 의한 피해과가 채집되어 기록병해인 P. parasitica균에 의한 솜털역병과 그 병징, 병원성 및 병원균의 형태등을 비교 검토하였다. 본 병은 9월 강우가 있은 후 발생이 심하였으며 처음 과면에 원형갈색의 병반이 나타나 점차 확대되면서 그 위에 짧은 균계와 분생자경이 밀생하고 유주자양이 풍부히 형성되어 솜털모양으로 공중균계가 길게 자라고 유주자양이 거의 형성되지 않는 솜털병역과는 구별되었다. 그리고 병원균의 형태 및 병원성에 있어서도 뚜렷한 차이를 볼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병원균은 P. capsica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미기록인 본병해에 대하여 가지갈색썩음병이라는 이름을 붙이기로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