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ospholipid(PL)

검색결과 94건 처리시간 0.021초

미강유로부터 Acetone Insolubles 회수 및 성질에 미치는 탈검제의 영향 (Effect of Degumming Reagents on the Recovery and Nature of Acetone Insolubles from Rice Bran Oil)

  • 이태규;노민환;양희천;김충기;송근섭;엄태붕;권용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20-224
    • /
    • 1991
  • 물 및 다섯가지 탈검제(citric acid, phosphoric acid, acetic anhydride 및 maleic anhydride)를 사용하여 미강유를 탈검하고 그 탈검효율을 비교하였다. 미강유 원유로부터 인 함유 물질을 제거하는데 있어서 모든 탈검제가 보다 효과적이었으며, 특히 acetic anhydride와 phosphoric acid는 각각 92.5% 및 93.3%까지 인 함유율을 저하시켰다. 또한 비수화성 인지질 특히 Lyso PC를 제거하는데 있어서 모든 탈검제가 효과적이었다. 미강유로부터 추출한 AI의 인지질은 주로 PC, PI, PE 및 Lyso PC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주요 지방산은 oleic acid, linoleic acid 및 palmitic acid의 순이었다. Acetic anhydride를 사용하여 얻은 AI가 가장 안정된 유화를 형성하였으며, 반면에 phosphoric acid 및 oxalic acid를 처리하여 얻은 AI는 매우 빈약한 유화성을 나타냈다.

  • PDF

Effects of Palm Kernel Cake on Performance and Blood Lipids in Rats

  • Loh, T.C.;Foo, H.L.;Tan, B.K.;Jelan, Z.A.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5권8호
    • /
    • pp.1165-1169
    • /
    • 2002
  • Palm kernel cake (PKC), a by-product of oil palm seeds after extraction of their oil.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fferent levels of PKC on growth performance and blood lipids in rats. A total of 64 Sprague-Dawley (8 weeks of age) male rats were assigned individually to four treatments with different levels of PKC in the diet: 0, 15, 20 and 25%. No differences (p<0.05) were found in daily feed intake (6-8 g/day), body weight, growth rate and epididymal fat weight for all the dietary groups. Plasma protein and very low density lipoprotein (VLDL) triacylglycerol (TG) were higher (p<0.05) for 20% PKC fed rats than the control rats. Conversely, the plasma cholesterol and TG and VLDL-phospholipid (PL) concentrations of the control rats were higher (p<0.05) than those of PKC fed rats. The VLDL-protein, total cholesterol, free cholesterol (FC) and cholesteryl ester (C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among the treatment groups. Rats fed PKC had greater (p<0.05) ratios of total surface to core lipid components [(FC+PL)/(CE+TG)] than control rats. The results reflect dissimilarities of VLDL particle size between PKC treatment and control rats, where the plasma of the PKC treated rats contained more lipid rich VLDL. In conclusion, there was no adverse effect on growth performance when inclusion of PKC up to 25%. However, fibre content may affect the plasma lipid concentrations.

도토리추출물이 흰쥐의 체내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Quercus acutissima CARRUTHERS Extracts on the Lipid Metabolism)

  • 성인숙;김명주;조수열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327-333
    • /
    • 1997
  • 본 연구는 도토리추출물이 고지방을 섭취한 흰쥐의 체내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시되었다. 실험동물은 Sprague-Dawley종 수컷 흰쥐를 사용하였으며 도토리추출물은 체중 100g당 0.02g을 매일 일정시각 경구투여하였고 대조군은 생리식염수를 투여하였다. 실험식이는 기본식이의 전분량을 40.9%로 줄이고 lard를 9.1% 첨가하여 6주간 실험에 임하였다. 체중 100g당 간과 성장의 무게는 고지방 섭취시 증가 되었으며 신장의 무게는 감소되었는데, 도토리 추출물 투여시 정상식이군과 유사한 수준으로 회복되었다. 혈청 중 TL과 TG 및 PL 함량은 고지방 섭취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도토리추출물 투여로 증가 정도가 억제되었는데, 특히 물추출물 효과가 현저하게 나타났다. 본 실험에서 도토리추출물 투여시 혈중의 TL 함량이 유의적으로 감소된 것은 TG보다 TC 함량 감소에 기인된 것으로 도토리추출물의 성분이 체내 콜레스테롤 대사에 영향을 미친 때문으로 사료된다. 반면 HDL-콜레스테롤 함량은 고지방 섭취로 인해 유의적으로 감소되었으나 도토리추출물 투여로 회복되었으며, 고지방 섭취로 상승된 동맥경화 지수가 도토리추출물 투여시 낮아지는 것을 관찰하였다. 간조직 중의 TL, TG 및 TC 함량 역시 고지방 섭취로 유의적으로 증가되므로써 혈액에서와 유사한 결과를 나타낸 반면, PL 함량은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도토리추출물 투여시 간조직 중의 TL과 TG 및 PL 함량은 증가되었으나 유의적이지는 않았으며, TC 함량은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또한 고지방 섭취시 도토리추출물 투여가 TL 함량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TG와 TC 함량은 유의적으로 감소되었으며, 고지방섭취로 감소된 PL 함량은 정상 수준으로 회복되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도토리추출물은고 지방 섭취로 유발된 고지혈중이나 지방간을 예방 및 치료에 효과적이며, 특히 물추출물 투여가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가 되었으며 10% 이하(以下)의 극내병계류(極耐病系統)이 3.4%나 점유(占有)하였고, 조명나방 평균(平均) 발생율(發生率)은 8%, 변이폭(變異幅)은 $0{\sim}17$%로 다양(多樣)하였다. 7. 1000립중(粒重)은 개화(開花) 소요일수(所要日數)와 초장(草長) 그리고 성숙립수(成熟粒數)와 등숙율(登熟率)과는 고도(高度)의 정(正)의 상관(相關)을 보였으나 잎마름병 발생율(發生率)과 조명나방 발생율(發生率)과는 5%의 유의(有意)한 부상관(負相關)를 보였다. 농도가 감소되었을 때, ATPase 활성은 증가하였다. 위의 조건에서 실제 마이크로솜 내부로의 $Ca^{2+}$ 유입 여부는 $‘Ca^{2+}’$를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마이크로솜 막에 위치한 ATPase의 내부 및 외부에 $Ca^{2+}$에 의한 효소활성 조절부위가 각각존재함을 시사한다. $10{\sim}11.99\;ppm$, 14품종(21.5%)이 $12{\sim}13.99\;ppm$, 9품종(13.8%)이 $14{\sim}15.99\;ppm$, 10품종(15.4%)이 $16{\sim}17.99\;ppm$, 4품종(6.2%)이 $18{\sim}19.99\;ppm$, 5품종(7.7%)이 $20{\sim}29.99\;ppm$, 3품종(4.6%)이 30 ppm 이상이었다. 전반적으로 일본에서 육성된 품종이 구미에서 육성되어 보급되고 있는 품종들에 비해 total terpenoids 함량이 낮은 편이었다.이 크므로 고혈압 환자를 대상으로 한 추후 연구를 통하여 두 제형간 강압효과 차이의 규명이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환자 중 총 6명에서 관찰되었다. 기침이 5명으로 가장 흔하였고, 오심이 2명, 그 외 구토, 열감, 부종,

  • PDF

쥐의 간 발암과정에서 N-3, N-6 지방산 섭취 및 d-Limonene 투여가 생체막 지질조성 및 Protein Kinase C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3, N-6 Fatty Acid and d-Limonene Treatment on Membrane Lipid Composition and Protein Kinase C Activity in Experimental Rat Hepatocarcinogenesis)

  • 김미정;김정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8호
    • /
    • pp.1328-1336
    • /
    • 2003
  •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발병률이 높은 간암의 발생과정에서 정어리유와 d-limonene의 섭취가 미치는 영향을 세포막 지질조성 및 PKC활성도를 통해 조사하여 이들의 항암 작용관련 기전을 규명 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이유된 흰쥐를 지방산 조성이 아주 다른 옥수수유, 정어리유를 15% 수준으로 공급하고 d-limonene 섭취군은 5%수준으로 공급하여 실험군에서는 발암물질인 DEN을 2회 복강 주사하고 PB를 물에 섞어 주어 20주간 사육하여 membrane fraction의 지방산 조성 및 지질의 조성, glutathione-S-transferase, PKC 활성도를 조사하여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간 세포막의 콜레스테롤과 인지질 함량에 대한 C/PL ratio는 옥수수유군에서 발암물질 투여나 d-limonene의 섭취에 따른 효과가 없었으나 정어리 유군에서는 발암물질 투여시, d-limonene 섭취시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내어 식이지방의 종류에 따라 발암물질과 d-limonene의 작용이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Membrane fraction의 인지질 조성은 CL을 제외한 PE, PI, PG, PC, PS와 PE/PC ratio등 모두에 있어서 식이지방의 종류, 발암물질의 투여, d-liomnene섭취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세포막의 지방산 조성을 나타내는 n-6/n-3 ratio가 정어리유군에서 옥수수유군보다 유의적으로 낮았고, 옥수수유군에서는 발암물질 투여나 d-limonene의 섭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했으나 정어리유군에서는 발암물질과 d-limonene에 의한 차이가 없었다. Cytosolic PKC의 활성은 식이지방의 종류와 발암물질 투여에 따른 차이는 없었고, d-limonene의 섭 취에 따라 유의적 감소를 나타냈으며, 막부착 PKC의 활성은 옥수수유군에서 유의적으로 높았고, d-limonene 섭취에 따라 감소 경향을 발암물질 투여에 따라서는 증가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GST활성은 식이 지방의 종류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나 발암물질 투여와 d-limonene 섭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발암물질과 d-limonene을 같이 공급시에 더욱 더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이상의 실험 결과를 종합에 보면 암화과정에 일어나는 지방의 대사가 식이지방의 종류에 따라 차이를 보이며, 특히 정어리유군에서 d-limonene에 의한 C/PL ratio가 감소하여 막 유동성에 변화를 초래하고, 이에 따라 membrane bound enzyme의 활성에 변화를 가져오는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식이지방의 종류가 암의 발생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고, 막부착 PKC 활성도를 감소시켜 발암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으며, 이 효과는 지방의 종류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최근 n-3 지방산이나 d-limonene이 PKC expression을 감소시키고, apopotosis 촉진 단백질의 발현을 증가시켜 tumor cell의 apoptosis를 증가시킨다고 하여 n-3 지방산과 d-limonene의 또 다른 발암억제기전을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n-3 지방산과 d-limonene의 상호효과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므로 d-limonene과 n-3 지방산의 교호작용에 의한 발암억제 기전에 대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마그네슘 및 칼슘이 혈청콜레스테롤 농도 저하에 미치는 영향 (III) - 인삼의 영향 - (Influence of magnesium and calcium on the serum cholesterol level lowering (III) - Influence of Korea Ginseng -)

  • 남현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8-21
    • /
    • 1987
  • 마그네슘, 칼슘 및 인삼을 첨가하여 사육한 토끼의 혈청콜레스테롤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인삼분말의 급여로 체중증가는 별차가 없었으며 간장의 무게는 상당한 증가를 나타냈다. 2. Total cholesterol은 인삼 4mg을 첨가한 실험군에서 가장 낮았고, 마그네슘과 칼슘이 1:2로 급여한 군에서 낮게 나타났다. 3. Free cholesterol과 cholesterol ester도total cholesterol의 경우와 같이 인삼 4mg을 첨가한 것과 마그네슘과 칼슘을 1:2로 급여한 실험군에서 가장 낮았다. 4. Total cholesterol이 가장 낮은 실험군에서 LDL이 가장 낮았으며, HDL/T-CHOL의 비는 가장 높게 나타났다. 5. Triglyceride와 phospholipid에 있어서는 인삼 첨가로 TG의 양은 점점 감소되었으나 PL의 경우는 상당히 증가되었다. 6. 전해질의 경우는 마그네슘과 칼슘을 1:2로 첨가하고 인상 4mg을 급여한 실험군의 $Na^+$이 120mEq/l, $K^+$이 6.8mEq/l를 보여 인삼이 전해질의 이동에 크게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상과 같은 결과로 인삼은 토끼의 혈청 전해질의 분포상태와 콜레스테롤의 농도에 영향은 주며, 콜레스테롤 농도를 저하시키는 작용을 함과 동시에 지방질을 감소시키고 인지질은 증가시키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 PDF

동충하초 열수추출액의 항고지혈증 효과에 관한 연구 (Anti-hyperlipidemic Effects of Cordyceps militaris Hot-Water Extract)

  • 김한수;김민아;장성호;이원기;류재용;이춘식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1권7호
    • /
    • pp.875-881
    • /
    • 2012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observe the effects of the feeding physiological activity substance in Cordyceps militaris hot-water extract intake on the improvement of lipid components and metabolic enzyme activities in the serum of dietary hyperlipidemic rats (SD strain, male) fed the experimental diets for 5 weeks. The concentrations of cholesterol (total cholesterol, ${\beta}$-lipoprotein, LDL-cholesterol, free cholesterol and cholesteryl ester), atherosclerotic index, triglyceride (TG), phospholipid (PL) and blood glucose in sera were remarkably lower in the Cordyceps militaris extract intake group than in the hyperlipidemic rats. In the ratio of HDL-cholesterol concentration was higher percentage in the Cordyceps militaris extract intake group than in the hyperlipidemic rats. The activities aminotransferase (AST, ALT) in sera were rather lower in the Cordyceps militaris extract administration than in the hyperlipidemic rats. From the above research, Cordyceps militaris extract were effective on the improvement of the lipid compositions in sera of dietary hyperlipidemic rats.

식이지방의 종류 및 d-Limonene 투여가 간 발암과정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fferent Dietary Oil and d-Limonene on Histopathological and Biochemical Changes in Experimental Hepatocarcinogenesis)

  • 이미숙;김정희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3권1호
    • /
    • pp.23-32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cts of n-3, n-6 fatty arid and d-limonene on histopathological and biochemical changes in experimental rat hepatocarcinogenesis. To attain the above objectives, weanling Sprague-Dawley female rats were intraperitoneally injected twice with a dose of diethylnitrosamine(DEN, 50mg/kg body weight) and after 1 week 0.05% phenobarbital was provided with water. Sardine oil rich in n-3 fatty acids and corn oil rich in n-6 fatty acids were fed at 15% by weight and 5% d-limonene was added to the diet in each group. Ten weeks or 20 weeks after DEN treatment, rats were sacrifirced. The formation of glutathione S-transferase placental form positive(GST-P$\^$+/) foci was significantly decreased by the treatment of either sardine oil or d-limonene HMG-CoA reductase activity was not affected by dietary oils and d-limonene. Protein kinase C (PKC) activity was decreased by either sardine oil or d-limonene. Particularly d-limonene decreased the membrane PKC activity. Membrane Cholesterol/Phospholipid(Chol/PL) ratio was significantly decreased by d-limonene in sardine oil group. The data showed that GST-P$\^$+/ foci number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membrane PKC activity and serum cholesterol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liver cholesterol level. These results suggest informations about the correlation between histopathological and biochemical changes such as cholesterol metabolism and PKC activity in experimental hepatocarcinogenesis and thereby can elucidate the possible mechanism related to the cancer inhibition.(Korean J Nutrition 33(1) : 23-32, 2000)

  • PDF

키토산과 세리신 및 콜라겐 추출 혼합물이 당뇨의 혈당 및 지질성분 개선효과 (Influences of Chitosan, Sericin and Collagen Extract Complexes on the Improvement Actions of Lipid Component in Diabetes)

  • 김한수;장성호;윤명주;최우석;강진순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0권8호
    • /
    • pp.1031-1039
    • /
    • 201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influences of chitosan, sericin and collagen extract complexes (1:1:1, w/w/w, CSC-F-005) in blood glucose and lipid concentrations in the sera of streptozotocin (STZ, 55 mg/kg BW, IP injection)-induced diabetic rats (SD strain) fed on experimental diets for 5 weeks. The concentrations of blood glucose, total cholesterol, HDL-cholesterol, ratio of HDL-cholesterol concentration to total cholesterol, atherosclerotic index, LDL-cholesterol, free cholesterol, cholesteryl ester, triglyceride (TG) and phospholipid (PL) in serum were effective on the metabolic regulation in diabetic rats. The activities of alkaline phosphatase (ALP) and aminotransferase (AST, ALT) in serum were lower in the extract complexes (CSC-F-005) than in the diabetic rats. The results shown above suggested that CSC-F-005 extract complexes supplementation effectively improvement of blood glucose and lipid components in the serum of STZ-induced diabetic rats.

수삼(水蔘), 홍삼(紅蔘) 및 백삼(白蔘)의 지방질성분(脂肪質成分)에 관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Lipid Components of Fresh Ginseng, Red Ginseng and White Ginseng)

  • 최강주;김동훈
    • 생약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41-150
    • /
    • 1985
  • Lipid and fatty acid compositions of free lipids and bound lipids from fresh ginseng, red ginseng and white ginseng were studied by means of silicic acid column chromatography, thin-layer chromatography and gas-liquid chromatography. Free lipid and bound lipid contents in those three samples were 1.21 to 1.45% and 0.32 to 0.45%. Neutral lipid fractions in free lipids from the samples were 76.6 to 79.7%, while glycolipid and phospholipid fractions were 11.6 to 14.7% and 8.5 to 8.7%, respectively. The major lipids were triglycerides, sterol esters and hydrocarbons, diglycerides and free sterols in neutral lipids, sterol glucoside, monogalactosyl diglyceride, esterified steryl glycoside, digalactosyl diglyceride in glycolipids and phosphatidyl ethanolamine, phosphatidyl glycerol, phosphatidyl choline and phosphatidyl inositol in phospholipids. Fourteen kinds of even numbered and four kinds of odd numbered fatty acids were identified in the four lipid fractions (TL, NL, GL and PL) by GLC, and the main fatty acids were linoleic acid, palmitic acid, oleic acid and linolenic acid.

  • PDF

지방산 조성이 다른 식이 지방이 흰쥐 간 미토콘드리아의 지질조성과 Adenine Nucleotide Translocase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fferent Dietary Oils on Hepatic Mitochnodial Lipid Composition and Adenine Nucleotide Translocase Activity in Rat)

  • 김정희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6권5호
    • /
    • pp.547-557
    • /
    • 1993
  • This study was done to investigate whether dietary fats differing in their fatty acid compositions change hepatic mitochondrial lipid composition and thereby change adenine nucleotide translocase activity. Male Sprague-Dawley rats were fed 5 different wxperimental diets for 6 weeks, which were different in their fatty acid compositions. The dietary fats were beef tallow(BT), olive oil(OO), corn oil(CO), perilla oil(PO) and sardine oil(SO) as a source of saturated fatty acid, oleic acid, n-6 linoleic acid, n-3 $\alpha$-linolenic acid and n-3 eiocosapentaenoic acid+docosahexaenoic acid respectively. Body weight of PO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either BT or SO group. This increase in body weight of PO group was due to the increase of food intake. Although there was no difference in liver weight, % liver weight per body weight of SO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BT and OO groups. Analysis of mitochondrial lipid composition showed that dietary oils differing their fatty acid compositions altered mitochondrial fatty acid patterns, especially n-6/n-3 ratio, cholesterol/phospholipid ratio and phopsholipid composition. The n-6/n-3 ratio was highest in CO group but lowest in SO group whereas the ratio of Chol/PL was highest in SO group but lowest in CO group. Such changes in mitochondrial lipids did not lead to a significant alteration in the activities of adenine nucleotide translocase, which is embedded in mitochodrial inner membran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