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ception of elementary teachers

검색결과 360건 처리시간 0.033초

과학 관련 진로 및 진로교육에 대한 초등학생과 교사의 인식 (Elementary Students' and Teachers' Perception on Science-Related Career and Career Education)

  • 이현이;임희준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4권1호
    • /
    • pp.50-60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의 과학과 관련된 진로에 대한 인식과 초등 교사의 과학 진로교육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았다. 연구 대상은 수도권에 소재하고 있는 초등학교 5-6학년 학생 196명과 교사 100명이었다. 분석 결과, 28.1%의 학생이 과학 관련 진로를 희망하였으며,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성취도인지 수준이 높은 학생이 낮은 학생보다 과학 관련 희망 비율이 높았다. 과학 관련 진로를 희망하지 않는 경우 그 이유는 과학에 대해 관심이 없고 과학이 재미없기 때문이라는 응답이 많았다. 과학 관련 진로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한 결과, 사회문화적 요인을 제외한 나머지 요인들에 대한 인식은 부정적인 것을 알 수 있었다. 교사의 경우 42%만이 과학 관련 진로교육을 실시하였으며, 진로교육을 실시하지 않는 교사들은 과학 관련 진로교육이 크게 필요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것이 주된 이유였다. 과학 관련 진로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학생들의 부정적인 인식과 교사의 과학 관련 진로교육에 대한 인식의 부족은 학생들의 과학 진로 선택 여부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파악되며, 학교와 가정에서 이러한 요인들에 대하여 긍정적인 인식으로 전환할 수 있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G광역시 초등학교 교사의 국가수준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 연구 (G Metropolitan City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of National-Level Curriculum)

  • 진상우;최미정;최성광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171-179
    • /
    • 2020
  • 이 연구는 G광역시 초등학교 교사의 국가수준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연구를 위해 G광역시 초등학교 교사 124명의 설문조사 결과를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초등학교 교사의 국가수준 교육과정 인식 평균점수는 3.48점, 국가수준 교육과정 인식에 대한 자기평가는 3.75점으로 국가수준 교육과정 인식에 대한 자기평가 점수가 국가수준 교육과정 인식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특성에 따른 인식 차이를 비교해 본 결과, 20학급 미만 학교에 근무하는 교사가 31학급 이상의 학교에 근무하는 교사보다 국가수준 교육과정 인식이 높고, 연구학교 경력이 있는 집단이 연구학교 경력이 없는 집단보다 높고, 연구 및 혁신학교 경력을 모두 가지고 있는 집단이 연구 또는 혁신학교 경험이 없는 집단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국가수준 교유과정에 영향을 미친 변인을 알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학교규모 변수가 13.1%의 설명력을 나타내었다. 이 결과는 교사들이 교육과정 개발과정에 접근할 수 있는 기회가 더 많이 제공될 때 국가수준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이 향상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과학 탐구 활동의 유형과 과학 탐구의 특징에 대한 초등 교사의 인식 (Elementary Teachers' Perception of the Science Inquiry Activities and Essential Features of Science Inquiry)

  • 성혜진;임희준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8권2호
    • /
    • pp.163-172
    • /
    • 2019
  • This study explored elementary teachers' perceptions on the essential features of science inquiry, the appropriateness of inquiry activities to science inquiry, and the essential features of inquiry by inquiry activities. 85 elementary teachers' perceptions were investigated using Likert scale survey, and 7 teachers were interview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features that elementary teachers perceived the most essential were 'Engaging students in evaluating their explanations in light of alternative explanations' and 'Engaging students in communicating and justifying their explanations'. Second, The inquiry activities that teachers thought the most appropriate to science inquiry were 'experiment' and 'project'. On the other hand, the perceptions on 'discussion' and 'field trip' were relatively low. Third, the inquiry activity that showed the highest mean score of five essential features of inquiry was 'experiment' while the mean score of 'field trip' was the lowest. Educational implications about the science inquiry were discussed.

경기 및 인천지역 영양(교)사의 당류 저감화 인식과 첨가당 사용실태 (Perception of Sugar Reduction and Added Sugar Use among Dietitians or Nutrition Teachers in Gyeonggi and Incheon)

  • 김혜지;최미경;김명희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24권1호
    • /
    • pp.62-74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dietitians or nutrition teachers' perception of sugar reduction and usage of sugars in school meal service. A survey was conducted for dietitians or nutrition teachers at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n Gyeonggi and Incheon. Survey data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experience period and school types of dietitians or nutrition teachers. The numbers of subjects according to work experience period were 134 (44.2%) for <5 years, 68 (22.4%) for ${\geq}5$ and <10 years, and 101 (33.3%) for ${\geq}10years$. Among the subjects, 168 (55.4%) were nutrition teachers at kindergarten/elementary schools, and 135 (44.6%) were at middle/high/special schools. Perceptions of sugar reduction programs were higher in kindergarten/elementary schools than in middle/high/special schools. The perception of added sugar use increased with more work experience, and interest in sugar reduction was higher in kindergarten/elementary schools than in middle/high/special schools. Practice for added sugar reduction increased with more work experience, and the most common method for reducing sugar was use of natural sugars. The main reason for not reducing added sugars in school meals was due to preference. Nutritional education for students increased with more work experience and was higher in kindergarten/elementary schools than in middle/high/special schools. The major nutritional education methods were using school homepage (37.4%), sending family letters (37.4%), and using principle's discretion time (18.4%). Organic sugar and rice taffy were used more at kindergarten/elementary schools, and white sugar, brown sugar, and white syrup were used more at middle/high/special schools. The most common menu using added sugars was stir-fried dishes (stir-fried pork, chicken, and vegetables).

인포그래픽 학습 자료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인식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on Infographics learning materials)

  • 문양희;강동식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9권2호
    • /
    • pp.151-164
    • /
    • 2015
  • 본 연구는 인포그래픽 학습 자료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인포그래픽 인지 여부, 인포그래픽 학습 자료 개발의 필요성, 인포그래픽을 활용한 과학 수업에 관한 내용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제작하였고, 초등교사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초등 교사의 대부분은 인포그래픽을 접해본 적이 없고, 수업 중에 활용한 적이 없다고 하였다. 활용한 적이 있는 경우에는 주로 사회, 과학 교과에서 활용하였다고 응답하였으며, 수업의 전개 단계에서 사용되었다. 인포그래픽 학습 자료 개발의 필요성 부분에서는 현재 초등학교 수업 자료로 활용 할 수 있는 인포그래픽 양의 많지 않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실제로 활용할 수 있는 인포그래픽 학습 자료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인포그래픽 학습 자료가 가장 많이 활용될 수 있는 과목은 사회, 과학 교과이며, 초등학교 3-4학년부터 적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고 응답하였다. 인포그래픽 학습 자료를 활용한 과학 수업에서 학습 자료를 제시하기에 가장 적합한 부분은 본 차시 수업 단계이며, 과학적 개념을 이해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다. 또한 인포그래픽 학습 자료를 활용한 교육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인포그래픽 학습 자료를 활용한 교육 자료의 개발이 선행되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다.

  • PDF

초등 및 유치원 교사의 영재교육에 대한 인식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on the Gifted Children and the Education for the Gifted and talented)

  • 박미영;이지현
    • 영재교육연구
    • /
    • 제11권3호
    • /
    • pp.155-173
    • /
    • 2001
  • 본 연구는 영재교육에 대한 유치원 및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을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영재아 및 영재교육에 관련된 문헌을 참고하여 연구자가 제작한 질문지를 서울 및 경기 지역의 115명의 유치원 교사와 116명의 초등학교 교사에게 배포하여 그들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유치원 교사집단과 초등학교 교사집단 모두 영재아에 대하여 보통수준 이상의 인식을 나타내었으나, 영재성과 형제 순위와의 관련성, 창의성의 영역 한정성, 영재아의 신체 성장 발육, 영재아의 유머 감각, 영재아 가정의 경제적 배경, 영재아의 친구관계 등에 대하여는 잘못된 인식을 갖고 있는 경향이 나타났다. 영재교육에 대하여서도 역시 대체로 보통 수준의 인식과 관심을 나타내었으나, 특히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과 관심정도가 유치원 교사들보다 높았다.

  • PDF

초등학교에서의 식생활 교육 실태 및 교사의 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erception of Teachers on the Nutrition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 정인경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73-85
    • /
    • 2005
  • 본 연구는 초등학교에서의 식생활 및 영양교육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해보고자 초등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학교교육과정에서의 식생활 및 영양교육 실태와 인식 등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대부분의 교사들은 주로 실과 및 체육 과목을 통해 식생활 교육을 실시하고 있었으며 학생들의 수업 참여도도 보통이상의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교 교육과정에서의 식생활 및 영양교육은 곡 필요하며 효과가 큰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영양교육 관련 연수 참여 기회가 매우 적고, 영양교육 자료와 시설의 부족 및 교사의 전문성 부족으로 인해 학교에서 식생활 교육을 실시하기가 어렵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그리고 학교에서 식생활 교육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식생활 교육 내용이 실과 교육 과정에 보충되어져야 하며, 가정과 학교가 연계하여 식생활 교육이 실시되어져야 한다고 하였다. 이에 초등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다양한 영양교육 관련 연수 프로그램 등이 실시되어져야 하며, 교사와 학부모가 협력하여 식생활 및 영양교육을 함께 실시할 수 있는 체제가 마련되어져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 PDF

수학창의성에 대한 초등교사들의 인식 (Prospect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on Mathematical Creativity)

  • 이혜숙;민선희;김민경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1권4호
    • /
    • pp.337-349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and analyze conception on creativity carried out from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Seoul and Gyeonggi-do area. As results, first, most of teachers replied divergent thinking, creative problem solving, and new creation as general creativity and mathematical creativity. Secondly, they showed that thinking process would be related to transfer and cognition in terms of mathematical creativity factors. Lastly,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groups according to gender, teaching career, and age, even though most teachers expressed sympathy for need of creativity education in mathematics education.

초등학교 교상의 소비자 교육에 관한 필요도-요구도와 관련변수 (Consumer Educational Need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Related Variables)

  • 장안나;이연숙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5-28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consumer educational need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it. The data for the analysis were collected by structured questionaires and consisted of 253 elementary school teachers living in Taegu city. The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d one way ANOVA with Scheffee test were used to analyse the data. The following is summary of major findings. 1. Teachers though that the topics related to environment protection and consumption value were the most important in the consumer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among the five topics. These topics were also very emphasized in the current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The topics related to consumer citizenship and buying were ranked as the highest scores of the educational needs of teachers. Therefore these topics should be emphasized in the future consumer education curriculum of elementary school. 2. The age, sex and period of educational career of teacher. teacher’s perception of student’s and teacher’s interests about consumer education and teacher’s wants of on-the job traing were found to be the factors affecting consumer educational needs of elementary teachers.

  • PDF

초등학교 과학 수업에서 소집단 학습에 대한 교사와 학생들의 인식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Teachers' and Students' Perception regarding Small Group Study in Elementary Science Instruction)

  • 김현정;이혜정;오창호;양일호;박국태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5권3호
    • /
    • pp.217-230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help elementary teachers to design systems for small group study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both teaching and learning in science education. This was done by examining how teachers form and manage a small group study, and by observing students' perceptions regarding small group study. For this study, an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8 elementary teachers and 8 sixth grade elementary students chosen according to their levels of class participation and scientific achievement. The results showed that although elementary teachers preferred a group of 4 students, 6 students were randomly picked to form a group due to the physical aspects of the educational environment in most of the cases examined. It was also found that when the small group was composed of students with different personalities rather than according to their level of achievement, this better encouraged research activities and fostered scientific attitudes as compared to educating solely for the transference of scientific knowledge. On the elementary students' part, a change of perception on their new role and skills of interaction was also required. Elementary students preferred to compose small groups so that they resembled a group of close friends, and from their perspective, small group study was useful, interesting, time efficient, and helpful to each other in studying scienc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