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er factors

검색결과 528건 처리시간 0.027초

중학생의 학업스트레스 정도에 따른 건강관련 생활습관 및 정신건강 비교 (An Influence of Academic Stress on the Life-Style Behaviors and Mental Health of Junior High School Students)

  • 장효원;김정현;어성연;정인경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57-72
    • /
    • 2012
  •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학업스트레스가 건강관련 생활습관 및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서울 및 경기도 소재 8개 지역 중학교에 재학 중인 중학생 84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조사결과 여학생이 남학생들에 비해 학업스트레스 점수가 높았으며 특히, 하위 요인 중 교사 및 수업시간, 친구와의 경쟁 관련 학업스트레스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다. 남학생들의 경우 학업스트레스 수준이 높은 학생들이 낮은 학생들에 비해 흡연 및 음주 경험 과 흡입제 사용 경험이 유의적으로 많았으며 학업스트레스 수준이 높은 학생들은 컴퓨터나 온라인 게임 등의 놀이오락 위주로 여가활동 시간을 보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신건강상태 조사 결과, 남녀학생 모두 학업스트레스 수준이 높은 학생들이 낮은 학생들에 비해 정신건강진단 점수가 유의하게 높아 정신건강 위험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우을증상의 점수가 유의적으로 높았다. 따라서 청소년들이 학업 스트레스에 적절히 대응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학교교육과정에서 지속적인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 PDF

고등학생의 스트레스가 구강건강실천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Stress on Oral Health Practice of High School Students)

  • 허아롱;박인숙;송귀숙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45-52
    • /
    • 2016
  • 이번 연구는 고등학생들의 스트레스가 구강건강실천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스트레스와 구강건강실천과의 관련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2014년 5월부터 6월까지 충청남도에 위치한 4개의 고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으로 설문조사하였고, PASW Statistics ver. 18.0 for Windows을 이용하여 최종 939부를 분석하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스트레스를 비교한 결과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학업, 외모, 물질에 대한 스트레스가 높았고, 1학년이 가족과 학업에 대한 스트레스가 높았다. 지난 학기 학업성적이 '상'인 그룹이 가족과 물질에 대한 스트레스가 가장 낮았고 경제수준이 좋을수록 외모와 물질에 대한 스트레스가 낮았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구강건강실천도를 비교한 결과 1학년과 지난 학기 학업성적인 '상'인 그룹에서 가장 높았고 경제수준이 좋고, 일주일 평균용돈이 많을수록 구강건강실천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구강건강실천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교우관계에 대한 스트레스는 정(+)의 관계, 물질에 대한 스트레스는 부(-)의 관계로 나타나 구강건강실천도에 유의한 변수로 선정되었다. 반면 가족, 학업, 외모에 대한 스트레스는 구강건강실천과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스트레스를 완화시킬 수 있는 방법을 포함한 구강건강관리를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 및 교육이 강화되어야 할 것이며 학교 내에서 학생들의 건강관리를 담당하는 인력에 대한 교육과 매뉴얼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청소년용 정신건강 선별검사 개정 연구 : 청소년 정서행동발달 검사의 개발 (Revision of Adolescent Mental Health and Problem Behavior Screening Questionnaire : Development of Adolescent Mental Health and Problem Behavior Screening Questionnaire-II)

  • 방수영;유한익;김지훈;김봉석;반건호;안동현;서동수;조수철;황준원;이영식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22권4호
    • /
    • pp.271-286
    • /
    • 2011
  • Objectives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a mental health screening questionnaire and the practical intervention programs or guidelines which can be used in middle and high schools by students and teachers. Methods : The Adolescent Mental health & Problem behavior Screening Questionnaire II (AMPQ-II) was developed and was tested for reliability and validity using nationwide data from 2,180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2,145 teachers. Results : The AMPQ-II was measured by both students and teachers. The correlation coefficient of the test-retest test was 0.567 and internal consistency was high (Cronbach's alpha=0.878). Five factors such as worry and thought, mood and suicide, academic and Internet-related problems, peer problems, and rule violations were proposed. We also developed a practical guideline and manuals which can be easily used by secondary school teachers to screen for and manage mental health problems at school. Conclusion : The AMPQ-II can be a useful and reliable tool to screen for mental health problems in middle and high schools in South Korea.

문화적 배경에 따른 대학기숙사 물리적 환경이 학생들간 사회적 교류에 미치는 영향 비교연구 (A Cross-Cultural Investigation on the Effects of Physical Environment at University Dormitory on Social Interaction among Students)

  • 김원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8호
    • /
    • pp.48-54
    • /
    • 2017
  • 대학기숙사는 재학생들의 다양한 기본적 욕구를 충족시키고 독특한 캠퍼스경험과 학업성취를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하여왔다. 또한 학생 재학률 향상과 외국학생 유치를 위한 수용능력에 대한 수요가 커지고 있다. 학생들의 사회적 교류와 공동체 의식은 학업스트레스와 향수병을 경감하고 개인적 성장과 동년배 그룹의 사회문화 적응에 긍정적인 기회를 제공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기숙사의 물리적 환경이 상이한 문화적 배경을 가진 학생들의 사회적 교류와 공동체 의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 조사하는데 있다. 교차분석은 개인적 배경에 따라 공동체의식에 대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존재하나 두 개의 문화적 그룹에는 별다른 영향이 없음을 밝혀내었다. 공동체의식 요소와 물리적 환경에 대한 만족도조사 분석에서 한국학생그룹은 전반적으로 미국학생그룹보다 비교적 높은 평균값을 나타내었다. 다중회귀분석에서는 미국학생들의 사회적 교류환경을 위해 쾌적한 냉난방과 같은 기능적 요소가 가장 중요한 것으로 분석된 반면, 한국학생그룹은 가족지향적인 환경이 제일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중 회귀분석결과를 통한 선형분석은 물리적환경의 만족도가 높아감에 따라 공동체 의식 및 사회적 교류환경 정도가 높아짐을 확증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대학 기숙사 계획에서 기관의 기능보다는 가정적 환경에 역점이 두어야 함을 제안하고 있다.

보건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소진 및 자기 효능감에 대한 구조모형: 경로분석 (The Association between Health Teachers' Stress, Burnout, and Self-Efficacy: A Path Analysis Approach)

  • 이미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317-325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보건을 책임지고 있는 보건교사의 직무 스트레스, 소진 및 자기 효능감의 수준과 이들 변인들 사이의 인과관계를 구조모형으로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보건교사 814명에게 구조화된 설문지로 구조방정식 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ing)의 경로분석(path analysis)을 통해 인과관계 모형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보건교사의 직무 스트레스는 평균 2.9±0.64, 소진은 2.6±0.52로 Likert 5점 척도의 중간 값보다 약간 낮은 수준이나, 이에 반해 자기 효능감은 4.1±0.51로 높은 수준이었다. 하지만 하위구성 요인별로는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나 직무 스트레스 중에서 '학생 및 가정요인'과 '동료교사 인식'의 경우가 높은 수준이었고 소진의 경우는 '부과업무'가 높은 수준이었다. 또한, 보건교사의 직무 스트레스는 소진을 증가(r=.511) 시키고 자기 효능감을 떨어트리는 효과(r=-.179)를 가지며, 또한 소진은 자기 효능감을 상당하게 감소((r=-.460) 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직무 스트레스는 소진에 영향을 미치고 소진은 자기 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보건교사의 소진을 감소시키고 자기 효능감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직무 스트레스에 대한 효과적인 관리가 매우 중요하여 직무 스트레스를 낮추기 위한 다양한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보건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소진을 줄이고 자기 효능감을 높이기 위한 정책수립과 실질적 개선안 마련에 도움이 될 것이다.

청소년 흡연중재 교육프로그램의 효과평가에 관한 설명적 문헌고찰 (Descriptive literature review on the evaluation of the youth smoking prevention program effectiveness)

  • 박경옥;이경원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6권
    • /
    • pp.35-48
    • /
    • 2005
  • The age of the very first smoking is a significant indicator of life-long health status. Smoking prevention intervention was actively conducted based in middle and high schools with the support of the Korean Act for Health Promotion since 1998. These governmental supports became large and various smoking prevention programs were developed and conducted in diverse standards and perspectives. This study made a comprehensive descriptive literature review on smoking prevention educational programs for youth in Korea to identify the intervention quality and effectiveness of them for future smoking prevention program development. A total of 28 peer-reviewed journal articles published between May, 1995 and May 2005 (for the last 10 years) were finally included in this review process. The study participants should be adolescences in middle or high schools in Korea and the intervention types of the review studies should be smoking prevention or cessation educational programs. The outcomes of the reviewed studies were reanalyzed by the participants' characteristics, theory basement, evaluation design, intervention period, evaluation outcomes, and program effectiveness Most smoking intervention programs were not specified by sex and smoking status. Largely most intervention programs focused on male students although female students' smoking percent is increasing including both smokers and nonsmokers. Based on the school grades, the large percents of smoking intervention were conducted to the first grade of middle school and the first grade of high school. Almost 70% of the reviewed studies did not apply any health behavior change theories and the Transtheoretical model and social cognitive theory were utilized in 7 studies among the last reviewed 30%. The theory-based intervention studies had greater effectiveness than the non-theory based studies. More than 90% had quasi-experimental evaluation design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non-experimental designed study seemed over estimated than the quasi-experimental or experimental designed studies. More than 60% of the reviewed studies made their education for less than j days, over a short period and the evaluation factors were knowledge and attitude in general which can be obtained in short intervention period. Therefore, smoking intervention programs for youth in Korea need to be modified in terms of research design such as the intervention period, intervention-evaluation design, theory-based approach, and population-focused intervention specification.

  • PDF

학급단위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이 아동의 정서조절과 학교생활적응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Class-based Group Art Therapy Program on Child's Emotional Regulation and School Adjustment Improvement)

  • 김미희;홍미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5호
    • /
    • pp.613-623
    • /
    • 2017
  • 본 연구는 학급단위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이 아동의 정서조절과 학교생활적응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대전시 00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A초등학교에서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학교생활적응력 척도에서 3학년 최하수준 학급을 대상으로 구성되었다. 학급단위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은 2014년 10월 15일부터 11월 19일까지 주 1회, 40분씩 총 6회기를 진행하였다. 연구도구는 정서조절과 학교생활적응력 척도를 사전 사후로 비교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효과검증을 위한 분석방법으로는 정서조절과 학교생활적응력 척도 변인의 사후검사 점수의 집단 간 비교에서 사전을 고려한 공분산분석(ANCOVA)을 하였다. 분석결과로는 첫째, 아동의 정서조절은 프로그램 실시 후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둘째, 아동의 학교생활적응력은 프로그램 실시 후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본 연구의 결론은 학급단위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을 진행하여 아동의 정서변화 과정을 통해 적절히 정서를 조절 할 수 있도록 하였고, 동시에 자연스럽게 학급친구들과 함께할 수 있는 자리를 마련하여 또래관계 형성을 바탕으로 학교생활적응력 향상에 긍정적인 도움을 주었다. 그리고 학교현장에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적합한 프로그램을 구축하여 즐거운 학교생활을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데 의의가 있다.

Exploring the Differences between Adolescents' and Parents' Ratings on Adolescents' Smartphone Addiction

  • Youn, HyunChul;Lee, Soyoung Irene;Lee, So Hee;Kim, Ji-Youn;Kim, Ji-Hoon;Park, Eun Jin;Park, June Sung;Bhang, Soo-Young;Lee, Moon-Soo;Lee, Yeon Jung;Choi, Sang-Cheol;Choi, Tae Young;Lee, A-Reum;Kim, Dae-Jin
    •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 /
    • 제33권52호
    • /
    • pp.347.1-347.11
    • /
    • 2018
  • Background: Smartphone addiction has recently been highlighted as a major health issue among adolescents. In this study, we assessed the degree of agreement between adolescents' and parents' ratings of adolescents' smartphone addiction. Additionally, we evaluated the psychosocial factors associated with adolescents' and parents' ratings of adolescents' smartphone addiction. Methods: In total, 158 adolescents aged 12-19 years and their par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adolescents completed the Smartphone Addiction Scale (SAS) and the Isolated Peer Relationship Inventory (IPRI). Their parents also completed the SAS (about their adolescents), SAS-Short Version (SAS-SV; about themselves), Generalized Anxiety Disorder-7 (GAD-7), and Patient Health Questionnaire-9 (PHQ-9). We used the paired t-test, McNemar 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es. Results: Percentage of risk users was higher in parents' ratings of adolescents' smartphone addiction than ratings of adolescents themselves. There was disagreement between the SAS and SAS-parent report total scores and subscale scores on positive anticipation, withdrawal, and cyberspace-oriented relationship. SAS scores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average minutes of weekday/holiday smartphone use and scores on the IPRI and father's GAD-7 and PHQ-9 scores. Additionally, SAS-parent report scores showed positive associations with average minutes of weekday/holiday smartphone use and each parent's SAS-SV, GAD-7, and PHQ-9 scores.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clinicians need to consider both adolescents' and parents' reports when assessing adolescents' smartphone addiction, and be aware of the possibility of under- or overestimation. Our results cannot only be a reference in assessing adolescents' smartphone addiction, but also provide inspiration for future studies.

금연에 대한 침술 병용 치료의 효과 및 안전성 : 체계적 검토를 위한 프로토콜 (The effectiveness and safety of acupuncture combination treatment on smoking cessation: A protocol for systematic review)

  • 최인서;성원석;조민기;김정현;박연철;김은정;백용현;김근우;서병관
    • 대한융합한의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5-13
    • /
    • 2022
  • Objectives: Smoking had a long negative impact on public health. The ingredients of a cigarette are major risk factors for several diseases. Owing to the problems about economic and quality of life, we need to ensure smoking cessation (SC). There are several approaches for SC including pharmacological therapy, nicotine replacement therapy, education, and behavioral intervention. However, due to some limitations, other alternative approaches are gaining popularity. Acupuncture has been reported to have few side effects and be more effective than some conventional treatments in several articles. However, there are no systematic reviews on the comparison of acupuncture combination treatment with other conventional monotherapies. Methods: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that used acupuncture as an adjunct treatment for SC will be searched and data will be summarized according to the predefined criteria. The primary outcome will be the abstinence rate, and secondary outcomes will be adverse events and biochemical indicators. We will use Review Manager to perform a meta-analysis, Cochrane Collaboration Risk of Bias tool for the risk of bias assessment, and the Grades of Recommendation, Assessment, Development and Evaluation approach to determine the quality of evidence. We will investigate the efficacy and safety of acupuncture combination treatment for SC with this study. Ethics and dissemination: This study will provide reliable clinical evidence on additional effect of acupuncture on smoking cessation. We will publish our results in a peer-review journ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