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s of Class-based Group Art Therapy Program on Child's Emotional Regulation and School Adjustment Improvement

학급단위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이 아동의 정서조절과 학교생활적응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 김미희 (다온아동발달심리상담센터) ;
  • 홍미희 (한밭대학교 시각디자인학과)
  • Received : 2017.03.27
  • Accepted : 2017.05.02
  • Published : 2017.05.28

Abstract

This study is aimed at verifying the effect of class-based group art therapy program on child's emotional regulation and school adjustment improvement. The target of this study consisted of the lowest-leveled 3rd graders among the students attending A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00, Daejeon City, who were tested for school adjustment. The class-based group art therapy program was implemented from October 15, 2014 to November 19, 2014, once a week, for 40 minutes for each session, a total of six rounds. For this study, the scale of emotional regulation and school adjustment was used by pre-post comparison. As an analysis method for verifying the effects of this study, ANCOVA was used in consideration of pre-test, in comparison of post-test results between groups, regarding the scale factors of emotional regulation and school adjustment. As a result of analysis, first, child's emotional regulation was significantly improved after the program performance. Second, child's school adjustment. was significantly improved after the program performance. In conclusion, class-based group art therapy program let children see through the process of emotional change, and properly regulate their emotions. At the same time, the program provided situations in which peers meet together casually, giving a positive change for school adjustment improvement based on the peer relationship. In addition, this study has a meaning to help enjoying school life, by constructing a proper program to be applied at school in a variety of ways.

본 연구는 학급단위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이 아동의 정서조절과 학교생활적응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대전시 00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A초등학교에서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학교생활적응력 척도에서 3학년 최하수준 학급을 대상으로 구성되었다. 학급단위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은 2014년 10월 15일부터 11월 19일까지 주 1회, 40분씩 총 6회기를 진행하였다. 연구도구는 정서조절과 학교생활적응력 척도를 사전 사후로 비교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효과검증을 위한 분석방법으로는 정서조절과 학교생활적응력 척도 변인의 사후검사 점수의 집단 간 비교에서 사전을 고려한 공분산분석(ANCOVA)을 하였다. 분석결과로는 첫째, 아동의 정서조절은 프로그램 실시 후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둘째, 아동의 학교생활적응력은 프로그램 실시 후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본 연구의 결론은 학급단위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을 진행하여 아동의 정서변화 과정을 통해 적절히 정서를 조절 할 수 있도록 하였고, 동시에 자연스럽게 학급친구들과 함께할 수 있는 자리를 마련하여 또래관계 형성을 바탕으로 학교생활적응력 향상에 긍정적인 도움을 주었다. 그리고 학교현장에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적합한 프로그램을 구축하여 즐거운 학교생활을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데 의의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백경미, 김갑숙, 최외선, "집단미술활동을 활용한 교류분석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 한국미술치료학회논문지, 제22권, 제6호, pp.1673-1696, 2015.
  2. 김보라, 채규만, "인지 행동적 게임놀이치료가 정서지능이 낮은 아동이 정서지능과 정신건강에 미치는 효과,"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논문지, 제12권,제2호, pp.145-160, 2012.
  3. 정옥분, 사회정서발달, 서울: 학지사, 2006.
  4. 이현림, 윤경원, 김말숙,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보육시설 청소년들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효과," 한국아동교육학회논문지, 제15권, 제1호, pp.183-194, 2006.
  5. 최진, "예술의 교육적 가치로서의 사유: 카시러의 '미적 형식'에 대한 주목으로부터," 한국예술교육학회논문지, 제13권, 제4호, pp.1-18, 2015.
  6. 최은실, 정서인식 및 표현 능력 향상 프로그램의 효과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7. 김미희, 김정일, "입체매체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이 학교부적응 청소년의 스트레스 대처에 미치는 효과," (사)한국예술교육학회논문지, 제13권, 제2호, pp.59-77, 2015a.
  8. 박재신, "학습부진 초등학생의 학교생활 적응과 학습활동 행상을 위한 미술치료사례연구," 한국미술치료학회논문지, 제20권, 제1호, pp.129-157, 2013.
  9. 황유경,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아동의 학교부적응 행동에 미치는 효과, 동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10. 이병래, 부모의 심리적 자세와 유아의 정서지능과의 관계,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7.
  11. 김신정, 초등학생의 정서조절능력 향상을 위한 어머니 연계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12. 김지은, 청소년의 사회적 지지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13. 박혜숙, 해결중심 집단미술치료가 학교생활부적응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과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14. 이주은, 집단미술치료가 결손가정 아동에게 미치는 효과. 자아존중감과 사회성향상을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15. 백경미, 강건택, 윤은주, "학급단위 집단미술치료가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과 분노조절에 미치는 효과," 한국미술치료학회논문지, 제21권, 제1호, pp.111-126, 2014.
  16. 백경미, 최외선, "학급단위 교류분석적 미술치료운영형태가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미술치료학회논문지, 제19권, 제5호, pp.1173-1191, 2012.
  17. 김미희, 김정일, "신체활동을 병행한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이 학령기 아동의 또래관계 기술과 학교생활적응력에 미치는 효과," (사)한국예술교육학회논문지, 제13권, 제4호, pp.123-139, 2015b.
  18. 김선현, 집단미술치료의 이론과 실제, 파주: 이담, 2010.
  19. 정옥분, 임정하, 김경은, SPSS를 활용한 생활과학 연구방법론, 2014.
  20. S. Harter and B. J. Buddin, "Children's understanding of the simultaneity of two emotion: A five stage developmental acquisition sequence," Developmental Psychology, Vol.23, pp.388-399, 1987. https://doi.org/10.1037/0012-1649.23.3.388
  21. C. Saarni, Psychometic Propeties of the Attitude toward Children's Expressiveness Scale(PAECS). Unpublished Manuscript, Sonata Stste University(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 pp.301-317), 1990.
  22. J. D. Mayer and P. Salovey, EQ: 감성지능개발학습법 (홍명희 역), 서울: 해냄출판사(원저 1993출판), 1996.
  23. J. D. Mayer and P. Salovey, What is Emotional Intelligence, In P. Salovey & D. Sluyter, (Eds.), Emotional development and Emotional Intelligence: Implication for educators, New York: Basic Books, 1997.
  24. C. McFarland and R. Buehler, "Negative affective states and the motivated retrieval of positive life events: The role of affect acknowledgemen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73, pp.200-214, 1997. https://doi.org/10.1037/0022-3514.73.1.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