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ak flood discharge

검색결과 154건 처리시간 0.03초

A Forecasting Model for the Flood Peak Stage and Flood Travel Time by Hydraulic Flood Routing

  • Yoon, Yong-Nam;Park, Moo-Jong
    • Korean Journal of Hydrosciences
    • /
    • 제4권
    • /
    • pp.11-19
    • /
    • 1993
  • The peak flood discharge at a downstream station and the flood travel time between a pair of dams due to a specific flood release from the upper reservoir are computed using a hydraulic river channel routing method. The study covered the whole large reservoir system in the Han River, Korea. The computed flood discharges and the travel times between dams were correlated with the duration and the magnitude of flood release rate at the upstream reservoir, and hence a multiple regression model is proposed for each river reach between a pair of dams. The peak flood discharge at a downstream location can be converted to the peak flood stage by a rating curve. Hence, the proposed regression model could be used to forecast the peak flood stage at a downstream location and the flood travel time between dams using the information on the flood travel time, release rate and duration from the upper dam.

  • PDF

수리학적 홍수추적에 의한 댐 방류시 하류수위 및 주요 하도구간별 홍수도달 시간의 예측 (Forecasting of Peak Flood Stage at Downstream Location and the Flood Travel Time by Hydraulic Flood Routing)

  • 윤용남;박무종
    • 물과 미래
    • /
    • 제25권3호
    • /
    • pp.115-124
    • /
    • 1992
  • 상류댐에서의 홍수량에 의한 하류지점에서의 첨두 홍수량과 홍수 도달 시간은 수리학적 홍수추적방법에 의해 계산될 수 있다. 본 연구는 한강 유역의 전구간을 대상으로 시행되었다. 계산된 춤두 홍수량과 댐사이의 홍수도달시간은 상류에서의 방류계속시간과 바류량의 크기에 관련되어 있고 각 댐구간 사이에서 이 관계를 이용하여 다중회기모형을 제안하였다. 댐하류에서의 첨두홍수량은 수위-유량 관계식에 의해서 첨두홍수위로 변환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제안된 다중회기모형은 상류댐에서의 홍수 방류량과 방류 계속시간에 의한 하류지점에서의 첨두홍수위와 댐구간 사이의 홍수도달시간을 예측하는데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Effect of the Peace-Dam Construction on the Flood Discharge and the Flood Stage of the Hwachun-Dam

  • Jun, Byoung-Ho;Shin, Hyun-Suk;Yoon, Jae-Young
    • Korean Journal of Hydrosciences
    • /
    • 제5권
    • /
    • pp.17-31
    • /
    • 1994
  • Because of the Keumkangsan-Dam and the Peace-Dam constructed in recent years, it is expected that the peak flood discharge and the peak flood stage at the Hwachun-Dam site have been changed. In this study, two methods were used to simulate and compare the effects of the upstream dam construction on the change of the discharge and the stage. One is the storage function method widely used for the hydrological routing in the country. The other is the DWOPER(Dynamic Wave Operational Model) package conducted on four different scenarios: (1) before the construction of the Keumkangsan-Dam and the Peace-Dam; (2) the exclusion of the Keumkangsan-Dam watershed (before the construction of the Peace-Dam); (3) the exclusion of the Keumkangsan-Dam watershed (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Peace-Dam) ; (4) the exclusion of the Peace-Dam watershed. The results of the four test cases from the two methods show that the peak flood discharge and the peak flood stage at the Hwachun-Dam site are reduced due to the construction of the Peace-Dam. From these findings, it is suggested that the operational criteria for the optimal dam-operation of the Hwachun-Dam need to be modified.

  • PDF

홍수 유출 수문곡선 산출에 단위유량도 적용 오차의 정도 검토 (Review on Application Tolerance of Unit Hydrograph for Calculating Flood Runoff Hydrograph)

  • 유주환;윤여진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0년도 학술발표회
    • /
    • pp.346-349
    • /
    • 2010
  • In this study several unit hydrographs by rainfall storms are derived and moving averaged unit hydrograph is extracted from them based on the rainfall-runoff data in a small basin 8.5 $km^2$ wide. And peak discharges and peak times of the unit hydrographs are investigated and reviewed. And then a representative unit hydrograph of the moving averaged one is applied to the linear convolution integration for obtaining the flood discharge hydrograph and peak discharge and time of its result are researched and inspected. Variance in application of the representative unit hydrograph in a basin on assumption of linearity is appeared and this is given as a counterevidence about that the runoff response from rainfall on a basin has nonlinear characteristics. And As a result of application of derived representative unit hydrograph the errors in peak discharge and time are investigated.

  • PDF

Determination of Design Flood Levels for the Tidal Reach of the Han River

  • Jun, Kyungsoo;Li, Li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5년도 학술발표회
    • /
    • pp.173-173
    • /
    • 2015
  • The flood water level in tidal river is determined by the joint effects of flood discharge and tidal water levels at downstream boundary. Due to the variable tidal boundary conditions, the evaluated design water levels associated with a certain flood event can be significantly different. To avoid determining of design water levels just by a certain tidal boundary condition and remove the influence of variability in boundary condition from the evaluation of design water levels, a probabilistic approach is considered in this study. This study focuses on the development of a method to evaluate the realistic design water levels in tidal river with taking into account the combined effects of river discharge and tidal level. The flood water levels are described by the joint probability of two driving forces, river discharge and tidal water levels. The developed method is applied to determine design water levels for the tidal reach of the Han River. An unsteady flow model is used to simulate the flow in the reach. To determine design water levels associated with a certain flood event, first, possible boundary conditions are obtained by sampling starting times of tidal level time series; then for each tidal boundary condition, corresponding peak water levels along the channel are computed; and finally, design water levels are determined by computing the expectations of the peak water levels. Two types of tides which are composed by different constituents are assumed (one is composed by $M_2$, and the other one is composed by $M_2$ and $M_2$) at downstream boundary, and two flood events with different maximum flood discharges are considered in this study. It is found that (a) the computed design water levels with two assumed tides have no significant difference for a certain flood event, though variability of peak water levels due to the tidal effect is considerably different; (b) tidal effect can reach to the Jamsil submerged weir and the effect is obvious in the downstream reach of the Singok submerged weir; (c) in the tidally affected reach, the variability of peak water levels due to the tidal effect is greater if the maximum flood discharge is smaller.

  • PDF

중소도시유역의 홍수량산정 및 홍수위 예측 (Estimation of Flood Discharge and Forecasting of Flood Stage in Small-Medium Urban Basin)

  • 김민정;김병찬;이종석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9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432-436
    • /
    • 2009
  • 최근 개발에 따른 토지이용 변화로 유역내 강우의 도달시간이 짧아지고, 집중호우가 빈번하게 발생함에 따라 유출량이 증가하여 많은 홍수피해가 일어나고 있다. 유출량 증가는 하천 수위를 상승시켜 하천주변에 막대한 재산피해를 주고 있으므로 유역의 정확한 유출량 산정이 선행되어야 한다. 산정된 유출량을 바탕으로 홍수재해 발생시 예상되는 홍수범람지역을 추정함으로써 홍수피해를 예방하고, 최소화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실무에서 범용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HEC-HMS 모형을 이용하여 남대천 유역의 빈도별 확률강우량에 대한 유출량을 산정하였다. 또한 이로부터 모의된 첨두홍수량을 하도수리분석을 위한 경계조건으로 사용하여 남대천 하류구간의 홍수위를 HEC-RAS 모형에 의해 분석하였다.

  • PDF

면적비를 적용한 미계측유역에서의 설계홍수량 산정방안 (Estimation of Design Flood Discharge by Areal Ratio for Ungauged Basin)

  • 이지호;박재범;송양호;전환돈;이정호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335-344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미계측유역의 설계홍수량을 산정하는 방안으로 유역의 면적비를 적용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유역출구에서의 실측자료를 활용하여 유출매개변수를 결정하고 면적비를 적용하여 첨두홍수량을 산정하였다. 위 방법론을 검증하기 위해 소하천 유역의 관측유량 및 하천정비종합계획의 설계홍수량과의 비교를 통해 면적비 전이 방법론의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면적비를 적용한 유출량과 관측유량자료를 비교한 결과 14~25% 정도의 차이를 보였다. 제안된 방법론의 타당성을 재확인하기 위해 하천정비종합계획에서 산정된 첨두유량과 소유역과의 면적비로 계산한 첨두유량을 비교하였다. 이를 위해 31개소의 소하천을 대상으로 설계홍수량을 비교한 결과, 20% 정도의 홍수량의 차이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면적비를 적용한 미계측지역에서의 첨두유량 산정방법론이 타당하다고 판단된다.

도시화 유역에서의 홍수 유출 특성 (Flood Runoff Characteristics in Urbanized Basin)

  • 한국희;이길춘
    • 물과 미래
    • /
    • 제29권3호
    • /
    • pp.153-161
    • /
    • 1996
  • 최근에 도시화 된 산본천 유역을 대상으로 한 유출 해석이다. 실측한 각종 자료를 유출해석 모형인 ILLUDAS를 이용하여 도시화에 따른 첨두유량과 총유출량의 연구를 분석하였다. 도시하천에서 첨두유량의 증가는 도시화에 따른 하정비가 가장 큰 영향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첨두유량은 강우 지속시간이나 재현기간에 따라 조도계수 n=0,04일 경우에 최대 10%까지, n=0.015일 경우는 7~16%이었으며, 또한 자연하도(n=0.04)에서 계획하도(n=0.015)로 변화하면 첨두유량은 51~158%까지 큰 폭의 증가를 보였다. 일반적으로 호우시 홍수첨두유량은 증가하지만 도시유역의 경우는 배수계통의 정비로 유속이 증가하면서 하천 수위는 오히려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화천댐의 홍수량 및 수위에 미치는 평화댐의 영향 분석 (Influence of the Peace-Dam Construction on the Flood Discharge and the Flood Stage of the Hwachun-Dam)

  • 전병호;신현석;이재철;윤용남
    • 물과 미래
    • /
    • 제26권1호
    • /
    • pp.93-101
    • /
    • 1993
  • 화천댐 상류에는 최근 금강산댐과 평화댐이 건설되었으며 이로인해 홍수유출 및 수위에 큰 변화를 보여왔다. 본 연구에서는 가용한 유역 자료를 사용하여 상류조건의 변화에 따른 화천댐으로의 유입량 및 수위 변화를 모의하였다. 모의를 위해서는 수문학적 추적 방법중 저류함수법과 수리학적 홍수 추적 방법중 미국 NWS의 DWOPER(Dynamic Wave Operational Model)Package를 사용하였다. 홍수 추적은 1) 금강산댐과 평화댐 건설전, 2) 금강산댐 유역제외(평화댐 건설전), 3) 금강산댐 유역제외(평화댐 건설후), 4) 평화댐의 수문폐쇄시등의 4가지 경우에 대하여 모의하였다. 그 결과 상류댐의 건설로 인해 화천댐 유역의 유입량과 수위가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결과는 화천댐의 최적운영을 위하여 새로운 댐 조작기준의 설정이 필요함을 의미한다고 사료된다.

  • PDF

홍수사상별 일평균유량 자료로부터의 참두홍수량 산정 (An Estimation of the Peak Flood Discharges Based on the Mean Daily Discharges during a Flood Event)

  • 원석연;윤용남
    • 물과 미래
    • /
    • 제26권2호
    • /
    • pp.59-65
    • /
    • 1993
  • 본 연구에서는 한강유역의 7개 수위관측소 지점에 기록된 총 198개의 홍수사상예 대한 일평균유량자료와 참두홍수량 자료를 Fuller방법 및 Sangal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상관시켜, 홍수기간별 일평규유량 자료로부터 그 기간동안의 참두홍수량을 산정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 분석하였다. Sangal 방법에 의한 참두홍수량의 산정결과는 실측치와 상당히 높은 상관성을 보였으며, 한강유역 전반에 걸쳐 제안된 지역화 기법은 유역내 수위관측소 지점의 홍수사상별 일평균유량으로부터 참두홍수량을 산정하는데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