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thogenic fungus

검색결과 240건 처리시간 0.023초

소나무속(屬) 수목의 부위별 추출물의 항균활성 (Antifungal Activities of Extracts from the Various Parts of the Genus Pinus Trees)

  • 김종진;한창훈;송홍근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4권4호
    • /
    • pp.269-272
    • /
    • 2001
  • 소나무속의 3수종, 소나무, 리기다소나무 및 잣나무의 부위별 추출물을 병원진균인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를 대상으로 항균활성을 조사하였다. 위 균주에 대하여 가장 우수한 항균활성은 잣나무 수피 및 근피 EtOAc 분획분에서 나타났는데 5.0 mg/l 농도에서 각각 98.8%와 100%로 조사되었다. 한편 두 분획분의 위 균주에 대한 $ED_{50}$(median effective dose)는 각각 469 ${\mu}g/ml$및 588 ${\mu}g/ml$로 조사되어 수피 추출물이 보다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잣나무 수피 EtOAc 분획분의 다른 병원진균 Alternaria brassicicola 및 Fusarium oxysporum에 대한 $ED_{50}$는 각각 533 ${\mu}g/ml$ 및 2,277 ${\mu}g/ml$로 나타나 이 분획분의 항균활성은 F. oxysporum보다 C. gloeosporiodes나 A. brassicicola이 더 우수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한편 잎 추출물의 경우를 보면, 소나무 잎 EtOAc 분획분은 C. gloeosporiodes에 대하여 5.0 mg/l 농도에서 39.6%의 활성을 보였으나 다른 두 수종의 잎 추출물에서는 추출 용액에 상관없이 거의 활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현재 주요 항균활성 화합물들은 분리, 동정 중에 있다.

  • PDF

Fusaium oxysporum에 의한 양딸기 시들음병의 약제방제 및 품종저항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Varietal Resistance and Chemical Control to the Wilt of Strawberry caused by Fusarium oxysporum)

  • 김충회;서효덕;조원대;김성봉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61-67
    • /
    • 1982
  • 본시험은 1974년 충남 태천지방에서 처음 발견된 딸기의 이상고사 증상의 원인을 구명코져 1977년부터 3년간 수행되었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이병주의 관부${\cdot}$잎자루${\cdot}$뿌리로부터 주로 Fusarium oxysporum균이 분리되었으며 접종시험결과 보교조생에 병원성이 있었고 이병주로부터 동균이 재분리되었다. 2. 병원균은 감자설탕 한천배지(PSA)에서 소형, 대형분생포자와 후막포자를 풍부히 형성하였다. 소형분생포자의 크기는 $5.0\~13.0\times2.5\~3.0\mu$, 대형분생포자의 크기는 $12.8\~62.5\times2.5\~5.0\mu$, 후막포자는 $7.5\~13.8\times5.5\~12.5\mu$의 범위였다. 3. 병원균의 PSA 배지에서의 균사생육은 $20^{\circ}C$ 보는 $25\~30^{\circ}C$에서 좋았으며 $35^{\circ}C$에서는 극히 낮았다. 4. 충남 태천지방에서의 병의 발생은 3월 하순부터 관찰되었으며 4월 중순에 일시 주춤하였다가 5월 초순부터 급격히 증가하기 시작하여 6월 4초순에는 $40.2\%$의 발병주율을 보였다. 5. 실내 및 포장에서의 약제시험 결과 디포라탄, 레이트티, 톱신엠의 효과가 비교적 우수하였으나 무처리에 비해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6. 품종저항성 검정결과 팔천대, 대학 1호, 계통 10-2, 고영, 센가센가나는 저항성, 춘향, 엠파이어는 중간성, 노드웨스트, 보교조생은 이병성이었다.

  • PDF

포장에서 녹병 병원균인 Puccinia zoysiae에 대한 한국잔디의 종별 상이한 반응 (Different Responses of Zoysiagrass (Zoysia spp.) Ecotypes against Puccinia zoysiae Causing Rust Disease in Field)

  • 성창현;이정호;구준학;홍점규;윤정호;장석원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5권4호
    • /
    • pp.256-259
    • /
    • 2016
  • 활물기생 병원성 진균류인 Puccinia zoysiae는 한국에서 한국잔디류(Zoysia spp.)에 녹병을 일으켜 피해를 준다. 그 곰팡이는 감수성 한국잔디의 잎과 줄기에 병을 일으키는 병원균들 중 하나이다. 한국잔디 녹병이 2014년과 2015년 경남 합천, 충북 음성, 경기 양주에서 발견되었다. 포장에서 한국잔디 녹병은 잎에 작은 하얀 반점으로 나타나고 갈색으로 변한 후 여름 포자가 형성되는 전형적인 증상을 나타냈다. 여름포자는 연한 갈색으로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크기는 $22.0{\sim}25.0{\times}15.0{\sim}17.5{\mu}m$의 범위였다. 채집한 여름포자로부터 들잔디에 대한 병원성이 확인되었고, 형태적인 특성을 기초로 병원균은 P. zoysiae로 동정되었다. 우리나라에서 한국잔디 녹병은 6월 중순부터 10월 중순까지 관찰되었다. 포장에서 금잔디는 들잔디에 비해 지역에 관계없이 상대적으로 저항성을 보였고, 금잔디와 들잔디 모두 계통 간에 병 반응에서 차이를 나타냈다.

철쭉나무(Rhododendron schlippenbachii)에 대한 엽상 지의류 Dirinaria applanata의 병원성 조사 (Effects of Lichen Colonization of Dirinaria applanata on the Death of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 오순옥;고영진;허재선
    • 식물병연구
    • /
    • 제13권1호
    • /
    • pp.34-39
    • /
    • 2007
  • 지난 수년간 전남 소록도에서 관상용으로 관리되던 철쭉나무들이 고사되기 시작하였고, 고사된 철쭉나무에 다량의 지의류가 정착 번성하고 있다는 보고를 접하고, 철쭉나무의 고사와 지의류의 병원성에 대한 관계 규명을 위하여 본 조사를 실시하게 되었다. 이를 위하여 지금까지 문헌에 보고된 식물병원성 가능 인자에 대하여 조사하기 위하여 지의류형성곰팡이 균사의 식물체 감염 여부, 공생조류에 의한 병원성 여부, 지의체 대사산물에 의한 식물체 피해 여부에 대하여 검증을 실시하였다. 지의류가 정착된 철쭉나무 가지를 절편하여 분별염색을 실시하여 조직을 관찰한 결과, 고사된 조직 내에 지의류형성곰팡이 균사의 직접적인 감염을 확인할 수 없었으며, 공생조류를 분리하여 인위적으로 접종한 결과, 공생조류가 식물체 조직 내에서 생존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뚜렷한 병발생이나 병징이 나타나지 않았다. 지의류 대사물질에 의한 식물조직의 피해를 알아보기 위하여 지의류 추출액을 처리한 결과에서도 뚜렷한 병징 발생 유도나 조직 피해가 관찰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실험 결과로 지의체가 직접적으로 식물병을 일으키는 것으로 보기는 어렵다는 결론을 낼 수 있었으며 식물체 고사와 지의류의 번성간의 인과 관계에 대한 고찰을 하였다.

Endophytic Trichoderma gamsii YIM PH30019: a promising biocontrol agent with hyperosmolar, mycoparasitism, and antagonistic activities of induced volatile organic compounds on root-rot pathogenic fungi of Panax notoginseng

  • Chen, Jin-Lian;Sun, Shi-Zhong;Miao, Cui-Ping;Wu, Kai;Chen, You-Wei;Xu, Li-Hua;Guan, Hui-Lin;Zhao, Li-Xing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0권4호
    • /
    • pp.315-324
    • /
    • 2016
  • Background: Biocontrol agents are regarded as promising and environmental friendly approaches as agrochemicals for phytodiseases that cause serious environmental and health problems. Trichoderma species have been widely used in suppression of soil-borne pathogens. In this study, an endophytic fungus, Trichoderma gamsii YIM PH30019, from healthy Panax notoginseng root was investigated for its biocontrol potential. Methods: In vitro detached healthy roots, and pot and field experiments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pathogenicity and biocontrol efficacy of T. gamsii YIM PH30019 to the host plant. The antagonistic mechanisms against test phytopathogens were analyzed using dual culture,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Tolerance to chemical fertilizers was also tested in a series of concentrations. Result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 gamsii YIM PH30019 was nonpathogenic to the host, presented appreciable biocontrol efficacy, and could tolerate chemical fertilizer concentrations of up to 20%. T. gamsii YIM PH30019 displayed antagonistic activities against the pathogenic fungi of P. notoginseng via production of VOCs. On the basis of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VOCs were identified as dimethyl disulfide, dibenzofuran, methanethiol, ketones, etc., which are effective ingredients for antagonistic activity. T. gamsii YIM PH30019 was able to improve the seedlings' emergence and protect P. notoginseng plants from soil-borne disease in the continuous cropping field tests.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endophytic fungus T. gamsii YIM PH30019 may have a good potential as a biological control agent against notoginseng phytodiseases and can provide a clue to further illuminate the interactions between Trichoderma and phytopathogens.

목초액의 항균활성 및 농약, 식품보존제로의 이용 가능성 (Antimicrobial Activities of Wood Vinegar and Application as Natural Fungicides and Food Preservatives)

  • 이성숙;안병준;조성택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8권4호
    • /
    • pp.341-348
    • /
    • 2010
  • 목초액의 농약 또는 식품보존제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소나무 및 참나무류 기계식 목초액을 대상으로 항진균 및 항세균 활성을 검정하였다. 그 결과 항진균활성의 경우 미정제 목초액은 0.5% 이상의 농도 에서, 정제 목초액은 1.0% 이상의 농도에서 공시 식물병원균 및 목재부후균의 생장을 완전히 억제하여 미정제 목초액이 정제 목초액보다 항균활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참나무류 목초액이 소나무 목초액보다 항 균활성이 높아 탄화 원료인 수종에 따라 항균활성의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균종별로는 표고 해균인 주홍 꼬리버섯에 대한 항균효과가 다른 공시 균주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나 균의 종류에 따라 목초액에 대한 감수성이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한편, 식품부패균 및 식중독균에 대한 항세균활성을 검정한 결과 소나무 및 참나무류 미정제 목초액의 경우 10% 농도에서 모든 공시 균주에 대해 생육저지환을 형성한 반면 정제 목초액 의 경우에는 저지환을 형성하지 않아 항세균활성도 미정제액이 정제액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균종에 따른 감수성에도 차이가 있어 그람 양성균에 대한 항균활성이 그람 음성균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았으나 탄화 원료에 의한 차이는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 목초액은 식물병원균, 목재부후균, 식품부패균 및 식중독 균에 대한 항균활성이 우수하여 유기합성 농약을 대체하거나 식품의 부패를 막기 위한 식품보존제로서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고추의 미기록병(未記錄病)인 Cercospora capsici에 의(依)한 고추 반점병(斑點病) (Undescribed Fungal Leaf Spot Disease of Pepper Caused by Cercospora capsici in Korea)

  • 성재모;조의규;조동진;강수웅
    • 한국균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75-77
    • /
    • 1984
  • 진주지방 vinyl house에서 자란 고추잎에 생긴 병반(病斑)을 채집하여 병원균(病原菌)을 분리(分離)하였다. 분리(分離)된 병원균(病原菌)의 분생자종(分生子種)의 길이 $40{\sim}150\;{\mu}m$ 폭은 $4.5{\sim}7\;{\mu}m$이고 $3{\sim}15$개가 총생으로 형성(形成)하며 분생포자(分生胞子)의 길이는 $40{\sim}185{\mu}m$이고 폭(幅)은 $4{\sim}5{\mu}m$이었다. 이 병원균(病原菌)은 PDA에서 늦게 자라고 포자(胞子)가 잘 형성(形成)되지 않으며 잎에 형성(形成)된 병반(病斑)을 습실처리하면 분생포자(分生胞子)가 잘 형성(形成)한다. 병원성검정(病原性檢定)을 위하여 만점에 생긴 분생포자(分生胞子)를 가지고 포자현탁액을 가지고 접종(接種)하였더니 고추의 잎과 엽병에 채집된 병징과 같은 개구리눈 모양을 한 병반(病班)이보였다. 고추에서 분리(分離)된 병원균(病原菌)은 분생자종(分生子種)의 모양과 크기 분생포자(分生胞子)의 길이와 병원성(病原性)에 의(依)하여 Cercospora capsici Heald et. Wolf 로 동정(同定)되었다.

  • PDF

PCR 기법을 이용한 Phoma glomerate 의 특이검출 (Specific and Sensitive Detection of Phoma glomerata Using PCR Techniques)

  • 윤여홍;서동연;김현주;김성환
    • 한국균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52-55
    • /
    • 2013
  • Phoma glomerata는 식물 잎이나 열매에 병을 일으키는 식물병원균으로 알려져 있다. 국내에서는 아직 피해사례가 없기 때문에 P. glomerata는 국내의 식물검역균으로 관리되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에 들어오는 목재나 과일에 P. glomerata를 검출할 수 있는 방법 개발코자 수행되었다. Phoma 균주들의 translation elongation factor 1 alpha 유전자 염기서열에 기초하여 P. glomerata 특이적 PCR 프라이머를 디자인 하였고 그 특이성을 검정하였다. PCR 수행 결과 P. glomerata에서만 170 bp 크기의 밴드가 증폭되었고, 다른 비교 균주에서는 밴드가 증폭되지 않았다. 검출 감도를 평가하기 위해 기존 PCR방법과 real time PCR 방법을 이용하여 실험한 결과 최소 10 pg과 1 pg까지 각각 검출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디자인된 PCR 프라이머가 P. glomerata를 특이적으로 검출하는데 유용할 것임을 보여준다.

Pestalotiopsis menezesiana에 의한 참다래 잎마름병과 발생생태 (Leaf Blight of Kiwifruit Caused by Pestalotiopsis menezesiana (Bress. & Torr.) Bissett and Its Ecopathology)

  • 박지영;이웅;송동업;성기영;조백호;김기청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22-29
    • /
    • 1997
  • Etiological and ecopathological studi88888es on the leaf blight of kiwifruit (Chinese gooseberry), a disease newly found in 1993 in Korea, were carried out in this experiment. The leaf blight symptom was prevalent in the southern area of Chonnam Province where kiwifruits were widely cultivated. The disease occurred from July to fall, causing early defoliation of kiwifruit vines. Small brownish circular or irregular lesions appeared initially on the leaves, starting from the marginal leaf areas, and enlarged. Afterwards small grayish black granules (acervuli) were formed on the lesions. The color of old lesions changed to grayish brown or grayish white. The causal fungus was identified as Pestalotiopsis menezesiana (Bress. & Torr.) Bissett according to its morphological characters and pathogenicity (pathogenic to Chinese gooseberry and grapevine, but not to other hosts of Pestalotiopsis spp.such as tea, apple, persimmon, and chestnut). As P. longiseta and P. neglecta were reported recently in Japan as pathogens causing similar blight symptoms in kiwifruit, P. menezesiana is a new leaf blight pathogen in kiwifruit. Development of the disease was stimulated by wounding, prevailing wind, and drought. The causal fungus was proven to be overwintered in the diseased leaves on the ground surface.

  • PDF

Colletotrichum acutatum에 의한 배암차즈기 탄저병 (Anthracnose of Salvia plebeia Caused by Colletotrichum acutatum in Korea)

  • 권진혁;남명현;박창석
    • 식물병연구
    • /
    • 제13권2호
    • /
    • pp.119-121
    • /
    • 2007
  • 2004년부터 2005년까지 2년간 경남농업기술원 약초재배 포장에 재배중인 배암차즈기에서 이상증상이 발생하였다. 병징은 잎, 잎자루, 줄기 등 식물체 전부위에서 발생하였다. 식물체가 서서히 시들기 시작하면서 수침상으로 물러지고 썩으면서 갈색 또는 암갈색으로 변색되어 결국 말라 죽는다. 균총의 색깔은 감자한천배지에서 회색이며 배지표면에 분홍색의 분생포자퇴를 형성하였다. 분생포자의 모양은 단세포, 방추형이며, 크기는 $8{\sim}17{\times}3{\sim}4\;{\mu}m$이었다. 부착기는 연한 암갈색이고 곤봉상이며 크기는 $8{\sim}11{\times}4{\sim}6\;{\mu}m$이었다. 균사생육 적온은 $25^{\circ}C$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이 병원균을 Colletotrichum acutatum J. H. Simmonds에 의한 배암차즈기 탄저병으로 명명할 것을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