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th information

검색결과 5,229건 처리시간 0.03초

인지 무선 애드혹 네트워크에서 경로 신뢰성을 고려한 효율적인 라우팅 기법 (An Efficient Routing Protocol Considering Path Reliability in Cognitive Radio Ad-hoc Networks)

  • 최준호;유상조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9B권11호
    • /
    • pp.730-742
    • /
    • 2014
  • 인지무선 애드혹 네트워크(Cognitive Radio Ad-hoc Networks)에서 요구기반 라우팅을 수행할 경우, 경로 탐색 과정에서 발생하는 경로탐색 메시지의 브로드캐스팅은 공통 제어 채널의 과부하를 유발하고 패킷 간의 충돌을 발생시킨다. 이런 현상은 경로탐색의 오버헤드를 증가 시키며, 정확하고 신뢰성있는 경로의 탐색에 제한을 받게 된다. 이로 인하여 신뢰성있는 채널을 찾는 경로가 제한되기 때문에 경로의 생존 시간이 단축되고 경로의 안정성이 감소된다. 본 논문에서는 인지무선 ad-hoc네트워크에서 주사용자의 출현 가능성과 주변 사용자의 상황을 고려하여 패킷 충돌을 감소시키고 경로의 생존시간을 향상 시키는 라우팅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각 노드는 주기적인 센싱을 통해 주사용자의 사용패턴을 감지하고 채널의 사용 확률과 현재 채널 상태를 알고 있다. 또한 이웃 노드와 메시지 교환을 통해 공통된 채널과 해당 채널의 품질을 파악하여 노드 사이에 링크 레벨을 부여한다. 제안된 방법에서는 링크 레벨을 이용하여 경로 탐색 과정에서 발생하는 제어 메시지의 수를 감소시킨다. 또한 링크의 생존성과 품질을 홉 카운트에 따라 가중치를 부여하여 경로를 선택함으로써 경로의 생존 시간을 향상 시킬 수 있다. 성능 평가를 통해 기존의 방법 보다 제안된 방법을 이용하여 라우팅을 수행할 경우 제어 채널의 오버헤드가 감소되고 경로의 생존시간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무선 애드 혹 네트워크 환경에서 노드의 이동성을 고려하여 경로 안정성을 높인 향상된 AOMDV (Improved AOMDV to Increase of Path Stability by Considering the Mobility of Nodes in Wireless Ad-Hoc network environment)

  • 박란;김우완;장상동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16-219
    • /
    • 2012
  • 무선 애드 혹 네트워크에서 경로를 구성하고 있는 노드들은 라우터로서 동작하고, 각기 다른 이동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경로를 구성하고 있는 노드 중 이동성이 높은 노드가 포함되어 있다면 그 노드는 경로 단절을 빈번히 일으키는 원인이 되므로 경로 선택에서 최대한 배제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경로의 안정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기존에 알려져 있는 다중경로 라우팅 프로토콜인 AOMDV(Ad-Hoc On-demand Multipath Distance Vector)를 확장하여 노드의 이동성에 대한 정보를 기록하고 관리한다. 노드의 이동성에 대한 정보 관리를 위해 History필드와 Decline필드를 추가하고, 관리하는 정보를 실제 경로 설정에 반영하기 위해 RREP(Route Reply)메시지에 Mbl필드를 추가하여 이동성이 높은 노드를 경로 구성에서 배제하여 보다 안정적인 경로를 구성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지능형 굴삭을 위한 작업정보모델 및 작업경로 시뮬레이터 개발 (Development of a Work Information Model and a Work Path Simulator for an Intelligent Excavation)

  • 김성근;민성규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2권3D호
    • /
    • pp.259-267
    • /
    • 2012
  • 건설자동화 시스템 개발은 건설업이 당면하고 있는 여러 가지 어려움을 해결하고 급변하고 있는 건설환경을 위한 대응책으로 설득력 있는 해결책 중의 한가지로 제안되고 있다. 2006년부터 지능형 굴삭시스템 개발을 위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지능형 굴삭시스템은 작업환경 센싱, 3D 모델링, 작업계획, 작업경로계획, 무인조정 및 정보관리를 위한 다양한 기능을 갖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지능형 굴삭시스템을 실제 현장에 적용하기 위하여 필요한 요소기술 중의 하나인 작업계획 및 작업경로계획 기능구현을 위한 공간정보모델과 작업경로 시뮬레이터를 제시하고자 한다. 기존의 자료구조인 쿼드트리나 옥트리 구조가 갖고 있는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토공작업을 위한 새로운 자료구조를 제시하였다. 작업경로 시뮬레이터는 작업환경에 관한 정보, 토공장비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며 작업자의 휴리스틱을 고려하여 효과적인 작업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시뮬레이터에 의하여 생성된 작업경로와 굴삭기 운전자가 제안하고 있는 작업경로를 서로 비교하였다.

대역을 보장하는 망 복구 대체 경로 설정을 위한 방안의 분석 (A Study on network restoration path setup and bandwidth guarantee)

  • 홍석원;이황규;전병천;윤현정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하)
    • /
    • pp.1107-1110
    • /
    • 2000
  • 망 복구에 있어서 주요한 과제는 복구의 대상으로 하고 있는 작업 경로(working path)에 대한 복구경로(restoration path) 흑은 대체 경로(backup path)를 설정하는 것이다. 대체 경로를 설정할 때 작업경로의 대역을 보장할 수 있는 대체 경로를 설정해야 한다. 따라서 이 과제는 대역의 보장을 고려하여 경로를 설정하는 QoS 라우팅의 해결책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동일 링크의 작업 경로가 아닐 경우 대체 경로의 대역을 공유함으로써 최대한 대역의 소비를 피하면서, 작업 경로의 대역을 보장하는 대체 경로를 설정하는 disjoint 경로를 계산하는 알고리즘을 제시하고 시뮬레이션을 통해서 대체 경로로 인한 대역의 소비(bandwidth consumption) 효과를 분석하였다.

  • PDF

Maze Solving Algorithm

  • Ye, Gan Zhen;Kang, Dae-Ki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88-191
    • /
    • 2011
  • Path finding and path planning is crucial in today's world where time is an extremely valuable element. It is easy to plan the optimum path to a destination if provided a map but the same cannot be said for an unknown and unexplored environment. It will surely be exhaustive to search and explore for paths to reach the destination, not to mention planning for the optimum path. This is very much similar to finding for an exit of a maze. A very popular competition designed to tackle the maze solving ability of autonomous called Micromouse will be used as a guideline for us to design our maze. There are numerous ways one can think of to solve a maze such as Dijkstra's algorithm, flood fill algorithm, modified flood fill algorithm, partition-central algorithm [1], and potential maze solving algorithm [2]. We will analyze these algorithms from various aspects such as maze solving ability, computational complexity, and also feasibility to be implemented.

  • PDF

모바일 컴퓨팅 환경에서의 디지털 로드맵 데이타베이스를 위한 근접 최단 경로 재계산 방법 (An Approximate Shortest Path Re-Computation Method for Digital Road Map Databases in Mobile Computing Environments)

  • 김재훈;정성원;박성용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데이타베이스
    • /
    • 제30권3호
    • /
    • pp.296-309
    • /
    • 2003
  • 모바일 컴퓨팅의 상업적인 응용분야로서, 지능형 교통정보시스템(ITS: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의 한 분야인 첨단 여행자 정보시스템(ATIS: Advanced Traveler Information Systems )이 있다. ATIS에서 가장 중요한 모바일 컴퓨팅 태스크는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까지의 최단 경로를 계산하는 일이다. 본 논문에서는 ATIS의 동적 경로 안내 시스템(DRGS: Dynamic Route Guidance System)에서 발생하는 최단 경로 재 계산 문제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이 문제는 동적인 교통상태에 따라 디지털 로드 맵 상의 간선 비용이 빈번하게 갱신되기 때문에 발생한다. 기존의 방법들은 처음부터 최단 경로를 재 계산하거나, 또는 단지 비용의 변화가 일어난 간선 상에 있는 양 꼰 노드 사이에 대해서만 최단 경로를 재 계산할 뿐이다. 이러한 방법은 앞서 계산된 최단 경로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모두 비효율적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효율적인 동적 윈도우 기반의 근접 최단 경로 재 계산 방법(A Dynamic Window-Based Approximate Shortest Path Re-Computation Method)을 제안한다. 이 방법은 앞서 계산된 최단 경로의 정보를 이용하여 최적의 최단 경로에 상당히 근접한 경로를 매우 빠른 시간 안에 계산해 낸다. 우리는 제안한 방법을 이론적으로 분석한 다음 이를 격자 그래프 및 실제 디지털 로드맵 상에 구현하여 철저한 실험적인 성능 분석을 하였다.

VTA* 알고리즘: 가변적인 턴 휴리스틱을 적용한 A* 경로탐색 알고리즘 (VTA* Algorithm: A* Path-Finding Algorithm using Variable Turn Heuristic)

  • 김지수;조대수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663-668
    • /
    • 2010
  • 차량을 타고 이동할 경우 좌회전, 우회전, U턴 등의 방향 전환은 차량의 속력 감소의 주요한 요인이 된다. 즉, 같은 거리를 이동할 경우 방향전환이 잦은 경로보다 직진 구간이 많은 경로가 보다 빨리 목적지에 도착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직진성이 높은 경로를 탐색하기 위해서 방향전환비용을 고려한 턴 휴리스틱과 이률 적용한 경로탐색 알고리즘(TA*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또한 TA* 알고리즘의 탐색비용을 개선하기 위해서 일부 구간에서만 턴 휴리스틱을 적용하는 가변적인 턴 휴리스틱(VTA*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K-Shortest Path 알고리즘에 기초한 새로운 대역폭 보장 라우팅 알고리즘 (New Bandwidth Guaranteed Routing Algorithms based on K-Shortest Path Algorithm)

  • 이준호;이성호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8권11B호
    • /
    • pp.972-984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MPLS 네트워크에서 LSP 설정에 적용될 수 있는 새로운 대역폭 보장 온라인 라우팅 알고리즘들을 제안하고 기존의 알고리즘들과 함께 그 성능을 시뮬레이션을 통해서 평가한다. 제안된 방식은 기존의 WSP나 SWP 알고리즘을 K-shortest loopless path 알고리즘에 기초해서 확장시킨 형태를 가진다. 시뮬레이션을 통해서 accepted bandwidth, accepted request number 그리고 average path length라는 성능을 평가한 결과, 모든 노드들이 LSP 설정의 ingress나 egress 노드가 될 수 있는 상황에서 제안된 방식들이 전반적으로 우수한 성능을 보였는데 네트워크 부하가 큰 경우에는 특히, 최소 홉 경로에 기초한 방식들이 좋은 성능을 보임을 알 수 있다.

MPLS 트래픽 엔지니어링을 위한 다중경로 Constraint-based 라우팅 알고리즘 (Muli-path Constraint-based Routing Algorithms for MPLS Traffic Engineering)

  • Lee, Jae-Young;Kim, Byung-Chul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9권5B호
    • /
    • pp.508-519
    • /
    • 2004
  • 이 논문에서는 MPLS를 사용한 인터넷 트래픽 엔지니어링에 사용될 수 있는 다중경로 한계조건 기반 라우팅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기존에 사용되던 한계조건 기반 최단경로 라우팅 알고리즘은 트래픽 엔지니어링의 중요한 요소 중에 하나인 대역폭 한계조건이 큰 간을 가지는 경우에는 조건을 만족하는 경로를 찾지 못할 확률이 높아진다. 제안된 다중경로 알고리즘은 대역폭 한계조건을 만족하는 하나의 경로를 찾을 수 없는 경우, 대역폭 조건을 여러 개의 작은 값으로 나누어 각각의 작은 대역폭 한계조건에 대해 다중경로를 찾는 알고리즘이다.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제안한 알고리즘을 사용할 경우 주어진 네트웍 상황과 대역폭 한계 조건에서 더 높은 경로설정 성공확률을 나타내며, 네트웍 자원 이용률도 개선되는 것을 보였다.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friendly maze program for early childhood based on a path searching algorithm

  • Yun, Unil;Yu, Eun Mi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2권6호
    • /
    • pp.49-55
    • /
    • 2017
  • Robots, games and life applications have been developed while computer areas are developed. Moreover, various applications have been utilized for various users including the early childhood. Recently, smart phones have been dramatically used by various users including early childhood. Many applications need to find a path from a starting point to destinations. For example, without using real maps, users can find the direct paths for the destinations in realtime. Specifically, path exploration in game programs is so important to have accurate results. Nowadays, with these techniques, diverse applications for educations of early childhood have been developed. To deal with the functions, necessity of efficient path search programs with high accuracy becomes much higher. In this paper, we design and develop a friendly maze program for early childhood based on a path searching algorithm. Basically, the path of lineal distance from a starting location to destination is considered. Moreover, weight values are calculated by considering heuristic weighted h(x). In our approach, A* algorithm searches the path considering weight values. Moreover, we utilize depth first search approach instead of breadth first search in order to reduce the search space. so it is proper to use A* algorithm in finding efficient paths although it is not optimized path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