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rents' childhood experience

검색결과 67건 처리시간 0.022초

부모와 유치원교사의 어린이 감염예방 및 교육요구도 조사 (Survey of Parents and Kindergarten Teachers on their Educational Needs Regarding the Prevention of Infectious Diseases in Children)

  • 김동희;박정하
    •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213-223
    • /
    • 2016
  • Objectives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ducational status and needs of both parents and kindergarten teachers pertaining to the prevention of infectious diseaes in children. Methods : The participants were 280 parents and 147 kindergarten teachers. Data were collected from August 21, 2013 to December 30, 2014. Results : Only 16.7% of parents had educational experience with infectious diseases. The source of their education was broadcast media and their preferred educational method was the internet. Parents reported that the childhood infection about which they should be educated were influenza (30.4%) followed by hand-foot-and-mouth disease (13.9%), food poisoning (6.4%), and so on. About 27.2% of kindergarten teachers had received an education about infectious diseases, and the major source of their education was refresher training. The teachers' preferred educational method was the internet. The teachers wanted to be educated about influenza (22.4%), hand-foot-and-mouth disease (20.4%), food poisoning (20.4%) and so on. Conclusions : Educational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and applied to children, parents and kindergarten teachers based on consideration of their educational needs.

전원마을 이주 학부모의 자녀교육 경험에 대한 연구 (A Study on Experience of Parents Who Moved to Rural Village for Their Children's Education)

  • 신미숙;길양숙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1호
    • /
    • pp.155-162
    • /
    • 2020
  • 우리는 이 연구에서 전원마을에 이주하여 살고 있는 학부모의 자녀교육 경험의 의미를 파악하였다. 자녀교육을 위해 도시로 이주하는 일반적인 경향과 달리 자녀의 교육을 위해 전원으로 이주하는 것은 특이 현상이기 때문이다. 자료 수집을 위해 전원마을로 이주한 초등학생 학부모 6명을 대상으로 그들의 자녀교육 경험에 대해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면담 자료는 Colaizzi의 현상학적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전원마을 이주 학부모의 자녀교육 관련 경험에서 30개의 주제, 8개의 주제묶음과 3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전원 이주 학부모의 행동을 설명하는 대주제는 '전원에서의 삶에 대한 그리움', '소통과 공감의 경험', '자녀의 행복 중시 교육' 등이다. 그 하부에 속한 8개의 주제묶음은 '아파트의 답답한 환경이 싫음', '어릴 적 전원생활에서의 긍정적 경험', '다양한 직간접 경험을 중시함', '자유롭고 호기심을 자극하는 전원 환경', '이웃과 소통하고, 공감하는 경험', '부모 욕심으로 인한 사교육에 대한 후회', '아이 중심 교육 중시', '인성과 예체능 중심의 자기공부 지향' 이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전원마을 이주 학부모의 자녀교육 경험이 교육실제에 주는 시사점을 논의하고, 후속 연구를 제안하였다.

유아기 우식증과 치아 우식 예방에 대한 학령전 어린이 부모의 지식과 태도 (Knowledge and Attitude of Parents of Preschool Children about Early Childhood Caries and Dental Caries Prevention)

  • 이한이;김재곤;이대우;양연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407-417
    • /
    • 2018
  • 유아기 우식증과 이의 예방에 대해 어린이의 부모가 가지는 구강건강 지식 및 태도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의 평가를 목적으로, 전주시 소재 유치원 3개소의 만 3 - 5세 어린이 중 최소 1회 이상의 영유아 구강검진 경험이 있는 어린이의 부모 24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220명의 보호자의 설문지가 최종 분석을 위해 채택되었다. 어린이 구강건강에 대한 어머니의 전반적 인식은 100점 만점으로 환산하였을 때 82.3점(10.7/13개)으로 비교적 양호하였고, 어머니의 구강건강 지식수준과 어머니의 연령(p = 0.027), 교육수준(p = 0.002), 가계 월수입(p = 0.000)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구강건강에 관한 정보의 주된 습득경로는 치과 의료진(83.6%)이었고, 웹 검색(22.3%)이 뒤를 이었다. 결론적으로 과거의 연구에 비해 보호자의 구강건강 지식수준은 향상되었다. 그러나 이 연구에서 미흡하게 평가된 항목에 대한 보호자의 인지도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영유아 구강검진 사업에 대한 홍보를 강화하여 수검률을 높이고, 구강검진 시 행해지는 구강 보건교육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어린이집 부모모니터링 사업'에 참여한 보육전문가, 부모 및 원장의 경험 탐색 (An Exploration of the Experiences in Childcare Experts, Parents, and Directors with Participation in 'Daycare Centers Monitoring Program')

  • 견주연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9-38
    • /
    • 2017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actical experiences of childcare experts, parents, and daycare center directors who participated in the 'Daycare Centers Monitoring Program' carried out in K city. Methods: Participants were three childcare experts who belong to the monitoring group in K city, three mothers with infants and children, and three daycare center directors who were selected for the 'Daycare Centers Monitoring Program'. Results: As a result of the research, the childcare experts experienced the following; 1) sharing interesting experiences with parents, 2) a perception of the monitoring program for taking advantage of mutual strengths, 3) the opportunity of maintaining a sense of presenc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et al. The mothers' experiences were shown to include, 1) resolving small questions about the operation and management of a daycare center, 2) feelings of relief through observing the life style of infants and children, 3) the joy and reward of being a member of the monitoring group, et al. The directors' experiences were indicated to include 1) a psychological discomfort recognized as a target of the daycare monitoring and as 'another evaluation', 2) the confusion caused by different reviews, 3) an ambiguity on the unfamiliar indexes and contents electronically documented, et al. Conclusion/Implications: Based on these results, there was a discussion about actual suggestions and educational implications on the daycare monitoring program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daycare services in childcare centers.

어머니의 아동기 부정적 경험 위험군이 자녀의 정서적·신체적 학대 및 방임과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aternal Adverse Childhood Experience Risk Factors on Children's Emotional and Physical Abuse and Neglect and Parenting Stress)

  • 조은정;박인희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3-26
    • /
    • 2023
  • 목적 : 본 연구는 어머니의 아동기 부정적 경험 위험군이 자녀의 정서적·신체적 학대 및 방임과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2018년 '아동가족 생애경험 실태조사'를 통해 얻어진 원시자료를 이용한 이차차료 분석연구이다. 아동기 부정적 경험이 1개 이상인 어머니 1,937명을 대상으로 아동기 부정적 경험 저위험군(1-3개), 중위험군(4-6개), 고위험군(7개 이상)별로 분류하여 자녀의 정서적·신체적 학대 및 방임과 양육스트레스 차이를 조사하고, 회귀분석을 통해 영향요인을 확인하였다. 결과 : 어머니의 아동기 부정적 경험은 저위험군 50.4%, 중위험군 39.8%, 고위험군 9.7%였다. 자녀 정서적 학대는 45.0%, 자녀 신체적 학대는 13.2%, 자녀 방임은 3.5%, 양육스트레스는 평균 2.13(±0.61)으로 나타났다. 아동기 부정적 경험은 저위험군보다 중위험군, 고위험군인 경우 정서적·신체적 학대 및 방임, 양육스트레스 가능성이 유의하게 높으며,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모형의 설명력은 자녀 정서적 학대 35%, 자녀 신체적 학대 25%, 자녀 방임 19%, 양육스트레스 16%의 설명력을 보였다. 결론 : 부모의 아동기 부정적 경험이 고위험군일수록 자녀의 정서적 학대, 신체적 학대, 자녀 방임을 더 가하며, 양육스트레스가 높아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부모관련 부정적 생활사건의 경험과 청소년의 정신건강 및 비행행위 (Experience of Parent-related Negative Life Events, Mental Health, and Delinquent Behavior among Korean Adolescents)

  • 김동식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40권3호
    • /
    • pp.218-226
    • /
    • 2007
  • Objectives :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of parent-related negative life events with mental health and delinquent behaviors among Korean adolescents. Methods : A total of 2,976 high school first-grade pupils (1,498 boys & 1,478 girls) taking part in the third wave of Korean Youth Panel Survey completed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regarding parent-related life events, depressive feelings, suicidal ideation, delinquent behavior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parental socioeconomic status, social support, and social capital. Data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Results : After adjusting for all covariates, the more parent-related negative life events adolescents experienced throughout their whole life, the more likely adolescent were to have mental and behavioral problems. A significant dose-response relationship between them was more clearly observed in girls than in boys. The experience of parentrelated negative events during childhood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suicidal ideation and delinquent behaviors for boys, and with depressive feelings for girls during adolescence. Indeed, parental social support, social capital, and having a close friend with delinquent behaviors, especially for girls,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related negative life events and both outcomes. Conclusions : The study showed a clear dose-response relationship of frequency of parent-related negative life events with poor mental and behavioral health for both genders. The residual effect of being exposed to parent-related events during childhood on mental health and delinquent behaviors during adolescence still remained.

위탁아동 입양부모의 양육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Qualitative Case Study on the Rearing Experience of Parents who Adopted a Child from Foster Care)

  • 권지성;정익중;민성혜;신혜원
    • 한국아동복지학
    • /
    • 제40호
    • /
    • pp.73-107
    • /
    • 2012
  • 이 연구의 목적은 위탁아동을 입양한 부모의 양육경험을 이해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요보호아동을 위탁하여 보호하다가 입양한 사례들을 접촉하여 개별적으로 면접을 진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수집한 자료들을 가지고 사례 내 분석과 사례 간 분석을 실시하였다. 네 사례에서 수집한 자료들을 개별적으로 분석하여 사례별로 중요한 이슈들을 파악하였으며, 전체 사례들에서 나타나는 공통적인 주제들을 발견하여 기술하였다. 분석결과로 나타난 주제는 '특별한 만남: 우연, 인연, 필연', '이미 내 아이', '사소하지만 본질적인 차이', '사회적 지원의 단절: 잃은 것과 얻을 수 있는 것', '숨길 수 없는 진실, 숨겨야 하는 진실', '가족의 운명' 등이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근거로, 위탁아동 입양가족들의 적응을 돕기 위한 정책과 실천 지침들을 제언하였으며,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고 더 풍부한 정보를 확보하기 위해 필요한 후속연구들에 대해서도 제언하였다.

보육경험 및 보육의 질과 5세 유아의 사회.정서발달과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5 Year Olds' Socioemotional Development and Daycare Experience and Daycare Quality)

  • 남궁수진;최영희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45-54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between early childhood socioemotional development and day care experience and daycare quality. The subjects were 116 children, age 5 years old, from 17 daycare centers. The teachers at the 17 daycare centers rated the quality of their facility while the mothers of the 116 children assessed their children's socioemotional development. Daycare experience was composed of: the time period, hours per day, and the child's starting age at enrollment in daycare. Daycare quality was measured by questionnaire developed by Park(1995). Children's socioemotional development was rated by K-CBCL (Oh et al. 1997).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tarting daycare experience less than 2 years of age, attending more than 6 days per week, and attending more than 8 hours per day of daycare experience were negatively related with children's development. Second, quality of daycare such as child-centered curriculum, abundant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opportunity for continuing education of teachers, higher levels of rewards and incentives for teachers, and the provision of nutritious food were positively related to the children's development.

  • PDF

성장기 학대경험이 청소년의 부모폭력에 미치는 영향 : 긍정적 친구관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Childhood Experience of Child Abuse on the Adolescent-To-Parent Abuse: With a Focus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Positive Relationship with Friends)

  • 김재엽;류원정;김준범
    • 사회복지연구
    • /
    • 제47권1호
    • /
    • pp.5-27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성장기 학대경험이 청소년의 부모폭력 가해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또한 긍정적인 친구관계가 이를 보호하는 요인임을 밝혀냄으로써 청소년에 의한 부모폭력 개입에 사회복지적 함의를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지역의 9개 중 고등학교 1,601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부모폭력 실태파악을 위해 빈도분석, 성장기 학대 경험이 청소년의 부모폭력 가해에 미치는 영향과 또래관계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상호작용항을 투입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1) 부모를 가해한 경험이 있는 청소년은 조사대상자의 12.8%였으며, 2) 성장기동안 부모로부터 학대를 경험한 청소년은 조사대상자의 40.6%로 나타났고, 성장기 학대 경험은 부모폭력 가해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3)긍정적 친구관계는 청소년의 부모폭력 가해를 조절하는 요인으로 나타나, 부모폭력에 중요한 보호요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이 검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학대 받는 부모 및 부모를 가해하는 청소년에 대한 사회적 관심의 제고와 올바른 이해가 필요하며, 이를 완화하기 위해 청소년의 긍정적인 친구관계를 통한 사회복지적 접근을 제안하였다.

아동성학대의 실태와 관련변인 -지방대도시 청년기여성의 경험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hild sexual abuse and related variables -focused on experiences of female adolescents in metropolitan areas-)

  • 유가효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221-239
    • /
    • 1995
  • Using a nonclinical sample of 566 female students, this study examines the frequency and the severity of child sexual abuse in Taegu area. It also analyzes the factors that determine the probability of experiencing both contact and noncontact forms of the abuse. The results show that children from low socio-economic status tend to experience severe types of contact abuse while children from higher socio-economic status ten to experience severe types of contact abuse while children from higher socio-economic status are likely to be exposed to noncontact abuse. The growing place in the childhood also affects the victimization to noncontact and contact abuse differently. The absence of the biological parents significantly contributes to the occurrence of contact abuse, but have no impact on the noncontact abuse. However, the closeness of the family members and frequent communication reduce the rates of both contact and noncontact abuse substantiall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