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rahaemolyticus

검색결과 450건 처리시간 0.027초

식품위해미생물에 대한 자몽종자 추출물과 젖산 혼합물의 항균효과 최적화 (Optimization of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Food-borne Pathogens in Grapefruit Seed Extract and a Lactic Acid Mixture)

  • 김해섭;박정욱;박인배;이영재;김정목;조영철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472-481
    • /
    • 2009
  • 반응표면분석법은 최적화 연구에 자주 사용되는 통계적 분석방법이다. 본 연구는 반응표면분석법에 의해 Staphylococcus aureus, Bacillus cereus, Escherichia coli, Salmonella typhimurium, Pseudomonas fluorescens 및 Vibrio parahaemolyticus에 대한 자몽종자 추출물과 젖산 혼합물의 항균활성을 검토하여 최적화하였다. 중심합성계획에 따라 1% 자몽종자 추출물 (GFSE)과 10% 젖산 (LA)의 비율 ($X_1$, 0:100-100:0 v/v)과 1% GFSE와 10% LA 혼합물의 농도 ($X_2$, 20-100%)를 독립변수로 하고 S. aureus ($Y_1$), B. cereus ($Y_2$), E. coli ($Y_3$), S. typhimurium ($Y_4$), P. fluorescens ($Y_5$) 및 V. parahaemolyticus ($Y_6$)에 대한 항균활성을 종속변수로 하여 항균활성을 측정하였다. 미생물에 대한 1% GFSE와 10% LA의 항균활성 처리조건의 최적범위는 다양한 조건하에서 얻어진 반응변수의 항균활성에 관하여 중첩된 등고선도로 예측하였고, 항균활성을 최대화하기위한 최적범위는 1% GFSE와 10% LA의 비율 35.73:64.27-56.58:43.42 (v/v)이었고 혼합물의 농도는 $51.70{\sim}100%$였다. 최적 항균활성 범위내의 주어진 조건 (1% GFSE:10% LA 비율 40:60, 1% GFSE:10% LA 혼합물 70%)에서 S. aureus ($Y_1$), B. cereus ($Y_2$), E. coli ($Y_3$), S. typhimurium ($Y_4$), P. fluorescens ($Y_5$) 및 V. parahaemolyticus ($Y_6$)에 대한 1% GFSE:10% LA 혼합물의 비율 및 농도의 항균활성은 각각 24.55, 25.22, 20.20, 22.49, 23.89 및 28.04 mm로 예측되었다. 최적조건 범위내의 임의의 조건에서 실험한 결과 각 종속변수들의 예측값과 실제값이 유사한 항균활성을 보였다.

PCR Kit와 선택배지를 이용한 계란의 병원성세균 검출 비교 평가 (Comparison of a PCR Kit and a Selective Medium to Detect Pathogenic Bacteria in Eggs)

  • 김동호;윤혜정;송현파;임상용;조민호;조철훈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965-970
    • /
    • 2009
  • 유통중인 계란의병원성균 오염상태를 시판되는 multiplex polymerase chain reaction (mPCR) kit로 검사한 결과, 총 90개의 검사시료 가운데 한 가지 이상의 미생물이 검출된 계란시료는 30개로, 검사시료의 미생물 오염도는 약 33.3% 수준이었다. 미생물별 검출 빈도는 B. cereus가 17개 시료(18.9%)에서 검출되어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으며 Y. enterocolitica는 16개(17.8%), L. monocytogenes 15개(16.7%), St. aureus 12개(13.3%), E. coli O157:H7 4개(4.4%)의 검출빈도를 보였다. 한편, 선택배지를 이용한 viable cell count 방법에서는 27개의 시료에서 미생물이 검출되어 검사시료의 미생물 오염도는 약 30.0% 수준이였으며, 미생물별 검출 빈도는 B. cereus가 17개 시료(18.9%)에서 14개(15.6%) 시료로, Y. enterocolitica는 16개(17.8%)에서 12개(13.3%)로, L. monocytogenes는 15개(16.7%)에서 13개(14.4%)로, St. aureus는 12개(13.3%)에서 10개(11.1%)로 감소하였으며, E. coli O157:H7은 두 가지 검출방법간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검출 대상 미생물 9종 가운데 Campylobacter jejuni, Vibrio parahaemolyticus, Salmonella spp., 및 Shigella spp.는 두 방법 모두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PCR을 이용한 병원성 미생물의 검출 방법은 viable cell count 방법보다 감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PCR-RFLP에 의한 Vibrio core group을 포함한 Vibrio 종의 구분 (Differentiation of Vibrio spp. including Core Group Species by PCR-RFLP)

  • 박진숙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245-250
    • /
    • 2012
  • Vibrio속의 core 균주(Vibrio alginolyticus, Vibrio parahaemolyticus)를 포함하여 총 6 종의 Vibrio 균주(V. fluvialis, V. proteolyticus, V. vulnificus, V. mimicus)와 Grimontia (Vibrio) hollisae의 16S rDNA를 PCR 증폭하여 Alu I, Cfo I, Dde I, Hae III, Msp I, Rsa I의 6 종의 제한효소를 처리 후 RFLP 분석을 수행하였다. 2 종의 core 균주와 V. proteolyticus는 4 종의 제한효소(Cfo I, Dde I, Msp I, Rsa I)에서 동일한 제한효소 패턴을 나타내었다. 제한효소의 패턴의 조합에 의해 6 종의 Vibrio 종은 6 개의 RFLP type으로 구분되었다. 특히 Alu I의 경우, 실험된 6 종의 Vibrio속에 대하여 각기 다른 6 개의 종 특이적 RFLP type을 나타내었다. 제한효소 패턴에 근거하여 작성한 덴드로그램에서 Vibrio core group 균주인 V. alginolyticus 와 V. parahaemolyticus는 90% 이상의 매우 높은 유사도를 나타내었다. 반면 Grimontia hollisae는 실험된 모든 제한효소 패턴에서 Vibrio속 세균과는 분명히 구분되는 RFLP type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PCR-RFLP는 제한효소를 적절히 선택한다면 Vibrio 속 세균의 신속한 구분에 여전히 유용하다.

인체 병원성 비브리오 균주간 유전자 계통의 불일치성 분석 (Characterization of Phylogenetic Incongruence among Protein Coding Genes of Vibrio Strains Pathogenic to Humans)

  • 조영근
    • 미생물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383-390
    • /
    • 2013
  • Vibrio cholerae균은 자연적으로 외부 유전자를 받아들이는 능력이 있으므로, 종간 수평적 유전자 전달 작용(LGT)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는 인체에 질병을 일으키는 3종의 비브리오균 사이에서 일어나는 LGT 현상의 정량적 측면들을 분석하였다. V. cholerae N16961, V. parahaemolyticus RIMD2210633, V. vulnificus CMCP6, Escherichia coli K12 substrain MG1655의 유전체 염기서열을 분석하여 4개의 유전체에 모두 존재하는 단백질 발현 유전자들의 4개 일조를 결정하였다. 각 조의 4개 유전자의 계통수를 작성하는 분석을 통하여, 다른 조들 간의 계통성의 일치성과 불일치성을 결정하고, 수직적 계통성과 수평적 계통성을 구분하였다. 약 70%의 조에서 계통수가 확정될 수 있었으며, 그 중 75%는 서로 일치하는 계통성을 보였고, 25%는 LGT 계통수를 보였다. 이 결과에 따르면, 비브리오균의 LGT는 다른 세균 분류균의 속보다는 과단위에서 발생하는 빈도의 LGT계통수를 보였다. 염색체별로 관찰하였을 때, 유전자 제공자별로 LGT가 집중되는 현상이 일부 관찰되었고, V. cholerae 균주의 작은 염색체에서는 염색체의 약 절반 길이에 해당하는 부분에서 제공자별 LGT 위치들이 집중되는 현상을 보였다. 이런 결과는 유전자 제공자에 따라 선택성이 반복적으로 작용하거나, 대규모의 LGT가 있다는 가설을 수립하게 하였으며, 유전자 제공자별로 LGT 유전형질이 선택성을 띄게 되는 원인과 그 현상이 비브리오균의 진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녹차 및 천연산물로부터 장염 비브리오균(Vibrio. parahaemolyticus)의 제어를 위한 고추장의 개발 (Development of GOCHUJANG for Controlling V. parahaemolyticus with Green Tea and Natural Products)

  • 김종덕;김민용;정성주;서효진;김은옥;이세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15권5호
    • /
    • pp.783-789
    • /
    • 2005
  • V. pnrahaemolyticus를 저해하는 천연산물 조합 추출물을 이용하여 고추장을 제조하였다. 각각의 천연산물 및 천연산물 조합 추출물의 항산화력 크기는 ORP system value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천연산물 조합 추출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고추장을 disk 법으로 IZD (Inhibition zone divided by diameter of disk)를 측정하여 제어의 정도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한 가지 천연산물에서는 황백, 오미자, 녹차가 높게 나타났고, 이들 천연산물을 조합했을 때도 항산화력이 높게 나타나 기능성 고추장을 제조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하였다. 그리고 항산화력이 높게 측정된 황백, 오미자, 녹차 그리고 황금의 A조합과 A조합에 오가피를 첨가한 B조합의 IZD를 측정하였을 때 각각 $1.57\pm0.0051$$1.56\pm0.0071$로 제어력이 뛰어나 A조합과 B조합의 천연산물의 추출물을 이용하여 고추장을 제조하였다 고추장을 제조하였을 때 A조합(IZD: $1076\pm0.0103$)보다 B조합(IZD: $1079\pm0.0103$)이 좋게 나타났고, 이 고추장으로 식초를 첨가하여 초고추장을 제조하였을 때도 A조합(IZD: $2.15\pm0.0071$)보다 B조합(IZD: $2.44\pm0.0086$)이 뛰 어난 제어력을 보였다 여기에 chitosan, 마늘, 메주의 첨가는 유의성 있는 제어력을 나타내지 못하였다.

구절초 꽃의 항균성 물질 (Antibacterial Substances of the Flower of Chrysanthemum zawadskii Herbich var. latilobum Kitamura)

  • 장대식;박기훈;최상욱;남상해;양민석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0권1호
    • /
    • pp.85-88
    • /
    • 1997
  • Chrysanthemum속(屬) 식물의 성분 및 생리활성물질에 대한 연구의 일환으로, 구절초 꽃의 chloroform 분획물을 재료로 B. subtilis, 및 V. aureus 및 v. parahaemolyticus에 대한 activity-guieded fractionation을 실시하여 항균성 물질 두가지를 얻었다. 항균력실험 결과,화합물I은 $100\;{\mu}g/disk$의 농도에서 세가지균주 모두에 활성이 있었고 화합물 II는 B. subtilis와 V. parahaemolyticus에만 활성이 나타났다. 화합물 I과 화합물 II는 현재 식품보존료로 사용되는 benzoic acid 및 sorbic acid와 비교해볼 때, B. subtilis와 v. perahaemolyticus에 대하여 대략 5배정도 강한 항균력을 나타내었다. $^1H,\;^{13}C\;NMR,\;DEPT,\;^1H-^1H\;COSY,^{13}C-^1H\;COSY$ 및 Mass spectrum 등을 분석한 결과, 화합물 I과 II는 sesquiterpene lactone인 angeloylcumambrin B($C_{20}H_{25}O_5,$ MW=346)와 cumambrin A($C_{17}H_{25}O_5,\;W=346$)로 각각 동정되었으며 이들은 구절초에서는 처음 분리되었다.

  • PDF

전남 다도해 바다목장 비브리오속 세균의 계절적 분포 (Seasonal Distribution of Vibrio spp. in the Jeonam Archipelago Marine Ranching Ground)

  • 김말남;이한웅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29-235
    • /
    • 2007
  • 2006~2007년 전남 다도해 바다목장 내 9개 정점을 대상으로 표층수와 저층수에서 비브리오속 세균의 개체수를 측정하고, 군집의 종조성 및 우점종을 분석하였다. 계절별 비브리오속 세균의 개체수는 여름(2007년 6월) 표층수에서 5.4~93.2 cfu㎖-1, 저층수에서 1.0~53.1 cfu㎖-1로 4계절 중 가장 많이 검출되었으며, 해수온도가 낮은 겨울(2007년 1월)의 경우에는 1개 정점의 표층수에서만 0.2 cfu㎖-1의 비브리오속 세균이 검출되었다. 봄(2007년 4월) 조사에서 표층수는 0~11.9 cfu㎖-1, 저층수에서 0~8.3 cfu㎖-1, 가을(2006년 11월) 조사의 표층수는 0.1~21.4 cfu㎖-1, 저층수에서는 0~2.9 cfu㎖-1의 비브리오속 세균이 검출되었다. 비브리오속 세균 군집의 종조성은 V. parahaemolyticus, V. alginolyticus 및 V. cholerae non-01으로 조사되었으며, V. parahaemolyticus와 V. alginolyticus가 4계절 모두 분리되어 우점종으로 나타났다. V. alginolyticus는 수온이 낮은 겨울에도 대부분의 정점에서 분리되어 다른 비브리오속 세균에 비하여 온도에 덜 민감한 종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항균 필름과 저장 온도의 고등어 저장성 및 미생물학적 안정성에 대한 병행 효과 (Combined Effects of Antibacterial Film and Storage Temperature on Shelf-life and Microbiological Safety of Mackerel)

  • 하지형;이유시;허선경;배동호;박상규;황선순;하상도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17-322
    • /
    • 2007
  • 본 연구는 고흡습성 필름에 고추냉이 추출물을 첨가하여 제작한 항균흡습필름의 고등어 중 존재하는 식품위해 미생물에 대한 살균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총호기성균 및 식품위해미생물인, Escherichia coli O157:H7, Listeria monocytogenes Vibrio parahaemolyticus를 점 접종하여 항균흡습필름으로 포장한 후 저장온도, 기간별 및 항균 필름의 코팅 횟수가 균의 성장 및 사멸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5^{\circ}C$에서 총균수, Escherichia coli O157:H7, Listeria monocytogenes의 성장 억제 효과는 $10^{\circ}C,\;15^{\circ}C$에서 보다 우수하였다. 특히 Usrio Vibrio parahaemolyticus는 $5^{\circ}C$에서 저온에 민감한 반응을 보이면서 모든 시료에서 1일, 4일 후 각각 약 $1\;log_{10}cfu/g\;and\;1.80\;log_{10}cfu/g$ 정도 감소하다가 7일 후에는 검출한계 아래로 모두 사멸하였다. 고추냉이 추출 물질이 함유된 흡습필름은 $10^{\circ}C,\;15^{\circ}C$에서 보다 $5^{\circ}C$ 에서 우수한 항균효과를 보였다. 세 가지 농도별 항균효과는 $5^{\circ}C$ 에서 두드러진 농도별 항균효과 차이를 보였으며 코팅 횟수가 늘어날수록 항균효과가 컸다. 이는 항균필름, 한 가지로만은 저장기간 향상에 한계가 있고 냉장저장이라는 hurdle을 동시에 적용하여 항미생물 synergy 효과를 보인다는 증거가 된다.

주요 식중독균 분리용 선택배지의 타당성 연구 (Evaluation of Selective Media for Isolation of Foodborne Bacteria)

  • 조서희;하지형;김근성;심영환;권기성;한정아;황인균;하상도;오덕환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88-394
    • /
    • 2007
  • 본 연구는 현행 식품공전상 제시되어 있는 식중독균 분리배지의 평가를 위해 Salmonella spp., Bacillus cereus, Listeria monocytogenes, Vibrio parahaemolyticus, Staphylococcus aureus의 5가지 식중독세균용 29가지 분리 선택배지를 Broth와 Food에서 시험하였다. Food는 닭고기, 쌀, 돼지고기, 고등어를 대상으로 5가지 식중독균을 접종후 균주의 recovery를 확인하였고. Broth는 5가지 식중독세균용 29가지 분리 선택배지를 사용하였다. Broth에서는 각 세정균에 대한 분리배지들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P<0.05), Food에서는 그 차가 크지는 않았으나, 분리선택배지간의 분리능에 통계적 유의차가 존재하였다. 식품공전에 등재된 전통적인 분리 선택배지에서 분리된 균수가 Chromogenic 배지 등 새로운 선택배지에서 분리된 균수보다 많았다. 국제적으로 등재된 배지간의 선택성의 차이가 존재하였으며, 추후 다양한 배지가 식품공전에 등재되기 위해서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김밥의 자가품질검사 항목설정의 합리화 방안 (Ways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Self Quality Inspection Analysis for RTE Kimbab)

  • 김선아;임송수
    • 산경연구논집
    • /
    • 제10권9호
    • /
    • pp.37-43
    • /
    • 2019
  • 이 논문은 즉석섭취식품으로 분류되는 김밥용 김에 관한 자가품질검사의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김밥용 김에 적용하는 검사항목 중 장염비브리오균은 3가지 측면에서 적합하지 않다. 첫째, 선행연구 가운데 김밥용 김에서 장염비브리오균을 발견한 사례가 전무하다. 둘째, 전수조사 성격의 자가품질검사 부정합 내역(2015~16년)에 김밥용 김이 적시된 적이 없다. 셋째, 국제기준인 CODEX 규정은 해조류에 장염비브리오균 검사 의무를 부여하지 않는다. 끝으로, 수출용 김과 조미김 및 기타 수산물가공품 유형에 해당 검사가 면제된다. 이에 따라 김밥용 김에 대한 장염비브리오균 검사의무의 면제는 타당하며 그에 따른 경제적 이득은, 특히 영세업체에 클 것으로 추정된다. 2018년 3월 중 총 75곳의 자가품질 검사기관에 대한 전화 및 서류조사 결과 업체당 수수료 절약 규모는 업체당 연평균 13만 원에 이를 것으로 산출하였다. 또한, 검사의 투명성과 효율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검사기관 간 수수료의 조화가 필요할 것으로 판명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