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latally impacted canine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8초

상악 구개측 매복 견치의 교정적 치료 (ORTHODONTIC TREATMENT OF PALATALLY IMPACTED GAMINE)

  • 장영일;손영화;김태우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509-519
    • /
    • 1994
  • Upper canine is described as 'cornerstone' of maxilla, and its importance is implicated by long root and good alveolar support. The incidence of impaction of upper canine is the second most frequent next to the third molar because it takes a long period of time to develop, and has a complicated path of eruption, and erupts lately. Generally, the patient who has a palatally impacted canine visit the clinic primarily due to a missing of canine after 12-13 years old. Palatally impacted canine is different from labially impacted canine in its cause and treatment process. It is due to malposition or anomalous lateral incisor rather than arch length deficiency. Once the impaction is identified, the first stage of the treatment is to localiz the lesion by radiographic examinations or others and according to severity, orthodontic traction, or transplantation should be considered, and comprehensive diagnosis and treatment plan of malocclusion should be estsblished. Properly managed impacted canine can provide funtion and esthetic through proper diagnosis and treatment of extraction of canine is not indicated.

  • PDF

구개측으로 매복된 상악견치의 교정치료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Factors that influence treatment duration for patients with palatally impacted maxillary canines)

  • 정송화;조봉혜;김성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50-158
    • /
    • 2007
  • 구개측으로 매복된 견치와 인접구조물 간의 위치관계가 전체적인 교정치료기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편측성 구개측 견치 매복으로 진단받고, 교정적인 견인을 하여 치료를 완료한 환자 36명의 초진 시 파노라마 방사선사진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전체 치료기간의 평균인 21개월을 기준으로 나누었을 때, 장기치료군에 비해 단기치료군에서 인접 측절치의 치근에 견치의 치관이 겹치는 정도가 더 크게 나타났다. 치료기간을 예측하기 위한 중회귀분석에서 상악견치의 치관에서 치조정까지의 교합면에 대한 수직거리를 나타내는 HCV (Height of the canine crown vertically)와 하악견치간폭경이 각각 0.142와 0.115의 예측상수$(r^2)$를 보였으며, 두 인자를 같이 고려하였을 경우에는 0.208의 예측상수를 보였다. 나이에 따른 분류에서 치료기간, 상악 견치 치관에서 치조정까지의 수직거리(HCV), 중절치 정중선에 대한 견치의 각도가 초기 영구치열기까지는 점진적으로 감소를 하다가 완성 영구치열기에서 증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구개측으로 매복된 견치의 견인을 시행할 때에는 초기 영구치열기에 견치의 치관첨이 교합면에 가깝고 직립이 되어 있을 경우에 전체 교정치료 기간이 짧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3D CT를 이용한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상 상악 매복 견치 위치 정보의 유용성 평가 (Evaluation or potency or panoramic radiography for estimating the position of maxillary impacted canines using 3D CT)

  • 김혜정;박효상;권오원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265-274
    • /
    • 2008
  • 3D CT를 이용하여 파노라마에서 얻어진 상악 매복 견치 위치 정보의 유용성을 평가하기 위해, 상악 견치 매복을 주소로 경북대학교병원에 내원한 환자를 대상으로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과 3D CT에서의 매복 견치의 위치를 평가하였다. 대상은 25명(남자 7명, 여자 18명)으로 평균 나이는 10.9세(범위 : 8.2 - 15.7세)이며, 35개의 상악 매복 견치증례를 분석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첫째,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은 확대되어 촬영되므로 3D CT의 계측치보다 상악 견치의 tooth length, crown width, vertical distance 그리고 lateral shift값에서 큰 값을 가졌다. 단, angulation to occlusal plane은 파노라마에서 더 작은 값으로 계측되었다. 둘째,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상 상악 견치가 구개측으로 매복된 경우, angulation to occlusal plane은 3D CT보다 작게 측정되고 vertical distance는 더 크게 측정되었다. 셋째,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에서 상악 매복 견치의 tooth length, crown width 그리고 순측으로 매복된 경우 상악 견치의 angulation to occlusal plane은 3D CT와 근접된 계측치를 가졌다. 또한 CT와 비교하였을 때, 치근 흡수 정도 평가에 대한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의 감수성은 33.3%인 것으로 측정되었다.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은 협측 매복견치의 위치는 실제와 유사하다고 생각되나 구개측 매복의 경우 3D CT보다 더 높게, 각도는 더 작게 나타나는 등 상당한 차이가 있어 CT를 이용한 추가적인 검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구개측 매복된 상악 견치의 교정적 치험례 (ORTHODONTIC TREATMENT OF THE PALATALLY IMPACTED MAXILLARY CANINE)

  • 감동훈;김정욱;한세현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27-133
    • /
    • 1998
  • An impacted tooth is defined pathologically as a tooth that remains under the mucosa of inside bone without eruption of the crown after a specific period of eruption. Clinically, the term includes those teeth, even before eruption period, that are not expected to erupt due to shape, position and alignment of tooth and lack of space. Canine is prone to impaction more than other teeth because it has the longest time to develop and a complex route from the place of formation to the site of eruption. The impaction incidence of maxillary canine is repoted 0.92$\sim$3.3% (Ferguson, 1990). In 1995 Orton reported that the incidence was 0.92$\sim$2.2% and palatal impaction was more frequent than labial impaction(85%:15%). In 1969 Johnston presented it was more common to woman than to man(3:1). The etiology includes systemic disease such as endocrine disorder, cleidocranial dysostosis, irradiation, Crouzon syndrome, ricketts, facial hemihypertrophy and hereditary and local problems such as ectopic position of the tooth, distance of tooth from its place of eruption, malformation of the tooth, presence of supernumerary teeth, trauma of tooth germ, infection of tooth germ, displacement of tooth germ or tooth by a neoplasm, ankylosis, overretention of deciduous predecessor, lack of space for the tooth in the dental arch and mucosal barrier due to gingival fibrosis. The maxillary canine is especially important as it has the longest root, provides guidance for lateral movement of the mandible and masticatory function and assumes an important role esthetically as it is located at mouth angle. If left untreated, it may cause migration and external, internal resorption of adjacent teeth, loss of arch length, formation of dentigerous cyst or tumors, infection and referred pain as well as malposition of the tooth. Therefore, periodic examination of the development and eruption of the maxillary canine is especially important in a growing child. This case study presents the results of treatment of palatally impacted maxillary canine utilizing surgical exposure and orthodontic tooth movement on patients visiting SNUDH dept. of pediatric dentistry.

  • PDF

파노라마 방사선사진과 CBCT를 이용한 매복 상악 견치의 위치 평가 (Evaluation of Impacted Maxillary Canine Position Using Panoramic Radiographs and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 황대영;최남기;김선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442-452
    • /
    • 2022
  • 이 연구의 목적은 파노라마 방사선사진에서 분석한 매복 상악 견치의 위치와 각도를 CBCT 영상에서 분석한 매복된 견치의 순구개측 위치, 인접 치아의 치근흡수와 비교 및 평가하는 것이다. 총 54명의 환자, 69개의 매복 상악 견치가 연구에 포함되었다. 파노라마 방사선사진에서 매복 상악 견치의 근원심 위치(구역 I - V)와 각도, 수직적 위치가 평가되었다. 순구개측 위치와 인접 치아의 치근흡수는 CBCT 상에서 평가되었다. 파노라마 방사선사진의 근원심 위치 분석에서 순측 매복은 구역 I에서 가장 많았다. 치열궁 내 매복은 구역 I과 II에서 가장 많았다. 구개측 매복은 구역 III, IV, V에서 가장 많았다. 파노라마 방사선사진에서 근심에 위치할수록 구개측에 매복되는 경향이 있었다. 인접 치아 치근흡수의 대부분은 구역 III, IV, V에서 발생했다. 수평 기준선에 대해 작은 각도를 가진 매복 견치는 구개측에 매복되고 인접 치아의 치근흡수를 일으키는 경향이 있었다. 파노라마 방사선사진에서 매복 상악 견치의 근원심 위치와 각도에 대한 분석은 매복 견치의 순구개측 위치와 인접 치아 치근흡수의 예측 가능성을 보여주었으며, 이는 CBCT 촬영에 대한 의사결정에 유용할 수 있다.

급속 구개확장을 이용한 상악 견치의 이소맹출 치료: 증례보고 (RAPID PALATAL EXPANSION FOR THE TREATMENT OF AN ECTOPICALLY ERUPTING MAXILLARY CANINE: CASE REPORTS)

  • 장수영;김지연;박기태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473-481
    • /
    • 2010
  • 상악 견치 매복은 소아 청소년기 환자들에게서 흔하게 발견되는 문제이다. 일반적으로 구개측 매복이 순측 매복 보다 더 흔한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서양에서는 오히려 순측 매복이 더 많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본 보고에서는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상 상악 견치의 순측매복이 의심되는 8-10세의 혼합치열기 아동을 대상으로 급속 구개확장(rapid palatal expansion)을 시행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상악 측절치의 근원심 치근각도를 조절하여 매복 가능성이 있는 견치의 정상맹출을 유도할 수 있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매복견치의 치료: 증례보고 (TREATMENT OF IMPACTED CANINE : CASE REPORTS)

  • 안병덕;김영재;장기택;이상훈;김종철;한세현;김정욱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51-158
    • /
    • 2008
  • 상 하악 견치는 기능적 관점에서 뿐 아니라 심미적 관점에서도 매우 중요한 치아이다. 그러나 불행히도 견치의 매복은 종종 관찰되며 여러 임상적인 문제점을 유발한다. 상악 견치의 매복이 하악 견치보다 빈번하며, 주로 구개측에 매복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하악의 경우 견치의 매복이 상악보다 드물게 나타나며, 특히 정중선을 지나 전위 매복되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대부분의 환자에서 증상이 없어 방사선 사진으로 발견되는 경우가 많은데 그 원인은 불분명하고 다양하다. 매복 견치의 치료는 장애물의 존재 여부와 매복 위치와 방향, 맹출 가능한 공간의 유무, 치근의 형성 단계에 따라 맹출 장애 요인을 제거한 후의 주기적인 관찰 및 외과적 노출과 교정적 견인, 치아이식, 외과적 발치 등의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상악 우측 견치의 매복을 주소로 내원한 환아에서는 외과적 노출과 교정적 견인을 시행하였고, 하악 양측 견치의 매복을 주소로 내원한 환아의 경우 견치가 정중선을 지나 전위 매복되어 있어 교정적 견인이 어렵다고 판단되어 자가이식을 시행하였다.

  • PDF

상악중절치부위에 발생된 정중과잉치의 X선학적 연구 (A RADIOGRAPHIC STUDY OF MESIODENSES OCCURRED IN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 REGION)

  • 김영일;황의환;이상래
    • 치과방사선
    • /
    • 제21권2호
    • /
    • pp.367-375
    • /
    • 1991
  • The clinical and radiographic features of 1,171 mesiodenses were studied with periapical radiograms and/or pantomograms in 942 persons visited the Department of Oral Radiology, School of Dentistry, Kyung Hee University during January 1980 to December 1989. The obr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incidence of mesiodens was higher in males (75.4%) than in females (24.6%). 2. In number of mesiodenses per individual, a single mesiodens was found to be 75.9%, 2-mesiodenses to be 23.8%, and 3-mesiodenses to be 0.2%. 3. In mesiodenses according to erupted and impacted status, the erupted mesiodens was found to be 16.5%, the impacted mesiodens in the interdental alveolar bone to be 66.6%, and in the region below root apex to be 16.9%. 4. In impacted mesiodenses according to direction of tooth crown, the inverted impaction was found to be 68.8%, the vertical impaction to be 15.1%, and the angulated impaction to be 16.1%. Among the impacted mesiodenses, a palatally located impaction was 87.5%, a middle 4.9%, and a labially 7.6%. 5. In mesiodenses according to shape of the tooth crown, a incisor-like type was found to be 1.6%, a canine-like type to be 6.8%, a conical type to be 79.2%, and a tuberculated type to e 12.4%. 6. In effect of mesiodens on adjacent tooth, non-specific influences were found to be 73.4%, crowding to be 0.3%, diastema to be 11.8%, rotation to be 5.7%, delayed eruption to be 3.8%, root resorption to be 2.6%, and dentigerous cyst to be 2.4%.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