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goda park

검색결과 36건 처리시간 0.02초

고대 동아시아 불탑 구조체계를 통해 본 미륵사지석탑 (A Study on the Mireuksajiseoktap through the Structural Type of the Buddhist Pagoda in Ancient East Asia)

  • 조은경;박언곤
    • 건축역사연구
    • /
    • 제20권5호
    • /
    • pp.7-29
    • /
    • 2011
  • This research was to suggest the types according to structural system of the pagoda in ancient East-Asia and analyze the pagoda to the west of Mireuksaji temple site by these types. It will be possible to understand consistently the relation of the various form of the pagoda.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described separately as follows. 1. The Buddhist pagodas founded in the ancient East Asia can be categorized according to their structural system, which provide us with insight to understand the interrelationship of categories. The pagoda is mainly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The first consists of two structures, an internal and an external structure. The second exposes its internal structure to the outside, and the third has the external components changing into the internal ones. 2. Although the pagoda to the west of Mireuksaji Temple Site have an internal and an external structures, it actually solves the structural problem by adopting the masonry structure in the outside as well as in the inside. Especially in this structural consideration can be found in the stylobate and the foundation structure of the pillar. The plan of the pagoda to the west of Mireuksaji Temple Site was intended to reveal the plane of the post-lintel layered construction which has a member, a main pillar, and the inner space in the cube with stones.

원각사지 10층 석탑을 이용한 탑 다라니 콘텐츠 제작 및 활용 (Production and Application of Pagoda Dharani Contents Using the Ten-storied Stone Pagoda of Wongaksa Temple Site)

  • 이기옥;박성은;이용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7권11호
    • /
    • pp.298-308
    • /
    • 2007
  • 최근에 세계 콘텐츠 시장에서 문화 콘텐츠 산업의 역할이 중요해지고 있는 반면에 불교 문화재 콘텐츠 시장은 아직 미비한 상태이다. 특히 한국에서는 대부분의 문화재가 불교 문화재임에도 불구하고, 문화재로서의 원형 보전이나 복원 및 디자인 작업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원각사지 10층 석탑을 이용한 탑 다라니 콘텐츠를 개발함으로써 불교 디자인과 불교 문화재 콘텐츠 발전에 기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먼저 원각사지 10층 석탑을 이용한 탑 다라니를 디자인하고, 이를 이용한 탑 다라니 콘텐츠를 설계하고 구현한다. 본 논문에서는 제안한 탑 다라니 콘텐츠를 사용함으로써 기존의 불교 문화 재 콘텐츠 활성화 문제를 개선할 수 있도록 한다.

탑골공원 설계 (Design of Pagoda Park, Seoul)

  • 김성균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42-49
    • /
    • 2001
  • This design proposal was presented to a design competition for renovation of the Pagoda Park, located in Chongro-2ga, Chongro-gu, Seoul, where the first ˝Manse˝ (hurrah) Movement fighting against Japanese colonization, broke out on March 1st, 1919. The park has been considered to be the first modern park in Korea also. The objectives for the design were to make a sacred place to commemorate the 3.1 ˝Manse˝ Movement, to preserve and symbolically memorialize historic remains of the old ˝Wongaksa˝ Temple, an to provide natural and rest areas for citizen. For the space composition, three axes symbolic of, ´freedom and independence´, ´mercy´, and ´nature´, were created. For the freedom and independence axis, exiting facilities, such as statures and monuments related to the 3.1 Movement, were relocated centering around the octagonal pavilion, which was the starting point for the movement, to give order of the site. For the ercy axis, symbols of traditional temple structures, such as, ´Iljugate´-´Pian bridge´-´Chongwang gate´-´Haetal gate´-Pagoda-Buddhist sanctum, were created to symbolize the temple remains and placeness. For the nature axis, tree groves, walking trails, and rest areas for citizen were provided around the site. As a whole the design provided structural orders from secular spaces outside to sacred spaces inside.

  • PDF

연약지반 특성을 고려한 석탑구조물의 구조해석 (Structural Analysis of Stone Pagoda Structure considering Soft Soil Ground Characteristics)

  • 김호룡;신효범;박영신;강명희;홍석일;김호수
    • 한국공간구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공간구조학회 2008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70-73
    • /
    • 2008
  • 연약지반의 깊이차, 연약대 및 경사면 등에 따른 지반침하의 영향에 의해 석탑구조물은 기울어짐, 변형과 균열현상 등이 발생함으로써 석탑구조물의 장기적인 보존에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하지만 국내의 경우 연약지반 특성을 고려한 상부 석탑구조물의 거동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연약지반 특성에 따른 역학적 분석을 통해 연약지반의 깊이차와 기울어짐 발생에 따른 영향을 고려하여 석탑구조물에 끼치는 구조적인 영향을 파악하고, 개별요소해석기법을 통해 연약지반 특성에 따른 석탑구조물의 구조모델링 및 구조해석을 수행하고자 한다.

  • PDF

백제시대 정림사지 5층석탑의 조형적 디지털 융복합 분석 연구 (A Study on the Formative Digital Convergence Analysis of the 5-story Stone Pagoda at Jeongnimsaji in the Baekje Period)

  • 신미영;박승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0호
    • /
    • pp.429-435
    • /
    • 2020
  • 역사는 현대인들의 해석에 따라 달라질 수밖에 없고, 이를 토대로 우리 미래에 대한 실천의지를 찾아야 한다. 한 나라의 사상을 살피려면 그 나라의 종교사상과 그에서 비롯된 문화유산을 통해 그 나라의 문화 양상을 알 수 있다. 본 논문은 백제시대의 석탑에 중점을 두어 연구하고자 한다. 정림사지 5층석탑의 자료 수집을 위해 선행 연구를 토대로 정림사지 박물관 방문과 국내외 전문서적, 선행논문, 참고문헌 등을 숙지하여 정림사지5층석탑의 조형적 특징에 대해 연구하였다.

미륵사지 석탑의 축조형식에 따른 구조성능 평가 (Structural Performance Evaluation of Stone Pagoda of Mireuk Temple Site in accordance with Construction Type)

  • 김호수;박찬홍;이하나
    • 한국공간구조학회논문집
    • /
    • 제14권2호
    • /
    • pp.41-50
    • /
    • 2014
  • The stone pagoda of Mireuk temple site is currently restoring through the repairing process. This stone pagoda has the various construction types in the inner and outer space. Therefore, the stress concentration and structural behavior need to be considered through the analysis of various construction patterns. To this end, this study presents the structural modelling and analysis considering the discrete element analysis technique to solve the discontinuum behavior between the stone elements. Also, this study performs the structural performance evaluation through the various design variables for the safety of stone pagoda. Through the analysis results, we can find out the small stress concentration in the several members. But, because the stresses and displacements are relatively small, we can secure the safety of the whole structure.

872년 황룡사구층탑 찰주 드잡이 방법 추론 연구 (A Reasoning on the Central Column Hoisting Technique at pagoda of Hwangnyongsa Temple in 872)

  • 박민창;한동수
    • 건축역사연구
    • /
    • 제30권5호
    • /
    • pp.7-16
    • /
    • 2021
  • According to 「Hwangnyongsa Temple Central Column Record」 among the remaining documents, under reconstruction the pagoda of Hwangnyongsa&s 9th floor was completed in July 872 on the lunar calendar. At that time, King Kyeongmun worried about sarira under its central column, saying the central column does not move, and then He ordered to lift the central column. So his servants lifted it on November 6th 872 and checked the sarira and put it back on November 25th on the lunar calendar. 「Hwangnyongsa Temple Central Column Record」 did not document how to lift the central column which is tens of meters. therefore, this study inferred the way the central column of the pagoda of Hwangnyongsa was lifted in 872, left as a mystery. For that, this study set various hypotheses and it researched and analyzed hoisting technique that is a way to lift the pagoda of Hwangnyongsa and a column. In conclusion, this study inferred the most suitable hoisting technique for the pagoda of Hwangnyongsa at that time, based on the research and analysis of each chapter.

낙산사 칠층석탑에 발달한 표면균열의 특성과 성장 메커니즘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the Growth Mechanism of Surface Cracks from the Naksansa Seven-Storied Stone Pagoda, Korea)

  • 박성철;김재환;좌용주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6권2호
    • /
    • pp.136-149
    • /
    • 2013
  • 보물 제499호로 지정되어 있는 낙산사 칠층석탑에 대해 표면풍화로 인한 표면균열 발달 양상을 연구하였다. 이 석탑의 석재는 흑운모 화강암과 각섬석-흑운모 화강암으로, 중립질 이상의 입자크기와 회백색을 띄며 특징적으로 거정의 장석 반정을 수반하는 반상조직이 나타난다. 석탑에 나타나는 표면균열은 기단부 및 1층 탑신에서 많이 관찰되며, 대부분 수직, 수평, 대각선 방향으로 발달하고 있다. 석탑에 사용된 석재 내부의 미세균열은 원래부터 리프트 결과 그레인 결의 방향으로 잘 발달한 것이며, 이 두 결이 균열성장과 그에 따른 손상을 야기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더불어 석탑에서 나타나는 수직균열은 탑의 자체 하중에 의한 압축응력과 평행하게 미세균열이 성장하였으며, 수평균열은 주 압축응력에 대한 반발 인장력이 균열의 성장을 촉진시킨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석탑의 남동쪽 부재 탈락은 압축과 인장에 의한 것과 더불어 거정질 알칼리장석 반정의 벽개와 쌍정면의 영향으로 인해 발생한 것으로 해석된다.

석탑문화재 손상 유형 및 영향 요인에 따른 손상도 평가 (Damage Assessment According to Damage Types and Influential Factors of Stone Pagoda Structure)

  • 김호수;홍석일;전건우;김덕문;박찬민
    • 한국공간구조학회논문집
    • /
    • 제18권2호
    • /
    • pp.87-97
    • /
    • 2018
  • Stone pagoda structures have continued to be aged due to the combination of various damage factors. However, some studies on nonstructural damage have been carried out, but assessment studies on structural damage have not been done in various ways. Therefore, in this study, structural and nonstructural influencing factors according to the damage types are classified and the damage assessment according to the structural influencing factors affecting the behavior of the stone pagoda structure is performed. In addition, the damage rating classification criteria for each type of structural damages or damage locations are presented, and the damage index is calculated by providing the criteria for the classification of damage according to the degree of damage to which the damage is caused. Therefore, this study can evaluate quantitatively the damage status of stone pagoda structures.

A Study on Tower Modeling for Artificial Intelligence Training in Artifact Restoration

  • Byong-Kwon Lee;Young-Chae Park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8권9호
    • /
    • pp.27-34
    • /
    • 2023
  • 본 논문은 인공지능(AI)을 이용하여 통일신라 석탑인 '경주 불국사 삼층석탑'의 복원을 위해 3D 모델링 과정을 연구했다. 기존의 3D 모델링 방식은 수많은 Verts와 Face를 생성하므로, 이로 인해 AI 학습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한다. 이에 따라, Verts와 Face의 수를 낮추어 더 효율적인 3D 모델링을 수행하는 방식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석탑의 구조를 정점 및 면의 수로 분석하고, AI 학습에 최적화된 면수를을 최소화 하도록 모델링 방법을 연구했다. 더불어, 우리나라의 석탑 복원을 위한 인공지능학습에 최적화된 모델링 방법론을 제안하고, 인공지능 학습에 필요한 DataSet 을 확보하는 데 의미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