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eonia lactiflora pall

검색결과 69건 처리시간 0.027초

작약 종자 오일 및 유박 추출물의 생리활성 비교를 통한 작약 부산물의 잠재적 이용 가치 평가 (Assessing the Potential Utilization Value of Peony Byproducts: Comparative Evaluation of Bioactivities in Peony Seed Oil and Cake Extract)

  • 이하민;박경태;허희진;이준수;김광엽;조주성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446-454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작약(Paeonia lactiflora Pall.) 종자 오일과 유박의 생리활성의 비교를 통해 작약 종자 유박 활용에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수행되었다. 작약 종자 유박 추출물의 추출 수율은 22-45%로 추출용매에 따른 차이를 보였다.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와 radical소거능은 오일보다 유박 추출물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작약 유박 추출물의 항균활성은 양성대조군에 비해 우수하였으며, 이는 48시간까지 지속되었다. 또한 LPS로 유도된 염증 반응은 유박 추출물 처리시 현저하게 감소하여 작약 종자 유박의 항염증 활성이 입증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작약 종자 오일 뿐만 아니라 유박 추출물의 우수한 항산화, 항균 및 항염증 활성을 나타내어 바이오헬스 소재로서 작약 종자 유박의 활용 가능성이 확인되었다.

마이크로웨이브 추출방법을 이용한 작약의 유효성분 추출 및 생리활성 측정 (Development of Microwave Extraction Method for the Active Ingredients and Functional Constituents of Paeonia Root)

  • 이효진;장경원
    • 생약학회지
    • /
    • 제52권3호
    • /
    • pp.157-162
    • /
    • 2021
  • The heat-mediated reflux apparatus extraction of Paeonia lactiflora Pall. has been widely used as a traditional extraction method. In this paper, the microwave apparatus extraction method of Paeonia Radix was performed and the active ingredients and functional constituents were compared with the reference extraction method. The most effective extraction condition of albiflorin using the microwave was 120℃ in 50% methanol, and paeoniflorin was maximally extracted at 60℃. The reduced level of paeoniflorin molecule at high-pressure and high-temperature extraction condition was caused by the molecular instability. Additionally, the microwave extraction of 50% methanol extracts at 150℃ showed the highest functional constituents determined by in vitro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polyphenol concentration, and tyrosinase inhibition assay. The microwave apparatus was adapted as a rapid, low-cost,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method to extract active ingredients and the practical extraction conditions of Paeonia Radix can be used in industrial applications.

Inhibition of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and Cyclooxygenase-2 Activity by $1,2,3,4,6-Penta-Ο-galloyl-{\beta}-D-glucose$ in Murine Macrophage Cells

  • Lee, Sung-Jin;Lee, Ik-Soo;Mar, Woong-Chon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6권10호
    • /
    • pp.832-839
    • /
    • 2003
  • Activated macrophages express inducible isoforms of nitric oxide synthase (iNOS) and cyclooxygenase (COX-2), and produce excessive amounts of nitric oxide (NO) and prostaglandin E$_2$ (PGE$_2$), which play key roles in the processes of inflammation and carcinogenesis. The root of Paeonia lactiflora Pall., and the root cortex of Paeonia suffruticosa Andr., are important Chinese crude drugs used in many traditional prescriptions. 1,2,3,4,6-penta-O-galloyl-$\beta$-D-glucose (PGG) is a major bioactive constituent of both crude drugs. PGG has been shown to possess potent anti-oxidant, anti-mutagenic, anti-proliferative and anti-invasive effects.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inhibitory effects of 1,2,3,4,6-penta-O-galloyl-$\beta$-D-glucose (PGG) isolated from the root of Paeonia lactiflora Pall. on the COX-2 and iNOS activity in LPS-activated Raw 264.7 cells, COX-1 in HEL cells. To investigate the structure-activity relationships of gallate and gallic acid for the inhibition of iNOS and COX-2 activity, we also examined (-)-epigallocatechin gallate (EGCG), gallic acid, and gallacetophenone.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indicated that PGG, EGCG, and gallacetophenone treatment except gallic acid significantly inhibited LPS-induced NO production in LPS-activated macrophages. All of the four compounds significantly inhibited COX-2 activity in LPS-activated macrophages. Among the four compounds examined, PGG revealed the most potent in both iNOS ($IC_{50}$ = 18 $\mu\textrm{g}/mL$) and COX-2 inhibitory activity (PGE$_2$: $IC_{50}$ = 8 $\mu\textrm{g}/mL$ and PGD$_2$: $IC_{50}$ = 12 $\mu\textrm{g}/mL$), respectively. Although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elucidate the molecular mechanisms and structure-activity relationship by which PGG exerts its inhibitory actions, our results suggest that PGG might be a candidate for developing anti-inflammatory and cancer chemopreventive agents.

작약(芍藥)의 뿌리굵기에 따른 성분함량(成分含量) 차이(差異) (Difference in Contents of Chemical Components in Radix of Paeonia lactiflora Pall. with Root Diameters)

  • 강광희;정명근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149-153
    • /
    • 1994
  • 재배(栽培) 작약(芍藥) 정식(定植) 4년차(年次)인 의성품종(Paeonia lactiflora Pall.)을 지상부(地上部) 생육(生育)이 가장 왕성(旺盛)한 시기(時期)인 6월(月)에 채굴하여 뿌리굵기에 따라 $30{\pm}2mm,\;17{\pm}1mm,\;12{\pm}1mm,\;7{\pm}1mm$로 구분(區分)하여 일반화학성분(一般化學成分)과 주(主) 약효성분(藥效成分)인 paeoniflorin 함양(含量)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작약근(芍藥根)의 건조(乾燥) 후(後) 수축율(收縮率)은 약(約) 30%이며. 뿌리의 굵기에 따라 그 차이(差異)가 인정(認定)되지 않았다. 2. 외관상(外觀狀) 우수(優秀) 생약재(生藥材)로 평가(評價)되는 $17{\pm}1mm$ 굵기는 $7{\pm}1mm$굵기에 비해 paeoniflorin의 함양(含量)은 1.0% 낮으나 총당(總糖) 및 전분(澱粉)의 함양(含量)은 8%, 5%가 각각(各各) 많았다. 3. Paeoniflorin 함양(含量)은 조단백질(粗蛋白質) 및 조섬유(粗纖維) 함양(含量)과 정(正)의 유의상관(有意相關)을 나타내었고, 조단백질(粗蛋白質)의 함양(含量)은 총당(總糖) 및 전분(澱粉)과 부(負)의 유의상관(有意相關)을 나타내었다.

  • PDF

작약(Paeonia lactiflora Pall.) 뿌리절편 유래 캘러스 배양으로부터 부정근발생을 위한 최적 배양조건 (Optimal conditions for adventitious root organogenesis from peony root explant callus cultures)

  • 이영진;최명석;최필선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9권3호
    • /
    • pp.207-212
    • /
    • 2022
  • 작약 뿌리 절편으로부터 유도된 캘러스 클론으로부터 부정근 발생에 대한 최적의 배양조건을 조사하기 위하여 뿌리 절편으로부터 캘러스 유도를 위해서 먼저 0.5, 1.0, 2.0, 3.0, 4.0 mg/L 농도의 오옥신(IAA, NAA, IBA, 2,4-D)과 0, 0.5, 1.0, 2.0 mg/L 농도의 싸이토카닌(kinetin, zeatin, BAP)를 조합한 MS 배지에서 배양하였다. 캘러스 클론으로부터 부정근 유도와 길이 생장은 0.1, 0.5, 1.0 mg/L 농도의 오옥신(IAA, NAA, IBA) 또는 싸이토카닌(kinetin, zeatin, BAP)을 단독으로 첨가한 배지에서 암 조건으로 그리고 0.1, 0.5, 1.0 mg/L 농도의 IBA와 zeatin을 각각 조합 첨가한 배지에서 명/암 조건으로 6주 동안 배양하였다. 캘러스 형성은 다른 조합 처리보다 1.0 mg/L 농도의 NAA와 zeatin을 조합 첨가한 배지에서 가장 효과적이었으며, 캘러스 클론으로부터 부정근 발생 수와 부정근의 길이 생장은 IBA 단독처리의 경우 각각 6.66개와 4.82 cm, zeatin 단독 처리의 경우 2.32개와 0.92 cm로 다른 호르몬에 비해 우수하였다. 특히 0.1 mg/L IBA와 0.5 mg/L zeatin을 조합 첨가한 배지에서 광 조건으로 배양할 경우 가장 많은 부정근이(14.06) 형성되었으며, 동일배지에서 암 조건으로 배양할 경우 부정근의 길이가 가장 긴 5.45 cm로 측정되어 가장 효과적인 농도와 조합임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작약의 기내 배양에 대한 최적의 배양 조건은 기내배양을 통해 작약 부정근의 대량 생산을 위한 배지로 사용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작약 생육시기에 따른 약근수량 및 Paeoniflorin함량 변화 (Yield of Paeonia Radix and Changes of Paeoniflorin Concentration in Paeonia Radix with Different Growing Stages)

  • 강광희;정명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397-404
    • /
    • 1994
  • 경북 영천군 독농가가 재배한 정식 4년차인 의성종과 밀양종(P. lactiflora Pall.에 속하는 지방종)작약을 공시재료로 하여 생육시기별로 paeoniflorin 및 내용성분을 조사하고 수확기별로 약근수량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해 보면 1. 개화기인 5월에 저장근 건물비율은 약 23%로 가장 낮았고, 수축율은 47%로 가장 높아 서로 상반된 양상을 나타내었으며, 6월 이후는 이들 특성의 변화가 없어 안정적이었다. 2. 전 생육기간 중 내용성분의 변화가 가장 큰 시기는 개화기인 5월이었으며, 약근에 함유된 paeoniflorin, 조단백, 조섬유 및 조회분은 공통적으로 개화기인 5월에 함량이 일시적으로 증가하였고, 총당 및 조지방은 변화가 적었다. 3. Paeoniflorin은 5월 시기에 6.37%로 가장 높았으며 6월 이후 변화없이 안정된 경향을 보였고, 의성종과 밀양종의 품종간 차이는 뚜렷하여 밀양종이 약 2% 높았다. 4. 전 생육기간 중 내용성분의 변화가 심하였던 전기(2∼5월)와 안정적인 후기(6∼10월)의 특성간 상관관계 중 전·후기 모두 정의 유의상관을 가진 것은 전분과 건물중, 조섬유와 paeoniflorin이며 부의 유의상관을 가진 특성은 전분과 조섬유, 전분과 paeoniflorin, 전분과 건물중 이었다. 5. 경장, 주당경수, 건전경비율은 이병으로 인한 고사로 8월보다 10월 수확기에서 현저히 낮았으며, 약근수와 길이도 근부현상이 심하여 10월 수확기에서 감소되었다. 6. 4년생 작약의 수확적기는 8∼9월이 적당하며 지상부 고사가 심하면 수확기를 앞당기는 것이 수량 및 품질면에서 더욱 안정적이다.

  • PDF

작약(Paeonia lactiflora Pall.)씨 추출물과 Resveratrol이 흰쥐 체내 지질 상태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eonia Seed Extracts and Resveratrol on Lipid Metabolism in Rats Fed High Cholesterol Diets)

  • 서상희;이향림;이순재;최상원;조성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7호
    • /
    • pp.1102-1107
    • /
    • 2003
  • 본 연구는 작약(Paeonia lactiflora Pall.)씨 추출물 및 작약씨에서 분리한 resveratrol의 체내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고콜레스테롤 식이에 작약씨 메탄올 추출물을 0.1%(MP1)와 0.2%(MP2) 첨가시키거나 메탄올 추출물을 탈지시킨 후 에테르로 분획한 에테르가용성 추출물을 0.05%(EP1), 0.1%(EP2), 작약씨 resveratrol은 0.02%씩 각각 첨가시킨 식이를 조제하여 초기체중 120$\pm$11g의 Sprague-Dawley종 숫쥐에게 섭취시켜 3주간 사육하였고, 시험물질을 첨가하지 않은 식이를 섭취시킨 control군과 비교 조사하였다. 사육 후 EP2군은 나머지 5군에 비하여 체중증가량과 식이효율이 떨어지는 경향이었으나 나머지 5군에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간 무게(g/100g 체중)는 EP2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낮았고 혈청 GOT와 GPT도 5개의 작약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차이가 없었다. 혈청 총 콜레스테롤은 EP2군과 resveratrol군이 control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았고, 다른 군들은 차이가 없었으나 HDL-cholesterol은 5군의 작약군이 대부분이 높았으며 HDL-/총 콜레스테롤의 비율은 EP1군을 제외한 나머지 4군의 작약군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모두 유의하게 높았다. 그러나 혈청중성지방은 EP2군만이 대조군에 비하여 낮았다. 간조직 콜레스테롤 함량은 5개의 작약군이 모두, 중성지방은 MP2군과 EP1, EP2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았다. 분변으로의 콜레스테롤 배설은 MP2, EP1 및 EP2군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높았으나 담즙산 배설은 차이가 없었으며 EP2군에서는 오히려 낮았다. 본 연구의 결과로서 작약씨에는 체내 총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의 상태를 저하시키는 물질이 있으며 이러한 변화는 HDL-콜레스테롤 대사를 활성화시켜 분변으로의 콜레스테롤 배설을 증가시키는 것이 주요기전으로 판단된다. 이 역할을 하는 성분으로 작약씨에 존재하는 monomer형태의 resveratrol이 일익을 담당하지만 추출물속에 함유된 resveratrol oligomer 및 비 resveratrol 화합물도 작용하였으리라고 사료되어 이에 대한 확인이 필요하다. 작약씨에 함유된 물질들의 지질대사 개선효과는 이미 보고된 항산화기능과 함께 동맥경화 예방에 유효할 것으로 기대되며 기능성 식품에 활용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Cytotoxic and Antimutagenic Stilbenes from Seeds of Paeonia lactiflora

  • Kim, Hyo-Jin;Chang, Eun-Ju;Bae, Song-Ja;Shim, Sun-Mi;Park, Heui-Dong;Rhee, Chang-Ho;Park, Jun-Hong;Choi, Sang-Won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5권3호
    • /
    • pp.293-299
    • /
    • 2002
  • Cytotoxic and antimutagenic effects of a novel cis-$\varepsilon$-viniferin and five known stilbenes, transresveratrol, trans-$\varepsilon$-viniferin, gnetin H, suffruticosols A and B, isolated from the seeds of Paeonia lactiflora Pall. (Paeoniaceae) were determined against five different cancer cell lines, and mutagenicity of N-methyl-N'-nitro-N-nitrosoguanidine (MNNG) in Salmonella typhimurium TA100, respectively. Six stilbenes showed cytotoxic activity in a dose-dependent manner, and especially did potent cytotoxic activity against C6 (mouse glioma) cancer cell with $IC_{50}$ values ranging from 8.2 to $20.5{\;}{\mu\textrm{g}}/ml$. trans-Resveratrol showed significant cytotoxic activity against HepG2 (liver hepatoma) and HT-29 (colon) human cancer cell lines with $IC_{50}$ values of 11.8 and 25.2 g/ml, respectively. In contrast, trans-$\varepsilon$-viniferin and cis--viniferin, and gnetin H exhibited marked cytotoxic activity against Hela (cervicse) and MCF-7 (breast) human cancer cell lines with $IC_{50}$ values of 20.4, 21.5, and $12.9{\;}{\mu\textrm{g}}/ml$, respectively. However, suffruticosol A and B had less cytotoxic effect against all cancer cells except C6. Meanwhile, six stilbenes exerted antimutagenic activity in a dose-dependent fashion. Of them, trans-resveratrol exhibited the strongest antimutagenic effect against MNNG with $IC_{50}$ value of $27.0{\;}{\mu\textrm{g}}/plate$, while other five resveratrol oligomers also did moderate antimutagenic activity with $IC_{50}$ values ranging from 31.7 to $35.2{\;}{\mu\textrm{g}}/plate$.

작약 잎과 줄기의 건조 방법에 따른 Phenol 화합물의 변화 (Changes of Phenolic Compounds Affected by Different Drying Method in Leaves and Stems of Peony (Paeonia lactiflora Pall.))

  • 김세종;박준홍;최성용;김길웅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1권spc1호
    • /
    • pp.251-254
    • /
    • 2006
  • 작약의 지상부인 잎과 줄기 부위가 함유하고 있는 주요성분인 paeoniflorin, methyl gallate, astragalin, kaempferol 등 4종의 화합물의 이용성을 높이기 위해 건조방법 및 건조 온도별 성분의 함량 변화를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건조방법별 성분 변화는 kaempferol, methyl gallate, astragalin, paeoniflorin 등 모든 성분은 열풍건조나 dry oven 보다도 원적외선 건조 또는 상온 음건에서 더 높았다. 특히 methyl gallate는 상온 음건에서 0.52%로서 가장 높았다. 2. 건조온도별 성분변화는 kaempferol, methyl gallate, astragalin, paeoniflorin 등은 $40^{\circ}C$ 건조에서는 성분의 함량이 모두 높게 나타났으나 건조온도가 높아질수록 성분은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작약 재배년한 단축을 위한 효과적인 재배법 (Effective Cultivation Method for Early Harvesting of Paeonia lactiflora Pall)

  • 김기재;박소득;박준홍;김재철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83-87
    • /
    • 2006
  • 작약의 재배 기간을 단축시켜 생산비를 줄이기 위한 시험을 수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하우스재배에서는 노지에 비하여 맹아의 출현과 개화가 촉진되었으나 지상부 및 뿌리의 생육이 불량하였고 2년생의 10a당 수량은 533kg으로 무처리 보다 19% 감수되었다. 분주묘 크기가 $100g{\sim}130g$인 대묘를 식재한 경우 2년생 뿌리 수량이 관행 재배 2년생에 비하여 15% 증수되었다. 대묘(노두 무게 $100{\sim}130g$)를 이랑너비 60cm, 포기사이 25cm로 밀식하고 흑색비닐을 식재부터 수확까지 2년간 피복한 것이 생육과 뿌리 품질이 양호하였고, 10 a당 뿌리수량이 902kg으로 가장 많았다. 작약을 $3{\sim}4$년 만에 수확하던 것에 대치하여 2년 만에 수확할 수 있는 방법은 대묘를 식재하거나, 대묘를 밀식하여 식재부터 수확까지 흑색비닐을 피복하는 방법인데, 이 경우 농가관행 3년생에 비하여 수량의 차이는 있었으나 10 a당 년간소득은 $15{\sim}28%$ 향상되어 재배기간을 1년 단축시키고 경지 이용율을 높이면서 생산비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