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24

검색결과 17,948건 처리시간 0.044초

pH and Colour Characteristics of Carcasses of Broilers Fed with Dietary Probiotics and Slaughtered at Different Ages

  • Karaoglu, Mevulut;Aksu, M.I.;Esenbuga, N.;Macit, M.;Durdag, H.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9권4호
    • /
    • pp.605-610
    • /
    • 2006
  •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experiment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slaughtering at different ages and the use of a commercial probiotic (115-Biogallinox) in broiler diets on the color properties of carcasses, during the first 24 h following slaughter. Ross 308 male broiler chickens obtained from a commercial hatchery were raised to either 35 or 42 days of age. Chickens were fed with different levels of probiotic ($P_0$: 0.0%, $P_1$: 0.1% and $P_2$: 0.2%) containing Saccharomyces cerevisiae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At the end of the trial all birds were slaughtered and then stored at $3^{\circ}C$ for 24 h. The pH and skin colour of carcasses were determined 1, 3, 7, 10, 13, 17 and 24 h after slaughter. Although the use of probiotic and post-mortem ageing time affected the pH (p<0.01), it was not affected by slaughter age (35 and 42 days) (p>0.05). The highest pH values occurred in carcasses of broilers fed 0.2% probiotic. The pH values of carcasses decreased with post-mortem ageing time (p<0.01). Main factors (treatment, slaughter age and post-mortem ageing time) had an effect on colour ($L^*$, $a^*$ and $b^*$) values (p<0.01). $L^*$ values of 42d-old slaughter and $P_2$ group were lower than those of 35d-old slaughter and other probiotic groups. The $a^*$ and $b^*$ values of 35d-old slaughter were lower than those of 42d-old slauhgter. The $a^*$ and $b^*$ values increased during post-mortem ageing (p<0.01). It was determined that changing of the colour traits of broiler carcasses was correlated with probiotic, pH and post-mortem ageing time. Also, it was observed that darkness of carcass colour increased as time progressed.

심호흡 방법에 따른 상복부 수술환자의 폐 환기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Deep Breathing Methods on Pulmonary Ventilatory Function of Patients Who experiened Upper-abdominal surgery)

  • 황진희;박형숙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129-147
    • /
    • 1994
  • 본 연구는 수술환자의 술 후 폐환기능 회복을 돕기 위한 효과적인 간호중재의 자료를 제공하고자 부산시내에 소재한 P 대학병원의 일반욋과에 입원하여 전신마취하에 상복부 수술을 받은 환자 46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수집기간은 1993년 1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로 하였고, 처음 4주간동안 대조군을, 다음 4주간에 실험군을 자료수집하였다. 실험군에는 Incentive Spirometer를 사용한 심호흡법을, 대조군에는 호흡기구를 사용하지 않은 자발적인 심호흡법을 수술 후 의식이 회복된 직 후부터 매 1시간마다 규칙적으로 24시간동안 실시하였다. 폐환기능의 측정도구는 운반이 용이하고 사용이 간편하여 임상적으로 많이 이용되는 Vitalograph Compact를 사용하였으며, 수술 전과 수술 후 24시간, 수술 후48시간, 수술 후72시간, 각 각 4회에 걸쳐 대상자들의 노력성 폐활량과 일초 노력성 호기량을 측정하였다. 여기서 수집한 자료를 SPSS $PC^+$를 이용하여, 백분율, 평균, t검정, $X^2$검정, 일원변량분석으로 통계처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았다. 1) 대상자들의 일반적특성은 여성이 41.3%, 남성이 58.7%이며, 평균연령은 $48.48{\pm}12.26$, 흡연습관은 대상자 전체의 43.5%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과거 호흡기 질환은 전체의 8.7%가 앓은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Incentive Spirometer를 사용한 심호흡방법은 수술 후의 노력성 폐활량에서 24시간에 $1.46{\pm}0.54L$, 48시간에 $1.58{\pm}0.60L$, 72시간에 $1.90{\pm}0.61L$로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F=3.530, P=0.035). 즉 시간경과에 따라 폐환기능의 회복에 효과적이었다. 3) 호흡기구를 사용하지 않은 자발적인 심호흡 방법은 수술 후 노력성 폐활량이 24시간에 $1.19{pm}0.43L$, 48시간에 $1.35{\pm}0.42L$, 72시간에 $1.51{\pm}0.38L$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F=3.480, P=0.037), 술 후 일초 노력성 호기량도 24시간에 $1.00{\pm}0.28L$, 48시간에 $1.20{\pm}0.37L$, 72시간에 $1.33{\pm}0.33L$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므로(F=6.153, P=0.004), 술 후 폐환기능 회복에 효과가 있다. 4) 실험군과 대조군의 수술 후 노력성 폐활량은 수술 후 72시간에서 실험군이 $1.90{\pm}0.61L$, 대조군이 $1.51{\pm}0.38L$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t=2.620, P=0.013). 5) 실험군과 대조군의 수술 후 일초 노력성 호기량은 수술 후 24시간에서 $1.33{\pm}0.56L,\;1.00{\ge}0.28L$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t=2.530, P=0.017), 술 후 72시간에서 $1.72{\pm}0.65L,\;1.33{\pm}0.3L$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t=2.540, P=0.016). 6) 대상자의 술 후 폐환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별로 나타났다. 이에 따른 폐환기능의 차이를 보면, 실험군의 술 후 노력성 폐활량이 48시간에 남자($1.78{\pm}0.61L$)가 여자($1.27{\pm}0.45L$)보다 더 높게 나타났으며 (t=2.170, P=0.042), 72시간에도 역시 남자($2.16{\pm}0.56L$)가 여자($1.50{\pm}0.47L$)보다 더 높았다(t=2.910, P=0.008). 술 후 일초 노력성 호기량은 24시간에서 남자가 $1.54{\pm}0.60L$, 여자가 $1.00{\pm}0.30L$으로 유의하였고 (t=2.460, P=0.023), 48시간에 남자가 $1.64{\pm}0.62L$, 여자가 $1.09{\pm}0.41L$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t=2.360, P=0.028), 72시간에도 남자($1.96{\pm}0.62L$)가 여자($1.33{\pm}0.50L$)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t=2.540, P=0.019). 즉 실험군의 술 후 폐환기능은 남자가 여자보다 더 우세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요약된 연구결과를 토대로, 연구자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Incentive Spirometer를 사용한 심호흡법이 호흡기구를 사용하지않은 자발적인 심호흡보다 술 후 폐환기능 회복에 있어서 더 우수한 방법이었다. 그러므로, 임상간호사는 상복부 수술환자의 술 후 폐환기능 회복을 돕고 나아가 폐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 Incentive Spirometer를 사용한 규칙적인 심호흡법을 술 후에 간호중재의 한 방안으로 실시할 것을 권장하며, 아울러 병동의 사정 상 호흡기구의 비치가 가능하지 않다면 호흡기구를 사용하지않은 자발적인 심호흡법을 술후에 꾸준히 적용하는것도 임상간호학발정에 기여하리라고 본다.

  • PDF

Cloning and Characterization of a Heterologous Gene Stimulating Antibiotic Production in Streptomyces lividans TK-24

  • Kwon, Hyung-Jin;Lee, Seung-Soo;Hong, Soon-Kwang;Park, Uhn-Mee;Suh, Joo-Won
    • Journal of Microbiology
    • /
    • 제37권2호
    • /
    • pp.102-110
    • /
    • 1999
  • Genetic determinant for the secondary metabolism was studied in heterologous expression in Streptomyces lividans TK-24 using Streptomyces griseus ATCC 10137 as a donor strain. Chromosomal DNA of S. griseus was ligated into the high-copy number Streptomyces shuttle plasmid, pWHM3, and introduced into S. lividans TK-24. A plasmid clone with 4.3-kb BamHI DNA of S. griseus (pMJJ201) was isolated by detecting for stimulatory effect on actinorhodin production by visual inspection. The 4.3-kb BamHI DNA was cloned into pWHM3 under the control of the strong constitutive ermEp promoter in both directions (pMJJ202); ermEp promoter-mediated transcription for coding sequence reading right to left: pMJJ203; ermEp promoter-mediated transcription for coding sequence reading left to right) and reintroduced into S. lividans TK-24. The production of actinorhodin was markedly stimulated due to introduction of pMJJ202 on regeneration agar. The introduction of pMJJ202 also stimulated production of actinorhodin and undecylproidigiosin in submerged culture employing the actinorhodin production medium. Introduction of pMJJ203 resulted in a marked decrease of production of the two pigments. Nucleotide sequence analysis of the 4.3-kb region revealed three coding sequences: two coding sequences reading left to right, ORF1 and ORF2, one coding sequence reading right to left, ORF3. Therefore, it was suggested that the ORF3 product was responsible for the stimulation of antibiotic production. The C-terminal region of ORF3 product showed a local alignment with Myb-related transcriptional factors, which implicated that the ORF3 product might be a novel DNA-binding protein related to the regulation of secondary metabolism in Streptomyces.

  • PDF

100 MeV 양성자가속기를 이용한 27Al(p,3p+n)24Na 핵반응에 대한 감마선 스펙트럼 측정 (Measurement of Gamma ray Spectrum for the 27Al(p,3p+n)24Na Nuclear Reaction by using 100 MeV Proton Acceleration System)

  • 이삼열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55-59
    • /
    • 2015
  • 양성자핵반응에 대한 연구는 현재 핵융합로의 재료 개발을 비롯하여 양성자치료 분야 등을 중심으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100 MeV 양성자 빔을 이용한 $^{27}Al(p,3p+n)^{24}Na$ 반응을 통하여 발생되는 지발 감마선(2754, 1386 keV) 스펙트럼을 고순도 HPGe 검출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실험에 사용되어진 양성자 빔은 양성자가속기연구센터(KOMAC)에 설치되어 있는 100 MeV 양성자선형가속기를 사용하였다. 측정된 감마선은 기존에 알려진 결과들과 비교분석하였다. 측정된 감마선의 강도는 고에너지 감마선 검출효율을 결정하는데 매우 중요한 정도를 제공 할 것으로 생각되어 진다.

Skin Spread of Rhubarb Mixed with Olibanum and Myrrha Decreases KC Level in Skin and Serum Following Scald Burn Injury

  • Park, Jin-Yong;Kang, Byung-Soo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145-149
    • /
    • 2001
  •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whether local production of neutrophil chemoattractant cytokines preceded the influx of neutrophils 1311owing dermal scald burn injury. In order to inhibit the influx of neutrophils, we induced scald burn injury on dorsal skin of rats (TBSA 15%) and spread Rhubarb (R. undulatum L.) and complex (Rhubarb+Olibanum+Myrrha) on scald skin in rats. 1. Levels of dermal KC, the indicator of skin iuflammation, caused by burn gradually increased 5 hours, 24 hours (p<0.001) and 72 hours (p<0.001) after the burn occurred. After 24 hours it occurs, KC in skin was decreased by both skin spread of Rhubarb (p<0.05) and complex (p<0.05) compared to scald bum group. After 72 hours, KC by skin sp.end of Rhubarb and complex was significantly decreased (p<0.01), and the inhibition effect of KC production by complex is higher than by Rhubarb. 2. KC content in serum was increased (p<0.01) at 24 hours after burn injury and comes down back to the normal level after 72 hours. At 24 hours postbunt both Rhubarb (p<0.05) and complex (p<0.01) skin spread decreased KC in serum. The inhibition effect of KC production by complex skin spread group is higher than by Rhubarb skin spread group. The data suggest that the KC production effects by Rhubarb skin spread group and complex skin spread group are high. Especially the endurance of the effect by complex skin spread group was longer than by Rhubarb skin spread group. The inhibition effect of KC production by complex skin spread group increases more than by Rhubarb skin spread group as time passes.

  • PDF

호스피스간호가 말기암환자의 통증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Effects of Hospice Care on the Pain Management of the Terminal Cancer Patients)

  • 윤매옥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6권1호
    • /
    • pp.34-44
    • /
    • 2003
  • 목적 : 본 연구는 호스피스 간호가 말기암환자의 통증정도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 분석함으로써, 말기암환자의 안위를 도모하여 전인적이고 개별화된 간호를 제공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하여 시도된 단일군 전후설계(one group pre-post test)이다. 방법 : 2000년 7월부터 11월까지 전주시에 소재하는 1개 종합병원의 호스피스에 의뢰되어 연구참여에 동의한 말기암환자 3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호스피스 간호는 1주일에 $5{\sim}6$회를 조주 동안 제공하였으며, 자료분석은 실수,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등의 서술통계와 paired t-test로 분석하였다. 결과 : 1) 통증정도의 중증도는 통증정도가 24시간 동안 가장 심했을 때 통증점수는 중재전이 6.35점, 중재후가 4.76점이었다. 통증으로 인한 지장정도는 중재전에는 인생을 즐김(8.22점), 통상적인 일(7.46점), 보행(7.08점), 일반적인 활동(7.08점)순이었으며, 중재후에는 인생을 즐김(6.62점), 통상적인 일(6.43점), 보행(6.11점), 일반적인 활동(5.78점)순으로 중재전과 후가 동일한 순위를 보였다. 2) 통증의 중증도는 중재전보다 중재후에서 각각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영역별로 분석하였을 때 24시간 동안 가장 심했을 때 통증(t=4.085, P=0.000), 24시간 동안 가장 약했을 때 통증(t=4.020, P=0.000), 평균통증(t=4.254, P=0.000), 조사당시 바로 지금 느끼는 통증(t=5.017, P=0.000)영역에서 중재후 통증이 중재전보다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3) 통증으로 인한 지장정도는 중재전보다 중재후에서 각각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영역별로 분석하였을 때 일반적인 활동(t=3.137, P=0.003), 기분(t=6.713, P=0.000), 보행능력(t=2.027, P=0.050), 통상적인 일(t=20.132, P=0.040), 대인관계(t=4.143, P=0.000), 수면(t=4.071, P=0.000), 인생을 즐김(t=3.881, P=0.000)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결론 : 호스피스 간호를 제공받은 말기암환자는 제공받지 않은 말기암환자에 비해 통증정도와 삶의 치장 정도에서 모두 낮아짐이 확인되었으며,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상과 같이 말기암환자에 대한 호스피스 간호는 통증감소와 통증이 생활에 지장을 주는 정도를 감소하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되었으므로 앞으로 말기암환자를 위해 적극적인 활용을 권장한다.

  • PDF

수온과 광주기에 따른 볼락, Sebastes inermis 치어의 산소 소비율 (Effects of Water Temperature and Photoperiod on the Oxygen Consumption Rate of Juvenile Dark-banded Rockfish, Sebastes inermis)

  • 오승용;노충환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10-215
    • /
    • 2006
  • 수온과 광주기에 따른 볼락 치어의 대사율 변화를 조사하기 위해 평균 무게 $20.5{\pm}0.7g$을 대상으로 수온(10, 15, 20, $25^{\circ}C$)과 광주기(24L:0D, 12L:12D, 0L:24D)에 따른 산소 소비율은 측정하였다. 12가지 실험 조합의 산소 소비율은 유수식 형태의 호흡실을 이용하여 24시간 동안, 3반복 측정하였다. 수온과 광주기 그리고 두 인자의 상호작용 모두가 볼락 치어의 산소 소비율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P<0.001). 각 광주기 조건에서 수온 상승에 따라 산소 소비율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1). 10, 15, 20 그리고 $25^{\circ}C$에서의 시간당 평균 산소 소비율은 각각 $178.3\sim283.5,\;386.7\sim530.7,\;529.2\sim754.3$ 그리고 $590.0\sim785.5mg\;O_2kg^{-1}h^{-1}$였으며, $Q_{10}$ 값은 $10\sim15,\;15\sim20,\;25\sim25^{\circ}C$에서 각각 $3.17\sim5.51,\;1.87\sim2.10,\;1.08\sim1.24$이었다. 연속 명기(24L:0D)에서의 산소 소비율은 연속 암기(0L:24D)에서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10^{\circ}C$를 제외한 모든 수온 조건에서 12L:12D에서 가장 높은 산소 소비율을 보였으며, 24L:0D의 명기에서의 산소 소비율은 같은 조건의 암기 때보다 유의하게 높은 산소 소비율을 보였다(P<0.05). 이 실험 결과는 각 수온과 광주기 조건에서의 볼락 치어의 산소 소비율을 파악할 수 있으며, 사육관리 및 생리적 반응 정량화를 위한 생체역학 모델 결정에 활용할 수 있다.

Lq-ESTIMATES OF MAXIMAL OPERATORS ON THE p-ADIC VECTOR SPACE

  • Kim, Yong-Cheol
    • 대한수학회논문집
    • /
    • 제24권3호
    • /
    • pp.367-379
    • /
    • 2009
  • For a prime number p, let $\mathbb{Q}_p$ denote the p-adic field and let $\mathbb{Q}_p^d$ denote a vector space over $\mathbb{Q}_p$ which consists of all d-tuples of $\mathbb{Q}_p$. For a function f ${\in}L_{loc}^1(\mathbb{Q}_p^d)$, we define the Hardy-Littlewood maximal function of f on $\mathbb{Q}_p^d$ by $$M_pf(x)=sup\frac{1}{\gamma{\in}\mathbb{Z}|B_{\gamma}(x)|H}{\int}_{B\gamma(x)}|f(y)|dy$$, where |E|$_H$ denotes the Haar measure of a measurable subset E of $\mathbb{Q}_p^d$ and $B_\gamma(x)$ denotes the p-adic ball with center x ${\in}\;\mathbb{Q}_p^d$ and radius $p^\gamma$. If 1 < q $\leq\;\infty$, then we prove that $M_p$ is a bounded operator of $L^q(\mathbb{Q}_p^d)$ into $L^q(\mathbb{Q}_p^d)$; moreover, $M_p$ is of weak type (1, 1) on $L^1(\mathbb{Q}_p^d)$, that is to say, |{$x{\in}\mathbb{Q}_p^d:|M_pf(x)|$>$\lambda$}|$_H{\leq}\frac{p^d}{\lambda}||f||_{L^1(\mathbb{Q}_p^d)},\;\lambda$ > 0 for any f ${\in}L^1(\mathbb{Q}_p^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