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rganic rice cultivation

검색결과 216건 처리시간 0.022초

피복물 종류에 따른 더덕의 생육 및 항산화 물질 비교 (Analysis of Growth and Antioxidant Compounds in Deodeok in Response to Mulching Materials)

  • 윤경규;문경곤;김상언;엄인석;조영손;김영국;노일래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183-190
    • /
    • 2016
  • Background: This study determined the effects of mulching, an environment friendly organic cultivation method, on antioxidant compound contents and growth in Codonopsis lanceolata, commonly known as Deodeok. Methods and Results: C. lanceolata was treated by mulching with several different methods (a non-woven fabric, biodegradable film, or rice husks) and also treated with hand weeding. A non-treatment plot was used as a control. The growth and levels of weed control in C. lanceolata were better in plants cultivated under mulching treatments (non-woven fabric, biodegradable film, and rice husks) than in those under non-mulching treatments (hand weeding and non-treatment). The contents of antioxidant compounds, such as total flavonoids, phenolics, and anthocyanins, were highest under the biodegradable film treatment, followed by the non-woven fabric treatment, rice husks treatment hand weeding, and non-treatment. There were identifiable differences in DPPH and ABTS activity in comparison to antioxidant compound content by solvent fractions. Mulching treatments resulted in higher DPPH scavenging activity in water and ethyl ether fractions and ABTS scavenging activity in n-butanol fractions than in other fractions, as opposed to hand weeding and non-treatment groups, although total activity of DPPH and ABTS did not increase with mulching treatments. Conclusions: Mulching C. lanceolata with biodegradable film and non-woven fabric is an effective method for improving plant growth and inhibiting the occurrence of weeds as well as for increasing antioxidant compound content and altering antioxidant activity.

답토양(沓土壤)에서 부엽토(腐葉土)가 수도(水稻)의 Cd흡수(吸收)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Leaf mold on Cd Uptake in paddy Soil by Rice Plant)

  • 김성조;백승화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99-104
    • /
    • 1985
  • Cd이 오염(汚染)된 농경지(農耕地) 토양(土壤)에서 수도(水稻)를 재배(栽培)할 때에 수도(水稻)의 생육(生育), 수량(收量) 및 Cd흡수(吸收)에 미치는 토양중(土壤中) 유기물(有機物)과의 관계(關係)를 알기 위하여, 유기물(有機物)로 원예용(園藝用) 부엽토(腐葉土)를 첨가(添加)하고 Cd염(鹽)을 토양처리(土壤處理)하여 수도(水稻)를 Pot재배(栽培)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토양중(土壤中) 유기물(有機物)의 증가(增加)로 Cd에 의한 수도(水稻)의 생육피해(生育被害)를 줄일 수 있었다. (2) 토양중(土壤中) 유기물(有機物)의 증가(增加)는 수도체(水稻體)의 지상부위(地上部位) 즉(卽), 엽초, 간(稈), 엽신(葉身) 및 현미중(玄米中)의 Cd 함량(含量)을 감소(減少)시킬 수 있었다. (3) 수도체(水稻體) 지상부위(地上部位)의 Cd 함유량(含有量)은 엽초, 간(稈), 엽신(葉身), 현미(玄米) 순(順)으로 낮았다. (4) 수도(水稻)의 계속(繼續) 담수재배(湛水栽培)는 Cd 25ppm 처리(處理)에서도 현미중(玄米中) Cd 함량(含量)이 오염미(汚染米) 판정기준치(判定基準値) 1ppm 이하(以下)인 0.59ppm이었다. (5) 담수상태하(湛水狀態下)에서 부엽토(腐葉土) 200g/건토(乾土) 8kg과 Cd 농도(濃度) 25ppm 처리(處理)로 현미중(玄米中) Cd 함량(含量)을 우리나라 비오염지(非汚染地) 답토양(畓土壤)에서 생산(生産)되는 현미중(玄米中) Cd 함량(含量)과 거의 유사(類似)한 0.14ppm으로 억제(抑制)되었다.

  • PDF

오염토양으로부터 백미로 전이되는 비소함량 예측모델의 정확도 향상 연구 (Study on Accuracy Improvement of Predictive Model of Arsenic Transfer from Contaminated Soil to Polished Rice)

  • 조승하;한협조;이종운
    • 자원환경지질
    • /
    • 제55권4호
    • /
    • pp.389-398
    • /
    • 2022
  • 비소 및 중금속으로 오염된 토양 내 함량과 농작물로 전이되는 함량 간의 관련성을 도출하기 위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수행되고 있으나 두 함량 간의 낮은 상관성으로 인하여 명확한 결과가 도출되지 못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토양 내 비소 전함량과 단일용출 가용성 함량뿐만 아니라 토양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함께 고려하여 백미로 전이되는 비소 함량을 예측하는 통계학적 모델을 만들고자 하였다. 토양 특성 중 pH, 단일용출 가용성 함량, 유기물 함량에 따라 순차적으로 토양을 분류하며 회귀분석을 통한 예측 모델을 도출하였다. 80개의 백미 내 비소 함량과 토양 내 비소 전함량 및 Mehlich 가용성 함량 간의 상관계수는 각각 0.533과 0.493으로 낮았다. 그러나 토양을 pH, Mehlich 가용성 함량에 대한 전함량, 유기물 함량으로 순차적으로 분류하여 모델을 도출한 결과, ① pH가 6.5보다 높은 13개의 토양은 0.963, ② pH가 6.5 이하이고 AsTot/AsMehlich 비가 높은 15개의 토양은 0.849, ③ pH가 6.5 이하이고 AsTot/AsMehlich 비가 낮으며 8.5% 이하의 유기물을 함유한 30개의 토양은 0.935로 예측력이 크게 증가하였다. 이 연구에서 도출된 토양 분류에 따른 백미 전이 함량 예측 모델은 비소 오염 토양에 대해 신뢰성 있는 백미 재배 기준을 설정하는데 의미있는 방법론을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나라 16개 지자체 벼논에서 DNDC 모델을 이용한 온실가스 배출량 평가 (Evaluation of Greenhouse Gas Emissions using DNDC Model from Paddy Fields of 16 Local Government Levels)

  • 정현철;이종식;최은정;김건엽;서상욱;소규호
    • 한국기후변화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359-366
    • /
    • 2014
  •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estimate methane emission from paddy field of 16 local government levels using the DNDC(DeNitrification-DeComposition) model from 1990 to 2010. Four treatments used in DNDC model for methane emission calculations were (1) midseason drainage with rice straw, (2) midseason drainage without rice straw, (3) continuous flooding with rice straw, and (4) continuous flooding without rice straw. Methane emissions at continuous flooding with rice straw were the highest ($471kg\;C\;ha^{-1}$) while were the lowest ($187kg\;C\;ha^{-1}$) at midseason drainage without rice straw. The average methane emission for 21 years was the highest ($1,406Gg\;CO_{2-eq}$.) in Jeonnam province because of its large cultivation area. Jeju province had the highest the average methane emission per unit area due to the organic content in soil.

표고 재배 중 톱밥 배지의 물리적 성질과 목재 화학성분 변화 (Changes in Physical Properties and Wood Chemical Components of sawdust medium during Oak Mushroom (Lentinula edodes) Cultivation)

  • 이종신;강석구;양승민;김진경
    • 한국균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291-300
    • /
    • 2022
  • 참나무 톱밥을 이용한 표고버섯 톱밥봉지 재배는 원목재배에 비하여 많은 이점을 가지고 있어 국내 톱밥배지 재배 농가는 매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동안 표고 톱밥재배에 대한 많은 연구가 수행되어 보고된 바 있으나, 주요 연구 내용은 톱밥배지 제조 시 혼합하는 농산부산물 영양원 첨가제의 종류와 첨가효과, 톱밥 배지 재배에 적합한 신품종 개발, 참나무 발효 톱밥과 생 톱밥 간의 재배 특성 비교 등이 있으며, 배지 구성 물질 중에서 표고의 주 영양원인 참나무 톱밥의 재배 기간 중 목재 화학적 성분 변화에 대한 보고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균 배양 및 버섯 수확 기간 중 배지의 물리 및 톱밥의 목재 화학 성분 변화 등에 대한 조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종균 접종 후 배양 기간 중에 배지의 중량 감소가 발생하며, 이것은 배지 함유 수분의 증발이나 톱밥 목질부의 분해에 의한 현상이 아니고, 배지 중에 첨가한 저분자 수용성 물질인 쌀겨가 먼저 균사에 의해 분해, 이용되기 때문이라는 결론에 이르렀다. 또한 배양 중에 균사 생장 배지의 함수율이 꾸준히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균사 생장과 함께 유기물 분해 과정인 이화작용이 진행되어 분해 산물인 물이 생성됨으로써 배지의 함수율이 증가하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표고버섯 수확이 반복하여 진행됨에 따라 톱밥의 목재 세포벽 주성분인 홀로셀룰로오스와 리그닌 등 유기물 비율이 꾸준하게 감소하였으며, 특히 리그닌 감소 비율이 크게 나타나 백색부후균인 표고 균의 목재 세포벽 성분 분해 특징이 확인되었다. 이에 반하여 무기물 성분으로 이루어진 회분은 수확 횟수 증가와 함께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이것은 홀로셀룰로오스와 리그닌의 유기물 비율이 감소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증가하는 결과로 나타난 것이다.

고려인삼의 직파재배에 관한 조사 연구 (Farm Study of Direct Seeding Cultivation of the Korean Ginseng(Panax ginseng C. A. Meyer))

  • 원준연;조재성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308-313
    • /
    • 1999
  • 단기.다수확을 목표로 하는 인삼의 직파재배는 육묘와 이식을 결합한 재배방법으로서 생산비의 절감과 생산성의 향상을 위한 재배양식이다. 직파 재배의 문제점을 구명하고 직파재배 기술체계의 수립을 위한 기초를 확립하고자 본 조사 연구를 수행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직파재배 인삼포 예정지의 전작물로는 벼, 옥수수 및 호밀이 주로 재배되었고 예정지 관리시에 사용하는 유기물로로는 볏짚, 계분 및 호밀 짚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예정지관리 후 직판시에는 토직묘포의 직판과 같은 방법으로 돌과 흙덩이만 골라 내고 이랑을 만들었으며 두둑의 흙을 체로 친 경우는 전혀 없었다. 2. 직파재배 인삼포의 파종밀도는 간당 196-210립으로 밀식된 상태였으며 발아율은 67%였다. 4년생의 생존율은 51%로서 이식재배 76%에 비해 현저히 낮았으나 간당 생존본수는 100본 이상으로 이식재배보다 많았다. 3. 이식재배에서와는 달리 직파재배 인삼포에서 많이 발생되었던 병은 회색곰팡이병, 모잘록병 및 줄기반점병을 위시한 줄기를 침해하는 병들이었다. 4, 3년생에서는 이식재배에 비해 직파재배한 인삼 엽장이 길었으나 4년생에서는 직파재배한 인삼의 엽장이 오히려 짧았으며, 경의 생육도 3년생에서는 직파재배 인삼이 좋았으나 4년생에서는 직파재배 인삼이 이식재배에 비해 저조하였다. 5. 전체적인 생육상은 이식재배 인삼과 대등하였으나 포장간의 생육차이가 큰 경향이었다. 직파재배 인삼은 비교적 뿌리가 짧았고 뿌리의 크기도 이식재배 인삼에 비해 약간 작은 경향이었으나 간당 뿌리 수확량은 이식재배에 비해 많았다.

  • PDF

동부 르완다 쌀 농업인의 기후변화에 대한 적응 방법 결정 요인 (Determinant Factors of Rice Farmers' Selection of Adaptation Methods to Climate Change in Eastern Rwanda)

  • 부테라 토니;김태균;최세현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41-253
    • /
    • 2022
  • The negative impact of climate change on the agricultural sector is rapidly increasing, and it is urgent to prepare policies at the government level to mitigate it. In the case of Rwanda's agricultural sector, which lacks the government's budget and farmers' capital, efficient and effective policy implementation is of paramount importance. To this end, rather than establishing related policies in the public sector from the top down,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bottom-up customized policy that is reflected in policy establishment by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and behaviors of farmers who actually participate in adaptation activities.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farmers' characteristics and farmers' perception status/adaptation status to climate change on the selection of adaptation methods for climate change were analyzed. 357 rice farmers randomly selected from Eastern Rwanda were surveyed to explore the information related to farmers' perception to climate change and adaptation methods as well as basic information of the farm. Research shows that the probability of selecting a variety of adaptation methods rather than not responding to climate change increases the younger the age, the higher the education level, and the easier access to climate information and credit. As a policy proposals, it is judged that public support such as strengthening agricultural technology support services, including more detailed guidance for elderly and low-educated farmers, and improving access to farm loan services by agricultural financial institutions is needed.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planting time and cultivation method, provide timely information related to climate change, and provide crop variety improvement services to farmers.

종자소독의 현황과 문제점 (Present Status and Problems of Chemical Seed Treatment of Seedborne Diseases)

  • 이두형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30-137
    • /
    • 1983
  • A wide variety of pathogens are known io be seedborne, carried either as infectious mycelium internally or as contaminants on the seed coat. When seed is infected with a pathogen, the seed nay be rendered nonviable or it may remain viable but produce weak seedling. In some cases, the Infected seedling nay not be severely weakened, but nay serve as a source of primary inoculum within a community of plants. A recent problem nay be the dissemination of seedborne pathogens occurring as a result of the massive movements of seed, as a part of the 'Green revolution' Disease of great danger to agriculture may be introduced with seed from other parts of world. Seed treatment with organic mercury compounds in liquid form had become popular since about 1955. Organic mercury compounds contributed considerably to the increase in production of many crops and vegetables. In 1975, however, the use of organic mercury compound was forbidden because of doubts regarding their residual mammalian toxicity in agricultural products. Benomyl-thiram mixture, thiophanate methyl-;hiram mixture and TCMB have now been registered as seed disinfectants for the use of rice blast, brown spot and Bakanae disease. Oxathiinsthiram mixture has been registered as seed disinfectant for barley and wheat loose smut and leaf stripe of barley. Agricultural techniques have made such rapid progress that the nursery methods changed from the use of paddy nursery to box nursery designed for machine-transplanting. The spread of rice transplanting machines has caused increase of seedborne diseases. Among seedborne diseases, Bakanae disease has remarkably increased and causes much damage recently. In order to counter this trend, seed disinfectants must also be diversified. First, effective non-selective disinfectants need to be developed, and second, appropriate control methods always need to be prepared in parallel with the development of new techniques for cultivation.

  • PDF

Soil column중 제초제 bentazon의 용탈 행적 (Leaching behavior of the herbicide bentazon in soil column)

  • 경기성;오경석;안기창;권정욱;이재구
    • 농약과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59-64
    • /
    • 1998
  • 토양의 물리화학적 특성에 따른 제초제 bentazon의 용탈행적을 구명하기 위하여 3종의 토양을 soil column(내경 5 cm ${\times}$ 길이 34 cm)에 30cm 높이까지 충전하고 [$^{14}C$]bentazon을 처리한 후 벼(Oryza sativa L.)를 9주간 관행법에 따라 재배하였다. 용탈된 $^{14}C$ 방사능의 양은 벼를 재배하지 않은 경우는 토양의 물리화학적 특성에 관계없이 총처리 방사능의 약 $91{\sim}92%$이었으나 벼를 재배한 경우는 $21{\sim}50%$로서 $^{14}C$ 용탈량이 현저히 감소하였으며, pH가 높고 유기물 함량이 낮은 토양에서 더 많았다. $^{14}CO_{2}$의 발생량은 총처리방사능의 0.2% 미만으로 매우 적었고 유기물 함량이 높은 토양일수록 뿌리를 통한 지상부로의 이행율이 적었다. Soil column으로부터 모은 용탈수의 $^{14}C$ 방사능이 수상에 분포하는 양은 용탈기간과 벼의 생육에 따라 증가하였으나 토양의 이화학적 특성에 따른 영향은 나타나지 않았다. 토양결합잔류물의 양은 벼를 재배하고 유기물 함량이 높은 토양에서 증가하였다.

  • PDF

오리농법에 의한 벼 재배가 지역 환경에 미치는 영향 평가 (Impact of the Rice-Duck Farming System on Regional Agricultural Environment at Hongsung Area)

  • 노기안;김민경;고병구;김건엽;심교문;이덕배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2권Spc호
    • /
    • pp.57-61
    • /
    • 2009
  • 우리나라에서 가축 사육밀도가 가장 높고 오리농법을 가장 대규모로 실시하고 있는 충남 홍성군 홍동면, 장곡면의 흥동저수지 유역을 사례지역으로 선정하여 오리농법에 의한 벼 재배가 지역 환경과 주변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 이를 바탕으로 친환경농업의 달성을 위한 올바른 발전방안을 제시코자 오리농법에 의한 벼 재배가 토양 환경과 주변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오리농법 실시 논의 토양화학성은 벼농사를 위한 적정범위 안에 있었지만 일반농법 실시 논보다 유기물 함량과 유효인산 함량이 높아 오리농법 실시 논의 양분투입량이 상대적으로 많은 것으로 추정되어 지속농업의 달성을 위해서는 적정량의 퇴비나 유기질비료의 시용이 요구됨을 알 수 있었다. 조사지역 하천수의 수질은 T-N, T-P, COD 값들이 높아 상당히 인근의 하천들이 오염되었음을 나타내고 있으며, T-N, T-P, COD 등으로 평가한 수질의 오염도가 논으로부터 비료성분의 유출 가능성과 일치한 결과로 볼 때 이 지역의 하천수가 벼재배에 의해 배출되는 오염물질의 영향을 일정부분 받고 있는 것으로 평가될 수 있었다. 오리농법 실시 논의 표면수 수질은 일반농법 실시 논보다 EC는 135.7%, COD는 220.1%, T-N는 172.0%, T-P는 227.9%가 높았으며 특히, COD와 T-P는 2배 이상이 높았으며 오리의 활동에 의해 발생하는 물의 탁도와 유의성 있는 상관관계를 보여 오리농법에 의한 벼 재배는 일반농법에 의한 벼 재배 방법보다 논물유출에 의한 잠재 수질오염 가능성이 큰 것으로 평가되었다. 따라서 오리농법 실시 논은 논물 유출에 의한 주변 수질오염 방지를 위해 더욱 철저한 물꼬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