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pact of the Rice-Duck Farming System on Regional Agricultural Environment at Hongsung Area

오리농법에 의한 벼 재배가 지역 환경에 미치는 영향 평가

  • Roh, Kee-An (Climate Change & Ecology Division,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RDA) ;
  • Kim, Min-Kyeong (Climate Change & Ecology Division,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RDA) ;
  • Ko, Byong-Gu (Climate Change & Ecology Division,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RDA) ;
  • Kim, Gun-Yeob (Climate Change & Ecology Division,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RDA) ;
  • Shim, Kyo-Moon (Climate Change & Ecology Division,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RDA) ;
  • Jeong, Hyun-Cheol (Climate Change & Ecology Division,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RDA) ;
  • Lee, Deog-Bae (Climate Change & Ecology Division,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RDA)
  • 노기안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기후변화생태과) ;
  • 김민경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기후변화생태과) ;
  • 고병구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기후변화생태과) ;
  • 김건엽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기후변화생태과) ;
  • 심교문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기후변화생태과) ;
  • 이덕배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기후변화생태과) ;
  • Received : 2009.06.12
  • Accepted : 2009.08.06
  • Published : 2009.12.28

Abstract

To clarify the impact of the rice-duck farming system on the regional environment and the surrounding, a case study was carried out at Hongdong Reservoir valley of Hongdong-myeon and Janggok-myeon, Hongseong-gun, Chungcheongnam-do where the density of livestock grazing is the highest and rice cultivation with the rice-duck farming system is extensively practiced. The soil characteristics and water qualities at paddy fields were compared between two rice cultivation methods of rice-duck farming system and conventional farming system. The organic matters and available phosphate contents in soil of paddy fields where the rice-duck farming system was practiced were higher than those of paddy fields where conventional farming system was practiced. However, the available phosphate content was lower than the optimum for rice cultivation and the mean concentration of paddy soil in Korea. The surface water quality of the paddy field with the rice-duck farming system was practiced had higher EC (137 %), $COD_{Cr}$ (220 %), T-N (172 %), and T-P (226 %) contents than that with the conventional farming system was practiced. Especially, $COD_{Cr}$ and T-P were more than 2 times higher, which tells that the possibility of water pollution by drainage water of paddy field is higher in the paddy fields with the rice-duck farming system practiced than in those with the conventional farming practiced. The higher contents of T-P and $COD_{Cr}$ in surface water at the paddy field of rice-duck farming system practiced were directly caused by soil particles in the muddy water. Consequently, it is necessary to thoroughly manage the irrigation and drainage system of rice-duck farming system practiced to prevent outflow of surface water from paddy and pollution of surrounding water system.

우리나라에서 가축 사육밀도가 가장 높고 오리농법을 가장 대규모로 실시하고 있는 충남 홍성군 홍동면, 장곡면의 흥동저수지 유역을 사례지역으로 선정하여 오리농법에 의한 벼 재배가 지역 환경과 주변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 이를 바탕으로 친환경농업의 달성을 위한 올바른 발전방안을 제시코자 오리농법에 의한 벼 재배가 토양 환경과 주변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오리농법 실시 논의 토양화학성은 벼농사를 위한 적정범위 안에 있었지만 일반농법 실시 논보다 유기물 함량과 유효인산 함량이 높아 오리농법 실시 논의 양분투입량이 상대적으로 많은 것으로 추정되어 지속농업의 달성을 위해서는 적정량의 퇴비나 유기질비료의 시용이 요구됨을 알 수 있었다. 조사지역 하천수의 수질은 T-N, T-P, COD 값들이 높아 상당히 인근의 하천들이 오염되었음을 나타내고 있으며, T-N, T-P, COD 등으로 평가한 수질의 오염도가 논으로부터 비료성분의 유출 가능성과 일치한 결과로 볼 때 이 지역의 하천수가 벼재배에 의해 배출되는 오염물질의 영향을 일정부분 받고 있는 것으로 평가될 수 있었다. 오리농법 실시 논의 표면수 수질은 일반농법 실시 논보다 EC는 135.7%, COD는 220.1%, T-N는 172.0%, T-P는 227.9%가 높았으며 특히, COD와 T-P는 2배 이상이 높았으며 오리의 활동에 의해 발생하는 물의 탁도와 유의성 있는 상관관계를 보여 오리농법에 의한 벼 재배는 일반농법에 의한 벼 재배 방법보다 논물유출에 의한 잠재 수질오염 가능성이 큰 것으로 평가되었다. 따라서 오리농법 실시 논은 논물 유출에 의한 주변 수질오염 방지를 위해 더욱 철저한 물꼬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