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rganic acid (formic acid

검색결과 139건 처리시간 0.028초

조릿대 줄기와 잎의 화학성분과 그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균활성 (Chemical Components in Stalks and Leaves of Sasa borealis Makino and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Extracts)

  • 고명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25-132
    • /
    • 2008
  • 조릿데의 천연식품소재 및 천연보존료로서의 이용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줄기와 잎의 화학성분과 그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아질산염 소거능 및 항균활성을 조사하였다. 조릿대 줄기와 잎의 수분 함량은 각각 59.87% 및 28.79%, 단백질 함량은 각각 2.09% 및 6.33%, 조지방 함량은 각각 1.21% 및 3.43%, 회분 함량은 각각 0.99% 및 3.76%로 나타났다. 무기성분 중에서 K이 줄기와 잎에 각각 350.27mg% 및 639.60mg%로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고, 그 다음으로 줄기에는 Na, Mg 및 Mn의 순으로, 잎에는 Na, Mg, Ca 및 Mn의 순으로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줄기와 잎의 주요 유기산은 acetic acid, citric acid 및 succinic acid였고, oxalic acid, tartaric acid, formic acid, malic acid 및 fumaric acid등이 검출되었으며, 줄기보다 잎에 유기산이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항산화효과는 줄기 추출물이 잎 추출물에 비해 그리고 에탄올추출물이 열수추출물에 비해 높았고, 특히 0.5% 줄기 에탄올추출물이 0.02% BHA보다 높은 항산화 효과를 보였다. 모든 추출물은 아질산염 소거능을 보였고 추출물의 농도가 높을수록 아질산염 소거능도 농도에 비례하여 크게 증가하였으며, 줄기 열수추출물이 가장 높은 아질산염 소거능을 보였다. 항균활성을 측정한 결과, 열수추출물은 공시된 모든 균주에 대해 항균활성을 보인 반면, 에탄올추출물은 일부 균주에 대해 높은 항균활성을 보였으며, 잎 에탄올추출물이 Listeria monocytogenes와 Salmonella typhymurium을 제외한 다른 대부분의 균에 대해 강한 항균 활성을 좌였다. 또 줄기와 잎의 열수 및 에탄올추출물의 대부분이 대조구로 사용된 1.0% 소르빈산에 비해 높은 항균 활성을 보였다.

복분자주 발효과정 중 이화학적 특성의 변화 (Changes i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Bokbunja (Rubus coreanus Miq.) Wine during Fermentation)

  • 최한석;김명곤;박효숙;신동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574-578
    • /
    • 2005
  • 복분자 발효주의 품질향상을 위하여 효모 종류 및 효소 등 처리방법을 달리하여 발효과정 중의 이화학적 특성을 검토한 결과 Saccharomyces cerevisiae KCCM 12224(Sc-24), 복분자 분리효모(Bok-3), 약주분리(Yak-7), Saccharomyces cerevisiae(Sc-24)와 약주효모(Yak-7) 혼합균주의 주발효 후 알코올 함량은 각각 11.08%, 10.62%, 10.18%, 10.26%이었으며, pectinase 첨가시 알코올 함량을 0.1-1.5% 증가시킬 수 있었다. 발효주의 유기산은 oxalic, citric, malic, shikimic, formic acid 등이었으며, 발효과정 중 citric acid와 malic acid가 큰 폭으로 감소되었다. 복분자주 발효 중 적정산도는 발효액 중의 citric acid의 함량변화에 의존적이었다. 복분자주의 색도는 발효초기에 유의적으로 감소되었으며 Sc-24, Yak-7 및 Bok-3+pectinase 처리구가 발효에 의한 색도의 변화가 비교적 낮았다. 이화학적 성분의 변화를 고려할 때 복분자주의 발효는 8-10일이 적당하였으며, Sc-24 및 Bok-3균주와 500ppm의 pectinase 첨가가 발효에 효과적이었다.

오미자약주 제조 및 품질특성 (Brewing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Schisandra chinensis Yakju)

  • 조경식;정은영;최한석;김명곤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5권3호
    • /
    • pp.163-167
    • /
    • 2012
  • 약주의 소비증대와 품질증진을 위해 오미자(Schisandra chinensis) 과실을 0-20% 농도 별로 약주에 첨가하여 발효를 통한 품질증진에 미치는 효과를 연구하였다. 당농도와 알코올 생성량은 오미자 첨가구와 무첨가구에서 유사한 경향을 나타났다. pH는 무첨가구가 4.17로 가장 높았고, 오미자 첨가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최종 3.57-3.90로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유기산은 citric acid가 무첨가구에서 9.22 mg/100 mL, 오미자 첨가구에서 161.38-634.96 mg/100 mL 검출되었다. 무첨가구에 비하여 오미자 첨가구에서 약 17.50-68.87배로 높은 비율로 함유되어 있으며, citric acid는 오미자 첨가구의 pH에 농도 의존적으로 영향을 주기 때문에 농도가 높은 오미자 첨가구의 pH가 가장 낮은 값을 가진 것과 연관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무첨가구의 색도는 명도 18.31, 적색도 -0.58 및 황색도 -0.38을 나타내었으며, 오미자 첨가구는 명도 13.55-15.14, 적색도 0.12-5.16 및 황색도 -0.78-0.02로 오미자 첨가로 인해 어두운 색조로 바뀌었으나 적색도가 증가하여 관능적인 요인을 향상시켰다.

The Influence of Mixed Solvents Volatility on Charge State Distribution of Peptides During Positive Electrospray Ionization Mass Spectrometry

  • Nielsen, Birthe V.;Abaye, Daniel A.;Nguyen, Minh T.L.
    • Mass Spectrometry Letters
    • /
    • 제8권2호
    • /
    • pp.29-33
    • /
    • 2017
  • Understanding the mechanisms that control and concentrate the observed electrospray ionisation (ESI) response from peptides is important. Controlling these mechanisms can improve signal-to-noise ratio in the mass spectrum, and enhances the generation of intact ions, and thus, improves the detection of peptides when analysing mixtures. The effects of different mixtures of aqueous: organic solvents (25, 50, 75%; v/v): formic acid solution (at pH 3.26) compositions on the ESI response and charge-state distribution (CSD) during mass spectrometry (MS) were determined in a group of biologically active peptides (molecular wt range 1.3 - 3.3 kDa). The ESI response is dependent on type of organic solvent in the mobile phase mixture and therefore, solvent choice affects optimal ion intensities. As expected, intact peptide ions gave a more intense ESI signal in polar protic solvent mixtures than in the low polarity solvent. However, for four out of the five analysed peptides, neither the ESI response nor the CSD were affected by the volatility of the solvent mixture. Therefore, in solvent mixtures, as the composition changes during the evaporation processes, the $pK_b$ of the amino acid composition is a better predictor of multiple charging of the peptides.

지리오갈피 발효주의 숙성 중 품질변화 (Developing the Quality of Traditional Fermented Liquor Using Acanthopanax chiisanensis)

  • 김명석;조수정;이상원
    • 생명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70-76
    • /
    • 2020
  • 지리오갈피(Acanthopanax chilsanensis)를 이용한 지역 특산품 개발 및 소비촉진을 목적으로 지리오갈피 발효주를 개발하여 5~10℃, 60일 동안 숙성시키면서 발효숙성주의 품질특성 등을 검토하였다. 숙성 기간 동안 발효숙성주 중의 환원당 함량은 약간 감소하였으나 총산의 함량은 아주 완만하게 증가하였다. 지리오갈피 뿌리, 줄기 및 열매로 제조한 발효숙성주 중의 유기산 함량은 3종류의 숙성주 모두 lactic acid, formic acid, malic acid, tartaric acid 및 acetic acid의 순으로 그 농도가 높게 검출되었다. 그리고 유리당은 3 종류의 숙성주 모두 sucrose, glucose 및 mannose 등의 유리당이 검출되었으며 이들 중 glucose 함량이 모든 시험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Acanthoside-D 함량은 줄기 첨가 발효숙성주에서 64.12 ppm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발효주와 발효숙성주의 acanthoside-D 함량을 비교해 보면 발효숙성주에서 약간 높아지기는 했으나 거의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발효숙성주 중의 총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뿌리, 줄기 및 열매의 발효숙성주에서 각각 1,858.9, 2,855.1 및 2,672.2 mg/l로 나타났다. 숙성주의 색도를 검토한 결과 뿌리와 줄기를 첨가한 숙성주에서는 거의 유사한 L, a, b값을 나타내어 발효숙성주의 색깔도 비슷하게 나타났으나, 열매를 첨가한 숙성주에서는 L값이 낮고, a값이 높아 붉은 색을 많이 띄었다.

매생이의 이화학적 성분 (Physicochemical Composition of Capsosiphon fulvescens)

  • 김철호;이정화;이명렬
    • 통합자연과학논문집
    • /
    • 제3권3호
    • /
    • pp.174-180
    • /
    • 2010
  • 매생이의 생리활성 기능과 이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의 일환으로 매생이의 일반성분 및 영양성분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일반성분은 건물(dry basis)을 기준으로 수분 함량은 6.27%, 조단백질 27.66%, 조지방 1.68%, 조회분 10.69% 및 탄수화물 53.70%를 함유하였다.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 함량이 3,259.97 mg%로 가장 많이 함유되었고, 다음으로 isoleucine, valine, alanine 순으로 검출되었고, 총 아미노산에 대한 필수아미노산의 비율은 42.33%로 나타났다. 매생이의 구성 지방산 중 포화지방산은 palmitic acid, stearic acid, heptadecanoic acid 순으로 나타났고, 불포화지방산은 linoleic acid, oleic acid, linolenic acid, DHA 순으로 나타났으며, 총 지방산 중 불포화지방산의 비율은 86.66%이었다. 유기산은 oxalic acid 함량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succinic acid였으며, formic acid, furmaric acid 및 maleic acid는 미량 검출되었다. 비타민 A와 E의 함량은 각각 0.021 mg/100 g과 0.001 mg/100 g이었다. 무기질은 Mg이 703.5 mg/100 g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Na, K, Fe 순이었고 Zn, Mn, Cu의 함량은 미량이었다. 이상의 결과 매생이는 필수아미노산 및 필수지방산을 비롯한 무기질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매생이의 기능성 식품으로서의 이용 가치가 한층 더 높아질 것으로 기대되어진다.

식물성(植物性) 색소(色素)의 이용(利用)에 관(關)한 연구(硏究) -I. 꽃잎 맨드라미(Amaranthus tricolor L.)의 Anthocyanin 색소(色素)의 분리(分離) 동정(同定)- (Studies on the Utilization of Plant Pigments -I.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hocyanin Pigments in Ganges Amaranth-)

  • 윤태헌;이상직;김광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94-202
    • /
    • 1978
  • In order to evaluate the utility of the anthocyanin pigments in Ganges Amaranth as an edible pigment, this study was designed to isolate and identify the anthocyanins. The anthocyanins present in leaves of Ganges Amaranth were extracted with 0.1% HCl in methanol. The extracted pigments were purified by organic solvent treatment and Amberlite CG-400 Type cation exchanger, and then separated into individual pigments by paper chromatography with n-butanol-formic acid-water(100:25:60, v/v) as a solvent system. The separated pigments were identified by their Rf values, sugar moieties, complete hydrolysis and spectral characteristics in the visible and ultraviolet regions. The amounts of individual anthocyanins were also determined.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se experiments were as follows. 1. Chromatograms of the Ganges Amaranth extract developed with BFW yielded three anthocyanin bands. The two of the anothocyanin bands were tentatively identified as malvidin-3-glucoside(acylated with caffeic acid) in band 1 and peonidin-3-glucoside (acylated with caffeic acid) in band 2. But the anthocyanin in band 3 was not identified due to extremly low concentration. 2. The amount of total anthocyanins was 101.57 mg/100g fresh weight of leaves in which 82.15 mg of malvidin-3-glucoside (acylated with caffeic acid) and 27.20 mg of peonidin-3-glucoside(acylated with caffeic acid) were contained per 100g fresh weight. Maividin-3-glucoside acylated with the acid was, therefore, the most abundant pigment in the Ganges Amaranth.

  • PDF

첨가제 처리가 알팔파 사일리지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Additives on the Quality of Alfalfa Silage)

  • 김종근;정의수;강우성;함준상;김종덕;서성;이종경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15-120
    • /
    • 1999
  • 본 시험은 첨가제 처리가 알팔파 사일리지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1996년 6월부터 12월까지 축산기술연구소 초지사료과에서 개화중기에 수확된 알팔파(Vernal)를 사일리지로 조제시 무처리, 개미산, 당밀 및 젖산균 제제 (inoculant A 및 inoculant B)등 5처리 3반복의 난괴법 배치로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첨가제 처리로 알팔파 사일리지의 조단백질 및 NFE 함량은 대조구에 비해 높게 나타났고, 조회분 및 조섬유 함량은 대조구에서 11.5 및 39.6%로 높았다. ADF 및 NDF 함량은 대조구에서 36.2 및 48.6%로 첨가제 처리구보다 높았으며 사일리지 조제전에 비해 약 4% 증가하였다. 사일리지의 pH는 대조구에서 5.45로 가장 높았고 개미산 및 inoculant A 처리구에서 4.35 및 4.32로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또한 건물 함량은 대조구에서 유의적으로 낮았으며 건물손실률은 대조구에서 높았으며 첨가제 처리구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암모니아태 질소 함량은 개미산 처리구에서 가장 낮았고 젖산균수는 무처리 및 개미산 처리구에서 낮은 경향을 보였다. 첨가제 처리에 따른 유기산 조성에 있어서는 inoculant A 및 inoculant B 처리구에서 총산 및 젖산 함량이 높게 나타났으며 품질등급에 있어서도 젖산균제 처리구가 가장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고품질의 알팔파 사일리지를 조제할때는 첨가제 처리가 효과적이며 안전성, 기계부식 문제를 고려할 때 살포가 용이한 젖산균제의 이용이 바람직한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두류 누룩으로 제조한 탁주, 약주, 증류주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Takju, Yakju, Spirit made by Pulse Crop Nuruks)

  • 정재홍;최희숙;이윤희;이건순;김재민;이정훈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32-247
    • /
    • 2015
  • 향온국(통밀, 녹두), 내부비전국(녹두, 밀가루, 기장), 대두국(통밀, 대두) 등의 누룩으로 각각 탁주, 약주, 증류주를 제조하여 이들의 품질 특성을 평가하였다. 품질 평가를 위하여 발효액의 pH, 당도, 총산도, 알코올 함량, 효모 생균수 등을 측정하였고, 각각의 누룩으로 만든 탁주, 약주, 증류주의 향기성분과 유기산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관능 검사를 실시하였다. 발효가 진행되는 동안 향온국의 pH 저하가 가장 많았고, 당도도 낮아졌다. 총 산도는 발효 초기에 향온국이 가장 높았고, 발효종점에서도 향온국이 가장 높았으나, 대두국과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p<0.05). 알코올 함량은 내부비전국에서 발효 초기에 가장 높았고, 발효 종점에서는 세 누룩 간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효모 생균수는 발효 초기에 대두국에서 가장 많이 검출되었고, 발효 2일부터 균수가 감소하기 시작하였으며, 발효 종점에서는 세 누룩 간 차이가 없었다. 향기성분 분석에서 acetone과 n-amyl alcohol은 약주, 탁주, 증류주에서 검출되지 않았으나, n-butanol이 가장 높은 수치로 검출되었고, 다음이 i-amyl alcohol이었다. Fusel oil은 증류주에서 가장 많이 검출되었으나, 탁주, 약주, 증류주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유기산 중 fumaric acid와 formic acid는 탁주와 약주에서 검출되지 않았고, 7종의 유기산들이 검출되었으며, 유기산 중 lactic acids가 가장 많았다. 관능검사에서 향온국으로 만든 탁주와 약주가 가장 높은 점수를 얻었고, 대두국이 가장 낮은 점수를 얻었으며, 세 누룩으로 만든 증류주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 결과로 향온국으로 만든 탁주와 약주가 바람직한 전통주로 판명되었다.

한국산과 중국산 홍화종실의 화학적 성분 비교 (Comparison of the Chemical Compositions of Korean and Chinese Safflower (Carthamus tinctorious L.) Seed)

  • 김준한;곽동윤;최명숙;문광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912-918
    • /
    • 1999
  • 한국산 볶음처리 하지 않은 홍화종실과 볶음홍화종실은 수분 8.73%, 0.05%, 조지방 15.47%, 14.61%, 조회분 3.78%, 3.87%, 조단백질 19.74%, 18.82%, 조섬유 14.53%, 10.46%, 무질소물 46.49%, 52.23%로 분석되었고, 그 중 조지방함량은 중국산 홍화종실과 볶음홍화종실의 33.30%, 31.22%와는 상당한 차이를 보였고, 이것은 원료의 구분방법의 척도로 생각된다. 한국산 홍화종실과 볶음홍화종실에는 linoleic acid가 74.0%, 69.0%로 높은 함유량을 나타내어 홍화종실의 중요 지방산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홍화종실의 유리당은 sucrose, raffinose, glucose, fructose 등이 분리되었고 그 중 scurose의 함량이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또한 홍화종실의 주된 총아미노산은 glutamic acid, aspartic acid 및 arginie등으로 확인되었다. 홍화종실의 유리아미노산은 한국산 홍화종실과 볶음홍화종실은 24종, 11종, 중국산 홍화종실과 볶음홍화종실은 24종, 15종으로 분리되었고, lysine, isoleucine등 필수아미노산의 함량은 한국산 홍화종실이 높게 함유하였다. 홍화종실의 주된 유기산으로는 formic acid, succinic acid, malic acid, oxalic acid, furmaric acid 등이 분리확인 되었고, 홍화종실의 비타민류로 vitamin E(tocopherol), $vitamin\;B_{1}$, $vitamin\;B_{2}$등이 분석 되었고, 그 중 ${\alpha}-tocopherol$ 함량은 한국산 홍화종실과 볶음홍화종실은 10.5 mg/100 g, 6.2 mg/100 g이고, 중국산 홍화종실과 볶음홍화종실은 12.8 mg/100 g, 9.4 mg/100 g으로 다량 함유하고 있어 식물성 천연항산화제로써의 가치를 확인하였다. 홍화종실의 carotenoid 함량은 중국산 홍화종실이 $452.0\;{\mu}g/\;100\;g$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홍화종실의 주된 무기질로는 K, P, Ca, Mg 등이 확인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