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peration target

검색결과 1,211건 처리시간 0.024초

치유의 숲 산림치유 프로그램의 활동 내용 분석 (Analysis on Activities of Forest Healing Program in Healing Forests)

  • 홍재윤;이정희
    • 한국산림휴양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1-9
    • /
    • 2018
  • 본 연구는 2015년 8월부터 2016년 4월까지 산림청이 조사한 국유치유의 숲에서 진행된 프로그램 활동내용을 분석하여 산림치유 프로그램의 질적 향상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였다. 조사된 치유의 숲에서 진행된 프로그램 활동내용 DB자료 99개를 수집하여 활동내용을 확인하고, 조사 양식에 따라 대상자, 6대 요법(인자), 장소, 계절, 시간대, 운영시간, 다면평가에 따라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산림치유 프로그램 활동을 구성할 때 대상자는 대체로 일반적인 대상을 상대로 구성하며, 6대 요법 중 가장 많이 고려된 인자는 정신건강인자였다. 장소는 치유숲길을 가장 많이 활용하였으며, 계절은 봄 여름 가을, 시간대는 오전 오후 모두 가능한 활동이 대부분이었다. 또한, 1개 활동의 운영시간은 60분이, 다면평가에서는 동적인 활동이 프로그램 개발 시 가장 선호되었다. 개발된 산림치유 프로그램의 활동내용을 분석한 결과 산림치유 프로그램의 질적 향상을 위하여 산림치유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산림치유지도사의 세분화된 전문성이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질환별 산림치유 효과에 대한 연구가 먼저 선행되어야 입증된 연구를 바탕으로 전문성을 갖출 수 있을 것이다.

실시간 열량계 정보를 활용한 단기 열 수요 예측 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Short-term Heat Demand Forecasting Model using Real-time Demand Information from Calorimeters)

  • 송상화;신광섭;이재훈;정윤재;이재승;윤석만
    • 한국빅데이터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7-27
    • /
    • 2020
  • 지역난방 시스템은 서비스 지역 내 열 수요처들을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중앙의 저비용 고효율 열 생산설비를 통해 열을 공급하는 에너지 시스템이다. 효율적인 열 공급 시시스템 운영을 위하여 지역 내 열 수요를 정확하게 예측하고 이를 바탕으로 열 생산 계획을 최적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 내 열수요처별 열 사용량 패턴에 대한 빅데이터 정보로 기계실별 실시간 열량계 정보를 반영한 열수요 예측모형을 제시하였다. 기존에도 열 수요예측에 활용되던 지역 전체 열수요 실적 합계와 함께 수요처별로 설치되어 있는 열량계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집한 개별 열수요 실적을 예측모형에 반영함으로써 열 수요처별로 상이한 열사용 패턴을 반영한 열 수요 예측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지역난방 기업의 실제 열수요 실적을 바탕으로 열수요 예측 정확도를 측정한 결과 계절에 상관없이 기본 모형 대비 열량계 빅데이터를 반영할 경우 정확도가 올라가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향후 열수요처별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추가로 반영함으로써 열 수요 예측 정확도 향상이 가능할 것으로 예측된다.

마을 내 잔존 노거수의 생육현황 및 실태진단 - 경주시 현곡면을 중심으로 - (Diagnosis of the growth status and actual condition of the remaining old trees in the village - Focused on Hyeongok-myeon in Gyeongju-si -)

  • 김영훈;덩베이지아;천겅;유주한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109-123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establishment of future countermeasures by diagnosing the growth status and actual condition of undesignated old trees distributed in Hyeongok-myeon, Gyeongju, Gyeongsangbuk-do. The number of old trees surveyed was 2 weeks in Gajeong-ri, 2 weeks in Haguri, 3 weeks in Nae-Tae-ri, 1 week in Nawon-ri, 6 weeks in Oryu-ri, 3 weeks in Sangguri, and 2 weeks in Sohyeon-ri, The trees species composition was 6 trees Celtis sinensis Pers., 1 Diospyros lotus L. trees, 4 trees Salix chaenomeloides Kimura trees, 2 Styphnolobium japonicum L. trees, and 7 Zelkova serrata (Thunb.) Makino trees. Growth status is 7.1~22.0m in height, 14.6~25.1m in long axis, 10.2~19.2m in short axis, root diameter is 76.0~236.4cm, diamter at breast height is 67.0~220.0cm, soil acidity is pH4.9~7.0, soil The hardness was measured to be 4.0-27.0mm. The result grade of the scoring data of health information is represented by monitoring generally, monitoring critically, and absolute monitoring, and it was confirmed that out of the 20 trees population in Hyeongok-myeon, the general monitoring grade was 7 weeks, the major monitoring grade was 13 weeks, and there was no absolute monitoring grade. Accordingly, the number of old trees of the general surveillance level was maintained at the current level, and ecological surgical operations were introduced for the major surveillance level, but the case of village forests should be different, and sequential treatments were the old tree urgently needed. The level and bark of the target tree, the state of the crown, the root exposure, the presence of pests and pests, the vitality and the ground condition, the degree of pollution are normal, poor, or very poor, operation and protection management, soil improvement, removal of cover, and disinfection were urgently needed for the old trees with the surveyed data.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se matters, continuous monitoring and management measures for the old number should be sought.

선박검사제도 패러다임 전환에 관한 고찰 (A Study on Paradigm Shift of Ship Inspection System)

  • 송병화;이창현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30-38
    • /
    • 2022
  • UN해양법협약 제94조에 따르면 기국은 자국선박의 안전 확보를 위한 총체적 역할을 다하여야 하며, 관련 조치로서 선박검사제도를 운영하여야 한다. 대한민국 정부(해양수산부)는 해사안전 증진의 목적을 위해 해양사고 저감을 목표로 설정한 관련 정책을 시행하였으나 목표를 달성하지 못하고 있다. 선박검사제도는 해양사고 예방을 위한 조치로서 실효성 있는 제도의 운영을 위해서는 현행 선박검사제도의 원류(原流)에 대한 충분한 이해가 필요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국제적 선박검사제도의 기원과 시대적 패러다임 변화에 대한 분석을 통해 선박검사제도의 국제적 동향을 파악하였다. 최근 선박검사제도의 국제적 패러다임은 '국제표준화'와 선사(선주)의 능동적 안전관리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근거하여 국내 선박검사제도의 패러다임 전환방안으로 'PDCA Cycle 기반 자체검사제도'의 도입을 제시하였다. 이는 해사안전의 효과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ISO 9000 시리즈의 기본 철학을 바탕으로 선박검사제도 이해관계자의 역할을 정립한 새로운 형태의 선박검사제도이다. 더불어 인류는 'COVID-19'의 팬더믹 상황에 따라 비대면 선박검사제도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어 이에 대한 대안으로서 'ICT기술의 빠른 발전'이란 시대적 환경변화에 따른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기반 선박검사제도' 전환을 제안하였다.

공중발사체의 활용가능성 분석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bility of Air Launch Vehicle)

  • 권기범;이강현;조예랑;지완구;김규홍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203-214
    • /
    • 2022
  • 세계적으로 500 kg 급 이하의 소형위성에 대한 수요가 늘어남에 따라 전용 소형발사체에 대한 개발과 운용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소형위성을 원하는 시간에 목표로 하는 궤도에 투입하는 발사체의 신속한 대응성이 주목받고 있으며, 신속한 위성군 구축 측면에서 공중발사 방식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소형위성군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우리나라 및 주변 지리적 환경을 고려하여 공중발사체의 활용가능성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대응성 측면에서 공중발사체와 지상 소형 및 대형발사체에 대해 임무 대응시간을 비교, 분석하고, 발사체의 궤도투입 성능 측면에서 공중발사체와 지상 소형발사체를 정량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공중발사체는 신속한 위성군 구축 관점에서 우리나라의 경우 실질적인 대응성은 제한되나 상대적으로 빠른 턴어라운드 시간과 낮은 경사각의 궤도 투입 시 효과적인 대안이 될 수 있다. 또한, 궤도투입 성능은 지상 소형발사체의 성능에 근접할 뿐만 아니라 요구 추진제 질량 측면에서 높은 효율성을 나타내어 국내 소형위성군의 궤도투입에 효과적인 발사수단으로 평가된다.

IEC 61850 프로토콜의 배전자동화시스템에 사용을 위한 배전시뮬레이터 개발과 시뮬레이션 결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distribution simulator and simulation results for use in distribution automation system of IEC 61850 protocol)

  • 김재동;오재곤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95-102
    • /
    • 2022
  • 신재생에너지 확대를 위한 배전자동화시스템의 안정성 평가를 위한 연구이다. 정부는 재생에너지 3020 이행계획 정책을 통해 2030년까지 신재생에너지를 확대하여 국민의 삶의 질을 높이는 참여형 에너지 체계로 전환할 계획이다. 정부는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 발전량 비중을 국내 보급 에너지의 20%로 목표 설정하였다. 신규 설비용량의 95% 이상을 태양광 풍력 등 청정에너지로 설립할 계획이다. 재생에너지 보급 확대로 에너지 신사업과 분산전원 산업이 육성되어 과거의 대규모 전원 개발이 아닌 근거리, 저압, 소규모 발전이 급속히 확대되었다. 이런 수요로 인해 배전 설비 운영의 중요성이 대두 되었고 배전자동화시스템이 필요성 증대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배전자동화시스템의 성능 및 기능 평가를 위한 배전시뮬레이터 개발에 대해 다루었고 이와 배전자동화시스템과의 연동시험 결과를 제시한다. 배전계통에 진보된 시스템을 도입하기 위해서는 송변전시스템의 장점을 취해야 한다. 배전시스템에서 DNP3.0프로토콜을 사용하고 송배전시스템에서 IEC61850 프로토콜을 사용한다. 이 두 프로토콜을 배전자동화시스템에서 혼용하여 사용시 제어, 모니터링 등의 운영에 대한 기능과 성능을 충족한다는 결론을 보였다.

파일 단위 공간데이터 변경 인식 데이터 운영 기법 (Operation Technique of Spatial Data Change Recognition Data per File)

  • 이봉준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184-193
    • /
    • 2021
  • 공간 데이터를 관리하는 시스템은 저장된 정보의 갱신을 위하여 신규 입수되는 공간정보 파일에 대하여 기존 정보와 달라진 정보만을 추출하여 기존 정보를 갱신 한다. 기존 정보와 달라진 객체만을 추출하기 위해서는 신규 입수된 공간 정보 파일 내에 포함된 모든 객체에 대하여 기존 정보와 달라진 부분이 있는지 비교하게 된다. 수시로 갱신되는 공간 정보의 양이 증가하고 전국 단위의 데이터 갱신이 요구되는 상황에서 이러한 전수 검사 방식을 개선 하고자 본 연구가 진행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신규 입수 공간 정보 파일내의 개별 객체를 검사하기 이전에, 파일의 정보만으로 개별 공간 객체가 변경 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하여 고찰해 보았다. 공간 데이터 파일은 일반적인 이미지나 텍스트 문서 파일과는 다른 정형화된 데이터 특성을 가지므로 기존의 파일 hash를 생성하여 관리하는 방식과 비교하여 좀 더 단순한 방식으로 이와 같은 파일단위 변경여부 판단이 가능하다. 전수 검사가 필요한 대상 파일의 숫자를 줄임으로써 전체적인 데이터 품질 검사 시간과 변경 데이터 추출 시간을 절약하여 시스템의 리소스 사용을 개선할 것으로 기대한다.

학내 언론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홍보에 관한 분석-A대 대학원 신문의 페이스북 페이지 운영실태에 대한 비판적 고찰을 중심으로- (Analysis of the Promotion of Social Networking Services (SNS) in School Media with Focus on the Operation of the Facebook Page of a Graduate School Newspaper)

  • 안혜진;이승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145-158
    • /
    • 2022
  •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SNS를 활용하는 기업은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으나 SNS를 단순히 '사용'하는 것만으로 그 기능을 '활용'했다고 말하기는 어렵다. 이에 본 연구는 사용을 넘어 디지털 기술과 SNS 기능을 온전히 활용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고, 공급자의 효율을 높여 현장을 활성화시키고자 하는 목적 아래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2021년 2월부터 2021년 12월까지 A대학 대학원 신문사의 페이스북 이용실태를 참여관찰법을 통하여 분석 및 고찰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양질의 콘텐츠를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콘텐츠의 주제와 유형을 다변화시킬 필요가 있다. 둘째, 타겟보고서나 인사이트 등 SNS 기능을 활용하여 사용자의 범주와 특성을 살피고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니즈에 맞는 콘텐츠를 공급해야 한다. 셋째, 저조한 사용자 참여와 페이스북 비활성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온라인 이벤트 등의 촉진전략을 새로이 개최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본 연구는 디지털 환경 속에서 시장의 변화를 따라가지 못하는 일부 기업의 현실적 문제를 직시하고, 그 실패 요인과 이를 타진할 수 있는 해결 방안을 제시했다는 점에 연구의 의의를 둔다.

Analysis of Horticultural Activities in the Teacher's Guidebooks of Nuri Curriculum for 5-Year-Olds

  • Choi, Byung Jin;Jeong, Yeo Jin;Kim, Mi Jin;Yun, Suk Young
    • 인간식물환경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211-220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frequency and contents of horticultural activities in 696 individual activities listed in 11 teacher's guidebooks of Nuri Curriculum for 5-year-olds, and to find out the perceptions of horticultural activities in the formal curriculum. The target horticultural activities that were selected were those using natural objects like potted plants, water, wind, soil, stones, etc. as the topic or subject of activities, and those with different topics but are mentioning plants or natural objects as an example at least twice. The 150 selected horticultural activities were classified by life-based theme, activity type, activity domain, and medium. As a result of examining horticultural activities by life-based theme, there were 150 horticultural activities (21.55%): 40 in Spring, Summer, Autumn and Winter (5.75%), 34 in Animals, Plants, and Nature (4.89%), 22 in Environment and Life (3.16%), 19 in Our Country (2.73%), and nine in Our Neighborhood (1.29%), nine in Various Countries of the World (1.29%), four in Health and Safety (0.57%), four in Living tools (0.57%), four in Transportation (0.57%), three in Kindergarten and Friends (0.43%), two in Me and My Family (0.29%; χ2=130.427, p < .001). As a result of examining horticultural activities by activity type, there were 61 free choice activities (40.67%), 80 large and small group activities (53.33%), and nine outdoor play activities (6.00%), indicating that outdoor play was the fewest activity type (χ2=54.040, p < .001). The results of analyzing horticultural activities by activity domain showed that there were 25 in conversation (16.67%), 19 in science (12.50%), 14 in art (9.33%), 14 in cooking (9.33%), 10 in fairy tales (6.00%), nine in music (6.00%), eight in language (5.33%), eight in number operation (5.33%), eight in others (5.33%), six in children's plays (4.0%), six in games (4.0%), four in body and movement (2.67%), three in stacking (2.00%), three in roles (2.00%), three in rhythm (2.00%), two in children's poems (1.33%), two in field experience (1.33%) and one in outside play (0.67%; χ2=87.600, p < .001).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mediums used in the horticultural activities, 46 activities (30.67%) directly used plants as the mediums, 11 activities (7.33%) used soil such as stones, gravel, and earth as the mediums instead of plants, four activities (2.67%) used dry plants such as branches and dry leaves as the mediums, and 89 activities (59.33%) used videos, photos of plants, and pictures of plants as the mediums (χ2=121.307, p < .001).

액션러닝기반 수업운영에 대한 만족도 요인분석 - 보건학부 융합전공 학생을 중심으로 - (Satisfaction Factor Analysis for Action Learning-based Class Operation - Focused on Students of the Department of Public Health Convergence Major -)

  • 정대근;양상훈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5권8호
    • /
    • pp.247-254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대학 내 융복합 교육과정을 수강하는 재학생들에게 액션러닝을 활용하여 일정 기간 팀 학습 형태로 자아성찰을 통해 과제를 해결 능력을 함양하여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 대상은 전남에 소재한 스포츠건강관리학과와 물리치료학과를 융복합 한 스포츠재활학과 재학생 40명으로 액션러닝 교수학습방법을 적용한 학생과 전통적 강의식 학습방법을 적용한 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문제해결 능력 및 전공만족도의 효과 차이를 확인하고자 실시하였다. 액션러닝 교수학습방법을 적용한 실험군 집단 내 변화비교는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문제해결능력 및 전공만족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p<.001)(p<.05). 전통적 교수학습방법을 적용한 대조군 집단 내 변화비교에서도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문제해결능력 및 전공만족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집단 간 변화비교는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문제해결능력 및 전공만족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융복합 교육과정에서 액션러닝 교수방법을 재학생의 수준에 맞추어 적용시키면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문제해결능력 및 전공만족도를 효율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며, 추후에도 대상을 확대하고 변수들을 추가하여 질적연구를 병행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