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ntological thought

검색결과 39건 처리시간 0.029초

현대건축 현상의 존재론적 해석 - 20세기말 아방가르드를 중심으로 - (Ontological Analysis on the Phenomenon of Contemporary Architecture - Focused on the Avant-garde in the End of the 20th Century -)

  • 변계성
    • 건축역사연구
    • /
    • 제14권2호
    • /
    • pp.21-40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features of the avant-garde architecture in the end of the 20th Century based on the ontology as a metalanguage. In view of the results so for achieved, it is possible to say that the thought of becoming, topology, rhizome thought and the Deleuze's concepts of the fold and the event as ever-changing and evolving at any given time are found in the avant-garde architecture, and the introduction of ontological thought into architectural design encourage hopes for a more natural and existential quality in architecture. However, the avant-garde architecture in the end of the 20th century disclosed the limitation in the architectural expression of ontological thought due to the lack of fully understand on ontology. In conclusion, the ontological approach in architecture offers a new morphological methodology and a new way of programming considering the existential aspect of space through the bricoleur's means leaving the ontological meaning of architecture itself.

  • PDF

Ontological Violence: "Ambiguous Undulations" between "Sunday Morning" and Sunny Day's Morning

  • Jang, Jeong U
    • 영어영문학
    • /
    • 제56권3호
    • /
    • pp.543-555
    • /
    • 2010
  • In his early poems, Wallace Stevens shows us different gestures, compared with his later poems, when he acquires reality by faculty of imagination. The former is made of ontological violence while the latter is revealed by bareness of less sensuality. However, they are the identical gestures, though from different angles, to accomplish things as they are rather than the ideas of things. In "Sunday Morning," ontological violence occurs in such epistemological couples as thought and thing, mind and world, and imagination and reality. Especially, in order to recuperate his poetic reality, Stevens undermines the traditional hierarchy between heavenly divinity and earthly divinity. In the poem, Christianity faces a critical challenge and then it is disempowered by the earthly divinity. Additionally, by disadvantaging religion, he wants to raise his poetic issue of the faculty of imagination to acquire reality. Stevens' concept of imagination is less subjective and more transcendental than Kantian one. After the ontological violence, Christian divinity and mythic gods leave ontological boundary for earthly divinity in an ambiguous way. In other words, between "Sunday" and "sunny day," the ontological conflicts haunt us throughout the poem as if the violence would happen between imagination and reality. For Stevens, both Christian divinity and mythic gods are mere obstacles to real divinity; both play a mere role of imagination before reality is revealed. Whatever reality is, imagination is always ready to draw an ontological line of reality in an ambiguous way, regardless of how long it lasts. In general, most ontological violence requires such physical remnants of conflicts as borderline, deaths, and pains which still prevail in the poem. Those ontological remnants remain to be found on earth. The sky is an abstract borderline between heaven and earth because in a sense, it belongs to both earthly landscape and heavenly sphere. Without any ontological borderline or threshold, there is no recognition of the divinity because the vitality of divinity is inflamed in continuous transgression of the other. After the final ontological conflict between heaven and earth, there remains only ambiguous borderline near the earth beside the friendlier sky.

회화적 표상의 의미분석을 위한 두 가지 이론적 패러다임 : Wittgenstein의 그림이론과 Langer의 상징론을 중심으로 (Two Theoretical Paradigms for Semantic Analysis of the Pictorial Representation, Centered on Wittgenstein's Picture Theory and Langer's Symbol Theory)

  • 김복영
    • 조형예술학연구
    • /
    • 제1권
    • /
    • pp.11-62
    • /
    • 1999
  • The paper aims to survey some features in the 20th century's semantic analyses of the pictorial representation as a paradigm concept. Here the most typical pattern of paradigms to approach it were thought that one is Referential Semantics which begins with Wittgenstein's Picture Theory, the other, Ontological Semantics concerned with .Langer's Symbol Theory. In the light of paradigm theory, some results acquired are as follows. First, the two paradigms are recognized as those of a mutually different philosophical background. So as far as the researcher is concerned, their arguments are contradictory each other. Second, it must be emphasized that each of them all have a possible aspect of necessary and sufficient requirements. to interpret and analyze the meaning of artistic representation. In result, the Referential and Ontological Semantics can work with a complementary partnership. In short, the referential meaning constructs a infrastructure of the picture, whereas the ontological meaning does it's infrastructure.

  • PDF

최한기의 존재와 인식에 관한 패러다임의 전환 (Choi Han-gi's Change of Ontological and Epistemological Paradigm)

  • 이명수
    • 한국철학논집
    • /
    • 제57호
    • /
    • pp.9-30
    • /
    • 2018
  • 최한기의 사유에서 존재와 인식 두 측면에 걸친 패러다임이 근대성의 맥락에서 전환된다. 그에게 만사만물의 근원은 리(理)가 아니고 기(氣)이다. 그 리는 기를 미루어 헤아릴 수 있다. 그리고 종래의 존재론 차원에서만 있던 '리'가 최한기의 기철학에서는 인식 국면에도 있다. 존재론에 '유행의 리'가 있다면 인식 국면에는 '추측의 리'가 있다. 또한 그의 사유에서 리는 존재와 인식 모두에 걸쳐 무수히 많다. 이렇다 할 때 리는 메커니즘으로서 이치, 방식, 방법의 의미로 접근해 볼 수 있지 않을까 싶다. 최한기의 생각에서 만물 존재와 인식 모두에 생성, 운동, 변화의 운화기가 내재한다. 최한기의 기학에서는 '경험'이 매우 중시된다. 도덕적으로 행위할 줄 아는 것도, 예를 들어 맹자의 측은지심의 발동도 그의 사유에서는 경험, 교접을 통해 획득되는 것이고 도덕 행위의 인식은 심체, 즉 마음의 본질인 신기에 의한 추측으로 보았다. 이와 같은 면모로 최한기의 철학에서 존재와 인식의 문제가 대두된다. 사물의 존재의 본질뿐만 아니라 그것에 대한 인식 과정 모두에 걸쳐 운동, 변화가 내재한다. 이런 양태로 최한기의 사유는 실학적이며 근대적인 사유로 나아갔다.

논리학의 존재론적 보수성과 부분전체론 (The Ontological Conservativeness of Logic and Mereology)

  • 강수휘
    • 논리연구
    • /
    • 제13권2호
    • /
    • pp.167-201
    • /
    • 2010
  • 본 논문의 목적은 철학적으로 만족스러운 메타논리학으로서 부분전체론의 가능성을 살펴보는 것이다. 그 이유는 명백하다. 소위 수리 논리학으로 알려진 메타논리학에 대한 전통적인 접근은 집합들, 함수들, 모형들과 같은 수학적 존재자들의 존재를 미리 상정하고 있다. 이는 우리가 논리학을 개별 과학 분야에 적용할 때마다, 이러한 집합론적 메타논리학이 이들 분야의 논의영역에 언제나 이들 특수한 존재자들을 부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사실은 집합론적 메타논리학이 논리학의 존재론적 보수성과 상충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반면에 집합론과 유사한 형식 체계인 부분전체론은 존재론적으로 무고하다고 주장되어 왔다. 따라서 우리가 논리학의 존재론적 보수성을 보장할 수 있는 중립적인 메타논리학으로 이 부분전체론을 고려하는 것은 상당히 자연스러운 일일 것이다. 하지만 부분전체론의 존재론적 무고함을 주장하는 논변들을 살펴보면, 우리는 부분전체론적 합 혹은 융합체와 같은 부분전체론적 존재자들이 존재론적으로 중립적인, 무고한 존재자가 아니라는 것을 알게 된다. 결국 우리는 부분전체론을 통한 메타논리학 역시도 논리학의 기초로서 올바른 접근이 될 수 없다고 결론 내리게 된다.

  • PDF

'해원상생'에서 '상생'의 존재론적 근거 - '사방-세계'와 '초연한 내맡김', 그리고 '거주하기' - (The Ontological Basis of 'Sangsaeng' in 'HaewonSangsaeng': 'Geviert-Welt,' 'Gelassenheit,' and 'Wohnen')

  • 문동규
    • 대순사상논총
    • /
    • 제37집
    • /
    • pp.107-140
    • /
    • 2021
  • 이 논문은 대순사상 내지는 대순진리회에서 말하는 '해원상생'에 주목하면서 '상생'의 존재론적 근거 내지는 토대를 하이데거(M. Heidegger)의 사상을 통해 드러내고 있는 글이다. '상생'은 '서로 (잘) 산다는' 것을 말한다. 그런데 '산다'는 것은 인간과 인간 사이에서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존재하는 모든 것이 서로 잘 사는 것을 말한다. 이때 우리는 하이데거의 '사방-세계(Geviert-Welt)'와 '초연한 내맡김(Gelassenheit)', 그리고 '거주하기(Wohnen, 거주함)'에서 대순사상 내지는 대순진리회에서 말하는 '상생'의 근거를 발견할 수 있다. 말하자면 우리는 '땅, 하늘, 신적인 것들, 죽을 자들'인 '넷'의 하나로 포개짐이 상생적으로 펼쳐지는 '사방-세계', '사방-세계'에 진입하는 '초연한 내맡김'이라는 인간의 태도를 통해 상생의 근거를 마련할 수 있다. 물론 인간에 한정해서 말하자면 이 상생은 '사방-세계'에 진입해서 존재하는 모든 것을 소중히 보살피면서 살아가는 인간의 존재 방식인 '거주하기'를 통해 이루어진다. 그러나 거주하기는 '사방-세계'에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에 이 글에서는 대순사상 내지는 대순진리회에서 말하는 윤리적인 이념 내지는 지침인 '상생'이 이미 존재론적인 지평인 '사방-세계', '초연한 내맡김', '거주하기' 등을 이루어질 수 있음을 주장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상황에서는 해원 또한 이미 해소되고 있음을 드러내고 있다.

엠마누엘 무니에의 '인격(personne)'의 세 가지 존재론적인 특성 (The three Ont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Person with Emmanuel Mounier)

  • 이명곤
    • 철학연구
    • /
    • 제137권
    • /
    • pp.249-276
    • /
    • 2016
  • 엠마누엘 무니에의 '인격에 대한 사유'는 인간적인 삶에 있어서 가장 본질적이고도 중요한 문제를 다루고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그의 사상에서 '인격의 특성'이 무엇인지를 크게 3가지 차원에서 고찰하고 있다. 첫째 인격이란 '진정한 그 자신', 한 개인의 자아를 형성하고 있는 내면적이고 정신적인 존재라는 차원에서 '비-규정적'이고 '환원 불가능한 특성'을 가진 것이며, 인격이 가진 유일성 그 자체로부터, 그리고 자기 세계를 지니고 있는 존재자의 '최고의 완성'이라는 의미에서의 '개별성'을 지닌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둘째, 이러한 인격의 '개별성'은 인격의 차원에서 소통이 불가능한 '존재론적인 고독'을 지니고 있지만, 또한 자기 세계를 형성하는 제 요소들을 '소통'과 '관계성'을 통해서 취하는 것으로, 본질적으로 '실존적인 열림'을 가지고 끊임없이 '관계성' 중에 있는 '역설적인 것'으로 파악된다. 마지막으로 '인격'은 끊임없이 새로운 자아를 창조하는 '역동적'인 것으로 나타나고 있는데, 이러한 인격의 역동성은 자기 동일성을 보존하고자 함과 동시에 '인류애'에 기초한 '사회의 인격화'를 지향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그의 사유는 현대사회의 비참에 빛을 줄 수 있는 새로운 '휴머니즘'의 한 유형이 될 수 있다.

한국 전통사상속에 나타난 환경개념에 대한 고찰 (Review of Environment in the Korean Traditional Thought)

  • 김문실;한영란;신윤희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51-263
    • /
    • 1994
  • This paper reviewed the concept of the environ ment in Korean traditional thought according to Shamamism, Buddhism, Confucianism, and Taoism. The differences in the views of the environment between Korean traditional thought and Western thought were compared according to the ontological point of view.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concept of environment, one of the four metaparadigm(human, environment, health, nursing)as it is experssed in Korean traditional thought. However, it was difficult to find the concept of environment separated out in the traditional thought pattern. Instead, environment concepts are represented in the natural views and universal views. Even though the four traditional thought patterns (Shamaism, Buddhism, Confucianism and Taoism) represent some difference in their view of nature, the combination of natural and human harmony, anti-dichotomy and so forth are emphasized in common in four thought patterns. Korean traditional thought includes a more comprehensive meaning than the unitary-transformative perspective discussed in modern Westen thought patterns. Environment has been dealt with in narrow view until now. Now we avoid this narrow view and must regard environment as an integrated concept with person. Through this research, it is hoped that a contribution will be made to the development of nursing knowledge suitable to Korean culture.

  • PDF

초등 과학영재학생들의 '살아있는 것'에 대한 존재론적 이해 분석 (An Analysis of Science-gift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Ontological Understanding of 'Living Things')

  • 김동렬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4권2호
    • /
    • pp.164-182
    • /
    • 2015
  • This study aims to analyze science-gifted elementary students' understanding of 'Living Things' with ontological domains. As research subjects, this study selected 80 science-gifted students who belonged to Education Institute for Science-gifted Elementary Students at University of Education, and this study came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ly, the gifted students thought of animals as living things most, out of which humans accounted for the highest rate. They were also found to evaluate the importance of living things depending on benefits and harms to humans. Secondly, when judging 4 domains of living things, animals, plants, static inanimate objects and dynamic inanimate objects, the gifted students did not have difficulty judging animals, plants and static inanimate objects, but 4 of them judged the moon, a dynamic inanimate object, as a living thing. In the aspect of reaction time, they spent more time judging plants than animals. This study classified their standards of judgement on living things into ontological categorie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31 and 33 out of them had standards of judgement corresponding to the category of matter and the category of process respectively, and only 16 of them had standards of judgement corresponding to the category of mental states. Thirdly, how to make a waterwheel and images of euglena and paramecium were shown to 10 of the gifted students who suggested simple movements as characteristics of living things. As a result, 7 of them changed their standards of judgement from the category of matter to the category of process, while 3 of them changed from the category of matter to the category of mental states.

『전경』에 나타난 생명의 존재론적 위상 (A Study on the Ontological Meaning of Life in The Canonical Scripture)

  • 백춘현
    • 대순사상논총
    • /
    • 제45집
    • /
    • pp.1-35
    • /
    • 2023
  • 이 글은 대순사상에 나타난 생명이 존재론적 관점에서 어떤 위상을 지니는지 살펴보려는 목적을 갖는다. 존재론이란 있는 것들을 있게끔 만드는 그 '있음'이 무엇인지, '있는 것들'을 실현하는 가능근거가 있는지, 있다면 그것이 무엇인지를 탐구하는 인간 사유의 한 분야이다. 생명은 대순사상의 추기이다. 대순사상의 생명은 현재적 인간을 포함한 창생(蒼生)뿐 아니라 신성, 불, 보살, 귀와 신 등 모든 신명(神明)을 포괄하며 현재와 과거, 미래의 물리적 한계를 넘어 시·공간적으로 무한한 우주적 차원으로 확산한다. 고대 존재론의 시초인 플라톤에 있어서 인간은 '혼(psychē)을 가진 몸(sōma)'이었다. 그러나 인간에게 '몸은 무덤(sōma sēma)'일 뿐이다. 몸은 혼을 가두는 굴레이고 혼을 묶는 사슬이다. 플라톤의 혼의 세 특징은 각각 불사(不死), 상생(相生), 신성(神性)이다. 플라톤의 혼에 대한 생각은 아리스토텔레스를 거쳐, 중세 서양 형이상학과 현대 생명철학자 베르그손에게 이어진다. 베르그손은 생명이란 무화(無化, néantiser)하려는 무(無)를 극복하면서 끊임없이 자기 동일성을 만들어 나가는 힘이다. 베르그손의 생명의 세 가지 특징은 자기동일성, 약동, 자유이다. 대순사상은 선천의 가사적 생명이 해원을 통해 후천의 영원한 생명으로 개벽한다고 본다. 대순사상이 보는 후천 생명의 대표인 지상신선은 이런 대순적 생명성을 잘 보여준다. 지상신선은 불사의 존재이고 영원을 특징으로 하지만 존재 형이상학이 주장하는 부동성은 부정한다. 지상신선은 활동하는 생명 존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