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Ontological Basis of 'Sangsaeng' in 'HaewonSangsaeng': 'Geviert-Welt,' 'Gelassenheit,' and 'Wohnen'

'해원상생'에서 '상생'의 존재론적 근거 - '사방-세계'와 '초연한 내맡김', 그리고 '거주하기' -

  • Received : 2021.01.29
  • Accepted : 2021.04.05
  • Published : 2021.04.30

Abstract

In this article, I reveal the ontological basis or grounds of 'Sangsaeng' through the Heideggerian Thought by focusing on 'HaewonSangsaeng' in Daesoon Thought and Daesoon Jinrihoe. 'Sangsaeng' means 'to live (well) with others.' 'Living' in this context means not only humans living among humans, but also all beings that exist and are able to live well with each other. At this time, we can find the basis for 'Sangsaeng' in Daesoon Thought or Daesoon Jinrihoe through Heidegger's 'Geviert-Welt,' 'Gelassenheit,' and 'Wohnen.' In other words, we can provide a basis for 'Sangsaeng' through 'Geviert-Welt' in which one of the 'four' of 'earth, sky, divine things, and those who will die' unfold in a mutually beneficent manner, and the human attitude of 'Gelassenheit' can enter 'Geviert-Welt.' Naturally, when limited to humans, this 'Sangsaeng' is achieved through 'Wohnen,' a way of being a human who enters the 'Gevirt-Welt' and lives while taking care of everything that exists. However, 'Wohnen' takes place in 'Geiert-Welt.' Therefore, in this article, I insist that the ethical ideology or guideline of Daesoon Thought or Daesoon Jinrihoe's 'Sangsaeng' is already ideologically achieved through an ontological horizon such as 'Gevier-Welt,' 'Gelassenheit,' and 'Wohnen.' And under these circumstances, it can be revealed that 'Haewon' is already being resolved.

이 논문은 대순사상 내지는 대순진리회에서 말하는 '해원상생'에 주목하면서 '상생'의 존재론적 근거 내지는 토대를 하이데거(M. Heidegger)의 사상을 통해 드러내고 있는 글이다. '상생'은 '서로 (잘) 산다는' 것을 말한다. 그런데 '산다'는 것은 인간과 인간 사이에서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존재하는 모든 것이 서로 잘 사는 것을 말한다. 이때 우리는 하이데거의 '사방-세계(Geviert-Welt)'와 '초연한 내맡김(Gelassenheit)', 그리고 '거주하기(Wohnen, 거주함)'에서 대순사상 내지는 대순진리회에서 말하는 '상생'의 근거를 발견할 수 있다. 말하자면 우리는 '땅, 하늘, 신적인 것들, 죽을 자들'인 '넷'의 하나로 포개짐이 상생적으로 펼쳐지는 '사방-세계', '사방-세계'에 진입하는 '초연한 내맡김'이라는 인간의 태도를 통해 상생의 근거를 마련할 수 있다. 물론 인간에 한정해서 말하자면 이 상생은 '사방-세계'에 진입해서 존재하는 모든 것을 소중히 보살피면서 살아가는 인간의 존재 방식인 '거주하기'를 통해 이루어진다. 그러나 거주하기는 '사방-세계'에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에 이 글에서는 대순사상 내지는 대순진리회에서 말하는 윤리적인 이념 내지는 지침인 '상생'이 이미 존재론적인 지평인 '사방-세계', '초연한 내맡김', '거주하기' 등을 이루어질 수 있음을 주장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상황에서는 해원 또한 이미 해소되고 있음을 드러내고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전경」, 여주: 대순진리회 출판부, 2010.
  2. 「대순진리회요람」, 여주: 대순진리회 교무부, 2010.
  3. 「대순지침」, 여주: 대순진리회 출판부, 2012.
  4. 금교영, 「대순진리 해원상생의 현세 실현과 그 실천수행 연구」, 「대순사상논총」 25, 2015. https://doi.org/10.25050/jdaos.2015.25.2.71
  5. 김용환, 「상생의 종교윤리 범례 연구」, 「종교교육학연구」 33, 2010. http://uci.or.kr/G704-000911.2010.33..001
  6. 마르틴 하이데거, 「동일성과 차이」, 신상희 옮김, 서울: 민음사, 2000.
  7. 마르틴 하이데거, 「강연과 논문」, 이기상.박찬국.신상희 옮김, 서울: 이학사, 2008.
  8. 마르틴 하이데거, 「이정표 2」, 이선일 옮김, 파주: 한길사, 2005.
  9. 막스 뮐러, 「실존철학과 형이상학의 위기」, 박찬국 옮김, 서울: 서광사, 1988.
  10. 문동규, 「하이데거에서 '사유'의 문제」, 「철학논총」 28, 2002.
  11. 문동규, 「하이데거의 존재사유에서 '초연한 내맡김'」, 「범한철학」 27, 2002.
  12. 문동규, 「건축과 거주」, 「철학논총」 54, 2008. http://uci.or.kr/G704-000634.2008.4.54.021
  13. 문동규, 「'이상적인 삶' : '본래적인 거주하기'」, 「범한철학」 52, 2009. http://uci.or.kr/G704-001234.2009.52.1.014
  14. 문동규, 「일상에서 이상으로: 이상적인 삶을 위한 이정표」, 「철학논총」 60, 2010. http://uci.or.kr/G704-000634.2010.60.2.006
  15. 문동규, 「'사방-세계'와 인간의 거주하기」, 「남도문화연구」 19, 2010. http://uci.or.kr/G704-SER000001883.2010..19.003
  16. 박용철, 「해원상생에서 해원에 관한 연구」, 「대진논총」 3, 1995.
  17. 박용철, 「해원상생의 실현에 대한 고찰」, 「대순사상논총」 4, 1998.
  18. 배규한, 「인간과 세계의 미래에 관한 해원상생사상 연구」, 「대순사상논총」 30, 2018.
  19. 신상희, 「기술시대의 자연에 대한 하이데거의 숙고」, 「동일성과 차이」, 서울: 민음사, 2000.
  20. 양무목, 「해원상생의 현대적 의의와 실현」, 「대순진리학술논총」 4, 2009.
  21. 이경원, 「대순진리회의 '상생'이념에 관한 연구」, 「신종교연구」 13, 2005.
  22. 이경원, 「강증산의 후천개벽론」, 「한국종교」 35, 2012.
  23. 전동진, 「창조적 존재와 초연한 인간」, 서울: 서광사, 2002.
  24. 정대진, 「해원상생의 이해」, 「대순사상논총」 4, 1998.
  25. 차선근, 「대순진리회 마음관 연구 서설」, 「신종교연구」 36, 2017. https://doi.org/10.22245/jkanr.2017.36.36.111
  26. 최동희, 「해원상생과 우리의 일상언어」, 「대순진리학술논총」 4, 2009.
  27. Heidegger, M., Gelassenheit, Zweite, unveranderte Auflage, Pfullingen: Gunter Neske, 1960.
  28. Heidegger, M., Der Satz vom Grund, Pfullingen: Gunter Neske, 1971.
  29. Heidegger, M., Was heisst Denken?, Tubingen: Max Niemeyer, 1971.
  30. Heidegger, M., Wegmarken, Frankfurt a. M.: Vittorio Klostermann, 1976.
  31. Heidegger, M., Sein und Zeit, Frankfurt a. M.: Vittorio Klostermann, 1977.
  32. Heidegger, M., "Der Ursprung des Kunstwerkes", Holzwege, Frankfurt a. M.: Vittorio Klostermann, 1977.
  33. Heidegger, M., Vortrage und Aufsatze, Pfullingen: Gunter Neske, 1978.
  34. Heidegger, M., Identitat und Differenz, Pfullingen: Gunter Neske, 19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