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rDNA ITS

검색결과 69건 처리시간 0.024초

First Description of Petalonia zosterifolia and Scytosiphon gracilis (Scytosiphonaceae, Phaeophyceae) from Korea with Special Reference to nrDNA ITS Sequence Comparisons

  • Cho, Ga-Youn;Yang, Eun-Chan;Lee, Sang-Hee;Boo, Sung-Min
    • ALGAE
    • /
    • 제17권3호
    • /
    • pp.135-144
    • /
    • 2002
  • Scytosiphonaceae is an acetocarpalean brown algal family, that is a recent focus of synstematics and marine biodiversity. We describe Petalonia zosterifolia and Scytosiphon gracilis from Korea for the first time. P. zosterifolia occurred on the East coast, and had flat, linear and solid thalli. S. gracilis was found in Jeju, and had cylindircal to flat and hol-low thalli. However, these two species are so similar that it is difficult to identify by morphology alone. In order to determine if the nuclear DNA reveals the distinctness of both species and to know their phylogenies, the ITS region sequences were newly detrmined in 22 samples of P. zosterifolia, Scytosiphon gracilis, and other three members of the genera from Korea. We found 0.12% variation among samples of P. zosterifolia from different locations, and no variation between S. gracilis samples from diferent years, but extensive interspecific divergences (13.62-22.83%) of each species to other members in Petalonia and Scytosiphon . The ITS sequence dta consistently showed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P. zosterifolia and S. gracilis. This result is congruent with morphology and with the published data of plastid rbc and partial nrDNA large subunit gene sequences, and suggests that P. zosterifolia and S. gracilis might have diverged from the most recent common ancestor.

ITS 염기서열에 의한 한국산 담배풀속(Carpesium L.)의 계통분류학적 연구 (A Phylogenetic Study of Korean Carpesium L. Based on nrDNA ITS Sequences)

  • 유광필;박선주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96-104
    • /
    • 2012
  • 한국산 담배풀속(Carpesium L.) 7분류군과 3개의 외군(Inula britannica L., Inula germanica L., Rhanteriopsis lannginosa(DC.) Rauschert)을 대상으로 유연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nuclear ribosomal DNA(nrDNA) 중 ITS(internal transcribed spacer) 지역의 계통분류학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계통분류학적 연구방법은 maximum parsimony, neighbor-joining와 maximum likelihood 방법을 사용하였다. 정렬된 계통분의 총 길이는 731 bp이며, ITS1, ITS2와 5.8S 부위의 길이는 각각 284~297 bp, 264~266 bp와 164 bp로 나타났다. 계통분류학 변이를 보이는 site는 111개로 확인 되었으며, 그 중 64개의 site가 계통학적으로 유효한 것으로 나타났고, ITS1 지역이 ITS2 지역보다 염기 변이가 다양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 결과, 한국산 담배풀속은 단계통을 형성하였으며, 담배풀(C. abrotanoides L.)이 가장 기저부에 위치하였다. 여우오줌(C. macrocephalum Franch. & Sav.)와 두메담배풀(C. triste Maxim.)은 가까운 유연관계를 나타냈으며, 애기담배풀(C. rosulatum Miq.)와 천일담배풀(C. glossophyllum Maxim.) 그리고 좀담배풀(C. cernuum L.)와 긴담배풀(C. divaricatum Siebold & Zucc.)도 유연관계가 가깝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로 담배풀속 nrDNA의 ITS 지역 염기서열에 기초한 분자 계통학적 연구는 계통분류를 이해하는데 유용한 방법으로 판단된다.

Nicotinamide riboside regulates inflammation and mitochondrial markers in AML12 hepatocytes

  • Lee, Hee Jae;Yang, Soo Jin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3권1호
    • /
    • pp.3-10
    • /
    • 2019
  • BACKGROUND/OBJECTIVES: The $NAD^+$ precursor nicotinamide riboside (NR) is a type of vitamin $B_3$ found in cow's milk and yeast-containing food products such as beer. Recent studies suggested that NR prevents hearing loss, high-fat diet-induced obesity, Alzheimer's disease, and mitochondrial myopathy.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NR on inflammation and mitochondrial biogenesis in AML12 mouse hepatocytes. MATERIALS/METHODS: A subset of hepatocytes was treated with palmitic acid (PA; $250{\mu}M$) for 48 h to induce hepatocyte steatosis. The hepatocytes were treated with NR ($10{\mu}M$ and 10 mM) for 24 h with and without PA. The cell viability and the levels of sirtuins, inflammatory markers, and mitochondrial markers were analyzed. RESULTS: Cytotoxicity of NR was examined by PrestoBlue assay. Exposure to NR had no effect on cell viability or morphology. Gene expression of sirtuin 1 (Sirt1) and Sirt3 was significantly upregulated by NR in PA-treated hepatocytes. However, Sirt1 activities were increased in hepatocytes treated with low-dose NR. Hepatic pro-inflammatory markers including tumor necrosis factor-alpha and interleukin-6 were decreased in NR-treated cells. NR upregulated anti-inflammatory molecule adiponectin, and, tended to down-regulate hepatokine fetuin-A in PA-treated hepatocytes, suggesting its inverse regulation on these cytokines. NR increased levels of mitochondrial markers including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coactivator-$1{\alpha}$, carnitine palmitoyltransferase 1, uncoupling protein 2, transcription factor A, mitochondrial and mitochondrial DNA in PA-treated hepatocytes. CONCLUSIONS: These data demonstrated that NR attenuated hepatic inflammation and increased levels of mitochondrial markers in hepatocytes.

The Application of DNA Chip Technology to Identify Herbal Medicines: an Example from the Family Umbelliferae

  • Kim, Pil-Ho;Park, Jisoo;Kim, Yeong Shik;Suh, Youngbae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21권3호
    • /
    • pp.185-191
    • /
    • 2015
  • Comparative molecular analysis has been frequently adopted for the authentication of herbal medicines as well as the identification of botanical origins. Roots and rhizomes of the family Umbelliferae have been used as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to relieve various symptoms such as inflammation, neuralgia and paralysis in countries of East Asia. Since most herbal medicines of the Umbelliferae roots or rhizomes are generally supplied in the form of dried slices, morphological examination does not often provide sufficient evidence to identify the botanical origin. Using species-specific probes developed by the comparative analysis of nrDNA ITS sequences, a DNA chip was developed to identify herbal medicines for 13 species in the Umbelliferae. The developed DNA Chip proves its potential as a rapid, sensitive and effective tool for authenticating herbal medicines in future.

애기황새냉이(배추과)의 분류학적 재검토 (Taxonomic review of Cardamine manshurica (Kom.) Nakai (Brassicaceae))

  • 김윤영;지성진;오병운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136-144
    • /
    • 2015
  • 원기재문과 기준표본을 근거로 애기황새냉이(Cardamine manshurica (Kom.) Nakai)의 분류학적 실체와 형태적 특성을 재검토하였다. 그 결과, 애기황새냉이는 유럽에 분포하는 좀냉이(C. parviflora L.)와는 다른 분류군으로, 형태학적으로 황새냉이(C. flexuosa With)와 유사하나, 꽃과 열매의 크기가 작고 개화기가 빠른 특징에 의해 황새냉이를 비롯한 근연분류군과 종 수준에서 명확하게 구분되었으며, nrDNA를 이용한 ITS 구간을 이용한 분자생물학적 분석 결과에 의해서도 지지되었다. 따라서 본 분류군을 종으로 처리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판단하였고, 학명은 C. manshurica (Kom.) Nakai를 정명으로 하였으며, 국명은 황새냉이보다 키가 작고 꽃이 소형인 특징에 기인하여 '애기황새냉이'를 채택하였다.

털개구리미나리(Ranunculus cantoniensis)의 분자계통학적 유연관계 및 종분화 (Molecular phylogenetic relationships and speciation of Ranunculus cantoniensis (Ranunculaceae))

  • 이창숙;이남숙;여성희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335-358
    • /
    • 2004
  • 미나리아재비속(Ranunculus)의 털개구리미나리(R. cantonienesis)의 분자계통학적 유연관계를 조사하고 잡종화 가설을 추정하기 위하여, 군외군을 포함한 8분류군의 25개 DNA재료를 대상으로 핵 DNA와 엽록체 DNA의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털개구리미나리와 근연종에 대하여 maximum parsimony와 maximum likelihood방법으로 분석한 핵 DNA의 ITS 계통수와 psbA-trnH, rps16, trnL 유전자 구간의 염기서열을 조합한 엽록체 DNA 계통수에서, 털개구리미나리는 젓가락나물과 가장 가깝고, 개구리미나리, 왜젓가락나물 순으로 유연관계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분자계통학적 유연관계는 털개구리미나리가 왜젓가락나물과 가장 가깝다는 기존의 외부형태학적 보고와 일치하지 않았다. 염기서열 분석에서 털개구리미나라는 조사된 분류군 중 유일하게 다형성을 나타냄으로서, 염색체수와 핵형에 의하여 보고된 털개구리미나라의 다형성을 지지하였다. 털개구리미나리는 ITS 에서 젓가락나물과 왜젓가락나물의 표지 유전자를 공유하고, 엽록체 DNA에서 왜젓가락나물의 표지 유전자를 공유하였다. 이 결과는 염색체수와 핵형에 의하여 제시되었던 털개구리미나리가 젓가락나물과 왜젓가락나물의 잡종화에 의하여 종분화되었다는 가설을 지지하였으며, 왜젓가락나물이 모계이며, 젓가락나물이 부계로 추정된다.

미세구조학적 형질 및 핵 리보솜 DNA의 ITS 염기서열에 의한 긴병꽃풀속(꿀풀과)의 계통분류학적 연구 (A systematic study of Glechoma L. (Lamiaceae) based on micromorphological characters and nuclear ribosomal ITS sequences)

  • 장태수;이중구;홍석표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22-32
    • /
    • 2014
  • 꿀풀과에 속하는 긴병꽃풀속(Glechoma)내 5종에 대한 화판과 악편의 미세 구조를 관찰하여 기재하고 그 분류학적 유용성을 판단하였으며, 분자계통학적 유연관계를 확인하기 위하여 핵 리보솜 DNA의 ITS 염기서열에 기초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기공복합체는 조사된 모든 분류군의 악편에서 분포하였으며, 공변세포의 길이는 분류군마다 다소 차이를 보였다. 긴병꽃풀속 분류군들의 화판과 악에 분포하는 모용은 5 종류(단세포 비선모, 다세포 비선모, 짧은 자루 두상 선모, 긴 자루 두상 선모, 방패형 선모)로 나타났으며, 모용의 종류, 분포, 밀도가 분류군마다 다르게 나타났다. 핵 리보솜 DNA의 ITS 염기서열에 의한 분자계통학적 연구 결과 긴병꽃풀속은 분포지역에 따라 3개의 분계조(유럽-미국, 중국-한국, 일본)로 분리되었다. 한국과 중국에 분포하는 G. longituba는 단계통군을 이루었고, 이탈리아의 특산종인 G. sardoa와 미국 및 유럽에 분포하는 G. hederacea는 단계통군을 형성하였다. G. hirsuta는 유럽의 분계조와 자매군 관계를 이루었으나, 일본에 분포하는 G. grandis는 나머지 분류군들의 상호 유연관계에서 통계적 지지를 얻지 못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서 긴병꽃풀속내의 종간 한계 설정에 있어 화판 및 악의 미세형태형질의 연구보다 핵 리보솜 DNA의 ITS 염기서열에 기초한 분자 계통학적인 연구가 유용한 방법임이 판명되었다. 그러나 구체적인 본 속내 계통 분류학적인 논의를 위해서는 외부 형태학적 형질에 대한 분석을 동시에 수행할 필요가 있으며, 계통학적 유용성이 보다 높은 DNA 구간을 추가로 분석할 필요가 있다.

A New Species of Hyphomycetes, Aspergillus coreanus sp.nov.,Isolated from Traditional Korean Nuruk

  • Yu, Tae-Shick;Yeo, Soo-Hwan;Kim, Hyun-So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4권1호
    • /
    • pp.182-187
    • /
    • 2004
  • Strain NR $15-1^T$ isolated from traditional Korean Nuruk is described as a new species and named as Aspergillus coreanus NR $15-1^T$ sp. novo Strain NR $15-1^T$ grew rapidly to form yellow-green colonies whose surfaces were velvety on Czapek solution agar. Conidial heads were yellow to light and elliptical, whereas the conidiophore was colorless and typically long. In addition, vesicles were from flask-shaped to globose, and sterigmata are uniseriate. Conidia were spherical and deep yellow-green, and their surfaces were lightly roughened. The G+C content of strain NR $15-1^T$ was 51 mol% and strain NR $15-1^T$contained a dihydrogenated ubiquinone with Q9 (94.9%) as a major quinone. The nucleotide sequences of strain NR $15-1^T$ in the two Internal Transcribed Spacers (ITS 1 and 2) and 5.8S rDNA showed highest similarity when compared with that of A. tubingensis and A. phoenicis NRRL $365^T$. However, based on morphological and chemotaxonomic characteristics, this strain was different from A. tubingensis and A. phoenicis NRRL $365^T$. On the basis of the data presented, it is proposed that strain NR $15-1^T$ should be placed in the genus Aspergillus as a new species, Aspergillus coreanus sp. novo Therefore, the type strain of the new species is strain NR $15-1^T$ (=KCTC 18075P^T,=KCCM 80006^T$.

ITS 염기서열에 의한 한국산 괭이눈속(Chrysosplenium)의 계통학적 연구 (Phylogenetic Study of Korean Chrysosplenium Based on nrDNA ITS Sequences)

  • 한종원;양선규;김현준;장창기;박정미;강신호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58-369
    • /
    • 2011
  • 괭이눈속 식물에 대한 계통 유연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핵 rDNA의 internal transcribed spacer(ITS) 지역에 대한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5.8s를 포함한 ITS 염기서열은 647-653 bp로 그중 219개의 염기에서 유전적 다양성을 나타내었다. 정렬된 염기서열은 bootstrap을 포함한 parsimony 방법과 neighbor-joining 방법을 통하여 계통수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C. pseudofauriei(선괭이눈)이 군내군의 가장 기부에 분계조를 형성하였고, Ser. Pilosa and Ser. Oppositifolia와 Ser. Alternifolia and Ser. Flagellifera가 높은 bootstrap 값으로 두 개의 분계조를 각각 형성하였다. Neighbor-joining 분석의 결과도 일치하였다. 본 연구결과 핵 rDNA의 ITS 염기서열 분석은 괭이눈속의 계통학적 연구에 유용한 마커로 확인되었으며, 최종적으로 ITS 염기서열과 종자 형태형질을 바탕으로 C. sphaerospermum Maxim. and C. valdepilosum (Ohwi) S.H. Kang & J.W. Han에 대한 분류학적 검토를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