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on-intrusiveness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19초

D 유형 성격이 관상동맥질환자의 삶의 질 및 질병장애에 미치는 영향 (Quality of Life and Illness Intrusiveness by Type-D Personality in the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 손행미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349-356
    • /
    • 200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the type-D personality on quality of life and illness intrusiveness. Methods: This study was a cross-sectional study. Data were collected using self-reported questionnaire from 200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CAD). Variables were measured with the Type-D Scale-14(DS14), Korean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Scale(KoQoLS), and the Illness Intrusiveness Rating Scale(ILRS). Results: Of the patients, 38% were classified as type-D personality. Among the 10 subcategories of quality of life, the highest mean score was bodily pain($5.84{\pm}2.85$) and the lowest was role limitation($1.52{\pm}1.20$). Among 13 item of illness intrusiveness, the highest mean score was health($3.78{\pm}1.73$) and the lowest was family relationships($2.14{\pm}1.58$).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the subcategories of quality of life between type-D and non type-D except for subcategories of bodily pain and role limitation.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illness intrusiveness between type-D and non type-D. Conclusion: Type-D is an important factor in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CAD, but no correlations between type-D and illness intrusiveness were found. These results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developing cardiac rehabilitation programs to improve quality of life in type-D patients.

인터랙티브 전시환경에서 모바일 디바이스의 비간섭적 특성의 중요성에 대한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the importance of non-intrusiveness of mobile devices in an interactive museum environment)

  • 이보아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31-42
    • /
    • 2013
  • 본 연구는 문헌연구를 통해 익스플로라토리움이 개발한 다양한 모바일 디바이스(Electronic Guidebook, Rememberer, I-Guides, eXspot)의 비간섭적 특성에 대해 조명했다. 인터랙티브 전시환경에서 관람객의 몰입경험과 의미 생성을 위해 모바일 디바이스에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특성은 전시물과 관람객의 인터랙션에 대한 비간섭적 특성이었다. 모바일 디바이스의 사용성은 비간섭적 특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고, 이로 인해 모바일 디바이스의 형태인자가 교체되었다. 또한 형태인자의 변화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기능을 관람 경험에 대한 기억으로 축소시켰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의 역할이 멀티미디어 가이드에서 관람 후 경험 상기 및 공유 활동을 지원하는 단순한 모바일 도구로 전환됨에 따라 연결완전성이 내재한 관람 모형의 구현이 불가능했다. 익스폴로라토리움이 실행한 일련의 프로젝트는 공통적으로 관람소요시간증가와 관람 후 심화 활동의 활성화 등의 효과를 거두었다. 하지만 박물관학적 관점에서 접근해 보면, 관람소요시간증가는 전시물과의 인터랙션으로 인한 효과가 아니라 관람 기록(MyExploratorium)이 생성되는 사진에 대한 흥미로부터 비롯되었기 때문에 개념적 타당성이 충분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익스폴로라토리움이 개발했던 모바일 디바이스는 '개인화 기반의 관람경험확장을 최적화하기 위한 하나의 학습지원도구'라고 정의할 수 있다.

얼굴인식시스템 성능평가 도구의 설계 및 구현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Performance Evaluation Tool for the Face Recognition System)

  • 신우창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61-175
    • /
    • 2007
  • Face recognition technology has lately attracted considerable attention because of its non-intrusiveness, usability and applicability. Related companies insist that their commercial products show the recognition rates more than 95% according to their self-testing. But, the rates cannot be admitted as official recognition rates. So,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s and tools are necessary to objectively measure the accuracy and performance of face recognition systems. In this paper, I propose a reference model for biometrics recognition evaluation tools, and implement an evaluation tool for the face recognition system based on the proposed reference model.

Mother-Child Emotional Availability Mediating the Effects of Maternal Psychological Well-being and Child's Cognitive Competence on Child Behavior Problems

  • Kang, Min-Ju
    •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Ecology
    • /
    • 제12권2호
    • /
    • pp.95-107
    • /
    • 2011
  • Recent intervention studies document that mother-child dyads with higher levels of Emotional Availability (EA) report fewer child behavior problems than dyads with lower EA. This study examines possible mechanisms that lead to this result by looking at the parent-child micro-system as a whole, with multi-dimensional relationships that include individual differences in the child's cognitive level, parental stress and parent-child interaction. A total 67 children ($1{\frac{1}{2}}$ to $5\;{\frac{1}{2}}$ years of age) and their mothers were videotaped during 30-min play interactions. Interactions were coded using the Emotional Availability (EA) Scales (Biringen, Robinson, & Emde, 1998). Mothers completed Parenting Stress Index-Short Form, Child Behavior Checklist/$1\;{\frac{1}{2}}$ - 5, and the Ages Stages Questionnaire. The findings showed that mothers with higher levels of parenting stress were more likely to be intrusive, hostile, insensitive, and had a tendency to do less structuring in play. The children of stressed and depressed mothers demonstrated less involvement and responsiveness towards their mothers. Children who have higher dyadic EA scores experienced fewer externalizing and internalizing problems. SEM analyses results showed a mediation effect of EA on the association between maternal psychological well-being and child behavior problems. Fewer deficits in child communication skills and problem solving skills that were related with lower parenting stress and depression were associated with higher maternal non-intrusiveness. Higher non-intrusiveness was related to less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s that indicated the indirect effect of child cognitive competence. Possible interpretations and implications of the study findings are discussed.

박물관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자 평가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usability evaluation of museum smart phone applications in pre-visit setting)

  • 이보아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69-77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관람 전 사용자 평가를 통해 박물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정보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를 비교하고, 사용성과 기능적 특성간의 상관관계를 검증했다. 빌바오 구겐하임과 미국자연사박물관 애플리케이션의 경우, 정보서비스와 기능적 특성에 대한 만족도, 관람 동기와 관람시 애플리케이션 사용에 대해 반응이 모두 높게 나타났다. 이는 사용자의 관심과 욕구를 반영될 수 있도록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이 직관적으로 설계 및 디자인되고, 감성적 인터페이스를 지향할 때 사용성이 상승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사용성과 기능적 특성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비간섭적 특성과 개인화적 특성이 다른 기능적 특성에 비해 좀 더 유의미한 상관관계에 놓여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하나의 중요한 시사점은 모바일 해석 매체의 사용성은 엔터테인먼트적인 요소나 기술적 적용보다는 콘텐츠와 사용자 사이에서 발생하는 인터랙션과 사용자의 관심과 욕구가 반영될 수 있는 기능적 특성에 따라 좌우 된다는 것이다.

박물관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자 평가 연구 (A study on the user-evaluation of museum smart phone applications in pre-visit setting)

  • 이보아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3년도 제47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21권1호
    • /
    • pp.215-218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루브르박물관, 미국자연사박물관, 대영박물관, 아시아문명박물관, 국립미술관, 빌바오 구겐하임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자 평가를 통해 정보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를 비교하고, 사용성과 기능적 특성간의 상관관계를 검증했다. 사용자 평가에 대한 종합결과와 정보서비스의 총점을 비교한 결과, 빌바오 구겐하임, 미국자연사박물관, 루브르박물관에 대한 만족도가 높게 평가되었다. 또한 사용성은 개인화적 특성, 비간섭적 특성, 동기부여, UX/UI, 연결완전성이 내재한 관람모형, 정보서비스 등 모든 요인과 유의미한 상관관계에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하나의 중요한 시사점은 박물관 스마트 폰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만족도는 하드웨어나 기술의 적용보다는 콘텐츠와 관람객 사이에서 발생하는 인터랙션에 따라 좌우된다는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