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itrite oxide

검색결과 269건 처리시간 0.023초

효소 처리에 의한 흑미 호분 추출물의 산화방지와 항염증 활성 증진 (Improvement of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aleurone layer extracts of black rice (Oryza sativa L.) by enzyme treatment)

  • 이미경;유수인;이민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0권5호
    • /
    • pp.528-534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흑미 호분을 실험소재로 선택하여, 흑미 호분에 효소(lipase, lecitase, lipopan)를 처리함으로써 산화방지와 항염증활성을 증진하고자 하였다. 항산화 활성을 확인해보고자 DPPH 라디칼 제거능과 ABTS 라디칼 제거능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효소 처리군이 무 처리군에 비해 산화방지 활성이 증가됨을 확인할 수 있었고, 특히 라이페이스를 처리한 후 추출한 시료에서 산화방지활성 증진이 가장 효과적이었다. 이것은 총 안토사이아노 사이드 함량 측정 결과와 일치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산화방지 활성의 증가에서 라이페이스의 작용이 흑미 호분 겉면의 지방 분해를 도와 산화방지능과 관련된 유효성분들을 효과적으로 추출한 것으로 생각된다. 항염증 활성을 비교하기 위해서는 효소처리한 흑미 호분 추출물(OLAE)과 LPS를 함께 처리하여 RAW 264.7 세포가 생산하는 NO의 양과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분비량을 측정해 보았다. 효소 처리를 한 경우, 라이페이스와 lecitase를 연이어 처리한 경우의 시료에서 NO의 생성이 억제되고, 염증성 사이토카인($TNF-{\alpha}$, IL-6)의 분비량이 감소됨을 확인하였다. 항염증 활성의 증진은 두 가지의 효소를 처리하는 과정 중에 일어나는 유효성분의 변화 또는 성분의 전환이 되었기 때문이라 여겨지며, 이를 확인하는 후속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이상의 결과는 부산물로 버려지는 흑미 호분을 효소 처리 과정을 이용하여 만든 흑미 호분층 추출물(OLAE)로 활용하면 유용하고 안정하고 효과적인 산화방지 및 항염증 기능성 식품 소재 개발로 가능함을 제시할 수 있다.

생물학적 하폐수처리과정에서 N2O 배출 및 저감에 관한 고찰 (A Review on Emission and Mitigation of N2O in Biological Wastewater Treatment)

  • 조경숙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181-193
    • /
    • 2018
  • 아산화질소($N_2O$)는 기후변화를 야기하는 온실가스임과 동시에 오존층을 파괴하는 가스이다. 하폐수 처리시 생물학적 질소 제거 공정에서 주로 배출되는 아산화질소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중요하므로 대책 수립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하폐수 처리과정의 아산화질소 배출 관련 최신 연구동향을 종합적으로 고찰함으로써, 아산화질소의 배출량 및 생성에 미치는 주요 인자의 영향을 이해하고, 아산화질소 배출 저감 전략 수립에 필요한 정보를 도출하였다. 하폐수 처리공정에서 아산화질소가 배출되는 주요 경로는 hydroxylamine 산화, nitrifier 탈질 및 종속영양 탈질공정의 3가지로 구분된다. 실험실, 파일럿 및 실 규모 하폐수 처리 공정을 대상으로 아산화질소 배출량을 측정한 결과 아산화질소 배출량의 질소 부하량의 0-95%로 변이가 매우 컸다. 실 규모 하폐수 처리공정에서는 질소 부하량의 0-14.6%가 아산화질소로 배출되고, 평균값과 중간값은 각각 1.95%와 0.2%이었다. 아산화질소 배출량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운전인자는 용존산소와 아질산염 농도 및 COD/N 비율이었다. 아산화질소 배출 저감을 위해 운전인자를 조절하는 다양한 전략이 보고되고 있다. 또한, 하폐수 처리공정에서 아산화질소 배출 저감하기 위한 새로운 전략으로, 높은 아산화질소 환원효소 활성을 가진 미생물을 활용하거나, 기존의 탈질공정 대신 산소발생 탈질공정(oxygenic denitrification)을 도입하는 것이 제안되고 있다.

화피(樺皮)의 항염(抗炎) 효과(效果)에 관(關)한 연구(硏究) (Anti-inflammatory Effects of an Ethanolic Extract form Betula Platyphylla)

  • 유미현;박은경;김영훈;이연아;이상훈;양형인;홍승재;백용현;박동석;한정수;유명철;김경수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84-195
    • /
    • 2006
  • Objectives : Betula Platyphylla(BP) is a traditional analgesic, anti-fungal, anti-inflammatory herb used in Chinese 1medicine. However, no information is available to explain its action.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anti-inflammatory 1effects of BP to elutidate the molecular pharmacological activity in the ethanol extract of BP(BPE). Methods : We performed WTS assay in lipopolysaccharide (LPS) stimulated RAW264.7 macrophages with BPE. Nitrite was measured by Griess assay, prostaglandin E2 (PGE2) by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in LPS induced RAW264.7 macrophages with BPE.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and cyclooxygenase (COX-2) were determined by Western blot. Activation of nuclear factor-kappaB (NF-kB) was measured by electrophoretic mobility shift assay (EMSA). Results : BPE significantly suppressed production of nitric oxide (NO) and PGE2 in LPS-induced RAW264.7 macrophages in a dose-dependent manner. The maximal inhibition rate of NO and PGE2 production by BPE was ca. 88.8% and 93% at the concentration of $100{\mu}g/ml$ (non-cytotoxic concentration), respectively. BPE also decreased iNOS protein and COX-2 protein in LPS-induced RAW264.7 macrophages. EMSA demonstrated that BPE inhibited the DNA binding activity of the NF-kB. Conclusions : These results suggest that BPE inhibits NF-${\kappa}B$-mediated gene expression and downregulates inflammatory mediator production in RAW264.7 macrophages.

  • PDF

Comparison of α1-Antitrypsin, α1-Acid Glycoprotein, Fibrinogen and NOx as Indicator of Subclinical Mastitis in Riverine Buffalo (Bubalus bubalis)

  • Guha, Anirban;Guha, Ruby;Gera, Sandeep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6권6호
    • /
    • pp.788-794
    • /
    • 2013
  • Mastitis set apart as clinical and sub clinical is a disease complex of dairy cattle, with sub clinical being the most important economically. Of late, laboratories showed interest in developing biochemical markers to diagnose sub clinical mastitis (SCM) in herds. Many workers reported noteworthy alternation of acute phase proteins (APPs) and nitric oxide, (measured as nitrate+nitrite = NOx) in milk due to intra-mammary inflammation. But, the literature on validation of these parameters as indicators of SCM, particularly in riverine milch buffalo (Bubalus bubalis) milk is inadequate. Hence, the present study focused on comparing several APPs viz. ${\alpha}_1$-anti trypsin, ${\alpha}_1$-acid glycoprotein, fibrinogen and NOx as indicators of SCM in buffalo milk. These components in milk were estimated using standardized analytical protocols. Somatic cell count (SCC) was done microscopically. Microbial culture was done on 5% ovine blood agar. Of the 776 buffaloes (3,096 quarters) sampled, only 347 buffaloes comprising 496 quarters were found positive for SCM i.e. milk culture showed growth in blood agar with $SCC{\geq}2{\times}10^5$ cells/ml of milk. The cultural examination revealed Gram positive bacteria as the most prevalent etiological agent. It was observed that ${\alpha}_1$-anti trypsin and NOx had a highly significant (p<0.01) increase in SCM milk, whereas, the increase of ${\alpha}_1$-acid glycoprotein in infected milk was significant (p<0.05). Fibrinogen was below detection level in both healthy and SCM milk. The percent sensitivity, specificity and accuracy, predictive values and likelihood ratios were calculated taking bacterial culture examination and $SCC{\geq}2{\times}10^5$ cells/ml of milk as the benchmark. Udder profile correlation coefficient was also used. Allowing for statistical and epidemiological analysis, it was concluded that ${\alpha}_1$-anti trypsin indicates SCM irrespective of etiology, whereas ${\alpha}_1$-acid glycoprotein better diagnosed SCM caused by gram positive bacteria. NOx did not prove to be a good indicator of SCM. It is recommended measuring both ${\alpha}_1$-anti trypsin and ${\alpha}_1$-acid glycoprotein in milk to diagnose SCM in buffalo irrespective of etiology.

LPS가 처리된 RAW 264.7 대식세포에서 Nrf2/HO-1 경로 조절을 통한 매실 추출물의 NO 생성 억제 효과 (Inhibition of NO Production by Ethanol Extract of Prunus mume Fruits in LPS-Stimulated RAW 264.7 Macrophages through Regulation of the Nrf2/HO-1 Signaling Pathway)

  • 강혜주;최은옥;정진우;박신형;박철;홍수현;신순식;정재훈;최영현
    •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10
    • /
    • 2017
  • Objectives : The fruit of Prunus mume Siebold & Zucc. has been used as an alternative medicine and functional food in Korea and Japan for preventive and therapeutic purposes. However, its molecular actions and mechanism on anti-inflammatory activity have not been clearly investigate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the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the ethanol extract of P. mume fruit (EEPM) in lipopolysaccharide (LPS)-stimulated RAW 264.7 cells, and sought to understand the associated molecular mechanisms. Methods : Cytotoxicity was assessed by an MTT assay. The amount of nitric oxide (NO) production was determined by nitrite assay. The mRNA expression of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was analyzed by RT-PCR. In addition, expression levels of iNOS, nuclear factor-erythroid 2-related factor 2 (Nrf2) and heme oxygenase-1 (HO-1) protein were detected by Western blotting. Results : Our data indicated that EEPM inhibited NO production in LPS-stimulated RAW264.7 cells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At the mRNA and protein levels, EEPM suppressed LPS-induced iNOS expression. On the other hand, EEPM markedly enhanced HO-1 expression, which was associated with an induction and nuclear translocation of Nrf2. Moreover, the inhibitory effect of EEPM against LPS‑induced NO production was significantly enhanced by hemin, a HO-1 inducer; however, EEPM's effect on the production of NO was abolished by zinc protoporphyrin IX, a HO-1 inhibitor. Conclusion : The results suggest that EEPM can act as a suppressor agent on NO production through an activation of Nrf2/HO-1 signaling pathway, and may be a promising candidate for the treatment of inflammatory diseases.

마우스 복강대식세포에서 가감공진단(加減拱辰丹)의 항염증 효과 (Anti-inflammatory Effect of Gagam-GongJin-dan in mouse peritoneal macrophages)

  • 김홍준;김영식;목지예;정승일;황성연;조정근;장선일
    •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207-217
    • /
    • 2011
  • Objectives : In a previous study, we have shown that Gagam-Gongjin-Dan(GGD) has an inhibitory effect on the ovalbumin-induced immune responses and a hepatoprotective effect on actaminophen-induced liver injury in Balb/c Mice. However, the possible anti-inflammatory effect of GGD extract for inflammatory mediators was not reported.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n inhibitory effects of GGD extract against lipopolysaccharides(LPS) induced inflammatory mediators in mouse peritoneal macrophages. Methods : GGD extract was prepared by extracting with methanol for 7 days. The extract was freeze-dried following filtration through vacuum distillation system. Accumulated nitrite, an oxidative product of nitric oxide(NO), was measured in the culture medium by the Griess reaction. The levels of prostaglandin $E_2(PGE_2)$, interleukin-$1{\beta}$(IL-$1{\beta}$), tumor necrosis factor-${\alpha}$(TNF-${\alpha}$) were measured by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The expressions of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and cyclooxygenase-2(COX-2) were measured by Western blot analysis. Results : GGD extract (50-$400\;{\mu}g$/ml) per se had no cytotoxic effect in LPS-stimulated peritoneal macrophages. GGD extract dose-dependently reduced NO, $PGE_2$, IL-$1{\beta}$ and TNF-${\alpha}$ production and COX-2 activity caused by stimulation of LPS. The levels of iNOS and COX-2 protein expressions were markedly suppressed by the treatment with GGD extract in a dose dependent manner. Conclusions : These results suggest that GGD extract has an anti-inflammatory effect against LPS-induced inflammatory mediators in peritoneal macrophages, these properties may contribute to inflammation disease care.

큰포식세포에서 퉁퉁마디 추출물의 아라키돈산 대사효소조절 및 항염증 활성 (Modulation of arachidonic acid metabolism and inflammatory process in macrophages by different solvent fractions of Glasswort (Salicornia herbacea L.) extract)

  • 강스미;최유미;홍정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0권6호
    • /
    • pp.671-679
    • /
    • 2018
  • 퉁퉁마디는 식용 염생식물로서 이에 대한 유용 기능성 탐색 및 생리활성 평가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퉁퉁마디 70% 메탄올 추출물을 극성에 따라 분획하여 얻은 Fr.H, Fr.E, Fr.EA, Fr.B 및 Fr.W의 5분획의 NO제거 및 iNOS 발현, 아라키돈산 대사에 관련된 효소 $cPLA_2$, COX-2, 5-LOX 등의 발현과 활성화에 대한 효과를 분석하여 항염작용과 메커니즘을 검토하였다. 이 중 Fr.EA가 가장 높은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성분 함량을 나타내었고 nitrite/아질산의 제거에 있어서도 가장 뛰어난 활성을 보였다. 하지만 LPS로 자극한 RAW264.7 큰포식세포 배양계에서는 Fr.E가 가장 우수한 NO 제거활성과 iNOS발현억제 활성을 나타내었고 이어 Fr.H와 Fr.EA의 활성 순을 나타냈다. Fr.E는 또한 LPS로 자극한 RAW264.7 배양 세포계에서 $cPLA_2$와 COX-2의 발현억제에 가장 큰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이들의 억제를 위한 $IC_{50}$는 각각 33.4과 $27.9{\mu}g/mL$로 나타났다. Fr.E는 $cPLA_2$의 활성화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ERK1/2의 인산화도 농도의존적으로 저해하였다. Fr.H와 Fr.EA도 $80{\mu}g/mL$ 이하 농도에서 iNOS와 아라키돈산 대사효소들의 발현을 농도의존적으로 억제하였다. 하지만 가장 극성 분획인 Fr.W는 모든 활성평가 시스템에서 거의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본 연구는 퉁퉁마디가 iNOS와 아라키돈산 대사효소계를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항염증작용을 할 수 있다는 것을 보고하고 있으며, 특히 Fr.E와 Fr.H와 같은 소수성 분획들이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어 향후 이를 타깃으로 하는 관련 기능성 소재로서의 활용이 기대된다.

치자(Gardenia jasminoides Ellis fructus) 껍질 용매 별 추출물의 지질과산화 저해 및 질소산화물 소거능 (Evaluation of Lipid Peroxidation Inhibition and Nitrogen Oxide Scavenging Activity from Peel of Gardenia jasminoides Ellis Fructus Extracted by Various Solvents)

  • 진동혁;오다영;정헌식;이영근;성종환;김한수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244-253
    • /
    • 2017
  • 치자 껍질의 70% methanol, ethyl acetate (EA) 및 distilled water (DW)의 용매 별 추출물의 total phenol 함량 및 질소 산화물 소거능, 환원력, ${\beta}$-carotene 탈색을 이용한 항산화력 및 지질과 산화 저해능 측정을 통하여 치자의 기능성 식품 소재로서의 가치를 검토한 결과, anthocyanin 함량은 $3.519{\pm}0.635mg/100g\;DW$로 나타났으며, 용매 별 추출 수율은 DW (39.87%), 70% methanol (36.26%), EA (2.88%)로 관찰되었다. 추출 용매 별 항산화 활성은 농도(0.2, 0.4, 0.6 mg/mL)가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control로 사용된 ascorbic acid, BHA, trolox 보다는 낮은 활성이 확인되었다. 치자 껍질의 total phenol 함량은 EA, 70% methanol, DW 추출물 순으로 EA 추출물에서 $26.59{\pm}0.20CAE$ (caffeic acid equivalents) mg/g으로 가장 높았으며, Nitric oxide (NO) radical 소거능에서는 70% methanol (70.32~76.15%), DW (52.66~59.31%), EA (34.65~46.98%) 추출물 순으로 나타났다. Nitrite ($NO_2$) 소거능은 70% methanol (34.57~39.33%), DW (32.53~38.47%), EA (27.59~32.62%) 순으로 관찰되었다. ${\beta}$-carotene 탈색 저해능은 DW (41.55~50.97%), 70% methanol (23.37~44.80%), EA (13.37~25.24%) 순으로 동정되었다. Reducing power (optical density)는 70% methanol (0.044~0.127), DW (0.033~0.099), EA (0.026~0.097) 순으로 확인되었다. 지질과산화 저해능은 껍질 추출물 중 70% methanol (56.51~76.21%), EA (54.59~63.34%), DW (47.92~61.11%) 순으로 관찰되었다(p<0.05). 이에, 치자 껍질은 기능성 식품 및 천연 항산화제로서의 가치가 매우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소아 신장질환에서 소변 내 산화질소의 변화 (Changes in Urinary Nitric Oxide in Pediatric Renal Diseases)

  • 김종화;정지인;임형은;홍영숙;이주원;유기환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11권1호
    • /
    • pp.24-31
    • /
    • 2007
  • 목적 : 본 연구는 소아신장질환에서 소변 내 산화질소(NO)의 배설이 변화 되는가 또한 소변 내 NO가 소아 신장질환의 조직학적 원인 및 섬유화 여부를 추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가를 알아보았다. 방법 : 고대구로병원 소아신장 클리닉에 다니는 방광 요관 역류(VUR) 환아 16명, 미세 변화신 증후군(MCNS) 환아 3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조군은 신장 질환이 없는 환아 12명으로 하였다. 소변은 채취 즉시 원심 분리한 후, 상청액을 분리하여 Griess 반응으로 아질산염$(NO_2)$과 질산염$(NO_3)$농도를 측정하였고 Jaffe 방법으로 크레아티닌(Cr)을 측정하여 소변 내$(NO_2+NO_3)/Cr$ 농도비를 구하여 질환별로 집단 간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또한, MCNS 군에서는 재발 및 단백뇨의 정도와, VUR 군에서는 신반흔의 유무 및 역류의 정도와 소변 내$(NO_2+NO_3)/Cr$ 비율의 차이를 각각 비교하였다. 결과 : VUR군과 MCNS 환아 군 모두 대조군에 비해 소변 내$(NO_2+NO_3)/Cr$ 값이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높았다. MCNS군의 경우 진단 후 첫 1년간 4회 이상 재발했던 빈번 재발 군 이 4회 미만의 군보다, 단백뇨 1+ 이상이었던 군이 단백뇨 trace 이하인 군보다 소변 내$(NO_2+NO_3)/Cr$ 값이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높았다. VUR군에서는 신장 반흔이 있는 경우가 없는 경우보다 소변 내 $(NO_2+NO_3)/Cr$ 값이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높았으나, 역류의 정도와는 관련이 없었다. 결론 : VUR과 MCNS의 발생, 특히 단백뇨의 발생기전에 NO가 관여할 가능성이 있으며, 요로 감염 후 신장 내 반흔의 형성에도 NO가 관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주요 식용버섯 추출물의 생리활성 효과 (Physiological Activities of Extract from Edible Mushrooms)

  • 최세진;이연실;김진경;김진규;임순성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8호
    • /
    • pp.1087-1096
    • /
    • 2010
  • 본 연구는 예로부터 식용 및 약용으로 널리 이용되어지는 버섯의 기능성 소재로서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버섯 추출물의 유효성분 함량(polyphenol, $\beta$-glucan)과 저분자 및 고분자 분획물의 항산화 활성, 혈전용해 활성, 면역증강 및 항염증 활성 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전체 수율은 식용버섯이 약용버섯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beta$-glucan의 함량은 표고버섯(33.5%)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Polyphenol 함량은 약용버섯인 상황버섯(LMW)이 233.23 mg/g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애느타리버섯(LMW) 12.18 mg/g, 송이버섯(LMW) 11.72 mg/g 순으로 확인되었다. 버섯 추출물의 항산화 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전자공여능 측정 결과는 ascorbic acid 0.5 mg/mL에서 95.91%의 저해율을 나타낸 것에 비하여 상황버섯(LMW, 10 mg/mL)이 80.74%의 억제활성을 나타내었다. SOD 유사활성 측정에서는 대부분의 버섯 추출물에서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아질산염 소거능 측정에서는 pH의 감소에 따라 소거능이 증가하였고, 상황버섯(LMW)이 가장 높은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이처럼 버섯 추출물의 항산화능력 측정에서 phenol성 물질을 많이 함유하고 약용버섯으로 사용되는 상황버섯이 식용버섯(송이버섯, 새송이버섯, 양송이버섯, 느타리버섯, 애느타리버섯, 표고버섯, 팽이버섯) 보다 LMW 분획에서 우수한 항산화 능력을 갖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혈전용해 활성을 측정한 결과에서 대부분의 LMW 분획물들은 혈전용해 활성을 갖지 않았으며, 송이 버섯(HMW, 50 mg/mL)이 60.4%의 가장 높은 혈전용해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RAW 264.7 cell을 이용한 대식세포 활성능(NO 생성)을 측정한 결과 LMW 분획에서는 대식세포 활성능력이 거의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대조군인 LPS 500 ng/mL를 첨가한 상태에서 $32.9\;{\mu}M$의 NO를 생성하는 것과 비교하여, 표고버섯(HMW, $500\;{\mu}g/mL$) $39.86\;{\mu}M$, 송이버섯 $35.17\;{\mu}M$의 NO 생성능을 나타내었다. 또한 약용버섯인 상황버섯(HMW)은 NO 생성능력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에 RAW 264.7 cell로부터 LPS에 의해 유도된 NO 생성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상황버섯(LMW) $500\;{\mu}g/mL$의 농도에서 NO의 생성을 100% 저해하였고, 새송이버섯(LMW)은 $50\;{\mu}g/mL$에서 58.14%, $500\;{\mu}g/mL$에서 67.79%의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phenol 성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는 상황버섯(LMW)은 일반적인 식용버섯에 비해 항산화능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으며, 혈전용해능력(송이버섯, I)과 면역증강(표고버섯, VII) 그리고 항염증(새송이버섯, II)에서는 식용버섯의 HMW 분획물이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