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current status of discharge education and nursing needs of children after musculoskeletal surgery. Methods: The literature from research databases was reviewed and analyzed (using PubMed, RISS review, KISS, and Dbpia). Results: Children who have undergone musculoskeletal surgery face physical challenges due to the effects of splints and immobilization, and experience pain for a long time. Therefore, home care after discharge is of paramount importance in these cases. The discharge education needs of each patient vary with regard to the topic and period. Discharge education should be systematic and consistent, with an emphasis on understanding the needs of the patients and parents. Conclusion: While there are studies on the nursing needs of adult musculoskeletal surgery patients at discharge, studies on discharge nursing needs in children who have undergone musculoskeletal surgery are still insufficient. It is necessary to specifically identify the educational needs of parents of children undergoing musculoskeletal surgery. Interventions that improve the voluntary participation of patients and parents in active self-care need to be developed.
본 연구는 노인이 되어 자신의 노화로 인한 어려움을 지니면서도 여전히 성인 장애자녀의 보호역할의 책임을 지니며 살고 있는 노인부모의 실태와 노후생활을 위한 보건복지 욕구를 고찰하여 향후 고령화가 지속되면서 복합화 되는 노인문제에 대한 체계적 연구와 정책적 관심의 필요성을 제기하고자 시도하였다. 성인 장애자녀를 돌보는 65세 이상의 저소득 노인부모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일반적 특성, 장애자녀특성, 노후생활 준비 및 보건복지 서비스 이용 및 필요성에 대한 욕구를 조사하였다. 성인 장애자녀를 돌보는 저소득 노인 부모는 신체적 노화와 함께 오랜 기간 동안 장애자녀를 돌보면서 치료 및 재활과 관련된 비용의 지속적인 지출, 사회 활동의 단절이라는 복합적 원인에 의해 노후생활 전반에 걸쳐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었다. 이러한 노인부모의 경제적 어려움, 신체적 쇠약함, 그리고 여전히 끝나지 않은 자녀 돌봄의 역할은 이들의 노후생활을 위한 보건 복지 서비스 이용 및 욕구형성과 밀접한 관련성을 나타냈다. 성인장애자녀를 돌보는 대부분의 노인부모는 자신의 노후생활을 위한 준비를 전혀 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자녀의 장애기간과 관련이 있었다. 제공되고 있는 보건복지 서비스는 현물 형태의 직접적이고 수혜적인 성격이 강한 서비스를 주로 이용하였고, 좀 더 자발적이면서 추가적인 비용이 요구되는 사회정서적 영역에 대한 서비스 이용 및 필요도에 대한 인지는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장애자녀를 돌보는 노인부모의 질적인 노후생활을 위한 대응방안 모색은 장애자녀의 사회통합이라는 목표와 함께 장기적인 측면에서 연구될 필요성이 있으며, 이러한 현실과 상황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이들을 위한 체계적인 지원프로그램 개발에 대해 지속적인 논의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needs for pediatric palliative care (PPC) among parents of children with complex chronic conditions (CCCs) and to investigate differences in the needs for PPC according to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Methods: A cross-sectional survey was conducted between March 28 and May 18, 2018. Parents (N=96) who had a child under 18 years with a CCC were recrui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and one-way ANOVA. Results: The overall average need for PPC was $3.58{\pm}0.33$ out of 4.00. In terms of care for the subjects' children, the highest need was physical care, followed by psychosocial and spiritual care. In the sub-dimensions, preservation of physical function received the highest score. Of the items, the highest need was for seizure control. In terms of care for the subjects themselves, the highest need was for psychosocial care, followed by bereavement and spiritual care. In the sub-dimensions, communication received the highest score. Of the items, the highest need was for smooth communication with medical staff. Differences in needs for PPC according to participants'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 Medical staff should provide PPC according to the priorities of parents' perceived needs.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cognition on center-based child care health programs for parents with ill children. Methods: Cross-sectional descriptive study with convenient sampling method was used and 136 parents were recruited from two university hospital outpatient departments and hospitalized wards, and they completed a structured questionnaire. Results: Majority (57.4%) of parents experienced a leaving work early or being absent from their work due to children's illness. Most dissatisfying factors in child care centers were child health management. Most of parents agreed on the need for a center-based child care health program, and wanted a better management of health care by health professionals in child care centers. Conclusion: These results support that there is a great demand for center-based child care health programs. These special programs are needed for reducing a child rearing burden for working mothers and overcoming the low birthrate in Korea. Health-care programs in child-care settings can help parents meet the health needs of their children while reducing absenteeism from work, thereby contributing to job stability. These results suggest discussions of the related policy with child care centers responsible and national health and educational authorities.
This study has been performed to review pre-school children's needs for privacy within normal residential space. In this study, there were three circumstances in which children need to stay alone without being interrupted by their parents; First, they strongly want to be stay quiet until relieving their anger or fear, shortly after disciplined and impugned by their parents. Second, infant children need to obtain their own territory in order to demonstrate ownership and dignity in their sley space. Third, there are also special circumstances of privacy needs among families with intrusive parents such as alcoholics and heavy smokers, or for the children of disability. In Korea, it is presumed that more than 60 percent the pre-school children aging three to six are in deficit of privacy for relieving their emotional disturbance, but no research has been documented for the case of disabled or interrupted children. Therefore in this study, it was primarily proposed that empirical studies need to be peformed among Korean preschoolers, in order to evaluate privacy needs in the perspectives of ordinary family lives, individual household behaviors, and special conditions of disability or offensive family members.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self-actualization needs, dependence on parents, and work-family balance stress affecting on the marriage friendly attitudes among the unmarried women in twenties and thirties. Method: The participants were 315 unmarried women connected by SNS. The data were collected by questionnaire method through SNS by the smart phone using by the snowball sampling method and analyzed by t-test, ANOVA,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marriage friendly attitudes according to education level, religion, dating. In the case of college graduates, having religion and dating partner, unmarried women had more marriage friendly attitudes. Second,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showed that the marriage friendly attitudes among unmarried women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education, religion, and the humanity factor among the self-actualization needs, emotional dependence on parents and work-family balance stress. In addition, the humanity factor among the self-actualization needs was found to be the most influential factor on the marriage friendly attitudes among unmarried women in this study.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e importance of emphasizing humanity education, having the emotional close relationship with the parents, and enforcing social systems for work-family balance for the greater marriage friendly attitudes of unmarried women in twenties and thirties.
본 연구는 숲 체험 활동에 대한 학부모들의 인식 및 요구를 알아보는데 목적을 갖고, 경기지역 소재 사립유치원에 다니고 있는 자녀를 둔 학부모 250명을 대상으로 2013년 12월 26일부터 31일까지 설문조사 하였다. 분석결과 숲 체험 활동에 대한 인식은 '전반적 효과 인식', '교육적 효과 인식', '일반적 인식'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숲 체험 활동에 대한 요구도는 전체 58.2%가 정기적으로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연간 프로그램의 필요성에 있어서는 전체 60.7%가 계획된 연간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외에 숲 체험 활동 권유에 있어서는 전체 61.1%가 적극 권장할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도심 내 자연과 접하기 어려운 환경에서 유아들의 숲 체험활동에 대다수의 학부모들이 긍정적이며 유아 또한 교육적 효과에 대해 높게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내 숲 체험 활동에 대한 중요성을 시사해준 것으로 볼 수 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needs for the balance of work-family and to provide the related policies for dual worker family. We focused on the life area of educare and school. Data were collected from 197 working mothers who have 1 or more children under age 10. The findings were: 1) after-school programs, holidays on every alternate Saturday, arbitrary no school days were not appropriate to the working parents' everyday life patterns, so the paradigm and practical conditions should be adapted to the needs of working parents. 2) the most working parents depended on the kindergarden, but the parents' satisfaction with the quality of service, time duration, the human resource of educare teacher was not sufficient, so these issues should be discussed more profoundly.
Purpose: To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s of health care management in child day care centers and parents needs for a Center-based Child Care Health Program. Methods: Study design was cross-sectional descriptive study. 937 parents from 33 day care centers in Seoul completed a structured questionnaire. Results: 73.0% of the parents experienced sick events with their child at least once or more every 1-3months. These events resulted in 35.2% of the parents having to leave work early or to be absent from their jobs. 30.4% were asked to drive a sick child from the child day care centers to their home. Most parents (76.7%) agreed on the need for a Center-based Child Care Health Program (CCCHP), and expected general health & illness management, and growth & development evaluation from the CCCHP. Conclusion: These results show that there is a great demand for Center-based Child Care Health Program. They suggest that there is an urgent need to develop CCCHPs to promote children's health and to support parents. Also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tilized as a basis for the establishment of a childcare policy in Korea.
This research has been attempted to measure health acknowledgement and needs of 1158 respondents, the parents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residing in Seoul and In-chon. 1. The majority of parents had high interests in health and their children's health education. In addition, more than half of parents showed positive responses in their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organizational activities. 2. 41.7% of parents thought that their children were receiving health education regularly. For their recognitions of the course title, 'Physical Education' was the most highly recognized by the parents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and 'Military Drill' for the parents of high school students. 3. A high number of parents perceived the problems of school health education. 4. There was a high number of parents, who thought that health education teachers' knowledge was deficient, and 86.3% of them agreed that additional education for 33the teachers should be desired. 5. 95.5% of parents acknowledged the necessity of health education; 78.8% of them recognized the reinforcement of health education; and 60.0% of them percepted the necessity of establishing the independent health education courses. 6. For the matter of instruction period, the majority of parents responded that health education should be taught from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For the appropriate instruction hour per a week, the majority answered 1 hour. Most respondents answered that those, who majored in health education, should be the appropriate teachers. 7. The survey result indicated that there was a close correlation between the 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health education and the correspondents' health educational background, their interest and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health education. 8. The most desired areas of health education were Safety Education and Health-Habit. The followings were Environmental Health, Prevention of Disease, Mental Health, Growth and Nutrition, and Drug-Abuse in a sequent order. The paren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howed a high acknowledgement on Health-Habit, Growth and Nutrition, and Prevention of disease, Safety Education. On the other hand, as the children entered into the advanced schools, the parents' recognition of the health education needs shifted into Sex education, Drug Abuse, and Mental Health. 9. Those respondents, who recognized the necessity of health education and advocated the establishment of independent health education courses, had a strong demand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health education.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게시일 2004년 10월 1일]
이용약관
제 1 장 총칙
제 1 조 (목적)
이 이용약관은 KoreaScience 홈페이지(이하 “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이하 '서비스')의 가입조건 및 이용에 관한 제반 사항과 기타 필요한 사항을 구체적으로 규정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제 2 조 (용어의 정의)
① "이용자"라 함은 당 사이트에 접속하여 이 약관에 따라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받는 회원 및 비회원을
말합니다.
② "회원"이라 함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당 사이트에 개인정보를 제공하여 아이디(ID)와 비밀번호를 부여
받은 자를 말합니다.
③ "회원 아이디(ID)"라 함은 회원의 식별 및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자신이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④ "비밀번호(패스워드)"라 함은 회원이 자신의 비밀보호를 위하여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제 3 조 (이용약관의 효력 및 변경)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에 게시하거나 기타의 방법으로 회원에게 공지함으로써 효력이 발생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이 약관을 개정할 경우에 적용일자 및 개정사유를 명시하여 현행 약관과 함께 당 사이트의
초기화면에 그 적용일자 7일 이전부터 적용일자 전일까지 공지합니다. 다만, 회원에게 불리하게 약관내용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최소한 30일 이상의 사전 유예기간을 두고 공지합니다. 이 경우 당 사이트는 개정 전
내용과 개정 후 내용을 명확하게 비교하여 이용자가 알기 쉽도록 표시합니다.
제 4 조(약관 외 준칙)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관한 이용안내와 함께 적용됩니다.
②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아니한 사항은 관계법령의 규정이 적용됩니다.
제 2 장 이용계약의 체결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등)
① 이용계약은 이용고객이 당 사이트가 정한 약관에 「동의합니다」를 선택하고, 당 사이트가 정한
온라인신청양식을 작성하여 서비스 이용을 신청한 후, 당 사이트가 이를 승낙함으로써 성립합니다.
② 제1항의 승낙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과학기술정보검색, 맞춤정보, 서지정보 등 다른 서비스의 이용승낙을
포함합니다.
제 6 조 (회원가입)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은 당 사이트에서 정한 회원가입양식에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가입을 하여야 합니다.
제 7 조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
당 사이트는 관계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회원 등록정보를 포함한 회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회원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에 대해서는 관련법령 및 당 사이트의 개인정보 보호정책이 적용됩니다.
제 8 조 (이용 신청의 승낙과 제한)
① 당 사이트는 제6조의 규정에 의한 이용신청고객에 대하여 서비스 이용을 승낙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아래사항에 해당하는 경우에 대해서 승낙하지 아니 합니다.
-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한 경우
- 기타 규정한 제반사항을 위반하며 신청하는 경우
제 9 조 (회원 ID 부여 및 변경 등)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에 대하여 약관에 정하는 바에 따라 자신이 선정한 회원 ID를 부여합니다.
② 회원 ID는 원칙적으로 변경이 불가하며 부득이한 사유로 인하여 변경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당 ID를
해지하고 재가입해야 합니다.
③ 기타 회원 개인정보 관리 및 변경 등에 관한 사항은 서비스별 안내에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제 3 장 계약 당사자의 의무
제 10 조 (KISTI의 의무)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이 희망한 서비스 제공 개시일에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보안시스템을 구축하며 개인정보 보호정책을 공시하고 준수합니다.
③ 당 사이트는 회원으로부터 제기되는 의견이나 불만이 정당하다고 객관적으로 인정될 경우에는 적절한 절차를
거쳐 즉시 처리하여야 합니다. 다만, 즉시 처리가 곤란한 경우는 회원에게 그 사유와 처리일정을 통보하여야
합니다.
제 11 조 (회원의 의무)
① 이용자는 회원가입 신청 또는 회원정보 변경 시 실명으로 모든 사항을 사실에 근거하여 작성하여야 하며,
허위 또는 타인의 정보를 등록할 경우 일체의 권리를 주장할 수 없습니다.
② 당 사이트가 관계법령 및 개인정보 보호정책에 의거하여 그 책임을 지는 경우를 제외하고 회원에게 부여된
ID의 비밀번호 관리소홀, 부정사용에 의하여 발생하는 모든 결과에 대한 책임은 회원에게 있습니다.
③ 회원은 당 사이트 및 제 3자의 지적 재산권을 침해해서는 안 됩니다.
제 4 장 서비스의 이용
제 12 조 (서비스 이용 시간)
① 서비스 이용은 당 사이트의 업무상 또는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 운영을
원칙으로 합니다. 단, 당 사이트는 시스템 정기점검, 증설 및 교체를 위해 당 사이트가 정한 날이나 시간에
서비스를 일시 중단할 수 있으며, 예정되어 있는 작업으로 인한 서비스 일시중단은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에 공지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서비스를 특정범위로 분할하여 각 범위별로 이용가능시간을 별도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 경우 그 내용을 공지합니다.
제 13 조 (홈페이지 저작권)
① NDSL에서 제공하는 모든 저작물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으며, KISTI는 복제/배포/전송권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②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복제/배포/전송할 경우 사전에 KISTI의 허락을
받아야 합니다.
③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보도, 비평, 교육, 연구 등을 위하여 정당한 범위 안에서 공정한 관행에
합치되게 인용할 수 있습니다.
④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무단 복제, 전송, 배포 기타 저작권법에 위반되는 방법으로 이용할 경우
저작권법 제136조에 따라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제 14 조 (유료서비스)
① 당 사이트 및 협력기관이 정한 유료서비스(원문복사 등)는 별도로 정해진 바에 따르며, 변경사항은 시행 전에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하여 회원에게 공지합니다.
② 유료서비스를 이용하려는 회원은 정해진 요금체계에 따라 요금을 납부해야 합니다.
제 5 장 계약 해지 및 이용 제한
제 15 조 (계약 해지)
회원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가입해지] 메뉴를 이용해 직접 해지해야 합니다.
제 16 조 (서비스 이용제한)
① 당 사이트는 회원이 서비스 이용내용에 있어서 본 약관 제 11조 내용을 위반하거나,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 2년 이상 서비스를 이용한 적이 없는 경우
- 기타 정상적인 서비스 운영에 방해가 될 경우
② 상기 이용제한 규정에 따라 서비스를 이용하는 회원에게 서비스 이용에 대하여 별도 공지 없이 서비스 이용의
일시정지, 이용계약 해지 할 수 있습니다.
제 17 조 (전자우편주소 수집 금지)
회원은 전자우편주소 추출기 등을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 또는 제3자에게 제공할 수 없습니다.
제 6 장 손해배상 및 기타사항
제 18 조 (손해배상)
당 사이트는 무료로 제공되는 서비스와 관련하여 회원에게 어떠한 손해가 발생하더라도 당 사이트가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한 손해발생을 제외하고는 이에 대하여 책임을 부담하지 아니합니다.
제 19 조 (관할 법원)
서비스 이용으로 발생한 분쟁에 대해 소송이 제기되는 경우 민사 소송법상의 관할 법원에 제기합니다.
[부 칙]
1. (시행일) 이 약관은 2016년 9월 5일부터 적용되며, 종전 약관은 본 약관으로 대체되며, 개정된 약관의 적용일 이전 가입자도 개정된 약관의 적용을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