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eedle leaves

검색결과 61건 처리시간 0.03초

The Impact of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Leaves on Particulate Matter Removal Efficiency of Plants

  • Son, Deokjoo;Kim, Kwang Jin;Jeong, Na Ra;Yun, Hyung Gewon;Han, Seung Won;Kim, Jeongho;Do, Gyung-Ran;Lee, Seon Hwa;Shagol, Charlotte C.
    • 인간식물환경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551-561
    • /
    • 201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differences in the removal efficiency of particulate matter (PM) depending on the type of plants and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leaves. A total of 12 plants were used, with three plants selected for each type of leaves (big leaf, small leaf, compound leaf, needle leaf). We measured the removed amount of PM10 and PM2.5, the structure of the abaxial leaf surface, and the weight of the wax layer of each plant. Plants with the high removal efficiency of PM included Pachira aquatica Aubl., Ardisia crenata, and Dieffenbachia 'Marianne', and plants with the low removal efficiency included Nandina domestica Thunb, Schefflera arboricola, and Quercus dentata. The abaxial leaf surface having a high removal efficiency of PM had many large wrinkles, and the abaxial leaf surface having a medium removal efficiency was flat and smooth.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many fine hairs on the abaxial leaf surface with a low removal efficiency. According to the plant leaf type, the PM10 removal efficiency of plants with needle leaves was about three times higher than that of other plants. In particular, the wax layer of conifers weighed 6-24 times higher than those of other plants. The stomata of conifers were evenly distributed on the adaxial and abaxial leaf surfaces; however, the stomata of Sciadopitys verticillata appeared in the form of papillae unlike general stomata. Therefore, the removal efficiency of PM varied depending on the macro-, and micro-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plant leaves such as the structure of the abaxial leaf surface, and the weight of the wax layer. Based on this research, selecting plants that are effective in reducing PM in consideration of the plant type and leaf characteristics will improve indoor air quality and decrease exposure of PM to human body.

Erwinia herbicola 의한 Kalanchoe blossfeldiana세균성무름병 (Bacterial Soft rot of Kalanchoe blossfeldiana by Erwinia herbicola in Korea)

  • 최재을;이은정
    • 식물병연구
    • /
    • 제6권1호
    • /
    • pp.15-18
    • /
    • 2000
  • 1998년 대전의 비닐하우스에서 재배중인 칼란코에의 잎에 세균병이발생하였다. 이들 병반은 수침상 병반이 나타나고 병반진전과 함께 무름증상을 보였다. 이들로부터 분리한 병원세균을 침접종한 결과 자연병징과 같은 병반을 형성하였다. 병원세균의 세균학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E. herhicola로 동정되었다. 국내에서는 아직 칼란코에 (Kalanchoe blossfeldiana)의 병원세균으로 E. herbicola가 보고되지 않았다. 따라서 이를 E. herbicola에 의한 \"칼란코에의 세균성 무름병\"으로 명명할 것을 제안한다.할 것을 제안한다.

  • PDF

A Study on Index of Vegetation Surface Roughness using Multiangular Observation

  • Konda, Asako;Kajiwara, Koji;Honda, Yoshiaki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2년도 Proceedings of International Symposium on Remote Sensing
    • /
    • pp.673-678
    • /
    • 2002
  • A satellite remote sensing is useful for vegetation monitoring. But it has some problem. One of these, it is difficult to find a difference of vegetation surface roughness using satellite remote sensing. Each vegetation type has unique surface roughness, for example needle leaves forest, broad leaves forest and grassland. Difference of vegetation surface roughness can be detected by satellite multiangular observation. In this study, objective is to propose index of vegetation surface roughness using BRF property. General vegetation indices are calculated from nadir data of satellite data. A proposed index is calculated from two different observation zenith angle data. Two different zenith data can provide BRF (Bi-directional Reflectance Factor) property of satellite observation data. A proposed index was able to detect different value on where NDVI shows similar high value areas of rice field and forest. This index is useful for vegetation monitoring.

  • PDF

작약 잎과 줄기의 생리활성 물질 분리 및 동정 (Isolated and Identification of Biological Activity Compounds from Leaves and Stem of Paeonia lactiflora Pallas)

  • 김세종;박준홍;최성용;손건호;김길웅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6-11
    • /
    • 2007
  • 작약의 지상부인 잎과 줄기에서 물질을 분리 동정하기 위해 MeOH 추출 및 column chromatograpy하여 단일 물질 5종을 분리하였으며, 분리한 물질에 대하여 IR, UV, Mass, NMR 등을 이용하여 화학구조를 동정하였다. 그 결과 oleanolic acid, kaempferol, methyl gallate, astragalin, paeoniflorin의 구조가 확인되었으며 이들 화합물은 작약의 지상부인 잎과 줄기에서는 처음으로 분리되었다.

갑상선 결절에서 세침흡인검사와 동결조직검사의 의의 (Significance of Fine-Needle Aspiration Cytology and Frozen Section Biopsy in Thyroid Nodules)

  • 송달원;손수길;최종원;신승진;김태종;남성일;안병훈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52-57
    • /
    • 2003
  • Background and Objectives: Fine needle aspiration (FNA) cytology is a simple, safe and relatively accurate procedure of diagnosing thyroid nodules. Although the frozen section biopsy is well known as more reliable method than FNA and has high specificity, whether it is necessary it leaves room for adverse criticism. Authors have compared preoperative FNA cytology and frozen section biopsy with permanent histologic findings and evaluated the significance of FNA cytology and frozen section biopsy. Materials and Methods: The medical records of 110 patiens who underwent FNA cytology and frozen section during thyroidectomy from September. 1997 to December. 2001 at the Department of Otolaryngology, School of Medicine, Keimyung University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Results: Sensitivity, specificity, accuracy of FNA was 75%, 91.4%, and 85.5% respcetively. Sensitivity, specificity and accuracy rate of frozen section biopsy were 92.5%, 100% and 97.3% respectively. Conclusion: FNA is simple, with rare complication and its diagnostic accuracy is comparatively so high that it is being used as primary test to diagnosis thyroid nodules. But frozen section is more accurate and may be helpful to suspicious FNA findings or if it beyond capacity of FNA. Therefore despite of the fact that the intra-operative frozen is more expensive and time consuming, it is very helpful to the treatment of thyroid nodules by using jointly with FNA.

솔잎, 녹차 및 비타민나무 잎 혼합추출물의 항산화효과 (Antioxidant effect of complex extracts from pine needle, green tea, and sea buckthorn leaves)

  • 지희영;박민규;주신윤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3권3호
    • /
    • pp.290-295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솔잎, 녹차 및 비타민나무 잎의 추출물과 그 혼합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였다. 시료 7종의 총 폴리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SE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DPPH, ABTS+ radical 소거능 및 환원력은 SE가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고, superoxide radical 소거능과 아질산염은 GE의 활성이 가장 높았다. PE는 대부분의 실험에서 녹차 및 비타민나무 잎과의 혼합추출물이 단일추출물에 비해 높은 활성을 보였다. GE는 DPPH radical 소거능(300 ppm), ABTS+ radical 소거능(300 ppm) 및 환원력(100 및 500 ppm)에서 비타민나무 잎과 혼합추출하면 그 활성이 높아졌고, SE는 superoxide radical 소거능(100 ppm)과 아질산염 소거능(300 ppm)에서 녹차와 혼합추출하면 활성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PE는 단일 및 혼합추출물 7종 중에서 가장 낮은 활성을 나타낸 시료로 녹차 및 비타민나무 잎과 함께 혼합(PGSE)하여 사용한다면 솔잎의 낮은 항산화 활성을 개선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본 연구 결과는 솔잎, 녹차 및 비타민나무 잎을 이용한 건강 기능성 식품 산업에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광릉(光陵) 시험림(試驗林) 내(內)의 임분별(林分別) 낙엽(落葉)의 분해(分解)와 분해과정(分解過程)에 따른 영양염류(營養鹽類)의 변화(變化) (Mass Loss and Nutrients Dynamics During the Litter Decomposition in Kwangnung Experimental Forest)

  • 유영한;남궁정;이윤영;김정희;이종영;문형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9권1호
    • /
    • pp.41-48
    • /
    • 2000
  • 1992년 10월부터 1995년 11월까지 38개월 동안 경기도 광릉 시험림에서 낙엽활엽수(졸참나무, 서어나무, 까치박달 혼합)와 3종의 침엽수 낙엽의 분해율과 분해과정에 따른 영양염류 함량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38개월이 지난 후 혼합 활엽수, 잣나무, 리기다소나무 그리고 전나무 낙엽의 잔존률은 각각 16.2%, 29.8%, 33.5%, 53.9%로 활엽수, 소나무속(屬) 그리고 전나무 순으로 분해율이 감소하였으며, k는 각각 0.61, 0.40, 0.37, $0.21yr^{-1}$이었다. 전나무 낙엽의 초기 질소함량은 6.5mg/g으로 다른 종류의 낙엽에 비해 1/2 수준이었으며, 전나무 낙엽의 분해율이 낮은 것은 그것의 질소함량이 낮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38개월이 경과된 낙엽에서 질소의 잔존률은 활엽수 낙엽에서 29%인데 비해 전나무 낙엽은 107.8%이었다. 인의 잔존률은 활엽수 낙엽에서 53.4%이었는데 비해 침엽수 낙엽은 모두 초기 값 이상이었다. 양이온의 잔존률은 38개월 경과된 낙엽에서 모두 초기 값 이하이었다. 분해과정에 따른 영양염류 함량의 변화 및 잔존량은 낙엽과 영양염류의 종류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 PDF

침엽수의 잎에서 분리한 5종의 국내 미기록 내생균 (Notes on Five Endophytic Fungal Species Isolated from Needle Leaves of Conifers in Korea)

  • 이봉형;어주경;엄안흠
    • 한국균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51-56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의 설악산에서 주목(Taxus cuspidata Siebold & Zucc.)과 잣나무(Pinus koraiensis Siebold & Zucc.), 경기도 화악산에서 분비나무(Abies nephrolepis(Traut.) Maxim.), 경북 울릉도에서 주목 등의 침엽을 채취하여 내생균을 분리하였고, 분리된 균주의 형태학적 특징을 관찰하고, ITS rDNA와 LSU rDNA지역의 염기서열 분석하여 균을 동정하였다. 그 결과 Biscogniauxia maritime, Nemania diffusa, Pezicula carpinea, Phomopsis juglandina, Sydowia polyspora 등의 5종의 국내 미기록 내생균을 확인하였고,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토양과 부초가 미국 인삼 진세노사이드에 미치는 영향 (SOIL AND MULCH EFFECTS ON GINSENOSIDES IN AMERICAN GINSENG PLANTS)

  • Zito Santo W.;Konsler Thomas R.;Staba E.John
    • 고려인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고려인삼학회 1984년도 학술대회지
    • /
    • pp.57-62
    • /
    • 1984
  • 4년근 미국 인삼을 재료로 미국 North Carolina 소재 인삼포에서 대조군과 부초처리군으로 나누어 재배 시험을 수행하였다. 토양 산도(pH 4.4, 5.5, 6.5) 토양 인산(19, 89.232 ppm) 및 부초처리 (밀짚, 솔잎, 포프라나무 껍질 소나무 껍질 등을 상면에 피복) 재배가 개별 진세노사이드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했다. 각 시험구에서 재배한 인삼옆과 인삼근 조직을 H-PLC를 이용하여 5가지 진세노사이드($Rg_{1}$, Rd. Re, $Rb_{2},\;A_{1}$) 함량을 분석하였다. 각 피복재료중에서 떡갈나무 껍질로 피복 재배한 시험구가 인삼 생육 및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전반적으로 좋은 경향을 보였다.

  • PDF

경기도 광주 지역 36년생 리기다소나무림의 바이오매스와 에너지량 (Biomass and Energy Content of Pinus rigida Stand in Gwangju, Gyeonggi Province)

  • 권기철;이돈구
    • 임산에너지
    • /
    • 제25권1호
    • /
    • pp.39-45
    • /
    • 2006
  • 경기 태화산 북서사면(해발 250m) 36년생 리기다소나무림의 바이오매스는 수간 목부 166.1ton/ha, 수간 수피부 22.4ton/ha, 가지 51.9ton/ha, 고사지 16.0ton/ha, 당년생 잎 3.8ton/ha, 전년생 잎 6.6ton/ha, 구과 1.3ton/ha로서 지상부 252.0ton/ha로 나타났다. 또한 연간 순생산량은 수간 목부 15.4ton/ha/yr, 수피 1.7ton/ha/yr, 가지 5.2ton/ha/yr, 당년생 잎 3.8ton/ha/yr, 구과 1.3ton/ha/yr, 지상부 27.4ton/ha/yr로 추정되었다. 리기다소나무림 지상부의 에너지량은 5,434GJ/ha, 연간 에너지 고정량은 597GJ/ha/yr로 나타났다. 리기다소나무림의 광합성부는 지상 5.2m부터 시작되고 최대 광합성부는 지상 11-13m 사이의 높이에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