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eed for achievement

검색결과 491건 처리시간 0.031초

일본의 기술자교육인정평가의 실제와 문제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urrent State And Argument Over the Accreditation of Engineering Education In Japan)

  • 신동은;최금진;임승순
    • 공학교육연구
    • /
    • 제14권1호
    • /
    • pp.20-31
    • /
    • 2011
  • 본 연구는 공학교육 인증제를 시작한 시기나 공학교육이 진행되어 온 문화적 풍토가 어느 정도 유사한 일본의 인증제 운영 상황을 분석함으로써 한국의 인증제 운영에 유의미한 시 사점을 얻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첫째, "accreditation"의 번역어로서 일본의 JABEE가 채택하고 있는 "평가인정"과 공인원이 채택하고 있는 "평가인증"의 개념 정의를 하였고, 둘째, 평가주체, 평가목적, 평가절차, 평가결과 활용 등의 측면에서 일본의 평가인정의 개요를 조사하였고, 셋째, JABEE의 인정기준별로 심사항목 및 프로그램의 준비상황을 분석하였고, 넷째, 공학교육인정제를 둘러싼 논의사항을 정리하였다. 이를 기초로 본 연구에서 제시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증평가는 전문분야별 평가로서 학회를 보다 실질적으로 활용해야 한다. 둘째, 가급적 서류 작업을 줄이고 인증제의 본질적인 목적에 보다 충실한 평가를 할 수 있도록 인증기준을 개정하고 기본적인 템플릿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셋째, 평가자 교육을 강화하기 위하여 일본의 옵저버 제도를 참고할 필요가 있다. 넷째, 인증 프로그램 및 졸업생에 대한 혜택을 주기 위한 노력을 강화해야 한다. 다섯째, 프로그램의 개선 시스템이 평가 결과를 기초로 교과목의 실질적인 개선을 유도할 수 있는 방향으로 조직되어야 한다. 여섯째, 학습성과 달성도 평가에서 교과목의 활용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일곱째, 공인 원의 인증활동에 대하여 메타평가(meta-evaluation)를 받음으로써 인증활동에 대한 권위와 정당성을 부여받을 필요가 있다.

초등 학교 교사의 보건수업 행동 평가 분석 (An Analysis of Teachers' Self-evaluation on Health Teaching Behaviors in Elementary School)

  • 오문식;박영수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81-93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sults of teachers' self-evaluation on their health teaching behaviors, then to furnish the basic data to be able to improve teachers' health teaching activities and the educational issues on the education of teachers. To put above aims into practice, these were required: 1.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the results of self-evaluation on health teaching behaviors factors by teachers? 2.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the results of health teaching self-evaluation whether he/she take P.E as major of study in-serviece training period? 3. Does it have any influence on the results of health teaching self-evaluation whether he or she completed on the job training for the school health? 4.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the results of health teaching self-evaluation by sex and career? To carry out a research for this purpose, the factors of health teaching self-evaluation were divided into the clearness of the procedure, the active interaction, the variety of the ways showing the contents, and the individualization of the procedure. Then a questionnaire form, consisting of 28 specific inquires to evaluate health teaching behaviors, was delivered and conducted by 450 teacher of the elementary school in Kyungki-do. The analysis of data was done by SPSS; producing mean and standard deviation and they were inspected statistically to compare the evaluation levels and find out the differences by teachers' personal variables. The conclusion were as follows: 1. In the self-evaluation level of teachers' health teaching behaviors, teachers showed 68.23 point as are percentile distribution. And it was in order of a school-nurse(71.68), an athletic teacher(67.29), and a class-room teacher (65.66). Score obtained by teacher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001) 2. In the factors affecting to teachers' health instruction, “active interaction” showed the highest score(18.55), “variety of ways showing the contents”(17.38), “clearness of the procedure” (16.70), and “individualization of the procedure” (15.59). In the analysis of the differences by teachers, according to factor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ctive interaction”, “variety of the ways showing contents”, “clearness of the procedure”(p〈.001). 3. Self-evaluation score for graduates from Dept. of P. E in Teachers' collage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with other majors(p〉.05). 4. Teachers receiving health educa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self-evaluation score than that of teachers not-receiving health education (P〈.01). 5. Self-evaluation score of female teacher was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with that of male teacher (p〈.001). 6. Career (working duration) did not influenced to self-evaluation score on health teaching behaviors (P〉 .05). On the basis of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the next are suggested: First, the further studies to make use of the results of health teaching behaviors and to examine the effect are needed. Second, the further studies to examine the relations between academic achievement and teachers' major(a school-nurse, an athletic teacher, and a class-room teacher) are needed. Third, the following studies to improve health teaching by both teachers' self-evaluation on health teaching behaviors and students' evaluation of teachers, and to find out more effective health teaching, are needed. Fourth, Health education for pre-service training course and On-the-Job training program are need the effective factors on the teachers' Health teaching obtained from this study.

  • PDF

숙녀복(淑女服) 재킷 제조공정(製造工程) 실태(實態) 연구(硏究) (A Study o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Ladies' Jacket)

  • 심재희;손희순
    • 패션비즈니스
    • /
    • 제6권1호
    • /
    • pp.43-52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the plan for activation and rationalization of production of ladies' jacket and provide basic materials for improvement of the development of technologies in relation to the productivity improvement of ladies' jacket and the achievement of high quality product.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present situation of jacket manufacturing process. The data is related with local ladies' jacket manufacturing companies in Seoul snd Kyonggi a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87.8% of the business firms responded that they acquired the productive process of jacket based on their own knowhow and 80.5% was aware of the need for the analysis of each process. The highest proportion of the business firms(65.9%) pointed out that the advantage of process analysis was the alleviation of the production time. 2. The jacket manufacturing process was made up of 4 stages such as the process of frontal/rear plate $\rightarrow$ the process of accessories $\rightarrow$ the process of completion $\rightarrow$ the process of finishing in a broad sense but composed of a total of 19 stages in detail. 3. Attachment of the sleeves(73.2), attachment of the collar(41.5%) and the formation of the overall silhouette(22.0%) were raised as the challenge in manufacturing ladies' jacket. 4. Most of the sewing business firms made use of the method of completing the collar and then stitching the outer material and the inner collar, and the line of the bodice and the outer collar as the method of stitching the tailored collar. and many of them used the method of completing the collar and then inserting it between the line of the bodice and the outer material and stitching it as the method of stitching the stand collar. They had a preference for the method of completing the sleeve and connecting it to the bodice as the method of stitching the sleeve. and used the method of treating the margin to seam of semi-lined and unlined jacket by treating it with the bias tape.

이민자녀들의 한국교육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A Qualitative Study on Educational Experiences of Students with Multicultural Family Backgrounds)

  • 심미경
    • 비교교육연구
    • /
    • 제24권5호
    • /
    • pp.71-95
    • /
    • 2014
  • 본 연구는 다문화적 가정 배경을 지닌 이민자녀들의 한국학교에서의 교육적 경험을 심층적으로 조사하기 위하여 기획된 장기연구프로젝트의 일환으로서, 파일럿으로 실시된 기초조사연구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연구자는 외국에서 태어나 한국으로 이민 오게 된 세 명의 이민자녀들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이들 세 학생이 본국과는 다른 문화적 사회적 맥락을 가진 한국에서 겪는 적응과정 및 경험, 장애 등을 질적 연구방법을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 참여자들의 목소리를 직접 반영하기 위하여 내러티브 탐구와 반구조화된 심층 면접기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이들 이민자녀들이 그들의 교육에서 가장 시급하게 느끼는 문제는 그들의 연령과 단계별 특성에 맞춘 보다 체계적인 언어교육 프로그램임을 알 수 있었다. 이들 이민자녀들도 한국에서 태어나고 자란 다문화적 가정배경을 가진 다문화가정자녀들과 마찬가지로 학업성취도와 교우관계, 그리고 미래 진로역시 한국어 습득능력과 밀접한 관계가 있기에 한국어 교육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인지하고 있었다. 다만 이민자녀들의 경우에는 한국에서 태어나고 자란 다문화가정 자녀들과는 달리 입국하는 연령과 국적이 보다 다양하므로 이들의 보다 다양한 특성을 고려한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었다. 이와 같이 좀 더 차별화되고 체계화된 언어교육 시스템의 필요성과 함께 또 하나 시급한 문제로 언급된 사안은 이들 이민자녀 청소년들 개개인을 전인적 교육관점에서 바라보고 전인적 교육을 실시할 수 있는 대안교육학교들에 대한 지지가 필요하다는 것이었다. 본 연구는 아직 부모들의 국제재혼에 따라 한국으로 이주하게 된 이민자녀들에 관한 연구가 부족한 현실에서 이들 이민자녀들의 관점에서 그들의 목소리로 그들의 한국에서의 교육경험에 관해 알아보고 교육적 시사점을 찾고자 한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장기요양보장 인프라 확대정책의 집행요인에 관한 연구 - 노인요양시설을 중심으로 - (A study on Implementation Factors of Infrastructure Expansion Policy in Long-term Care Service - Focus on Long-term care facility -)

  • 김미혜;이은영;박지혜;김민경
    • 사회복지연구
    • /
    • 제40권3호
    • /
    • pp.5-40
    • /
    • 2009
  • 2008년 6월 현재 전국의 노인요양시설 충족률은 96.4%로, 장기요양인프라 확대정책은 양적인 측면에서 가시적인 성과를 이루었으나 여전히 시설 인프라의 부족, 지역적 편중, 정부의 책임성 저하 등 정책집행의 실효성 문제가 지적되고 있다. 본 연구는 장기요양보장 인프라 확대정책의 집행과정과 이에 영향을 미친 요인을 규명하여 정책집행과정에서 나타난 문제점을 살펴보고 향후 인프라 확대정책의 발전방안을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방법은 중앙정부가 수립한 인프라 확대정책을 확인하기 위해 문헌을 검토하였고, 지방정부차원의 실질적인 집행과정을 살펴보고자 K도, C시, C시 내 노인요양시설 4곳을 대상으로 사례연구를 진행하여, Alexander(1985)의 분석틀로 정책집행의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정책목표의 명확성과 적절성, 서비스 공급주체의 성격, 정부 간 역할과 책임 등 정책변수와 재정부담 및 예산배정 의지, 예산의 신속한 집행 및 절차의 간소화, 재량권, 집행기관 간 상호관계 등 집행변수가 정책집행의 주요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이에 지역 실수요를 기초로 한 시설필요도 산출, 민간참여에 대한 보완 등 몇 가지 정책개선과제를 제언하였다.

전문가 설문을 통한 "한국지지"와 "한국지리지" 발간성과 분석 (Assessment on Achievements of 'the Geography of Korea': Survey on Professional Geographers of Korea)

  • 유근배;홍유인;신영호;권용우;김찬웅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7권5호
    • /
    • pp.791-808
    • /
    • 2012
  • 이 연구는 우리나라 대표적 현대 지리지인 "한국지지"와 "한국지리지"의 사업성과를 평가한 것이다. 1980년대와 2000년대에 수행된 지리지 발간사업에 대하여 지리학 전문가를 대상으로 지리지 편찬체계와 참여인력, 지리지의 내용과 구성, 시각자료 활용 등에 대해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지리학 전문가들은 "한국지지"와 "한국지리지"의 의의를 높게 평가하였고, 동시에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편찬주기, 소요기간, 분량, 집필진 선정방식, 주제구분과 권역구분 등에 대해서는 현행방식에 만족하였다. 편찬방식에 있어 집필진 외에 상위책임자를 추가할 것, 난이도에 있어 보편적 독자를 더욱 염두에 둘 것, 시각자료 활용에 있어 도안과 표현의 다양화 등을 주문하였다. 이러한 응답성향은 응답자의 직업, 지리지 편찬 참여경력에 따라 다소 차이를 보였다. 전문가를 대상으로 수행한 지리지 사업성과 평가는 추후 지리지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고려하는 과정에서 주요 고려사항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순환학습모델에 기반한 유아 식생활 프로그램이 영양지식, 식행동, 과학과정기술,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Dietary Education Program Based on Learning Cycle Model for Young Children's Nutrition Knowledge, Dietary Behavior, Science Process Skill and Scientific Attitude)

  • 장숙현;김지현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91-119
    • /
    • 2017
  • 이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바람직한 식생활을 형성하기 위해 개발된 순환학습모델에 기반한 식생활 프로그램이 유아의 영양지식, 식행동, 과학과정기술,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는데 있다. 이 연구를 위해 G시에 위치한 H어린이집 만 5세반 유아 16명과 만 4세반 유아 중에서 생일이 지나 만 5세가 된 유아 7명을 실험집단으로, G어린이집의 만 5세반 유아 17명과 만 4세반 유아 중 만 5세가 된 유아 7명을 비교집단으로 선정하였다. 프로그램 실시 효과에서 두 집단 간에 의미 있는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SPSS WINDOWS 20.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자료분석을 실시하였다. 유아 식생활 프로그램 실시여부를 독립변인으로, 영양지식, 식행동, 과학과정기술 및 과학적 태도의 사전점수를 공변인으로, 영양지식, 식행동, 과학과정기술 및 과학적 태도의 사후점수를 종속변인으로 하여 공분산분석(ANCOVA)을 실시하였고,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각각의 사전 사후 검사시기에 따른 영양지식, 식행동, 과학과정기술, 과학적 태도의 실제적인 향상이 있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대응표본 t-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에 영양지식, 식행동, 과학과정기술, 과학적 태도의 사전 사후 점수 변화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 순환학습모델에 기반한 식생활 프로그램이 유아의 영양지식, 식행동, 과학과정기술, 과학적 태도 증진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보육현장에 적용 가능한 식생활 프로그램을 제시하여 현장 교사가 식생활과 관련하여 겪는 어려움을 지원하고, 식생활과 관련된 변인들과 관련한 연구를 통해 유아기 식생활의 중요성을 제시하며 유아들이 기관에서 교육적으로 의미 있는 식생활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하는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본다.

소상공인 창업자특성과 창업준비과정이 창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자기효능감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Characteristics of Small Business Start-Up and Effect of Preparation of Small Business Start-up on Business Performance -Focusing on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 강영욱;하규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9호
    • /
    • pp.239-251
    • /
    • 2012
  • 이 연구의 목적은 소상공인들의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창업초기 성과를 높일 수 있는 영향요인들을 탐색적으로 연구하여 소상공인 성공창업을 위한 정책과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소상공인이 인지하는 창업성과(매출액, 순이익, 결과기대감)를 측정하기 위해서 독립변수로 창업가특성(경험, 심리적특성), 창업 준비과정, 매개변수로 자기효능감을 측정하였다. 설문대상은 창업초기 소상공인 427명으로부터 구조화된 자기기입식 질문지를 수집하고, SPSS 18.0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다중회귀분석기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업종경험, 성취욕구, 위험감수성향, 창업 준비기간은 자기효능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실패경험과 자기자본비율이 매출액과 순이익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통제위치는 매개변수인 자기효능감을 통해 결과기대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창업가 특성과 창업 준비과정에 따라서 소상공인의 자기효능감과 창업성과가 달라진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이론적 실천적 함의를 논의 하였고, 연구의 문제점 및 향후 정책,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학령기 정상가정자녀와 이혼가정자녀의 건강상태와 학교생활적응정도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Health State and School Adaptation between Children in Divorced Family and in Normal Family)

  • 조결자;지은선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743-756
    • /
    • 2002
  • Purpose: This study is a descriptive and comparative study that compares health state and school adaptation between children in divorced family and in normal family. Study results will provide a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an intervention program designed to help children in divorced family adjust to their crisis. Method: The study subjects consisted of 700 children in 4th. 5th or 6th elementary school grade, residing Seoul and Kyunggi regions. Among these subjects, 123 were children with divorced family and 577 were children with normal family. The health status of the subjects was measured by Health Symptom Questionnaire developed by Shin and revised by the investigators. The instrument consisted of 30 items measuring physical and emotional health symptoms. The level of school adaptation of the subjects was measured by School Adaptation Scale developed by Lee, which consisted of 4 dimensions with 20 items what measures relationship with peer students, learning activity, observance of regulation, and participation of school activity. The investigators visited the schools and collected data in the classes using the questionnaire after explaining the purpose and procedures of the study to the children. Th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yen\"{o}2$-test, t-test, ANOVA using the SPSS PC + statistical program. Result: First, the mean health state score in children with normal family (M=11.99) was higher than that in children with divorced family (M=19.15), showing a significant difference (t=-6.51, p=.000) between the two groups, which suggests that children with normal family have better health state than children with divorced family. Second, the mean school adaptation score in children with normal family (M=38.99) was higher than that in children with divorced family (M=26.97), showing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t=104.07, p=.000), which suggests that the school adaptation of children with normal family is better than that of children with divorced family. Third, in comparison of health state between the two groups by general characteristic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sex. the most contributing factor to health status of the children, school year. birth order, religion, school achievement, amount of monthly pocket money, parents level of formal education, occupation of parents, economic status (p<.05). Forth, in comparison of the level of school adaptation between the two groups by general characteristic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most variables (p<.05), suggesting that children with normal family had better capacity of school adaptation than children with divorced family. Conclusion: As a result. this study showed that the parent's divorce had great influence on children's health status and school adaptation capacity. The implication for nursing is that there is a need to develop supportive interventions for the high-risk children who have decreased health states and school adaptation capacity due to the divorce of their parents. In addition, it is recommended that further studies should be conducted to explore protective factors for the prevention of health and adaptation problems in children.

  • PDF

한국 해운산업의 경쟁력강화 정책방안에 관한 실증연구 (An Empirical Study on Improving Competitiveness of Korean Shipping Industry)

  • 이충배;노진호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59-278
    • /
    • 2010
  • 우리나라는 수출 의존형 경제발전을 추진해왔고, 해운은 수출입화물의 대략 99.7%를 수송해왔다. 세계 경제성장과 무역을 주도한 국가의 대부분은 바다를 효과적으로 경영하고 지배한 나라들이며. 현재도 세계 교역량의 75%가 바다를 통해 운송되고 있으며, 정보화 디지털화 시대에도 바다의 중요성은 더욱 부각되고 있다. 우리나라 GDP의 4%를 점하고 있는 우리 해운산업 또한 앞으로 국제경쟁에서 살아남고 더욱 더 발전하기 위한 전략 수립이 시급한 시점이라고 할 수 있다. 세계의 공장 중국을 비롯한 동북아 지역이 세계 해운시장의 중심으로 급부상하고 있는 가운데 세계무역기구, 자유무역협정을 통한 개방화 자율화가 급속히 진전되고 있는 추세에 대응하여 우리의 해운산업을 범세계적인 관점에서 성장 발전할 수 있는 전략 모색이 반드시 필요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한국과 주요 해운선진국들의 해운산업 특징을 살펴보고 급변하는 해운환경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해운정책의 성과와 정책추진의 우선순위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해운산업의 국제경쟁력 강화를 위한 추진 전략에 대해 분석해 보는 연구이다. 문헌연구와 설문조사를 통해 우리나라 해운정책 성취도 인식에 따른 정책성과를 분석해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우선적으로 해운인력의 안정적 확보와 선박금융의 활성화, 남북한 해운교류의 확대의 추진을 강화하고, 현재 가장 문제가 되고 있는 대량하주의 해운업 진출 문제에 관한 현실적인 대안 제시를 위해 정부주도하에서 기업과 민간이 협력하고 현재의 해운산업 현실을 적절히 반영해서 추진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