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tional protocols

검색결과 838건 처리시간 0.028초

Improved pregnancy rate and sex ratio in fresh/frozen in vivo derived embryo transfer of Hanwoo (Bos taurus coreanae) cows

  • Jihyun Park;Wonyou Lee;Islam M. Saadeldin;Seonggyu Bang;Sanghoon Lee;Junkoo Yi;Jongki Cho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5권4호
    • /
    • pp.779-791
    • /
    • 2023
  • This study aimed to assess the effects of embryonic developmental stage, quality grade, and fresh or frozen/thawed conditions on the pregnancy rate and sex ratio of live offspring in Hanwoo (Bos taurus coreanae) cows. The quality and developmental stage of in vivo-derived (IVD) transferred embryos were evaluated using the standard criteria of the International Embryo Technology Society. The recipient cows were synchronized using conventional (estradiol benzoate and progesterone) protocols before embryo transfer. Embryos were transferred to 297 cows, and pregnancy was monitored for 60-70 days after embryo transfer. The pregnancy rates of fresh and frozen/thawed embryos were 56.90% and 52.49%, respectively. Pregnancy rates varied according to embryo quality (56.18% for grade 1 vs. 36.67% for grade 2). Pregnancy rates also varied by developmental stage and cryopreservation (67.86% vs. 63.49% for stage 4-1, 64.00% vs. 54.72% for 5-1, and 50.00% vs. 47.83% for 6-1, in fresh embryos vs. frozen/thawed embryos, respectively). For stage 7-1, the pregnancy rates were 72.73% for fresh embryos and 20.00% for frozen/thawed embryos. In 66 fresh embryos, the sex ratio of live offspring was 5:5, whereas it was 4(female):6(male) for frozen/thawed embryos among the 95 frozen/thawed embryos. The miscarriage rate was approximately 3% higher for frozen/thawed embryos than for fresh embryos (18.1% for fresh vs. 21.1% for frozen). Seasonal fertility rates were 33.3% in spring, 55.67% in summer, 52.8% in autumn, 60.0% in winter. The following male-to-female ratios were observed in different seasons: 6.7:3.3 in spring, 4.0:6.0 in summer, 5.5:4.5 in autumn, and 3.3:6.7 in winter. The current data reveal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egnancy rates between fresh and frozen/thawed IVD embryos. However, there was a lower pregnancy rate with advanced-stage frozen/thawed embryos (stage 7-1). The current study provides comprehensive results for the better optimization of embryo transfer in Hanwoo cattle to obtain the desired fertility rate, pregnancy rate, and sex ratio of calves. These results provide important insights into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viability and success of IVD embryo transfer in Hanwoo cows and may have practical applications for improving breeding programs and reducing production costs.

Deep Learning-Based Computed Tomography Image Standardization to Improve Generalizability of Deep Learning-Based Hepatic Segmentation

  • Seul Bi Lee;Youngtaek Hong;Yeon Jin Cho;Dawun Jeong;Jina Lee;Soon Ho Yoon;Seunghyun Lee;Young Hun Choi;Jung-Eun Cheon
    • Korean Journal of Radiology
    • /
    • 제24권4호
    • /
    • pp.294-304
    • /
    • 2023
  • Objective: We aimed to investigate whether image standardization using deep learning-based computed tomography (CT) image conversion would improve the performance of deep learning-based automated hepatic segmentation across various reconstruction methods. Materials and Methods: We collected contrast-enhanced dual-energy CT of the abdomen that was obtained using various reconstruction methods, including filtered back projection, iterative reconstruction, optimum contrast, and monoenergetic images with 40, 60, and 80 keV. A deep learning based image conversion algorithm was developed to standardize the CT images using 142 CT examinations (128 for training and 14 for tuning). A separate set of 43 CT examinations from 42 patients (mean age, 10.1 years) was used as the test data. A commercial software program (MEDIP PRO v2.0.0.0, MEDICALIP Co. Ltd.) based on 2D U-NET was used to create liver segmentation masks with liver volume. The original 80 keV images were used as the ground truth. We used the paired t-test to compare the segmentation performance in the Dice similarity coefficient (DSC) and difference ratio of the liver volume relative to the ground truth volume before and after image standardization. The concordance correlation coefficient (CCC) was used to assess the agreement between the segmented liver volume and ground-truth volume. Results: The original CT images showed variable and poor segmentation performances. The standardized images achieved significantly higher DSCs for liver segmentation than the original images (DSC [original, 5.40%-91.27%] vs. [standardized, 93.16%-96.74%], all P < 0.001). The difference ratio of liver volume also decreased significantly after image conversion (original, 9.84%-91.37% vs. standardized, 1.99%-4.41%). In all protocols, CCCs improved after image conversion (original, -0.006-0.964 vs. standardized, 0.990-0.998). Conclusion: Deep learning-based CT image standardization can improve the performance of automated hepatic segmentation using CT images reconstructed using various methods. Deep learning-based CT image conversion may have the potential to improve the generalizability of the segmentation network.

방사선치료 Patterns of Care Study 개발을 위한 2002년 한국 방사선종양학과 전문의들의 직장암 방사선치료 원칙 조사연구 (Survey on Radiotherpv Protocols for the Rectal Cancers Among the Korean Radiation Oncologists in 2002 for the Development of the Patterns of Care Study of Radiation Therapy)

  • 김종훈;김대용;김용호;김우철;김철용;성진실;손승창;신현수;안용찬;오도훈;오원용;유미령;유헝준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1권1호
    • /
    • pp.44-65
    • /
    • 2003
  • 목적 : 한국에서 발생빈도가 높은 암의 하나인 직장암의 치료에 있어 전국의 각 병원 치료방사선과(방사선종양학과)에서 시행하고 있는 치료 형태를 세부 항목별로 파악하여 방사선종양학 전문의간의 치료원칙의 차이점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Patterns of Care Study를 위한 연구의 기본 자료로 제시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경인지역 소재 18개 대학병원 및 방사선종양학과가 있는 병원들의 방사선종양학과 전문의들이 모여 직장암의 방사선치료 원칙 분석을 위한 consensus committee를 구성하고, 회합 및 설문조사를 통하여 각 의사들의 방사선치료 원칙을 파악하기 위한 세부 항목 설정과 이를 토대로 직장암 환자 개개인의 치료 내용을 측정하는 구체적인 항목들을 개발하였다. 이 항목들을 이용하여 직장암의 방사선치료를 담당하고 있는 전국의 방사선종양학과 전문의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한 후 각 전문의들의 의견이 일치하는 부분과 상이한 부분들을 분석하였다. 결과 : 전문의 별 치료원칙의 측정에 사용된 항목들은 1) 치료대상환자의 선정기준 8개 항목, 2) 수술 전후 병기 및 예후 인자 검사 20개 항목, 3) 수술 및 항암화학요법과의 병용기준 7개 항목, 4) 환자의 setup 및 처치 9개 항목, 5) 모의치료시 조사야 결정 19개 항목, 6) 치료계획 5개 항목, 7) 치료 중 상태 확인 위한 이학적/병리학적 검사 4개항목, 8) 치료 후 추적 관찰시 검사할 10개 항목 등 총 82개의 항목이 개발되었다. 이 항목들은 전국 각 병원들의 방사선종양학과 전문의를 대상으로 설문조사 되어 치료원칙에 대한 분석이 항목별로 이루어졌다. 설문조사 결과 전국의 각 병원 방사선종양학과에서 시행되고 있는 직장암의 방사선치료 형태는 일정 범위를 유지하고 있으나, 일부 항목에 있어서는 치료자 간 의견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중 전체 응답자의 50$\%$ 이상에서 합의가 되지 못한 항목들은, 1) 치료환자의 선정 기준 중 수술 전 방사선치료 대상, 2) 병기 결정 검사 중 직장내 초음파 (EUS, endorectal ultrasound), 흉부 CT, 뼈 스캔 등의 시행 여부, 3) 항암제와의 병용 원칙, 4) 모의치료시 소장 위치확인을 위한 조영제 사용, 5) 조사야의 경계선 결정, 6) 치료 후 추적 관찰 시 CEA와 대장내시경의 시행여부 등 이었다. 결론 이견이 많은 항목들에 대해서는 향후 담당 전문의들을 대상으로 consensus meeting 등을 통한 체계적인 분석 및 합의의 도출이 필요한 것으로 보이며, 본 연구에서 밝혀진 각 병원들의 치료 내용을 토대로 향후 표준화된 치료 모델 개발을 위한 Patterns of Care Study가 진행될 예정이다.

LTE-Advanced 시스템의 다중 사용자 MIMO Relay 네트워크에서 간섭 제거를 위한 Joint Precoding 기술 (Joint Precoding Technique for Interference Cancellation in Multiuser MIMO Relay Networks for LTE-Advanced System)

  • 사란쉬 말리크;문상미;김보라;김철성;황인태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9권6호
    • /
    • pp.15-26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개선된 AF(Amplify-and-Forward)와 DF(Decode-and-Forward) Relay 프로토콜을 결합한 다중 사용자 MIMO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Relay 네트워크에서 간섭 제거 기술을 논의 한다. 간섭 제거 기술은 Relay 노드가 적용된 전체 전송 시스템의 오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eNB(evolved NodeB), Relay 노드(RN: Relay Node)와 UE(User Equipment)에 의해 이루어진다. 간섭 제거를 수행하기 위해 ZF(Zero Forcing), MMSE(Minimum Mean Square Error), SIC(Successive Interference Cancellation)와 OSIC(Ordered Successive Interference Cancellation)가 적용된 DPC(Dirty Paper Coding)와 THP(Thomilson Harashima Precoding)를 사용하였다. 이러한 기본적인 기술이 적용된 Relay 노드 기능들이 연구되고 개선된다. 협력 Relay 노드에서 두 계층 간의 간섭 제거를 강화한 DF는 성능을 향상시킨다. eNB와 RN간의 가중치 벡터를 사용하여 간섭 제거가 수행된다. 연구 최종 결과, 기존의 알고리즘과 비교하여 제안된 알고리즘이 낮은 SNR에서 더 좋은 성능을 나타냈다. 모의실험 결과 LTE-Advanced 시스템에서 제안된 기법이 오류 성능 면에서 상당한 향상을 나타냈다.

소아의 종양성 질환에 동반된 구강합병증 관리 (MANAGEMENT OF ORAL COMPLICATIONS IN THE PEDIATRIC POPULATION WITH CANCER)

  • 김성기;김민정;이동수;김신;정태성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157-167
    • /
    • 2009
  • 소아의 종양성질환은 출생 첫해에 가장 많고, 2-3세경에 두 번째로 많이 나타난다. 소아에서는 급성 백혈병, 임파선암, 뇌종양, 연조직 종양 그리고 신장 종양이 일반적이다. 조기진단과 의학의 발달로 치료결과가 향상되고 치료후 생존율 또한 높아지는 추세이나, 항암화학요법, 방사선 및 조혈모세포 이식 등의 치료과정에 동반되는 전신 및 국소적합병증 또한 심각한 문제로 나타난다. 구강조직은 항암치료의 독성에 특히 예민하고 구강내 병소가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소아치과의사는 종양성질환으로 다양한 항암치료를 받는 어린이의 치료 전후에 삶의 질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치과적 문제를 진단하고 예방 및 관리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따라서 소아치과의사를 포함한 치과종사자는 환자의 병력, 치료과정, 건강상태에 따른 합병증을 예방 또는 처치하기 위한 개별적 구강관리지침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논문에서는 소아에서 종양성질환을 치료중인환자, 특히 항암화학요법, 방사선 요법 및 조혈모세포이식환자에 대한 치료전후의 구강관리에 대하여 알아본다.

  • PDF

Cadmium이 넙치(Paralichthys olivaceus)의 면역 반응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cadmium exposure on the immune response of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변주영;유민호;전려진;이형호;정현도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97-102
    • /
    • 2001
  • 어류의 면역반응에 대한 cadmium (Cd)의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를 각기 다른 방향으로 Cd에 노출시킨 후 특이적 면역반응의 변화와 Edrwrdsiella tarda KFE (E. tarda KFE)의 인위감염에 대한 저항성을 분석하였다. E. tarda KFE의 formalin killed cell (FKC)로 면역시키기 2주전부터 계속하여 실험 기간동안 침지법으로 Cd(20ppb)에 노출된 시험구는 노출되지 않은 시험구와 양성 대조구보다 혈청 내 특이 항체가가 빠르게 최고치에 이르렀으나, 감소속도는 노출시키지 않은 양성 대조구에 비하여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경향은 splenocytes를 ELISPOT-assay (enzyme-linked immunospot assay)를 이용하여 특이 항체 생성 세포 (specific antibody secreting cell, SASC) 수를 분석해 보았을 때에도 동일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면역 전 2주 동안만 Cd에 노출시킨 시험구에서는 혈청내 항체생성 결과와는 달리 증가된 SASC의 수를 보여 주었다. 그리고 면역 2주 전부터 실험 전기간동안 계속해서 Cd에 노출시킨 넙치를 대상으로 하여 E. tarda FKC 생균으로 인위 감염시켰을 때 100% 폐사율을 보여 주었다. 이것은 Cd에 지속적으로 노출된 어류에서의 방어 체계는 면역반응뿐만 아니라 독성효과도 함께 고려되어야 하는 복합적인 것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PDF

접착제의 접착변수가 레진계 근관충전제의 근단밀폐효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otal-etch, wet-bonding, and light-curing of adhesive on the apical seal of a resin-based root canal filling system)

  • 류원일;손원준;백승호;이인한;조병훈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6권5호
    • /
    • pp.385-396
    • /
    • 2011
  • 연구목적: 본 연구는 치근벽의 전처리 개념과 접착제의 중합방법이 레진계 근관충전제의 치근단 밀폐능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3가지 다른 접착변수를 조합하여 충전한 Resilon-RealSeal 시스템의 근단미세누출을 색소침투법을 이용하여 통상의 가타퍼쳐 충전과 비교하였다. 실험군은 자가부식형 RealSeal primer와 이중중합형 RealSeal sealer를 이용하여 Resilon 충전한 SEDC군, 산부식없이 Scotchbond Multi-Purpose primer를 적용한 후 접착제는 광중합하고 Resilon을 충전한 NELC군, 및 Scotchbond Multi-Purpose의 접착강화제와 접착제를 total etch/wet bonding과 광중합의 술식을 정확하게 지켜서 Resilon을 충전한 TELC군으로 구분하였다. 대조군(GPCS)에서는 통상의 AH26 plus sealer를 사용하여 가타퍼쳐를 충전 하였다. 결과: 치아장축방향의 색소침투는 TELC군에서 GPCS군과 SEDC군에 비해 유의하게 작았다(Kruskal-Wallis test, p < 0.05). 횡단면의 미세누출 점수도 TELC군이 근첨으로부터 2 - 5 mm의 범위에서 다른 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Kruskal-Wallis test, p < 0.05). 결론: 레진계 근관충전제를 사용 시에는, 자가부식형 전처리제와 이중중합형 sealer보다는, total etch/wet bonding 개념과 적절한 광중합을 도모하는 전처리제 및 접착제의 사용이 치근단 미세누출을 감소시키므로 추천된다.

나노물질 생산시설의 환경노출 평가와 안전관리 (Nano-safety Management and Exposure Assessment of Nanomaterials Producing Facilities)

  • 엄하늬;노진규;박준수;곽병규;이병천;최경희;이종협;김영훈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0권1호
    • /
    • pp.112-117
    • /
    • 2012
  • 나노기술의 발전과 함께 나노물질을 포함한 소비재가 대중화되고 있다. 그러나 지난 10여년간 조심스럽게 제기되고 있는 나노물질의 잠재적 위해성으로 인해, 나노제품 사용을 불안해하고 있다. 특히 나노제품을 직접 취급하는 생산시설(연구소 및 업체)의 작업자는 직접적인 인체 노출을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이들에 대한 인체 및 환경 노출 안전관리를 위하여, 직접적인 노출평가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기상 및 액상 반응을 통해 나노물질을 생산하는 두 곳의 업체를 현장 방문하여 나노물질의 주요 노출대상 공정과 노출원을 파악하고 SMPS를 이용한 실시간 현장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액상 공정도 기상으로의 나노입자 노출이 심각하게 발생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가장 문제가 되는 점은 나노물질의 잠재적인 위해성에 관한 인식의 부족으로 제대로 된 방호활동을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보다 다양한 나노물질 취급 시설에 대한 환경노출 평가가 필요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 나노물질 취급 안전관리 방법이 제시되어야 한다.

The first KREDOS-EPR intercomparison exercise using alanine pellet dosimeter in South Korea

  • Park, Byeong Ryong;Kim, Jae Seok;Yoo, Jaeryong;Ha, Wi-Ho;Jang, Seongjae;Kang, Yeong-Rok;Kim, HyoJin;Jang, Han-Ki;Han, Ki-Tek;Min, Jeho;Choi, Hoon;Kim, Jeongin;Lee, Jungil;Kim, Hyoungtaek;Kim, Jang-Lyul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52권10호
    • /
    • pp.2379-2386
    • /
    • 2020
  • This paper presents the results of the first intercomparison exercise performed by the Korea retrospective dosimetry (KREDOS) working group using electron paramagnetic resonance (EPR) spectroscopy. The intercomparison employed the alanine dosimeter, which is commonly used as the standard dosimeter in EPR methods. Four laboratories participated in the dose assessment of blind samples, and one laboratory carried out irradiation of blind samples. Two types of alanine dosimeters (Bruker and Magnettech) with different geometries were used. Both dosimeters were blindly irradiated at three dose levels (0.60, 2.70, and 8.00 Gy) and four samples per dose were distributed to the participating laboratories. Assessments of blind doses by the laboratories were performed using their own measurement protocols. One laboratory did not participate in the measurements of Magnettech alanine dosimeter samples. Intercomparison results were analyzed by calculating the relative bias, En value, and z-score. The results reported by participating laboratories were overall satisfactory for doses of 2.70 and 8.00 Gy but were considerably overestimated with a relative bias range of 10-95% for 0.60 Gy, which is lower than the minimum detectable dose (MDD) of the alanine dosimeter. After the first intercomparison, participating laboratories are working to improve their alanine-EPR dosimetry systems through continuous meetings and are preparing a second intercomparison exercise for other materials.

국내 근거기반간호의 현황과 발전 방향 (Current Status and Direction for Future Development of Evidence-based Nursing in Korea)

  • 최명애;방경숙;박연환;강현주
    •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 /
    • 제8권2호
    • /
    • pp.129-138
    • /
    • 201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of evidence-based research, education, and practice, and to suggest a directions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evidence-based nursing. Method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evidence-based nursing research, experimental research among studie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from 2008 to 2010 were analyzed. We suggested a direction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evidence-based research based on the analysis and literature reviews. We also suggested a direction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evidence-based education and practice based on literature reviews.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designs and methods of studies were insufficient to use evidences derived from the studies in terms of evidence-based research, and experimental studies consistent with themes were found to be deficient. In the future, the methods and rationale for the design of experimental studies need to be clearer In addition, a test for intervention effects through repetitive studies and a connection between the intervention effects and a protocol for clinical practice will be required. In terms of evidence-based education, curriculum revision and development of teaching methods including contents related to evidence-based practice and research methodology in undergraduate and graduate programs will be required. Evidence-based practice in Korea was less actively done than with that of foreign countries. Some large hospitals have recently attempted systemic activities to promote evidence-based nursing practice in clinical settings. To activate evidence-based practice, the perception of nurses for evidence-based practice needs to be changed and support for education and administration of the program is required. Also, evidence-based practice guidelines, protocols, and assessment tools need to be developed. Conclusion: Evidence-based nursing in Korea is in the process of evolving. To realize evidence-based nursing, we need to develop nursing science based on evidences of closer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in terms of nursing research, education, and practic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