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tional forest management plan

검색결과 207건 처리시간 0.037초

광릉숲 지역 지형분류와 관리방안 (Landform Classifications and Management Plan in Gwangneung Forest)

  • 김남신;조용찬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737-746
    • /
    • 2013
  • 본 연구는 광릉 숲지역 지형을 유형화하여 산지 지형변화 관리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지형요소는 축척별 계층적 체계에 따라 분류하였다. 지형유형화를 위한 축척은 4가지로 등급을 결정하였다. 등급0 요소는 4가지, 등급1은 6가지, 등급2는 12가지, 등급3은 27가지로 지형요소를 분류할 수 있었다. 지도화에 제약이 따르는 곡저미지형은 상부곡, 중간곡, 인공하도곡으로 분류하였다. 지표침식에 대한 지형관리 방안으로 저목통로, 암석과 자갈을 이용한 사면이나 다리 주변의 지형관리, 풍화층보다 안정된 기반암 지역에 관리 도로 건설, 하도벽 안식각 유지와 석축 쌓기, 마지막으로 산림 간벌시 완충구역 유지 등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산간지역 지형유형별 산림 관리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으로 본다.

  • PDF

산림정책융합에 관한 연구 : 산림이용·개발 및 보전의 융합패러다임으로의 변화 (A Study on the Policy Convergence of Forest Policy : A Paradigm Sift to Convergence between Forest Development and Preservation)

  • 장제원;박용성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6호
    • /
    • pp.13-28
    • /
    • 2015
  • 산림의 경제적 가치의 중요성에 따라 산림이용과 개발의 패러다임이 산림정책의 지배적 패러다임으로 등장하였다. 산림이 웰니스의 중요한 수단으로 인식되면서 이용과 보전의 융합이 모색되었고 산림정책의 패러다임도 산림을 이용한 휴양, 복지 및 웰니스(wellness) 등 새로운 정책가치들을 지향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산림정책에 새로운 가치들이 어떻게 융합되었는지를 컨텐츠 분석과 네트워크 분석이 결합된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제4차 산림기본계획에 비해 제5차 산림기본계획에서는 임산물 생산에서 벗어나 산림이용과 산림휴양기능이 강화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산림을 통한 치유, 건강, 산림의 복지적인 기능 등에 대한 정책과 산림이용과 보전이 융합된 경영기반 마련에는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한국의 산림정책에서 지속가능한 융합패러다임이 보이고 있다. 정책적 함의로서 국가산림기본계획 수립에 있어 산림이용과 보전을 융합할 수 있는 정책역량의 강화가 필요하다는 점을 제시할 수 있다.

A Study on Riparian Forests of Idle Land to Build Design Using the IPA Strategy

  • Choi, Sang Hyun;Woo, Jong Choon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2권2호
    • /
    • pp.182-188
    • /
    • 2016
  • In this study 'forest design in waterside unused land' of 'waterside area' in the specificity that multilateral, including landscape, recreation, social and environmental aspects in the space, taking into account by multiple factors :Raise 'practicality' than a functional management and police to hang out with, each element is usually way to improve the beauty. There is currently carried out waterside green area creation, which is artificial plantation and open spaces only emphasizing 'landscape' with lacking multi-function purpose, as a 'forest design in waterside unused land' strategy but it should be lowered by performance in this strategy. And the study suggested a strategy which prepared cultural and social infrastructure to be able to attract different fund and build local character as an alternative demand plan considered environmental character as a top priority.

지방자치단체 숲가꾸기 사업 수행역량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erformance capability of local government on the forest tending project)

  • 김명관;오도교;김세빈
    • 농업과학연구
    • /
    • 제40권1호
    • /
    • pp.1-11
    • /
    • 2013
  • The study proposes to draw out the correlation on what kinds of influences local government personnel's performance capability affect the overall quality of the project, and to suggest institutional supplement policies. For the study, two analytical methods are conducted. First, a hypothesis per each factor was set by classifying the factors which affect the personnel's performance capability into organizational and individual factors. Second,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the project management personnels and presented the result on the verification of the hypothesis through statistic techniques. As the result, it is considered that the quality of forest tending project is more affected by the individual factors than the organizational factor, thereby this study suggests the methods of reinforcement in project management personnel's performance capability.

국유림경영계획 실행평가 제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Evaluation System for Implementation of National Forest Management)

  • 김다민;임철희;이우균;송철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4권4호
    • /
    • pp.640-648
    • /
    • 2015
  • 기후변화에 따른 사회적 요구는 국유림이 탄소흡수와 산림자원조성 측면에서 주도적인 역할로 자리매김하게 하였으며, 이에 국유림을 관리하는 국유림경영계획과 국유림경영계획 실행평가의 운영이 효과적인지 점검할 필요가 있다. 효과적인 계획수립과 경영은 올바른 평가방법을 바탕으로 확보될 수 있기에 본 연구는 국유림경영계획 실행평가 제도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타 분야의 평가 제도와 비교분석, 국유림업무 담당자 및 전문가와 면담 분석, 11개소 경영계획구의 국유림경영계획 최종평가서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1) 계획수립과 평가결과간 연계성을 강화하기 위해 각 평가별 목적과 시기 수정, (2) 사업수행과정을 반영하기 위해 사업별 가중치 할당, (3) 계획변경내역과 사유 기재를 통한 정성적 평가 진행, (4) 이러한 개선방안은 궁극적으로 국유림경영정보시스템과 연동되어야 함을 제시하였다. 미래 산림변화를 예측하고 지속가능한 산림경영을 이룩하는 것은 사업수행과정 전반에 대한 신뢰성 있는 평가에서 시작되며, 따라서 본 연구는 실행평가 고도화 방안을 제안했음에 그 의의가 있다.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농촌지역 마을 수림지 식물생태계 분석 - 천연기념물 제468호 포항 북송리 북천수를 대상으로 - (Analysing the Plant Ecosystems for the Rural Village Forest of Designated as Natural Monument - the Case of Natural Monument no.468 Pohang Buksong-ri Bukcheonsu -)

  • 이승주;김동욱;허복수
    • 농촌계획
    • /
    • 제17권1호
    • /
    • pp.43-58
    • /
    • 2011
  • This paper is performed to study for the plants ecosystems for the rural community forest of designated as natural monument. In addition, it is also proposed the plan of the rural community forest's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for avoiding to the destroy of indiscriminate development such as land-use, cultivation. The rural community forest is a mirror that reflect the regional culture and history, as well as environment. According to this view, undoubtedly, we need to recognise the formative background of rural community forest, the relations between the environment around and the characteristic of plants ecosystem comprehensively. For the purpose of proposing to the plan of rural village forests'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therefore, this study is: 1) reviews the previous research and ancient documents, and 2) surveys the vegetation structure and the growing conditions in rural village forest directly.

국가 생태정보를 활용한 생물다양성 지도 구축 (Mapping for Biodiversity Using National Forest Inventory Data and GIS)

  • 정다정;강경호;허준;김창재;김성호;이정빈
    • 환경영향평가
    • /
    • 제19권6호
    • /
    • pp.573-581
    • /
    • 2010
  • Natural ecosystem is an essential part to connect with the plan for biodiversity conservation in response strategy against climate change. For connecting biodiversity conservation with climate change strategy, Europe, America, Japan, and China are making an effort to discuss protection necessity through national biodiversity valuation but precedent studies lack in Korea. In this study, we made biodiversity maps representing biodiversity distribution range using species richness in National Forest Inventory (NFI) and Forest Description data. Using regression tree algorithm, we divided various classes by decision rule and constructed biodiversity maps, which has accuracy level of over 70%. Therefore, the biodiversity maps produced in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e information for decision makers and plan for conservation of biodiversity & continuous management. Furthermore, this study can suggest a strategy for increasing efficiency of forest information in national level.

최근 국유림경영계획에서 산림기능별 면적구분과 생태계서비스 개념의 반영에 관한 분석 (Analysis on the Area by Forest Function and the Reflection of Ecosystem Service Concepts in Korea's National Forest Management Plans)

  • 고기연;최재용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9권2호
    • /
    • pp.211-222
    • /
    • 2020
  • 본 연구는 산림의 기능구분에서 시간에 따라 변화가 있는지 여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생태계서비스 개념이 현재 국유림 관리계획에서 고려되는 수준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자료는 98개 국유림의 경영계획구의 현재와 직전 기간의 경영계획서를 활용하였다, 경영계획서상 전, 현차기의 경영계획구별 산림기능별 면적의 구성 비율을 분석대상으로 삼았다. 전차기, 현차기의 2개 그룹의 평균이 정규분포를 따르는지 우선 검정하였다. 그 결과, 정규분포를 따르면 모수적 t-검정, 그렇지 않은 경우 비모수적 Wilcoxon 부호순위 검정을 실시하였다. 정규분포를 따르는 것은 목재생산림 경우가 해당되고, 나머지 5가지 기능: 수원함양림, 산지재해방지림, 자연환경보전림, 산림휴양림, 생활환경보전림은 정규분포하지 않는다. t-검정 또는 Wilcoxon 부호순위 검정을 실시한 결과, 유의미한 기능별 산림면적 비율의 변화를 보인 것은 목재생산림, 자연환경보전림이었다. '생태계서비스' 개념이 활발하게 언급되기 시작한 것은 2018년에 시작된 제6차 산림기본계획에서 부터이다. 지방산림청별 지역산림계획에서는 차이가 있었는데, 동부와 서부지방산림청 소관 지역산림계획에서는 위 개념에 대한 언급이 빈번하게 이루어졌으나 나머지 3개 지방산림청의 계획들에서는 그렇지 않았다.

임업노동력 현황 및 양성방안 분석 (An Analysis of the Situation and Training Plan of Forestry Labor)

  • 박상준;김동근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23권2호
    • /
    • pp.109-118
    • /
    • 2007
  • 본 연구는 임업노동력 현황과 양성방안을 분석하여 향후 임업노동력의 확보 및 임업기계화의 활성화 등을 위한 정책방안의 기초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산림작업 종별 총 고용인원과 인건비는 매년 조금씩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나 벌채 총 고용인력은 오히려 감소하고 있으며, 전문 기계화작업단 구성과 오퍼레이터의 양성이 필요하겠다. 현재 임업현장의 중심적인 활동을 펴고 있는 영림단의 수와 단원수가 해매다 늘어나고 있고 연간 작업일수와 소득도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기능인영림단의 월평균 작업일수가 15일로 연간 작업일수가 180일에 불과하였다. 우리나라의 연간 총 숲가꾸기 사업량을 중심으로 기능인영림단 및 단원수를 산출한 결과, 약 349개의 기능인영림단이 필요하고 이에 따른 기능인영림단 1개당 단원수를 12명으로 적용했을 경우, 전체 기능인영림단의 단원수는 약 4,185명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우리나라의 연간 목재 생산량을 중심으로 타워야더형 임목수확작업시스템을 적용하여 적정 기계화영림단 및 단원수를 산출한 결과, 250개의 기계화영림단이 필요하고 기계화영림단당 단원수를 5명으로 적용했을 경우, 전체 기계화영림단의 단원수는 1,250명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소나무 임분밀도관리도 작성 및 실용성 검정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Stand Density Management Diagram for Pinus densiflora Forests in Korea)

  • 박준형;이광수;유병오;박용배;정수영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5권3호
    • /
    • pp.342-350
    • /
    • 2016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소나무림의 체계적인 경영계획 수립 및 관리목표 달성을 위해 지침이 될 수 있는 임분밀도관리도를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임분밀도관리도를 구성하는 5개의 모형을 추정하기 위하여 분석에 이용된 총 조사 표본점 수는 1,886plot이었으며, 각 표준지는 소나무의 흉고단면적이 75%이상 점유하는 임분에서 추출되었다. 유의수준 5%에서 $X{^2}_{(0.05)}$ 적합도를 검정하였으며, 허용오차율은 20% 수준으로 나타났다. 모형의 표준편차는$34.59m^3{\cdot}ha^{-1}$이었으며, 허용오차율의 최소치는 16.59%, 변동계수는 22.11%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제작된 소나무 임분밀도관리도는 밀도관리의 경로별 수확량과 솎아베기 과정을 예측할 수가 있어 산림경영에서 목적하는 생산재의 양과 형질에 따른 경영계획 수립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