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ng the Plant Ecosystems for the Rural Village Forest of Designated as Natural Monument - the Case of Natural Monument no.468 Pohang Buksong-ri Bukcheonsu -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농촌지역 마을 수림지 식물생태계 분석 - 천연기념물 제468호 포항 북송리 북천수를 대상으로 -

  • Lee, Seung-Joo (Dept. of Natural Heritage,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Kim, Dong-Wook (Dept. of Natural Heritage,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Huh, Bog-Su (Dept. of Natural Heritage,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이승주 (국립문화재연구소 자연문화재연구실) ;
  • 김동욱 (국립문화재연구소 자연문화재연구실) ;
  • 허복수 (국립문화재연구소 자연문화재연구실)
  • Received : 2011.02.08
  • Accepted : 2011.03.18
  • Published : 2011.03.20

Abstract

This paper is performed to study for the plants ecosystems for the rural community forest of designated as natural monument. In addition, it is also proposed the plan of the rural community forest's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for avoiding to the destroy of indiscriminate development such as land-use, cultivation. The rural community forest is a mirror that reflect the regional culture and history, as well as environment. According to this view, undoubtedly, we need to recognise the formative background of rural community forest, the relations between the environment around and the characteristic of plants ecosystem comprehensively. For the purpose of proposing to the plan of rural village forests'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therefore, this study is: 1) reviews the previous research and ancient documents, and 2) surveys the vegetation structure and the growing conditions in rural village forest directly.

Keywords

References

  1. 강현경 방광자, 이승제, 김학범, 2004, 생육환경 분석을 통한 마을숲의 관리방안-경상도와 강원도의 주요 마을숲을 중심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2(2), 63-74.
  2. 강현경, 2004, 마을숲 소나무림의 생육상태 비교분석-경북.경남.강원도지역-, 22(2), 19-28.
  3. 건설교통부, 1999, 개발제한구역 제도개선을 위한 환경평가기준 연구, 295.
  4. 건설교통부, 2007, 조경설계기준, 건설교통부, 404.
  5. 경상북도, 2008, 경상북도 마을숲의 조사보고서, 경상북도, 296.
  6. 김덕현, 1986, 전통촌락의 동수(洞藪)에 관한 연구-안동(安東) 내앞마을의 개호송(開湖松)을 중심으로, 지리학논총, 제13호, 29-45.
  7. 김석환, 최송현, 2007, 부산광역시 해안림의 구조와 생태적 특성,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1(1), 67-73.
  8. 김수희, 2010, 해안 마을숲의 문화경관 특성에 관한 연구-경상남도 남해안을 중심으로-, 진주산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7.
  9. 김옥근, 2005, 개발지역내 훼손지역의 자연식생 군락이식 기법 연구-용인동백지구를 사례로-,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7.
  10. 김종원, 임정철, 2006, 전통 마을숲에 대한 식물 사회학적 고찰,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소, 한국학논집, 33, 81-112.
  11. 김학범, 김정태, 1995, 한국 고도읍에 출현된 읍수의 경관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13(2), 13-26.
  12. 김학범, 장동수 박복조, 2008 전통 마을숲 복원 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6(2), 42-50.
  13. 김학범, 장동수, 1993, 고문헌에 나타난 한국마을숲의 시원(始源)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11(1), 19-40.
  14. 김학범, 장동수, 2005, 마을숲,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3(1), 145-149.
  15. 박봉우, 2006, 마을숲과 문화,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소, 한국학논집 33, 195-233.
  16. 박재철, 2003, 마을숲의 바람과 온습도 조절 기능에 대한 실증적 연구-하초 비보숲과 고사포 비보숲을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73.
  17. 박재철, 2006, 마을숲의 개념과 사례,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소, 한국학논집 33, 233-263
  18. 박재철, 김병섭, 윤성호, 박선미, 2004, 마을숲 복원에 관한 연구-전북 진안군 동향면 능금리 능길 마을을 사례로, 한국농촌계획학회, 농촌계획 10(3), 27-32.
  19. 성동환, 2005, 풍수 논리 속의 생태개념과 생태기술,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 제50집 기념호, 503-534.
  20. 신상섭, 노재현, 김홍균, 2008, 임실 방동 마을숲의 원형경관 찾기와 식생 복원 설계,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6(3), 78-86.
  21. 오현경, 김용식, 김도균, 2007, 여수시 장수리.평사리 일대의 식물 분포도와 관리실태, 환경복원녹화, 10(1), 44-56.
  22. 유제헌, 1979, 농촌경관의 형태적 연구-경주.이천 지방을 중심으로-, 지리학논총6, 96-115.
  23. 윤순진, 차준희, 2009, 공유지 비극론의 재이해를 토대로 한 마을숲의 지속가능한 관리-강릉 송림리 마을숲 사례에 대한 검토를 중심으로, 농촌사회, 19(2), 125-166.
  24. 윤영활, 김학범, 장동수, 김정태, 1998, 강원도 동해안지역 정주지 구성요소로서 풍숲(風藪)의 경관과 그 효용에 관한 연구, 한국정원학회지, 16(1), 59-81.
  25. 이경락, 2004, 마을 숲의 기능별 분석 및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포항 지역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9.
  26. 이경준, 2006, 한국의 천연기념물-노거수편-, 아카데미서적, 383.
  27. 이영만, 2002, 통계생태학, 전남대학교 출판부, 262.
  28. 이현정, 2004, 마을숲의 환경지리적 분석-공주시 유구읍을 사례로-,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3.
  29. 장동수, 2003, 한국 전통도시숲의 풍수적 의미와 역할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1, 43-50.
  30. 장동수, 이규목, 김학범, 1993, 경상도 지방에 조성된 임수(林藪)의 경향과 특징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11(2), 77-89
  31. 정명철, 2007, 마을숲 기능의 재해석과 활용방안 연구,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1.
  32. 최재웅, 김동엽, 2005a, 하천경관으로서 당산숲.마을숲 경관 생태학적 기능 고찰, 환경정책연구, 4(2), 31-55.
  33. 최재웅, 김동엽, 2005b, 농촌경관 보전.활용을 위한 당산숲.마을숲의 관리실태 연구,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 2005년 추계 학술논문 발표집, 106-111.
  34. 최재웅, 김동엽, 2007, 농촌 문화경관 관련시책과 마을숲.당산숲의 위상 제고를 위한 기초연구, 한국조경학회지, 34(3), 41-58.
  35. 최재웅, 김동엽, 2009, 농어촌마을 당산숲의 입지 및 구조 특성,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7(1), 35-47.
  36. Brower, J.E. and J.H. Zar, 1977 Field and Laboratory Methods for General Ecology, Wm. C. Brown Company, 194pp.
  37. Curtis, J.T. and R.P. McIntosh, 1951 An upland forest continuum in the prairie-forest border region of Wisconsin, Ecology, 32, 476-496. https://doi.org/10.2307/1931725
  38. Pielou, E.C., 1977, Matgematical ecology, John Wiley&Sons, N.Y., 165.
  39. Whittaker, R.H., 1956, Vegetation of the Great Smoky Mountains Ecological Monographs, 26, 1-80. https://doi.org/10.2307/19435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