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seum collections

검색결과 92건 처리시간 0.025초

박물관 도서관의 미래 방향성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국립중앙박물관 도서관을 중심으로 - (A Study on Future Direction and Improvement Plan of Museum Library: Focusing on National Museum of Korea Library)

  • 박옥남;차성종;김신영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5-33
    • /
    • 2018
  • 국립중앙박물관 도서관은 국가 대표 박물관 도서관으로서 박물관 자료의 수집 정리 열람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박물관 도서관의 제한된 예산, 인력, 낮은 인지도를 고려할 때 국립중앙박물관 도서관의 역할은 중요하다. 본 연구는 전문도서관으로서 국립중앙박물관 도서관의 정체성 확립 및 발전방안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국립중앙박물관 도서관 현황조사, 선행연구, 국내외 사례조사, 이용자 면담 및 전문가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로 박물관 도서관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박물관이 수행하는 주요 업무인장서, 서비스, 인력에 대한 전문성 확보를 위한 방안은 물론, 박물관 내에서의 도서관 역할을 증대하고 인지도를 확보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근대 영국의 한국도자 컬렉션의 형성 과정과 그 의미 (The Formation and Significance of Korean Ceramics Collections in Modern Britain)

  • 김윤정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2권4호
    • /
    • pp.104-123
    • /
    • 2019
  • 유럽의 여러 나라에 소장되어 있는 한국도자는 한국미술을 대표하는 장르로서 근대 유럽에서 일찍이 수집과 연구의 대상이 되었다. 유럽 현지에서 자료 조사를 한 결과, 근대 시기에 영국에 소장된 한국도자의 구입 과정이나 경제적 가치 등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가 비교적 많이 남아 있었다. 특히 근대 시기에 영국박물관과 V&A박물관이 한국도자를 소장하는 과정에서 작성된 서류에서는 그간 잘 알려지지 않았던 구입 과정, 가격, 기준, 인식이나 평가 등에 대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근대 영국에서 한국도자에 대한 인식, 소장 의도는 세 단계의 시기별 변화를 거치면서 컬렉션이 형성되었다. 1870년대 후반부터 1880년대 후반까지는 한국도자의 실체를 확인하지 못한 환상 속에 있던 시기였다. 1880년대 후반부터 1910년대까지 영국에 유입된 한국도자는 당시의 생활상을 보여주는 민족지학적 자료로서의 성격이 강하였다. 1910년 이후부터 1940년대까지는 고려청자 중심의 한국도자 컬렉션이 형성된 시기로 파악되었다. 근대 영국에서 한국도자를 구입하는 기준과 과정은 20세기 초 한국을 방문하여 도자를 구입한 세 명의 영국인 사례를 통하여 살펴보았다. 1910년 이후 영국인들은 시베리아 횡단열차나 배를 이용하여 극동아시아를 여행하면서 한국에서 도자를 구입하기 시작하였다. 한국 여행에서 전직 관료, 도굴꾼 등에게 좋고 오래된 고려자기를 비싸지 않은 가격에 구입하거나 출토되는 지역에 직접 가서 구매하는 상황을 확인하였다. 또한 기존에 알려지지 않은 카바노프 상회의 존재를 파악하여 도자를 포함한 다양한 한국 물건들이 서구인들에게 판매·운송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마지막으로 근대 영국에서 한국도자의 경제적 가치가 어느 정도로 인정되었고, 그 가치를 판단하는 기준은 무엇이었는지를 살펴보았다. 당시 영국에서 한국도자는 조형적 우수성에 비해 합리적인 가격, 즉 우수한 품질에 비해 가격이 낮다고 평가되었다. 특히 일본인들이 선호했던 고려청자뿐만 아니라 조선시대 자기의 조형이 새롭고 우수하다는 평가자료는 기존에 알려지지 않았던 내용이다. 근대 영국에서 고려와 조선시대 도자를 아울러서 한국도자의 조형성과 제작 기술을 평가했던 관점은 다양한 종류의 한국도자 컬렉션이 형성되는 데 주요한 배경이 되었다.

Localization of Metadata Elements in the Art Museum Community

  • 남영준;이승민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175-197
    • /
    • 2012
  • The art museums in South Korea are mostly small-scaled institutions with small amount of art works. Thus, internationally accepted metadata standards such as CDWA and VRA Core may not be efficient to manage their collections. Because of these distinct local characteristics, there is a need to create a set of metadata elements that can be used for the art museum community in the country. This research aims to propose a set of metadata elements customized to fit into the context of small-scaled art museums in South Korea. The construction of the element set was not from scratch but on the basis of existing standards such as CDWA, VRA Core, and Dublin Core. By identifying core elements that are indispensable in describing art works and collecting opinions of experts in art museums, the proposed set of metadata elements is expected to support the operation and management of art works and satisfy the localized needs of the art museum community.

박물관자료의 보존을 위한 전시공간 환경계획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nvironment Planning of Exhibition Space for Conservation of Collection in a Museum)

  • 정성욱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7권2호
    • /
    • pp.91-101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design guidelines of exhibition space for conservation of collection in a museum. With the purpose of this study, examined the concept and a condition of conservation which is focused on deterioration in a exhibition space, investigated the actual condition of total 42 facilities and analyzed the specific instance which is excellent by factor of environment plan. Hereup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xhibition space should be equipped with sufficient 'Filtering Space' before the outdoor and located central territory in a museum facility. Second, exhibition space should be partition off an area into the quality of collection, and then controlled by each of them. Third, in consideration of the annual air fluctuation of our country, the database which is adaptable for setting up the standard of temperature and RH must be prepared. Fourth,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Reference Exhibition Room' which is formed cellular type and a 'Garnering Exhibition Center'. Fifth, for the prevention of deterioration which is generated in exhibition space, the showcase must be high air-tight. Sixth, it is necessary to reduce a inside space of high air-tight showcase. Seventh, art-sorb is suitable for control the organic matter of collection and a except of fiber optics is not suitable for lighting of showcase. Eighth, wall-type showcase should be have air-chamber which is formed like museum storage and run over 8 hours a day.

Seismic fragility analysis of sliding artifacts in nonlinear artifact-showcase-museum systems

  • Liu, Pei;Li, Zhi-Hao;Yang, Wei-Guo
    • Structural Engineering and Mechanics
    • /
    • 제78권3호
    • /
    • pp.333-350
    • /
    • 2021
  • Motivated by the demand of seismic protection of museum collections and development of performance-based seismic design guidelines, this paper investigates the seismic fragility of sliding artifacts based on incremental dynamic analysis and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model of the artifact-showcase-museum system considering nonlinear behavior of the structure and contact interfaces. Different intensity measures (IMs) for seismic fragility assessment of sliding artifacts are compared. The fragility curves of the sliding artifacts in both freestanding and restrained showcases placed on different floors of a four-story reinforced concrete frame structure are developed. The seismic sliding fragility of the artifacts within a real-world museum subjected to bi-directional horizontal ground motions is also assessed using the proposed IM and engineering demand parameter. Results show that the peak floor acceleration including only values initiating sliding is an efficient IM. Moreover, the sliding fragility estimate for the artifact in the restrained showcase increases as the floor level goes higher, while it may not be true in the freestanding showcase. Furthermore, the artifact is more prone to sliding failure in the restrained showcase than the freestanding showcase. In addition, the artifact has slightly worse sliding performance subjected to bi-directional motions than major-component motions.

방향(芳香) - 방향의복의 역사, 보존 및 전시 (Fleeting Fragrance - The History, Preservation and Display of Perfumed Costume)

  • Johansen, Katia
    • 한국복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복식학회 2004년도 International Costume Conference in Association with ICOM 2004 SEOUL
    • /
    • pp.37-46
    • /
    • 2004
  • 달아나는 향기: 방향성 의복의 역사와 보관 그리고 전시 향기는 스타일과 마찬가지로 자주 우리가 보존하였더라면 하는 복식역사의 보이지 않는 한 측면이다. 옷에 향수를 뿌리는 것은 타인에게 좋은 인상을 심어주기 위해서거나 또는 가죽을 무두질하거나 염색하는 과정에서 발생되거나 오랜 사용으로 인해 풍겨져 나오는 역한 냄새를 막기 위해서 활용되었다. 레이스 달린 컬러나 실크 스타킹 및 숄뿐만 아니라 비싼 장갑은 전통적으로 향수를 입혔다. 전통적 기법이든 현대적 기법이든 모두 좀벌레를 막는 것에서 더 나아가 옷을 입은 사람을 즐겁게 하고 이성을 유혹하기 위한 향수를 만들기 위해 시도되었다. 때때로 운이 좋으면 박물관 소장품 중에서 비의도적인 2차적 방향처리된 것도 발견할 수 있다. 박물관 소장품의 유한한 냄새의 정체를 어떻게 밝혀내고 이를 보존하여 대중에게 선사하는데 드는 비용은 얼마인가? 이 강의는 덴마크 로열컬렉션에 전시되어 있는 의복에 남아 있는 역사적인 방향성분의 재현 샘플을 다루고 있다.

  • PDF

박물관 웹 사이트의 메뉴구조 및 콘텐츠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of Menu Structure and Contents in Museum Web Sites)

  • 노동조;이기리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5-27
    • /
    • 2019
  • 본 연구는 국내 박물관 웹 사이트의 메뉴구조 및 콘텐츠 분석을 통하여 박물관 웹 사이트 메뉴구조의 발전방향을 제시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국내 27개의 국립·공립·대학 박물관을 대상으로 메뉴구조를 콘텐츠 영역으로 구분, 정리하고 인포메이션 아키텍처의 구성요소인 조직화 시스템, 레이블링 시스템,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적절한 폭과 깊이의 계층구조, 명확하고 일관성 있는 레이블 사용, 소장품 검색 기능 제공 및 소장품 현황 업데이트, 웹 사이트 오류에 대한 즉각 수정, 웹 사이트의 지속적 관리 등을 발전 방안으로 제시하였다.

문화.예술.과학의 관점에서 대학박물관의 특성화를 위한 기초연구 (A study on specializing the University Museum in the Perspective of Culture, Arts, and Science)

  • 최종호
    • 고문화
    • /
    • 68호
    • /
    • pp.25-39
    • /
    • 2006
  • 이 논문은 대학박물관의 정체성과 역할 및 기능을 정의하고, 문화.예술.과학의 관점에서 대학박물관의 특성화를 제시하고자 한다. 대학박물관은 대학공동체와 대학공동체에 이바지하는 중심으로서 교육정보위락을 위하여 인간과 인간의 환경에 관한 유무형의 증거를 수집 보존 연구 교류 전시 교육하는 곳이다. 오늘날 대학박물관의 표적 이용자들은 교수와 학생, 교직원뿐만 아니라 관계되는 전문가, 후원자, 학부모, 학교 어린들과 동네사람들 같은 이웃 사람들이다. 다목적의 대학박물관은 문화.예술.과학의 관점에서 현실 세계 또는 가상현실 세계에서 설립될 수 있다. 현실세계뿐만 아니라 가상현실 세계에서 유비쿼터스 시스템을 기반으로 대학박물관은 어디서나 언제든지 어떤 기자재로든 쉽게 이용할 수 있다. 문화.예술.과학의 관점에서 대학박물관의 특성화를 위해서 대학박물관 관장은 대학공동체의 최고경영자와 함께 대학박물관의 인적, 물적, 조직적, 기술적, 재화적, 공간적, 상징적 구성요소를 평가하여 대학공동체의 경영 철학과 전략을 바탕으로 대학박물관의 특성화를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학박물관의 특성화는 박물관 활동의 독창적인 영역을 유지하고, 경영을 효율적으로 이끌어 갈 수 있는 방향으로 기획되고 추진되어야 한다. 문화.예술.과학 관점에서 대학박물관의 특성화는 대학공동체의 정체성 확립과 대학박물관의 역할 및 기능 수행에도 도움을 줄뿐만 아니라 대학공동체의 학문적 발전과 브랜드 가치 창출 및 홍보에도 크게 도움을 줄 것이다.

  • PDF

중국 스마트(智慧) 박물관에 관한 연구: 둔황 박물관, 고궁 박물관, 중국공예미술대사 박물관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mart(智慧) Museum in China: on the case of Dunhuang Museum, The Palace Museum, China Arts and Crafts Master Museum)

  • 김보경
    • 사물인터넷융복합논문지
    • /
    • 제9권3호
    • /
    • pp.69-74
    • /
    • 2023
  • 온라인 전시관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智慧) 박물관은 문화 예술을 체험 할 수 있는 예술과 미래 기술의 접목으로 4차 산업혁명의 움직임과 그 맥락을 같이 한다고 볼 수 있다. 본고는 중국 스마트 박물관에 대해 둔황박물관, 고궁박물관, 중국 공예미술대사 박물관의 적용 사례를 통해 중국이 4차산업의 기술을 어떻게 수용하고 기술을 적용하여 선도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공통적으로 중국 스마트 박물관은 환경데이터 수집 및 통합 디지털 어플리케이션 설립, VR AR을 통해 컬렉션 보전, 서비스, 관리, 전시에 폭넓게 활용되고 있었다. 본 연구자는 중국 스마트(智慧) 박물관 사례를 통한 온라인 전시는 운영상의 효용성이 뛰어나고 이미지 복제품 아니라 다른 차원에 존재하는 공간으로 파악하였다. 따라서 온라인 전시는 공간을 확장시킬 수 있는 최적의 매체이며, 감상자들은 박물관을 직접 방문하지 않고도 박물관 전시실을 구석구석 거닐며 박물관의 모든 콘텐츠와 소통할 수 있다. 스마트 박물관의 온라인 전시를 통해 관람객과 감상자는 보다 적극적인 문화소비자로 전환될 수 있으며 집단 역량을 키울 수 있다.

국내 국, 공립 뮤지엄 감시체계에 관한 연구 - 공간구조에 의한 간접감시체계를 중심으로 - (A Study on Surveillance System in Korea's National and Public Museum - Focussed on Indirect Surveillance System in Conjunction with Spatial Structure of Museums -)

  • 문정묵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0권2호
    • /
    • pp.176-183
    • /
    • 2011
  • Modern museums that started from 17th century in Europe have played a role of storage for collections of the upper class as a form of private museum. Since 18th century the publicity has been more emphasized in the society of Europe and there became a public museum that serves as a institution for social education. In addition to this, the mass production that began with the Industrial Revolution relieved the working hour of the public and they started to spend their more time for visiting museums to have social education. In korea there constructed a lot of public museums after economic development and people experienced the social education and the cultural events. However, there raised questions on security issue regarding relic because of growing number of visitors to the museums. Due to this, the museums asked a surveillance system for their relic. But the museums don't have enough research on this nor understanding the current situation. Because the relic in museums of history has a money value, the anti-theft system is more focussed. In addition to the direct surveillance system with staff or closed-circuit television(CCTV), the indirected system with visitor's mutual surveillance in conjunction with spatial structure has to be researched.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urveillance system and spatial structure with reference to korea's national and public museum of history. With the results of the research, the study provides a planning guideline to the museum architecture to prevent security probl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