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gwort

검색결과 260건 처리시간 0.022초

쑥 분말을 첨가한 소맥분의 리올로지 특성에 관한 연구 (Rheological Characteristics of Flour Batters in the Presence of Mugwort Powder)

  • 이현자;박상혜;강근옥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231-237
    • /
    • 200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ugwort powder on two types of flour batters, i.e., medium and cake, using the Falling Number test, RVA test, alveogram, and farimogram. The mugwort powder was added at 3% and 5% on the medium and cake flour bases, respectively. The Falling Numbers of the medium and cake flour batters with mugwort powder were increased due to the alteration of the protein in the flour. Analysis of the RVA characteristics showed that the addition of mugwort powder did not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initial pasting temperature. Peak viscosity, holding strength, final viscosity, and set back values of the medium flour batter were not consistent, but those of the cake flour batter were decreas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alveogram showed that the addition of mugwort powder increased the extensibility and the swelling index. Farinogram demonstrated that the addition of mugwort powder decreased the water absorption and improved the stability of the medium and cake flour batters.

  • PDF

쑥 첨가가 빵과 떡의 저장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ugwort on the Extention of Shelf-Life of Bread and Rice Cake)

  • 김순임;김경진;정해옥;한영실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06-113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ntimicrobial effect of mugwort (Artemisia asiatica Nakai) on the rice cake and bread preservation, and to identify their antimicrobial compounds. The mugwort extracts showed complete inhibition on the growth of Bacillus subtilis and Staphylococcus aureus at 250 $\mu\textrm{g}$/ml level. Antimicrobial activi쇼 of mugwort extract were stronger than that of commercial antimicrobial agent. Five % of sodium propionate solution showed complete inhibition on the growth of B. subtilis, E. coli and S. aureus, but L. plantarum was inhibited 50.87% at the same concentration. When various amounts of freeze-dried mugwort powder were added in sulgis (steamed rice cake), 3% ssooksulgi (mugwort powder added sulgi) had quite lower level of total bacterial count (5.5$\times$$10^/5 CFU/g)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1.4$\times$$10^/7 CFU/g) at ambient temp. (30$\pm$1$^{\circ}C$) after 72 hr. Three % addition of mugwort showed 2 days extention of shelf-life of rice cake. The sensory qualities of ssooksulgi h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moistness, consistency, cohesiveness, afterswallowing and overall quality compared with control group. Ssooksulgi with 3% of mugwort powder had the best overall quality in sensory test. The methanol extract of 500 $\mu\textrm{g}$/ml of mugwort could lead the successful retardation of the growth of putrefactive microorganism during the incubation of rice cake at 37$^{\circ}C$ for 24 hr. On the other hand, coumarin (Sigma) had 54% inhibitory effect at 500 $\mu\textrm{g}$/ml level, and (E,E)-2,4-decadienal completely inhibited the growth of putrefactive microorganism of whitesulgi at 100 $\mu\textrm{g}$/ml level during the incubation at 37$^{\circ}C$ for 48 hr.48 hr.

  • PDF

쑥 분말을 첨가한 돼지고기 patty의 저장 안정성 (Storage Stability of Pork Fatty with Mugwort Powder)

  • 정인철;문윤희;강세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98-203
    • /
    • 2004
  • 본 연구는 쑥 분말 첨가와 도체 등급이 돈육 패티의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B 및 I 등급 원료육에 쑥 분말을 첨가한 것과 첨가하지 않은 것 네 종류의 돈육 패티를 제조하였다. 쑥 분말을 첨가한 돈육 패티의 아질산 잔류량은 저장 2주까지 큰 폭으로 감소하였으나, 첨가하지 않은 것은 4주까지 큰 폭으로 감소하여서 쑥 분말의 첨가가 아질산 잔류량에 영향을 미쳤다. 돈육 패티의 L*값은 제조직후가 가장 높았으며, 쑥 분말을 첨가한 것이 낮았고, B등급 패티가 E 등급보다 높았다. 돈육 패티의 a*값은 E 등급육이 B등급육보다 높았으며, 저장 중 변화는 없었고, b*값은 B등급 육으로 제조한 패티가 E 등급육으로 제조한 것보다 높았다. 돈육 패티의 pH는 저장기간이 경과하면서 낮아졌다. VBN, TBARS 및 총균수는 저장기간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쑥 분말의 영향은 없었다.

쑥 추출물의 Tyrosinase 효소활성에 미치는 억제효과 (Inhibitory Effect of Mugwort Extracts on Tyrosinase Activity)

  • 곽정훈;서운교;한영환
    • KSBB Journal
    • /
    • 제16권2호
    • /
    • pp.220-223
    • /
    • 2001
  • Melanin 생합성에 관련된 tyrosinase 저해활성올 생 쑥과 건조 쑥 용매 추출물로부터 검색하였다. 쑥은 ethanol, 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용매 및 열수 추출을 하였고, 생 쑥의 ethanol 추출물의 ethyl acetate 분획과 건조 쑥의 ethan야 추출물의 hexane 분획에서 회수올은 각각 15.2%와 15.5%로 가장 높았다. 각 용매 추출물의 tyrosinase 활성 저해율은 건조 쑥 추출불보다 생 쑥 추출울이 더 높았고, 생 쑥의 ethanol 추출물의 chloroform 분획과 hexane 분획에서 각각 98.9%와 9 96.7%로 큰 저해활성을 가졌다.

  • PDF

쑥 첨가급식이 흰쥐의 혈청 성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eeding Basal Diet Supplemented with Mugwort Powder on the Serum Components in Rat)

  • 이성동;박홍현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446-452
    • /
    • 2000
  • This study was designed to observe the body growth and components of edible mugwort(Artemisia sp.) and medicinal mugwort(Kanghwa medicinal mugwort) . Twenty-four young rats of Sprague Dawley strain, body weight of about 89g were used in this study. They were fed on the basal diet(control diet) supplemented with 5% edible mugwort powder ( EM diet) and 5% medicinal mugwort powder( MM diet) for 4 weeks respectively. In proximate composition of nutrients of mugwort in dry basis(100g). crude protein (16.4g) and crude ash(11.8g) contents of EM were higher to about 2% than that of MM, but crude lipid content(4.3g) of EM was lower to about 2% than that of MM. However, the contents in calcium(6.9g) of MM was higher to 5.3 times than that of EM. but in Mn(17mg), Zn(0.5mg), Fe(131mg), Mg(337mg) of EM were higher to 2.8∼2.3 times and vitamin A(39,776 IU) of EM was higher to 2.9 times than that of MM respectively. Body wight gain rate and diet efficiency ratio of EM and MM diet group were similar to that of the control group. The contents of total protein, albumin, urea nitrogen. creatinine, uric acid, total cholesterol, HDL-C, LDL-C, glucose, amylase, transaminase (GOT, GPT) in serum exhibited no remarkable difference among of the EM and MM diet group but the level of LDH activity of MM diet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and EM diet group.

  • PDF

쑥 분말을 첨가한 양갱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Yanggaeng Incorporated with Mugwort Powder)

  • 최인경;이준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313-317
    • /
    • 2013
  • 쑥 분말의 첨가량을 달리하여 양갱을 제조한 후 이화학적 특성 및 관능적 특성을 알아보았다. $L^*$값과 $b^*$값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p<0.05), 반면 $a^*$값은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양갱의 경도(hardness), 점착성(gumminess), 씹힘성(chewiness) 및 응집성(cohesiveness)은 쑥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p<0.05), 탄력성(springiness)은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p<0.05). 항산화활성을 나타내는 총 폴리페놀 함량과 전자공여능은 쑥 분말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p<0.05), 전자공여능에서 보다 현저한 증가를 보였다. 소비자 검사결과 2% 첨가군이 모든 평가항목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아 양갱의 관능적 품질을 최대한 유지하면서 쑥 분말의 기능적 잇점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한 최적 첨가농도는 2%가 가장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쑥이 쌀가루의 이화학적 성질, 페이스트, 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ugwort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Paste, and Gel of Rice Flour)

  • 정구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626-631
    • /
    • 1993
  • 쑥의 첨가로 물결합능력, 팽윤력, 용해도는 모두 증가 하였으며 이는 쑥의 이런 성질이 쌀가루보다 크기 때문이었다. 쑥의 첨가로 페이스트의 점도는 상승하였으나, 저장중($25^{\circ}C,\;4^{\circ}C$에서 7일)에는 페이스트와 쑥첨가 페이스트의 점도가 모두 뚜렷하게 변하지 않았다. 겔은 쑥첨가로 더 단단해졌으며 저장중 경도는 쌀가루 겔과 쑥첨가겔이 모두 크게 증가하였고 특히 $4^{\circ}C$ 저장의 경우 심하였다. Glucoamylase에 의한 가수분해 방법으로 측정한 페이스트와 겔의 저장중의 호화도는 제조직 후의 $94{\sim}100%$에서 7일 저장 후 $92{\sim}98%$로 감소하였다. 쌀가루 겔의 냉동-해동시 안정성은 쑥에 의해 영향을 별로 받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혼합물 실험계획법에 의한 쑥 첨가 찜 케이크의 최적화 (Optimization of Ingredient Mixing Ratio for Preparation of Steamed Cake with Mugwort (Pseudosasa japonica Makino) Powder)

  • 오석태;박정은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67-76
    • /
    • 2012
  • This study examined the optimal ingredient mixing ratio for the preparation of steamed cake containing mugwort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powder. After preliminary studies, the following ingredient ranges were determined; 110~129% sugar, 3~8% mugwort powder, 10~25% oil. Among the different mixture designs, the D-optimal design was chosen for analysis. The results of F-test, specific gravity, viscosity, volume and color values (L, a, b), hardness decided a linear model, while the sensory characteristics (color, taste, texture and overall acceptance) decided a quadratic model. The fitness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in all characteristic, the probabilities were significant within 0.05%; thus, the models were accepted as appropriate. The response surface and trace plot results showed that increasing amounts of mugwort powder decreased the brightness, and increased redness and yellowness. As the level of added oil increased, the softness of the cake increased. Cake samples received low sensory evaluation scores when sugar, mugwort powder, and oil were added above their optimal levels. The optimum formulations by the numerical and graphical methods, were similar, and with the numerical method presented as: sugar, mugwort powder, and oil at 120.7%, 5.1%, and 16.2%, respectively(flour weight basis). The above results demonstrate the feasibility of adding mugwort powder to sponge cake, and therefore, the commercialization of mugwort powder cake marketed as a functional food is deemed possible.

쑥 분말 첨가가 등급이 다른 돼지고기로 제조한 소시지의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arcass Grade and Addition of Mugwort Powder on the Storage Stability of Pork Sausage)

  • 정인철;강세주;김미숙;양종범;문윤희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285-291
    • /
    • 2003
  • 도체등급과 쑥 분말의 첨가가 소시지의 저장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를 위하여 B 등급육과 E 등급육(경산 모돈육)에 쑥 분말을 0.3% 첨가한 것과 첨가하지 않은 소시지를 제조하고, 4$\pm$1$^{\circ}C$에서 8주 동안 저장하면서 pH, 휘발성 염기태질소(VBN) 함량, TBARS 값, 일반세균수 및 아질산염 잔류량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소시지의 pH는 B 등급육으로 제조한 소시지가 낮고, 냉장 중 쑥 분말을 첨가한 소시지가 현저한 차이는 아니었지만 비교적 낮았다. VBN 함량은 원료육과 쑥 분말 첨가에 의한 현저한 차이가 없었다. TBARS 값은 원료육의 등급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냉장 중 쑥 분말을 첨가한 소시지가 낮게 나타났다. 일반 세균수는 원료육의 등급에 의한 현저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냉장 중 쑥 분말을 첨가한 소시지가 적게 나타났다. 아질산염 잔류량은 원료육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냉장 중 쑥 분말 첨가에 의해 감소되었다.

쑥을 첨가한 두텁떡의 저장성과 품질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orage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Duteoptteok Added with Mugwort)

  • 정숙희;안형기;이경임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220-232
    • /
    • 2012
  • 본 연구는 두텁떡에 쑥을 첨가하여 저장성과 품질 특성을 평가한 것이다. 쑥 첨가량이 10, 20 및 30%로 증가될수록 두텁떡의 수분 함량과 조섬유 함량은 상당히 증가되었으며 조단백질과 조회분은 감소되었다. 색도는 쑥 첨가비율에 따라 L, a, b값이 감소되었다. 또한 저장기간의 증가에 따라 L값은 감소되었으며, a값과 b값은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Texture 특성은 쑥 첨가 비율이 증가됨에 따라 경도, 탄력성, 응집성, 검성, 씹힘성은 감소되었으나 부착성은 증가되었다. 또한 저장기간의 증가에 따라 경도, 부착성, 검성, 씹힘성은 증가되었지만, 탄력성과 응집성은 감소되었다. 호화도는 쑥 첨가비율이 늘어날수록 증가되었고, 노화도는 쑥 첨가비율의 증가에 따라 감소되었다. 쑥을 첨가한 두텁떡의 생균수, 효모와 곰팡이의 수는 쑥의 첨가비율이 증가됨에 따라 감소되었으며, 저장기간이 늘어남에 따라 증가되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두텁떡에 쑥을 첨가함으로써 품질이 개선되었고 저장기간이 증가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