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t DNA haplotype

검색결과 83건 처리시간 0.024초

황해산 대하(Penaeus chinensis)의 계군분석을 위한 미토콘드리아 DNA 분석 (Mitochondrial DNA Analysis of the Fleshy Prawn (Penaeus chinensis) for Stock Discrimination in the Yellow Sea)

  • 황규린;이영철;장정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88-94
    • /
    • 1997
  • 황해 서식 대하(P. chinenesis) 각 개체군의 유전 구조를 파악하기 위하여 미토콘드리아 DNA(mtDNA)를 추출한 후 BamHI등 15종의 제한효소를 이용한 제한효소 절편 다형 현상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er-phisms; RFLPs)을 분석하였으며 보리새우 (P. japonicus)와의 염기 치환 정도를 비교하기 위하여 일본 나가사키 1 집단의 절편 양상도 함께 분석하였다. 한국의 대천, 진도, 나로도 집단과 중국의 발해, 청도 집단 등 5개 집단을 분석한 결과, 대하에서는 3종의 haplotype이 발견되었으나 5개 집단 모두가 하나의 haplotype에 의해 지배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타난 변이는 2종류로 Cla I과 Pvu II 인식부위가 부가된 변이가 청도와 나로도 집단에서 출현하였을 뿐 전 집단에 대한 나머지 13종의 제한 효소 절편 양상은 모두 동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에서 보면 황해산 대하의 각 집단 사이에는 활발한 유전자 교류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3개 계군에 대한 지금까지의 구분은 재검토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대하와 보리새우의 mtDNA 공통절편을 이용한 p 값에 의한 염기치환은 $13.7\%$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제한 효소별 절편의 크기를 비교한 결과 대하의 mtDNA의 크기는 평균 16.44kb였고 보리새우는 약 16.31kb였다.

  • PDF

미토콘드리아 Cytochrome b 유전자의 염기서열 분석을 이용한 한국산 총알고둥(복족강, 총앙고둥과)의 지리적 변이 및 오염.비오염지역간의 유전적 다양성 (Geographic Variation and Genetic Diversity between Polluted and Unpolluted Sites of Korean Littorina brevicula(Gastropoda, Littorinidae) Based on the Mitochondrial Cytochrome b Gene Sequence)

  • Suh, Jae-Hwa;Kim, Sook-Jung;Song, Jun-Im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8권1호
    • /
    • pp.75-84
    • /
    • 2002
  • 한국산 총알고둥(Littorina brevicula)의 지리적 변이를 조사하기 위하여 동해안, 남해안, 서해안에서 총 11개 집단 106개체를 대상으로 미토콘드리아 DNA cytochrome b 유전자의 염기서열을 분석하였으며, 분석 결과 총 500 bp의 염기서열을 검출하였다 검출된 염기서열을 대상으로 염기치환 유무 및 치환 장소를 비교한 결과 13종류의 haplotype으로 구분되었으며, 그 중 LbA가 주 haplotype으로 나타났다. LbA의 평균 출현빈도는 0.877이었으며, 동해안은 0.82, 남해안 0.70, 서해안 1.00으로 각각 나타나 동해안 집단이 타 집단에 비해 haplotype의 다양성이 더 높았다. 특히 오염지역과 비오염지 역간의 비교에서는 8종류의 haplotype이 구분되었으며, 역시 LbA가 주 haplotype으로 나타났다.

Genetic Variability of mtDNA D-loop Region in Korean Native Chickens

  • Hoque, Md. Rashedul;Jung, Kie-Chul;Park, Byung-Kwon;Choi, Kang-Duk;Lee, Jun-Heon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323-328
    • /
    • 2009
  • 닭의 품종 기원을 결정하거나 유전적 변이의 정도를 확인 하는데 미토콘드리아 DNA D-loop 염기서열을 이용하여 오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재래계 갈색종과 흑색종, 로드아일랜드레드종, 코니쉬종의 4품종 41개체의 염기서열을 분석함으로 품종간의 유전적 연관관계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총 10개의 haplotype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haplotype 1과 2는 가장 많은 수인 8개체씩이 포함되었다. 계통도 분석을 통해 한국재래계 흑색종과 갈색종은 haplotype 2를 모두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 haplotype은 적색야계와 유전적으로 가깝게 위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D-loop 염기서열 변이가 품종 판별 마커로 이용 가능성이 있는지 확인하였다. 그 결과 여러 단일염기다형 마커의 조합으로 품종의 구분이 가능할 것으로 추정되며, 앞으로 더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 연구의 결과는 한국재래계의 보존 및 육종계획 수립과 더불어 품종판별 마커의 개발의 기초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생각된다.

mtDNA Diversity and Phylogenetic State of Korean Cattle Breed, Chikso

  • Kim, Jae-Hwan;Byun, Mi Jeong;Kim, Myung-Jick;Suh, Sang Won;Ko, Yeoung-Gyu;Lee, Chang Woo;Jung, Kyoung-Sub;Kim, Eun Sung;Yu, Dae Jung;Kim, Woo Hyun;Choi, Seong-Bo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6권2호
    • /
    • pp.163-170
    • /
    • 2013
  • In order to analyze the genetic diversity and phylogenetic status of the Korean Chikso breed, we determined sequences of mtDNA cytochrome b (cyt b) gene and performed phylogenetic analysis using 239 individuals from 5 Chikso populations. Five non-synonymous mutations of a total of 15 polymorphic sites were identified among 239 cyt b coding sequences. Thirteen haplotypes were defined, and haplotype diversity was 0.4709 ranging from 0.2577 to 0.6114. Thirty-five haplotypes (C1-C35) were classified among 9 Asia and 3 European breeds. C2 was a major haplotype that contained 206 sequences (64.6%) from all breeds used. C3-C13 haplotypes were Chikso-specific haplotypes. C1 and C2 haplotypes contained 80.5% of cyt b sequences of Hanwoo, Yanbian, Zaosheng and JB breeds. In phylogenetic analyses, the Chikso breed was contained into B. taurus lineage and was genetically more closely related to two Chinese breeds than to Korean brown cattle, Hanwoo. These results suggest that Chikso and Hanwoo have a genetic difference based on the mtDNA cyt b gene as well as their coat color, sufficient for classification as a separate breed.

Variation in trn-L/trn-V and trn-F/trn-T spacer regions of cpDNA in Abies koreana Wilson and A. nephrolepis Traut./Maxim

  • Kormutak, A.;Hong, Y.-P.;Kwon, H.-Y.;Kim, C.-S.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6권2호
    • /
    • pp.131-137
    • /
    • 2007
  • The first evidence has been provided about the variation within trnL-trnV and trnF-trnT spacer regions of cpDNAs in Korean fir and Manchurian fir, revealed by PCR-RFLP analysis. Four cpDNA haplotypes have accordingly been recognized by being analyzed using the trnL-trnV/Tru11 primer-enzyme combination and 3 haplotypes using the trnF-trnT/TagI combination, which exhibited inter and intraspecific variation. A total of 6 cpDNA haplotypes were recognized by pooling the PCR-RFLP variants observed in both combinations. Haplotypes 2 and 3 were common for both species investigated, whereas haplotypes 1, 4, and 5 were detected only in Korean fir and haplotype 6 was detected only in Manchurian fir. Although haplotypes 2 and 3 were common in both species, haplotype 2 was major haplotype for Korean fir and haplotype 3 was one of the 2 major haplotypes for Manchurian fir. Restricted occurrence of haplotype 4 in Mt. Halla and haplotype 5 in Mt. Jiri of the Korean fir may represent the existence of geographic isolation by the sea between them. Diagnostic potential of individual haplotypes in discriminating between the two species as well as between their populations is discussed.

늦반딧불이 Pyrocoelis rufa(딱정벌레목: 반딧불이과)의 미토콘드리아 DNA 염기서열 변이 (Mitochondrial DNA Swquence Variation of the Firefly, Pyrocoelia rufa(Coleoptera: Lampyridae), in Korea)

  • 이상철;김익수;배진식;진병래;김삼은;김종길;윤형주;양성렬;임수호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181-191
    • /
    • 2000
  • 국내 늦반딧불이(Pyrocoelia rufa)이 미토콘드리아 DNA중 COI 유전자 일부(403 bp)의 염기서열을 결정, 집단내 유전적 다양도, 지역적 변이, 계통유전적 관련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남해, 부산, 무주, 용인 등 우리나라 4개 지역으로부터 채집된 총 26개체로부터 7개의 mtDNA haplotype을 얻었으며 이들의 변이는 0.2~1.2%이었다. 도심인 부산에서 채집한 늦반딧불이는 다른 산림 및 농업의 채집지역과 달리 하나의 haplotype으로 고정되어 있어 도시화에 따른 집단의 병목현상과 서식처 파편화가 심각했음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우리나라 최대의 반딧불이 서식처이자 보호지역으로 지정된 무주로부터 4개의 haplotype을 얻었으며 이들의 최대염기 치환율은 1.0%로 가장 높은 집단내 유전적 다양도를 나타내었다. 근해의 섬인 남해의 늦반딧불이는 상대적으로 낮은 haplotype 다양도(H=0.25)와 계통유전적으로 이질적인 haplotype(PR7)의 존재로 요약되었는데 이는 비교적 가까운 과거의 한반도 생물지리 역사 및 유전자 이동에 의해 나타난 현상으로 설명하였다. 계층적 유전분석 결과 무주-용인과 부산-남해 그룹의 형성은 역사적으로 두 그룹사이에 유전자 이동에 반한 장벽의 존재 가능성을 제시한다고 설명하였다.

  • PDF

한국 주변해역에 서식하는 살오징어(Todarodes pacificus)의 형태 및 유전학적 계군분석 (Morphological and Genetic Stock Identification of Todarodes pacificus in Korean Waters)

  • 김정연;윤문근;문창호;강창근;최광호;이충일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8권3호
    • /
    • pp.131-141
    • /
    • 2013
  • 본 연구는 2011년 9월에서 12월까지 동해(북부, 중부, 남부), 서해, 동중국해의 해구에서 각각 채집된 살오징어의 계군을 형태 및 유전학 차이를 이용하여 구분하였다. 형태학적 차이에 따른 계군분석은 평균성숙외투장(20-22 cm)을 기준으로 하여 발생시기를 구분하였고, 유전학적 특성에 따른 계군은 mtDNA COI 영역의 염기변이에 의한 유전자 다양성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 평균성숙외투장을 기준으로 동해 북부는 발생시기가 하계군, 나머지 집단(동해 중부, 동해 남부, 동중국해 북부, 서해 북부)은 추계군으로 크게 2개의 계군으로 추정되었다. 유전자 분석결과 살오징어 mtDNA COI 영역에서 총 49개의 haplotype을 확인하였다. TCS 분석결과 haplotype 유전자형 네트워크가 star-like형태이며, 모든 집단에서 유전적 다양성(haplotype diversity, h)이 높고(h=0.661~0.841), 반면에 염기 다양도(nucleotide diversity, ${\pi}$)가 낮게 나타난 점으로 미루어보아 국내 서식 살오징어의 경우 최근에 급속한 집단의 분화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Pairwise Fst를 이용한 집단분석결과 비록 모든 집단간의 유전적 차이가 낮게 나타났지만(Fst = 0.001~0.043) 평균성숙외투장 기준으로 같은 추계군으로 분류된 집단(동해 중부, 동해남부, 서해 북부)간에는 유전적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P<0.05).

한국과 북동 중국에 서식하는 등줄쥐 2아종, Apodemus agrarius coreae Thomas and A. agirarius manchuricus Thomas (포유강, 설치목)의 미토콘드리아 DNA cytochrome b 유전자의 다양성 (Diversity of Mitochondrial DNA cytochrome b Gene in Two Subspecies of Striped Field Mouse, Apodemus asrarius coreae Thomas and A. asrarius manchuricus Thomas (Mammalia, Rodentia) from Korea and Northeast China)

  • Koh, Hung-Sun;Jinxing Wang;Lee, Bae-Kun;Heo, Seon-Wook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7권1호
    • /
    • pp.49-57
    • /
    • 2001
  • 중국과 북동 중국에 서식하는 등줄쥐 2아종 (Apodemus agrarius coreae와 A. agrarius manchuricus)의 아종 내의 유전자 다양성의 정도를 파악하고 2아종간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미토콘드리아 DNA cytochrome b 유전자의 부분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열 여덟마리의 A. agrarius coreae로부터 10 haplotype이, 그리고 2마리의 A. agrarius manchuricus로부터 1 haplotype이 밝혀졌다. 아종 coreae의 10 haplotype간의 Tamura-Nei nucleotide 거리는 0.36에서 1.86%였고, 2아종 coreae와 manchuricus간의 nucleotide 거리는 0.37에서 1.47%였다. 아종 coreae내 최대 genetic divergene 거리는 2아종간의 최대거리보다 크게 나타났다. 또한 2아종의 11 haplotype을 비교했을 때에, 뚜렷하게 아군으로 나뉘어지지 않았다. 본 염기서열의 분석 결과는 지금까지의 형태적 연구의 결과와 일치하지 않았으며, cytochrome b 유전자는 A. agrarius의 2아종을 구분하기에 좋은 유전자 marker가 아닌 것으로 판단됐다. 앞으로, A. agrarius의 2아종간의 유전적 관계를 밝히기 위해 미토콘드리아 DNA control region의 분석이 필요하다고 본다.

  • PDF

한국, 중국, 러시아에 서식하는 등줄쥐, Apodemus agrarius(포유강, 설치목), 6아종의 미토콘도리아 DNA 절단단편의 변이 (Variation Pattern of mtDNA among Six Subspecies of Apodemus agrarius(Mammalia, Rodentia) in Korea, China, and Russia)

  • 고흥선;안용철;유정원;이우재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5권2호
    • /
    • pp.153-164
    • /
    • 1999
  • 한국, 중국, 러시아에 서식하는 등줄쥐 Apodemus agrarius 6아종 111마리를 이용하여, 미토콘드리아 DNA를 8개의 제한효소로 절단한 단편들을 blot hybridization법으로 분석하였다. 모두 32개의 단편들이 보여졌고, 9개의 haplotype이 밝혀졌으며, 평균 발산값이 0.896에서 1.150%인 4아군이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세 형을 인정할 수가 있었다: [I. 아종 chejuensis (제주도, 한국)], [ll, 아종 pallescens(남서 한국), coreae(중앙 한국), 및 septentrionalis(러시아)], and [lll, 아종 manchuricus(북동 중국)와 pallidior(북부 중국)]. 그러나 아종 coreae의 일부 표본들은 다른 6아종의 표본들과 다소 차이를 보였고, 아종 pallidior의 일부 표본들은 아종 septentrionalis의 모든 표본들과 같아서 동일한 haplotype을 형성하였다. 아종 a. agrarius chejuensis는 독특한 아종중의 하나이고, 아종 corea(pallescens포함)도 독특한 아종중의 하나이며, 아종 manch-uricus와 pallidior는 아종 ningpoensis의 동아종이명이고, 아종 septentrionalis도 아종 agrarius의 동아종이명임이 재확인되었다. 뿐만 아니라, 등줄쥐는 염색체 핵형이 일정하며, 미토콘드리아 DNA 유전형에 약간의 변이를 보이고, 형태형질의 상당한 발산을 보이고 있지만, 이들 분류형질의 변이 정도의 파악과 아종분류의 재검토를 위하여 유라시아산 등줄주의 보다 많은 표본을 이용한 분석이 앞으로 필요하다.

  • PDF

Maternal Origin of Turkish and Iranian Native Chickens Inferred from Mitochondrial DNA D-loop Sequences

  • Meydan, Hasan;Jang, Cafer Pish;Yildiz, Mehmet Ali;Weigend, Steffe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9권11호
    • /
    • pp.1547-1554
    • /
    • 2016
  • To assess genetic diversity and maternal origin of Turkish and Iranian native chicken breeds, we analyzed the mtDNA D-loop sequences of 222 chickens from 2 Turkish (Denizli and Gerze) and 7 Iranian (White Marandi, Black Marandi, Naked Neck, Common Breed, Lari, West Azarbaijan, and New Hampshire) native chicken breeds, together with the available reference sequences of G. gallus gallus in GenBank. The haplotype diversity was estimated as $0.24{\pm}0.01$ and $0.36{\pm}0.02$ for Turkish and Iranian populations, respectively. In total, 19 haplotypes were observed from 24 polymorphic sites in Turkish and Iranian native chicken populations. Two different clades or haplogroups (A and E) were found in Turkish and Iranian chickens. Clade A haplotypes were found only in White Marandi, Common Breed and New Hampshire populations. Clade E haplotypes, which are quite common, were observed in Turkish and Iranian populations with 18 different haplotypes, of which Turkish and Iranian chickens, Clade E, haplotype 1 (TRIRE1) was a major haplotype with the frequency of 81.5% (181/222) across all breeds. Compared to red jungle fowl, Turkish and Iranian chicken breeds are closely related to each oth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Turkish and Iranian chickens originated from the same region, the Indian subcontinent. Our results will provide reliable basic information for mtDNA haplotypes of Turkish and Iranian chickens and for studying the origin of domestic chicke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