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del-eliciting

검색결과 47건 처리시간 0.023초

Model Eliciting Activity(MEA)를 통한 초등 과학영재들의 문제해결 특성 분석 (An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cience Gifted Students' Problem Solving through Model Eliciting Activity(MEA))

  • 윤진아;한금주;남윤경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64-81
    • /
    • 2019
  • 본 연구는 MEA(Model Eliciting Activity)활동에서 나타나는 초등과학영재들의 문제해결 과정에서 나타나는 사고특성을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광역시 소재 P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 입학 선발과정에서 1차 창의적 문제해결력 검사를 통과한 40명의 초등과학영재를 대상으로 MEA활동을 실시하고 활동지를 분석하였다. 수행된 MEA활동은 'Coffee cup challenge'로 컵 도면을 활용하며 주어진 크기의 종이에 컵 옆면과 바닥을 가장 많이 배치하는 최적의 방법을 고안하는 활동으로 구성되어있다. 학생들이 문제해결과정에서 그린 3가지의 그림과 그 그림에 대한 설명이 주요 데이터로 수집되었으며, 통계적(상관분석)과 질적 분석을 통해 1)직관적 사고와 시각적 표현 그리고 2) 분석적 사고와 의사소통능력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 1) 직관적 통찰은 시각적 표현능력과 전체 문제해결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분석적 사고와 정교화 과정이 의사소통능력에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MEA활동이 스스로 아이디어를 구성하고, 다양한 해결방법을 찾아갈 수 있는 학습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초등과학영재들에게 반성과 사고를 촉진하고 학문적 연결과 의사소통능력을 길러주는 유용한 활동임을 고찰하였다.

모바일 기기 구매 의사결정에 관한 멘탈 모델의 추출 (Eliciting Mental Models for Mobile Device Purchase Decision Making)

  • 황신웅;윤용식;손영우
    • 감성과학
    • /
    • 제10권1호
    • /
    • pp.23-36
    • /
    • 2007
  • 본 연구는 소비자가 모바일 기기를 구매함에 있어서 어떤 멘탈 모델을 가지고 있는지를 파악하는데 중점을 두고 멘탈 모델의 추출과 분석을 시도하였다. 본 연구는 모바일 기기 구매 의사결정 과정에서 IT 친숙도에 따라 서로 다른 멘탈 모델을 가지고 있을 것이라는 가설을 가지고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누어 연구를 진행하여 인지 과제 분석 방법의 하나인 Critical Decision Method를 이용하여 멘탈 모델을 이루는 27가지 구성요소들을 추출하였고, 이렇게 추출된 구성요소들을 바탕으로 IT 친숙도에 따라 소비자의 멘탈 모델을 두 그룹으로 구분하여 Pathfinder 알고리즘과Social Network Analysis를 이용하여 각각의 멘탈 모델을 분석하고 있다. 분석결과 IT 친숙도가 높은 그룹은 멘탈 모델을 구성하는 요소들이 각각의 독자적 특성에 따라 구매 의사결정 과정에서 비교적 조직적이고 분명하게 구분된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IT 친숙도가 낮은 그룹은 멘탈 모델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나 역할이 불분명하고 혼재된 경향을 보였으며 구매 의사결정 과정에서 외부 의견이나 사회적 통념을 중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발명기법(TRIZ)을 적용한 MEA(Model-Eliciting Activities)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학생들의 개념 변화를 중심으로-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MEA(Model-Eliciting Activities) Program Applying the Invention Technique(TRIZ): Focus on Students' Conceptual Change)

  • 강은주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161-176
    • /
    • 2022
  • 본 연구는 발명기법을 적용한 MEA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하여 학생들의 개념 변화를 분석하였다. 발명기법(TRIZ)을 적용한 MEA 활동은 6학년 교과서에 제시된 '전기의 이용' 단원의 종이 전기회로 만들기 주제를 대상으로 구성하였다. 문제 해결을 위한 아이디어 구체화의 방안으로 TRIZ 기법 중 분할, 통합, 다용도, 포개기, 빼기, 반대로 기법을 추출하여 적용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발명기법 알아보기(1차시), 문제 상황 확인 및 문제 해결하기(2, 3차시), 문제 해결 과정 표현하기(4차시)로 구성되어 있다. 초등학교 6학생 학생을 대상으로 적용한 결과, 일반수업에 참여한 비교집단에 비해 발명기법을 적용한 MEA 수업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과학적 개념이 향상되었음을 확인하였다. 과학적 개념의 향상지수를 산출한 결과, 비교집단은 0.15의 낮은 교육 효과, 실험집단은 0.69의 중간 교육 효과를 보였다. 본 연구는 과학 교과에서 발명교육을 접목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장수명 공동주택 표준모델 개발을 위한 계획요소 도출 연구 (A Study on the Elicitation of Design Elements for Development on Standard Model of Long-life Housing)

  • 박준영;정소이;정상규;박우장
    • KIEAE Journal
    • /
    • 제11권4호
    • /
    • pp.11-18
    • /
    • 2011
  • In order to solve housing shortage, an apartment has been built and supplied in large quantities in Korea. As such a result, the apartment became a typical housing type in Korea. However, the housing became vulnerable to accommodate rapidly changing life-style & life-cycle of koreans and was lost the concept of Korean traditional housing for inheriting and developing Korean traditional culture. Therefore, this paper aims at eliciting of design elements for development on standard model of long-life housing with durability & flexibility based on data derived from housing consumers's questionnaire survey and expert's opinion surveys. We expect that the standard model developed on the basis of open building applying support & infill elements will be used as a standard model for planning future long-life housing with capacity.

상황모델에 기반한 학생들의 고유치와 고유벡터 개념발달 (Students' conceptual development of eigenvalue and eigenvector based on the situation model)

  • 신경희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1권1호
    • /
    • pp.77-88
    • /
    • 2012
  • This qualitative research provides a situation model, which is designed for promoting learning of eigenvalue and eigenvector. This study also demonstrates the usefulness of the model through a small groups discussion. Particularly, participants of the discussion were asked to decide the numbers of milk cows in order to make constant amounts of cheese production. Through such discussions, subjects understood the notion of eigenvalue and eigenvector. This study has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of all, the present research finds significance of situation model. A situation model is useful to promote learning of mathematical notions. Subjects learn the notion of eigenvalue and eigenvector through the situation model without difficulty. In addition, this research demonstrates potentials of small groups discussion. Learners participate in discussion more actively under small group debates. Such active interaction is necessary for situation model. Moreover, this study emphasizes the role of teachers by showing that patience and encouragement of teachers promote students' feeling of achievement. The role of teachers are also important in conveying a meaning of eigenvalue and eigenvector. Therefore, this study concludes that experience of learning the notion of eigenvalue and eigenvector thorough situation model is important for teachers in future.

Specialized Product-Line Development Methodology for Developing the Embedded System

  • Hong Ki-Sam;Yoon Hee-By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Fuzzy Logic and Intelligent Systems
    • /
    • 제5권3호
    • /
    • pp.268-273
    • /
    • 2005
  • We propose the specialized product-line development methodology for developing the embedded system of an MSDFS (Multi Sensor Data Fusion System : called MSDFS). The product-line methodology provides a simultaneous design between software and hardware, high level reusability. However this is insufficient in requirement analysis stage due to be focused on software architecture, detailed design and code. Thus we apply the business model based on IDEF0 technique to traditional methodology. In this paper, we describe the processes of developing Core-Asset, which are requirement analysis, feature modeling, validation. The proposed model gives the efficient result for eliciting features, and ensures the high level reusability of modules performing on embedded system.

대학생의 창업역량 개발을 위한 교육요구 분석 (Analyzing Education Needs for the Development of Entrepreneurship of University Student)

  • 이지안;안영식
    • 벤처창업연구
    • /
    • 제14권2호
    • /
    • pp.73-82
    • /
    • 2019
  • 창업교육의 중요성이 높아짐에 따라 대학에서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창업과 관련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창업 아이디어를 실현할 수 있는 역량 중심의 창업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는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이 창업역량을 개발하는데 중요하게 생각하는 역량과 실제 수행하는 현재수준의 차이를 분석하여 대학에서의 창업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운영 지원에 있어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창업역량을 창업의지확인단계, 창업모델구상단계, 벤처창업계획단계로 구분하여 7개 역량군에 대한 핵심역량 15개 항목의 중요도와 실행도의 차이를 t검정을 통해 분석하였다. 대학생의 창업역량 개발을 위한 교육요구 우선순위는 Borich 요구도 분석과 The Locus for Focus Model을 활용하였다. 그 결과 대학생의 창업역량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의 차이는 15개 항목에서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Borich 요구도 분석과 The Locus for Focus Model 분석에서 공통적으로 해당하는 최우선 순위는 6개 항목이었고, 차 순위는 2개 항목으로 나타났다. 최우선 순위의 역량과 차 순위의 역량을 종합하면 자기분석력, 창업아이디어 도출능력, 아이디어 타당성 분석력, 사업계획 프레젠테이션 능력으로 4개의 역량군으로 구분된다. 각 역량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창업아이디어도출능력과 아이디어타당성분석력이 교육의 핵심이 되어야 할 것이며, 자기분석능력은 창업하고자 하는 의지를 확고히 하고, 사업계획프레젠테이션능력은 사업 아이디어가 꿈과 이상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현실에서 필요하고 투자자를 설득할 수 있는 능력으로 배양되어야 한다.

Assessing Students' Molecular-Level Representations of Solution Chemistry

  • Lee, Soo-Young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7권8호
    • /
    • pp.677-692
    • /
    • 2007
  • In this study, university students were provided with repeated opportunities to represent their ideas graphically, and to examined via their drawings the extent to which they could visualize macroscopic phenomena microscopically. These drawings provided insight into the students' basic understanding of solution chemistry, revealing three conceptual models: the Undifferentiated Symbolic Model, the Particulate Model, and the Symbolic Ionic Model. Generally speaking, students who had poor conceptual understanding tended to exhibit the Undifferentiated Symbolic Model, whereas students with deeper understanding tended to employ the Symbolic Ionic Model. Students' conceptual comprehension was predictable from their graphical representations, which better elucidated what they actually comprehended about the phenomena, as opposed to their ambiguous verbal descriptions alone.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d a lack of development in university students' conceptions of solutions. Their weakness in understanding at the molecular-level became more obvious when they were asked to represent their ideas in drawings. Few students exhibited expert knowledge, and several common misconceptions were found, which indicated typical difficulties students have perceiving common phenomena at the molecular level. The findings of this study illustrate how eliciting graphical representations can be used to assess students' conceptual understandings.

Kano 모델과 통계 기법을 이용한 요구사항 분류 및 협상을 위한 정보 생성 기법 (A Technique for Classifying Requirement/Stakeholder and Generating Information for Negotiation Using Kano Model and Statistical Method)

  • 변정원;김지혁;류성열;황만수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7권3호
    • /
    • pp.161-169
    • /
    • 2010
  • 요구사항 추출 활동은 다양한 이해당사자의 요구를 요구사항으로 추출하고 협상을 위한 정보를 생성하는 사전 준비 작업이다. 그러나 현재 고객으로부터 요구사항 수집을 위한 기법은 다수 존재하고 있으나, 요구사항 분류와 협상을 위한 정보 제공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요구사항을 분류하고, 협상을 위한 정보를 식별하는 기법에 대한 연구이다. 본 연구는 요구사항 분류를 위해 Kano 모델과 통계 기법을 활용하였으며, 협상을 위한 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요구사항과 문제의 관계를 고려하였다. 제안한 기법에 대한 시뮬레이션, Rough Set Theory, 사례 검증을 수행하여 제안한 방법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In silico analysis of candidate genes involved in light sensing and signal transduction pathways in soybean

  • Quecini, V.;Zucchi, M.I.;Pinheiro, J.B.;Vello, N.A.
    • Plant Biotechnology Reports
    • /
    • 제2권1호
    • /
    • pp.59-73
    • /
    • 2008
  • Several aspects of photoperception and light signal transduction have been elucidated by studies with model plants. However, the information available for economically important crops, such as Fabaceae species, is scarce. In order to incorporate the existing genomic tools into a strategy to advance soybean research, we have investigated publicly available expressed sequence tag (EST) sequence databases in order to identify Glycine max sequences related to genes involved in light-regulated developmental control in model plants. Approximately 38,000 sequences from open-access databases were investigated, and all bona fide and putative photoreceptor gene families were found in soybean sequence databases. We have identified G. max orthologs for several families of transcriptional regulators and cytoplasmic proteins mediating photoreceptor-induced responses, although some important Arabidopsis phytochrome-signaling components are absent. Moreover, soybean and Arabidopsis genefamily homologs appear to have undergone a distinct expansion process in some cases. We propose a working model of light perception, signal transduction and response-eliciting in G. max, based on the identified key components from Arabidopsis. These results demonstrate the power of comparative genomics between model systems and crop species to elucidate several aspects of plant physiology and metabolis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