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minimal operation

Search Result 340,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미숙아 동맥관 개존증의 외과적 교정에 관한 임상적 고찰 (Clinical Considerations of the Surgical Closure of the PDA in the Premature Infants)

  • 김상익;박철현;현성열;김정철;권진형;박국양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2권8호
    • /
    • pp.702-708
    • /
    • 1999
  • 배경: 미숙아 동맥관 개존증의 약물적 치료로 Indomethacin을 사용하는데 이때 발생하는 합병증, 부적응증, 또는 동맥관이 다시 열릴 경우 외과적으로 교정함으로써 수술에 따른 위험성 및 합병증이 적고 지속적인 동 맥관 폐쇄가 가능하다. 대상 및 방법: 1996년 4월부터 1998년 8월까지 동맥관 개존증을 동반한 미숙아중 수 술 당시의 체중이 1.5 kg 이하인 11명의 환아(남아: 5, 여아: 6)를 대상으로 하였다. 술전 동반질환으로 선천 성 심질환(7), 유리질막증(6), 폐렴(4), 뇌실내 출혈(4), 기흉(3), 고빌리루빈혈증(2), 괴사성 장염(2), 신부전증 (1), 간질(1), 수두증(1) 등이 있었다. 사용된 외과적 술식은 헤모클립을 사용한 경우(8)와 동맥관을 결찰한 경 우(3)가 있었다. 동맥관의 크기는 3~6 mm(5.0$\pm$1.2)였다. 결과: 동맥관을 폐쇄한후 수축기 및 확장기 혈압이 상승하였고 심박동수는 감소하였다. 동맥혈 개스 결과도 호전되었다. 수술과 관련된 합병증은 없었다. 술후 6명의 환아에서 호흡기 증상의 호전과 함께 인공호흡기이탈이 가능했고 모두 외래 추적 관찰중이다(3개월~ 12개월). 술후 5명의 환아가 사망하였는데 사망 원인은 유리질막증(2례), 기관지폐 이형성증과 폐렴(1례), 패 혈증(1례), 심부전증과 특발성 호흡곤란증(1례)이었다. 결론: Indomethacin에 부적응증 혹은 합병증이 있거나, Indomethacin용법에 효과가 없거나 또는 혈역학적으로 의미있는 단락을 동반하는 미숙아 동맥관의 우선 치료 법은 조기 외과적 교정술이다.

  • PDF

디지털 도서관에서 전자상거래 트랜잭션을 위한 메타데이타 관리 기법 (Metadata Management for E-Commerce Transactions in Digital Library)

  • 최일환;박석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데이타베이스
    • /
    • 제29권1호
    • /
    • pp.34-43
    • /
    • 2002
  • Dublin Core같은 기존의 정적인 메타데이타 집합은 서지 정보 중심의 정적인 데이터 요소를 가지므로 새로운 환경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메타데이타를 위한 메타데이타 간의 통합, 웹 환경에서의 메타데이타의 표준화 문제 및 확장성 문제들이 고려되어야 한다. 특히, 디지털 라이브러리에서 전자상거래의 개념을 포함하며 서로간의 상호운영성을 위해 이벤트중심의 메타데이타 기록 방식이 등장함에 따라 기존 관리법으로는 갱신 연산간의 차별화가 이루어지지 않아 부적절한 갱신 연산 지연이 발생하므로 이에 대한 고려 역시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우선 디지털 라이브러리 환경에서 완화된 트랜잭션 일관성의 적용여부를 보이며, 새로운 방식의 메타데이타 요소를 사용자 질의 트랜잭션의 판독연산에 관련있는 정적 메타데이타 요소와 전자상거래 트랜잭션의 갱신연산과 관련있는 동적 메타데이타 요소로 구분한다. 구분된 메타데이타 요소에 따라, 관련 트랜잭션들을 재분류함으로써 전자상거래 요소와 동적 갱신(전자상거래) 트랜잭선을 고려한 새로운 메타데이타 관리기법을 제안한다. 최소의 유지비용으로 갱신을 고려하는 2버전과 동적 갱신 연산 충돌의 최소화를 위한 ARU(Appended Refresh Unit)를 사용함으로써 기록연산 간의 충돌을 최소화해 빠른 응답시간과 높은 최근성 비율을 보이게 된다. 성능분석을 통해, 새로운 메타데이타 환경하에서 제안한 알고리즘이 기존의 알고리즘에 비해 좋은 성능을 가짐을 보인다.

다낭성 난포 증후군 환자에서 복강경적 Laser Vaporization 후 내분비적 변화 및 클로미펜에 대한 난소 반응성의 변화 (The Endocrine Changes and Alteration of the Ovarian Response to Clomiphen Citrate after Laparoscopic Laser Vaporization in Patients with Polycystic Ovary Syndrome)

  • 이상준;김진영;박기현;최규홍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26권3호
    • /
    • pp.483-490
    • /
    • 1999
  • Objectives: Polycystic ovary syndrome (PCOS) has the feature of excessive LH, hyperandrogenism and disturbance of folliculogenesis. Also, insulin, IGF-I and IGFBP-l are involved in the pathogenesis of PCOS. Various surgical and medical therapies have been used and the action mechanisms are related to the endocrine effect. Laparoscopic ovarian electrocautery or laser vaporization is effective in the restoration of ovulation and normal menstrual cycle with minimal invasive procedure especially in the patients resistant to medical therapy. Clomiphen citrate (CC) is used for the ovulation induction in pcas and the resistance is known to be related to insulin, IGF-I, IGFBP-l level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effect of the laparoscopic laser vaporization on the levels of LH, FSH, testosterone, IGF-I and IGFBP-l and on the ovarian response to clomiphen citrate in patients with CC-resistant PCOS. Materials and Methods: The fasting basal serum LH, FSH, testosterone, IGF-I and IGFBP-l level were measured in 10 PCOS patients with CC-resistance and 7 normal controls with regular menstrual cycle. In PCOS, after laparoscopic $CO_2$ laser vaporization, endocrine levels were measured in 1 week interval for 4 weeks and then compared with preoperative levels. Results: In PCOS group, mean serum LH/FSH ratio, testosterone, IGF-I levels were higher and IGFBP-l level was lower than control. LH/FSH ratio decreased from $2.51{\pm}0.67$ to $1.7{\pm}0.6$ (p<0.05) in 2 weeks, to $0.56{\pm}0.2$ (p<0.01) in 3 weeks and to $1.41{\pm}0.3$ (p<0.01) in 4 weeks after operation. Testosterone level decreased from $1.51{\pm}0.82ng/ml$ to $0.65{\pm}0.34ng/ml$ (p<0.05) in 2 weeks, to $0.56{\pm}0.67ng/ml $(p<0.01) in 3 weeks after operation. IGF-I level also decreased from $436{\pm}47.5{\mu}g/l$ to $187{\pm}38{\mu}g/l$ (p<0.0l) in 1 week, to $167{\pm}42{\mu}g/l$ (p<0.01) in 2 weeks, $179{\pm}55{\mu}g/l$ (p<0.01) in 3 weeks and to $120{\pm}43{\mu}g/l$ (p<0.01) in 4 weeks after operation. IGFBP-l level showed no significant change. In 8 of 10 PCOS patients, ovulation was induced with low dose clomiphen citrate. Conclusion: Laparoscopic $CO_2$ laser vaporization restores normal menstrual cycle and ovulation through endocrine effect of decreasing LH/FSH ratio, testosterone and IGF-I level and increases the response to CC. Therefore it is useful for restoration of normal menstruation and induction of ovulation in CC resistant PCOS patients.

  • PDF

우측 개흉을 통한 승모판 재수술 (Right Thoracotomy for Reoperation of Mitral Valve)

  • 조창욱;구본일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12호
    • /
    • pp.1342-1346
    • /
    • 1996
  • 이전에 정중흉골절개를 통해 심장 수술을 받았던 환자중 15명이 우측 개흉술을 통해 승모판 재수술을 받았다. 저자들은 승모판 재수술시 우측 개흉술을 선택하였다. 이는 유착이 없는 흉강을 통하기 때문에 심장과 주요혈관의 손상을 피할 수 있고, 상하대정맥 삽관이 용이하고, 약간의 박리로 좌우심방으로 접근이 가능하며, 수술시야가 매우 양호하기 때문이다. 또한 대부분의 심낭막을 박리하지 않기 때문에 출혈이 있을시 곧 흉관을 통해 배출되거나 흉강내로 나가심 압전을 일으킬 소지가 없다. 동맥도관의 삽관은 13예는 상행대동맥에 2예는 대퇴동맥에 했다. 정맥도관의 삽관은 초기에는 우심방을 통해 상하대정맥에 각각하고 올가미를 하였으나 후기에는 올가미 없이 삽관하거나 90$^{\circ}$각진 도관을 우심방에 단일삽관하였다. 수술중 심근보호를 위해 심정지액을 간헐적으로 사용하였고 저체온법은 저자들이 보통의 심 장수술시 주로 사용하는 25~3$0^{\circ}C$ 보다 5$^{\circ}C$ 정도 더 낮추어 시행하였다. 심실제세동은 1예는 내부패들 (Internal Paddle)을 10예는 소독된 외부패들(External Paddle)을 사용하였으며 4예에서는 체온을 높임으로 자연적으로 심박동이 돌아왔다 수술후 호흡기는 48시간 이내에 제거할 수 있었고 폐 합병증은 없었다. 1명의 환자가 술후 10일째 갑작스런 심실빈맥으로 사망하였고 나머지 14예는 합병증 없이 퇴원하였다.

  • PDF

역혈행 후골간 도상피판을 이용한 전기아크손상으로 인한 손목부 결손의 재건 (The Reverse Posterior Interosseous Island Flap for the Reconstruction of Soft Tissue Defects in the Wrist Injured by Electrical Arc)

  • 서정석;이종욱;고장휴;서동국;최재구;정철훈;오석준;장영철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4권5호
    • /
    • pp.580-586
    • /
    • 2007
  • Purpose: High tension electrical injuries result in major tissue(eg. bones, tendons, vessels and nerves) destruction. Therefore, the management of mutilating wrist caused by electrical injuries still represents a challenge. There are various approaches to this problem including local and regional flaps as well as pedicled distant flaps and microsurgical free tissue transfer. Although it has not gained wide acceptance, because of the technically demanding dissection of the pedicle, posterior interosseous flap is now well accepted for the reconstruction of hand and wrist in hand surgery. The principal advantages of this flap are minimal donor site morbidity, minimal vascular compromise, one stage operation. This flap also offers the advantages of ideal color match and composition. In this report, we describe our experience with the reverse posterior interosseous island flap for reconstruction of mutilating wrist with main vessel injuries. Methods: From October, 2004 to June, 2006, we treated 11 patients with soft tissue defects and main vessel injuries on the wrist that were covered with reverse posterior interosseous island flap. Results: These 11 patients were all male. The ages ranged from 27 to 67 years(mean age 41.75) and the follow-up period varied from 4 to 19 months. Complete healing of the reverse posterior interosseous island flaps were observed in 11 patients(12 flaps). The majority of these flaps showed a certain degree of venous congestion, which in a flap was treated with medical leech. 1 flap has partial necrosis owing to sustained venous congestion, requiring secondary skin graft. flap size varied from $3.5{\times}8cm$ to $10{\times}12cm$(mean size $6.4{\times}8.9m$). The donor site defect was closed directly in 5 flaps, and by skin graft in 7 flaps. Conclusion: We found that the reverse posterior interosseous island flap is reliable and very useful for reconstruction of mutilating wrist and we recommend it as first choice in coverage of soft tissue defects in the wrist with electrical arc injuries.

신호교차로에서 보행자신호 전시간 운영기준 설정을 위한 연구 (The Development of Operating Standards for the Adjustment of Pedestrian Green Phasing at a Signalized Intersection)

  • 이철기;이석;심대영;김균조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2권1호
    • /
    • pp.41-52
    • /
    • 2003
  •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 신호운용체계의 효율적인 운용과 안전한 보행자 통행시간을 보장한다는 전제하에, 신호교차로 에서 보행자신호로 인해 발생하는 불합리한 좌회전차량의 꼬리물림현상과 우회전차량 진행불가현상이 직진 교통류에 미치는 소통장애를 해소하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방안은 차량직진신호 점등 후 몇 초 정도의 시차(步行者信號 前時間)를 두고 보행자신호를 운용함으로써 보행이 시작되기 전에 회전교통류가 교차로에서 소거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첨두시간에 교차로에서 보행자신호 전시간을 점차 확장시키는 방법으로 좌회전 꼬리물림$\cdot$우회전 진행불가차량 발생현상을 현장조사 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행자신호 전시간을 연장할수록 직진교통류 소통장애를 야기하는 좌회전 꼬리물림현상과 우회전 진행불가현 상이 현저히 감소하였다. 둘째, 교차로와 횡단보도간의 대기공간이 수용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는 좌회전 꼬리물림차량과 우회전 진행불가차량도 직진차량에 장애를 주지 않았다. 셋째, 이중 횡단보도에서는 신호현시체계상 좌회전 꼬리물림현상이 발생치 않으며 우회전 진행불가현상은 충분한 대기공간으로 인해 직진차량에 미치는 영향이 미미하였다. 검증 결과 보행자신호 전시간 부여는 교차로 소통효율성 증진에 유의한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이를 운용하기 위해서는 회전교통량과 횡단보도의 위치$\cdot$종류에 따라 개개 교차로별로 보행자신호 전시간이 설정되어야 한다는 결론을 얻었다.

  • PDF

다한증의 제한적 교감신경절단술 (Limited Sympathetic Nervelipping of T2 Sympathetic Chain Block for Essential Hyperhidrosis)

  • 박만실;서충헌;심재천;최봉춘;이영철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2권9호
    • /
    • pp.813-817
    • /
    • 1999
  • 배경: 국소적 다한증의 흉강경을 이용한 통상적인 흉부교감신경절제술이나 교감신경절차단술은 효과적인 치료법이기는 하나 수술 후 심한 보상성 다한증이 많이 발생 하고 수장부 다한증의 경우 수술 후 얼굴에서 땀이 나지 않는 부작용이 발생한다. 저자들은 기존의 수술법을 개량해 제한적 흉부교감신경절단술을 고안하였다. 본 연구는 제한적 교감신경절단술의 결과를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8년 5월부터 8월 까지 17명의 환자들에게 제한적 흉부교감신경절단술을 시행하였다. 9명의 안면부 다한증인 환자들에게 두 번째 교감신경절 위 아래의 교감신경을 절단하던 기존의 방법과는 달리 첫번째 와 두 번째 흉부교감신경절 사이의 신경절간신경만을 절단하였다. 8명의 수장부 다한증 환자에 대해서는 두 번째와 세 번째 흉부 교감신경절간신경을 절단하였다. 결과: 17명의 환자들 중 16명의 환자에서 수술 후 원하던 부위의 땀이 나지 않았으나 1명의 환자는 수술 1달 후 얼굴의 땀이 재발하였다. 안면부 다한증으로 수술을 받았던 9명의 환자들 보상성 다한증으로 4명이 심하게, 4명이 중등도로, 1명은 경미하게 불편을 호소 하였다. 그러나 수장부 다한증으로 수술을 받았던 8명의 환자들 중에서는 보상성 다한증을 3명에서 중등도로, 1명이 경미하게 호소하였으며 4명은 보상성 다한증이 없었다. 결론: 제한적 흉부교감신경절단술은 최소 침투 수술법으로 효과적인 치료법이며 특히 수장부 다한증에서는 수술 후 체간에서 발생하는 보상성 다한증의 발생을 줄이고 얼굴의 무한증을 막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북핵 대응에 대한 한국의 비핵(非核) "플랜 B" 검토: 자체 억제 및 방어태세의 보완 (A Review on the South Korean Non-nuclear "Plan B": Improvement of its Own Deterrence and Defense Posture)

  • 박휘락
    • 의정연구
    • /
    • 제25권3호
    • /
    • pp.69-96
    • /
    • 2019
  • 본 논문은 현재 북한의 비핵화가 점점 불확실해지고 있고, 미국의 안보 공약에 대한 불신을 제거할 수 없는 상황이라는 전제하에 한국이 보유하고 있는 비핵전력으로 북한의 핵공격을 억제 또는 방어할 수 있는 노력의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이를 위하여 제2장에서는 비핵전력으로 핵위협에 대응하는 방법을 열거 및 설명하였고, 제3장에서는 이에 근거하여 한국의 실태를 분석하였으며, 제4장에서는 한국이 노력해야 할 방향을 제시하였다. 분석을 통하여 본 논문은 북한의 핵위협이 심각한 정도에 비해서 한국의 대비태세는 미흡하고, 특히 2018년 시작된 북한의 비핵화를 둘러싼 협상으로 인하여 기존에 추진해오던 '3축 체계'의 추진이 지체되고 있다고 평가하였다. 결국 미국의 확장억제가 제대로 이행되지 않을 경우 한국의 억제 및 방어에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이제 한국은 핵전략의 최소억제 개념에 근거하여 북한이 핵공격을 가할 경우 참수작전을 시행하겠다는 의지를 과시하고 그 능력을 구비하는 것에 최우선적인 비중을 둘 필요가 있다. 선제타격의 경우에도 타격시점을 더욱 앞당길 수밖에 없고, 탄도미사일방어의 경우 담당기구를 격상시키고 주한미군의 그것과 결합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핵폭발 시를 대비한 대피소 구축 등에도 노력할 필요가 있다.

Optimization and Mathematical Modeling of the Transtubular Bioreactor for the Production of Monoclonal Antibodies from a Hybridoma Cell Line

  • Halberstadt, Craig R.;Palsson, Bernhanrd O.;Midgley, A.Rees;Curl, Rane L.
    • Biotechnology and Bioprocess Engineering:BBE
    • /
    • 제7권3호
    • /
    • pp.163-170
    • /
    • 2002
  • This report describes the use of a transtubular bioreactor to study the relative effects of diffusion versus perfusion of medium on antibody production by a hybridoma cell line. The study was performed with a high-density cell culture maintained in a serum-free, low-protein medium for 77 days. It was determined that the reactor possessed a macro-mixing pattern residence time distribution similar to a continuous stirred tank reactor (CSTR), However, due to the arrangement of the medium lines in the reactor, the flow patterns for nutrient distribution consist of largely independent medium path lengths ranging from short to long. When operated with cyclic, reversing, transtubular medium flow, some regions of the reactor (with short residence times) are more accessible to medium than others (with long residence times). From this standpoint, the reactor can be divided into three regions: a captive volume, which consists of medium primarily delivered via diffusion; a lapped volume, which provides nutrients through unilateral convection; and a swept volume, which operates through bilateral convection. The relative sizes of these three volumes were modified experimentally by changing the period over which the direction of medium flow was reversed from 15 min (larger captive volume) to 9 h (larger swept volume). The results suggest that antibody concentration increases as the size of the diffusion-limited (captive) volume is increased to a maximum at around 30 min with a sharp decrease thereafter. As reflected by changes in measured consumption of glucose and production of lactat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ellular metabolism occurred as the reactor was moved between these different state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mode of operation of the transtubular bioreactor may influence antibody productivity under serum-free, low-protein conditions with minimal effects on cellular metabolism.

Sandwich technique을 이용한 하악골 증대술의 치험 보고 (PIEZOELECTRIC VERTICAL BONE AUGMENTATION USING SANDWICH TECHNIQUE IN ATROPHIC MANDIBLE: TWO CASES REPORT)

  • 이지수;이정광;이현진;안미라;손동석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30권3호
    • /
    • pp.276-282
    • /
    • 2008
  • Objective: This is to report the efficacy of the sandwich technique for bone augmentation in a moderate atrophic posterior mandible through clinical and histological results in two cases. Subjects and Method: Two patients selected had moderate bone resorption in left lower edentulous area. Sandwich osteotomy using the piezosurgery was performed and the osteomized alveolar segments were elevated by 6mm in each two patients. The interpositional mineral allograft materials were inserted in the atrophic posterior mandibles. After four months healing period, bone biopsies in the grafted areas and placement of dental implants were performed. In both cases, panoramic views were taken preoperatively to measure the alveolar bone height for diagnosis, to monitor patient healing, and to evaluate bone healing and bone gain. Results: Sufficient vertical bone height was gained by using the sandwich technique and implants were placed successfully. In radiological evaluation, there was minimal resorption of bone height after the second operation and in histomorphometric evaluation, they showed favorable new bone formation without inflammation in the grafted areas. Conclusion: The sandwich technique can be an effective choice for augmenting vertical bone height in the atrophic mandible. More of cases and long term follow-up are needed to evaluate bone resorption and implant progno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