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ni-implant

검색결과 114건 처리시간 0.034초

TADs와 R-jig를 이용한 상악 구치 원심 이동에 관한 3차원 유한요소 분석 (3-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of maxillary molar distalization using R-jig with TADs)

  • 탁명현;이근영;조진우;지영덕;조진형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0권4호
    • /
    • pp.265-277
    • /
    • 2014
  • 목적: 고정식 교정장치에서 removable sliding jig (R-jig)와 temporary anchorage devices (TADs)를 이용하여 상악 구치의 원심 이동 시 힘의 크기와 와이어의 단면 크기에 따른 치아 이동과 치조골에 미치는 효과의 차이를 유한요소방법을 통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 재료 및 방법: 정상적인 치아 크기와 악궁 형태를 가진 상악 치아와 상악 치조골을 3차원 형상 모델링하고, 브라켓, 교정용 호선 및 R-jig를 포함한 유한요소 모델을 제작하였다. 골격성 고정원인 mini-implant를 제2소구치와 제1대구치 사이 협측으로 주호선 기준 8 mm 상방 위치시키고, mini-implant를 직접 고정원으로 사용하여 R-jig에 후방력을 부여하였다. 주호선을 $0.019{\times}0.025$ inch SS로 설정하고, R-jig의 와이어 단면 크기를 $0.019{\times}0.025$ inch SS, 후방력의 크기를 200 gm, 결찰을 하지 않는 조건을 기준 조건으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R-jig의 와이어 단면 크기, 후방력의 크기를 다르게 한 조건들을 설정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R-jig의 와이어 단면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후방력에 의한 R-jig의 변형이 적게 관찰되었지만, 제2대구치의 변위량은 아주 미미한 차이를 보였다. 제2대구치에 가해지는 후방력의 크기가 증가할수록 변위량도 같이 증가하였고, 원심경사 경향과 수직 변위량도 더 커졌다. 결론: R-jig는 임상적으로 큰 부작용 없이 치아의 원심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교정력 부하시기에 따른 교정용 미니 임플란트의 안정성 (The effect of loading time on the stability of mini-implant)

  • 이승연;차정열;윤태민;박영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149-158
    • /
    • 2008
  • 본 연구는 미니 임플란트 식립 후 교정력 부하시기와 관련하여 임플란트 주위골의 치유과정을 조사하였다. 성견 8마리의 하악 협측골에 교정용 미니 임플란트(ORLUS, Ortholution CO, Korea) 48개를 식립한 후 교정력을 주지 않은 대조군과 식립 후 즉시 교정력을 준 즉시 부하군, 그리고 식립 후 3주간의 치유기간을 두고 교정력을 준 지연 부하군으로 나누어 각각의 군에 대해 3주, 6주, 12주가 경과된 시점에 임플란트 주위골의 변화를 조직 계측학적으로 관찰하였다. 골 접촉률은 즉시 부하군에서 시기에 따른 유의한 변화가 없었으며 지연 부하군은 3주에 비해 12주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각 시점에서 군간의 골 접촉률을 비교했을 때 12주째 지연 부하군이 즉시 부하군 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골 면적비율은 즉시 부하군의 경우, 시기에 따른 유의한 변화가 없었으며, 지연 부하군과 대조군은 6주에 비해 12주째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며 (p<0.05), 12주째 실험군 간에 유의한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p>0.05). 동요도는 12주째 즉시 부하군과 지연 부하군 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위의 결과에서 즉시 부하가 self drilling형 미니 임플란트 주위골의 안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지 않았으므로 식립 즉시 교정력을 부여하여 사용하는 데 임상적으로 문제가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표면처리가 교정용 미니 임플랜트의 식립수직력과 토크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surface treatment on the insertion pattern of self-drilling orthodontic mini-implants)

  • 김상철;김호영;이상재;김철문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268-279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유지력을 높이기 위하여 교정용 미니 임플랜트에 표면처리를 시행하되 식립 과정의 용이성에 영향을 주지 않는 표면처리 방법을 찾기 위함이다. 교정용 미니 임플랜트를 etching, resorbable blasting media (RBM), 상부 나사산 부위만 RBM 처리를 한 hybrid 등의 3가지 방법으로 표면처리한 후 machined (표면 미처리)군과 비교하였다. 주사전자현미경과 표면 거칠기 측정기로 표면 거칠기를 비교하였으며, driving torque tester를 이용해 실험용 인공골에 교정용 미니 임플랜트를 식립하여, 식립 토크(rotational torque)와 수직력(vertical loading)의 식립 패턴을 비교하였다. Machined surface군과 비교하여 acid etching군에서는 표면 거칠기(Ra 값)가 크지 않았으나 ($p$ > 0.05), RBM군이나 hybrid군에서 표면 거칠기(Ra 값)가 유의하게 컸다 ($p$ < 0.05). 최종 식립 토크는 모든 표면처리군에서 machined군보다 컸다 ($p$ < 0.05). 최대 식립수직력은 hybrid군이 machined군이나 etched군보다 유의하게 작았으며 ($p$ < 0.05), RBM군이 가장 컸다 ($p$ < 0.05). 교정용 미니 임플랜트의 유지력을 높이기 위하여 보철용 임플랜트와 같은 방법으로 전면 표면처리를 하면 self drilling type 고유의 골 삭제기능이 저하될 수 있다. 그러나 cutting edge 일정 부위를 제외하며 적절하게 조절된 표면처리를 하면 골 삭제 능력의 큰 저하 없이 용이한 식립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Use of mini-implants to avoid maxillary surgery for Class III mandibular prognathic patient: a long-term post-retention case

  • Suh, Hee-Yeon;Lee, Shin-Jae;Park, Heung Sik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4권6호
    • /
    • pp.342-349
    • /
    • 2014
  • Because of the potential morbidity and complications associated with surgical procedures, limiting the extent of orthognathic surgery is a desire for many orthodontic patients. An eighteen-year-old woman had a severe Class III malocclusion and required bi-maxillary surgery. By changing the patient's maxillary occlusal plane using orthodontic mini-implants, she was able to avoid the maxillary surgery; requiring only a mandibular setback surgery. To accurately predict the post-surgery outcome, we applied a new soft tissue prediction method. We were able to follow and report the long-term result of her combined orthodontic and orthognathic treatment. The changes to her occlusal plane continue to appear stable over 6 years later.

Novel analysis model for implant osseointegration using ectopic bone formation via the recombinant human bone morphogenetic protein-2/macroporous biphasic calcium phosphate block system in rats: a proof-of-concept study

  • Park, Jung-Chul;Lee, Jong-Bin;Daculsi, Guy;Oh, Sang-Yeop;Cho, Kyoo-Sung;Im, Gun-Il;Kim, Byung-Soo;Kim, Chang-Sung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42권4호
    • /
    • pp.136-143
    • /
    • 2012
  • Purpose: The osseointegration around titanium mini-implants installed in macroporous biphasic calcium phosphate (MBCP) blocks was evaluated after incubation with recombinant human bone morphogenetic protein-2 (rhBMP-2) in an ectopic subcutaneous rat model. Methods: Mini-implants (${\varphi}1.8{\times}12$ mm) were installed in MBCP blocks (bMBCPs, $4{\times}5{\times}15$ mm) loaded with rhBMP-2 at 0.1 mg/mL, and then implanted for 8 weeks into subcutaneous pockets of male Sprague-Dawley rats (n=10). A histomorphometric analysis was performed, and the bone-to-implant contact (BIC) and bone density were evaluated. Results: Significant osteoinductive activity was induced in the rhBMP-2/bMBCP group. The percentage of BIC was $41.23{\pm}4.13%$ (mean${\pm}$standard deviation), while bone density was $33.47{\pm}5.73%$. In contrast, no bone formation was observed in the bMBCP only group. Conclusions: This model represents a more standardized tool for analyzing osseointegration and bone healing along the implant surface and in bMBCPs that excludes various healing factors derived from selected animals and defect models.

Maxillary protraction using customized mini-plates for anchorage in an adolescent girl with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 Liang, Shuran;Xie, Xianju;Wang, Fan;Chang, Qiao;Wang, Hongmei;Bai, Yuxing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50권5호
    • /
    • pp.346-355
    • /
    • 2020
  • The treatment of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in adolescents is challenging. Maxillary protraction, particularly that using bone anchorage, has been proven to be an effective method for the stimulation of maxillary growth. However, the conventional procedure, which involves the surgical implantation of mini-plates, is traumatic and associated with a high risk. Three-dimensional (3D) digital technology offers the possibility of individualized treatment. Customized mini-plates can be design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maxillary surface and the positions of the roots on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scans; this reduces both the surgical risk and patient trauma. Here we report a case involving a 12-year-old adolescent girl with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and midface deficiency that was treated in two phases. In phase 1, rapid maxillary expansion and protraction were performed using 3D-printed mini-plates for anchorage. The mini-plates exhibited better adaptation to the bone contour, and titanium screw implantation was safer because of the customized design. The orthopedic force applied to each mini-plate was approximately 400-500 g, and the plates remained stable during the maxillary protraction process, which exhibited efficacious orthopedic effects and significantly improved the facial profile and esthetics. In phase 2, fixed appliances were used for alignment and leveling of the maxillary and mandibular dentitions. The complete two-phase treatment lasted for 24 months. After 48 months of retention, the treatment outcomes remained stable.

간접골성 고정원을 이용한 상악 구치부 원심이동 장치 종류에 따른 치아 이동 양상 평가 (Three dimensional analysis of tooth movement using different types of maxillary molar distalization appliances)

  • 김수진;전윤식;정상혁;박선형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376-387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pendulum 장치, 미니임플란트를 동반한 pendulum장치(펜듈럼), 오픈코일 스프링 및 미니임플란트를 동반한 오픈코일 스프링 이용 시 각각의 치아이동 양상을 3차원적으로 분석하는 데 있었다. 상악 좌측 치조골 및 치아 모형을 제작하고, Calorific $machine^{(R)}$을 이용하여 모형상에서 대구치를 3 mm 원심 이동시켰다. 실험은 5회씩 반복 실시하였다. 모델을 전산화 단층 촬영한 후 V-$Works^{TM}$를 이용하여 3차원 모델을 제작하였다. $Rapidform^{TM}$상에서 3차원적으로 이동방향과 이동량을 계측하였고, 각각의 장치에 관한 통계적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교정용 미니임플란트를 간접 골성 고정원으로 이용하여 오픈코일 스프링으로 구치부를 원심으로 이동시켰을 때가 치체이동에 가장 가까운 이동양상을 보였고, 고정원 소실도 적게 나타났다 (p < 0.05). 오픈코일 스프링, 펜듈럼 장치 모두 미니임플란트를 부가적으로 이용했을 때 고정원 소실량이 적었다 (p < 0.05). 미니임플란트를 이용하지 않은 경우에는 두 장치의 고정원 소실량이 비슷하였다. 미니임플란트의 이용 여부와 관계없이 펜듈럼 장치로 상악 구치 원심 이동 시 오픈코일 스프링에 비해 제1대구치가 조절성 경사이동 양상으로 이동되었고 (p < 0.05), 제2대구치는 비조절성 경사이동 양상을 보였으며, 치관의 협측경사이동이 일어났다 (p < 0.05). 이와 같은 결과를 근거로 간접 골성 고정원을 이용한 오픈코일 스프링이 상악 구치의 원심 치체이동에 가장 효과적인 장치였으며, 펜듈럼 장치를 이용한 구치부 원심이동 시에는 추가적인 조절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다양한 길이의 two-component 미니 임플란트의 응력분산에 대한 3차원적 유한요소분석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for determining the stress distribution after loading the bone surface with two-component mini-implants of varying length)

  • 최봄;이동옥;모성서;김성훈;박기호;정규림;;한성호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1권6호
    • /
    • pp.423-430
    • /
    • 2011
  • Objective: To evaluate the extent and aspect of stress to the cortical bone after application of a lateral force to a two-component orthodontic mini-implant (OMI, mini-implant) by using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FEA). Methods: The 3D-finite element models consisted of the maxilla, maxillary first molars, second premolars, and OMIs. The screw part of the OMI had a diameter of 1.8 mm and length of 8.5 mm and was placed between the roots of the upper second premolar and the first molar. The cortical bone thickness was set to 1 mm. The head part of the OMI was available in 3 sizes: 1 mm, 2 mm, and 3 mm. After a 2 N lateral force was applied to the center of the head part, the stress distribution and magnitude were analyzed using FEA. Results: When the head part of the OMI was friction fitted (tapped into place) into the inserted screw part, the stress was uniformly distributed over the surface where the head part was inserted. The extent of the minimum principal stress suggested that the length of the head part was proportionate with the amount of stress to the cortical bone; the stress varied between 10.84 and 15.33 MPa.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stress level at the cortical bone around the OMI does not have a detrimental influence on physiologic bone remodeling.

심한 총생 : 비발치로 가능한가? (Severe crowding : Is nonextraction treatment possible?)

  • 정민호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57권6호
    • /
    • pp.326-332
    • /
    • 2019
  • Extraction treatment has been used for a long time to treat crowding or lip protrusion patients and still extraction decision is the most difficult and important decision during diagnosis and treatment planning. If the amount of crowidng is severe, premolar extraction is often considered. Because of their location, premolar extractions would seem to allow for the most straightforward relief of crowding and the improvement of soft tissue profile. But patients and their parents often prefer nonextraction approach if possible and such a preference gives us serious question about the boundary of nonextraction treatment. Because Orthodontic Mini-Implant (OMI) become popular these days, distalization of posterior teeth can be obtained easily without patient's compliance. For this reason, many orthodontists are trying to treat crowding patient with nonextraction than before. But sometime, unexpected side effects are observed including unesthetic profile, impaction of second molar and long treatment time. All the tools for space gaining - extraction, arch expansion, molar distalization and interproximal enamel reduction - have their limitations and indications. Possible side effects and limitations should be carefully considered during the treatment planning. Although Korean patients usually require extraction more often than US or European patients, more knowledge about the tools for space gaining would help us to decrease the rate of extraction and the problems during treatment of crowding patien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