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nd and body practice

검색결과 76건 처리시간 0.025초

Korean Medicated Diet Has Lee Jema's Traditional Sasang Medicines by High Absorbency and Natural Healing-Power Targets

  • Kim, Dong-Myong;Cha, Eun-Chung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0권2호
    • /
    • pp.198-205
    • /
    • 2005
  • Korean medicated diet (KMD) is not a simple combination of food and Chinese drugs, but a special carefully constructed diet made from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s, food and condiments under the theoretical guidance of diet preparation based on differentiation of symptoms and signs of traditional Sasang medicine (TSM). It combines the functional efficacy of medicine with the delicacy of food, and can be used to prevent and cure diseases, build up one's health and prolong one's life. Korean traditional medicated diet has a long history of development. Although influenced by Chinese medicine, Korean traditional medicine has been developed into a unique system of traditional medicine that has surpassed the continental medical practice, sublimating itself into a native medical practice suitable to Korean lifestyles and physical constitutions. In the 19th century, Lee Jema's Sasang medicine (medicine of four types of energy determining the physical constitution) was introduced. It is an integration of mind and body according to the individual's physical constitution that is categorized allowing a customized method of treatment ideal for each category-making the content of Korean traditional medicated diet even richer.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medicated diet are as follows: (1) Laying stress on the wole, selecting medicated diet on the basis of differential diagnosis. (2) Suitable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utstanding in effect. (3) Good in taste, convenient for taking. KMD refers to drink and food according to certain prescriptions, by processing and cooking that can be used either for prevention and cure of diseases, or for health care and recovery. The purpose of this review is to introduce TSM and KMD based on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s.

태극권24식(太極拳24式)이 건가(健康)에 미치는 영향(影響)에 대한 소고(小考) (A study on the Effect of Health of the 24-Form Taegeukkwon)

  • 이명찬;사희수;금경수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263-273
    • /
    • 2009
  • Taegeuk is the source and union of the two primary aspects of the cosmos, Eum(陰, Yin) and Yang(陽). The Neo-Confucian philosophers of Chinese Song(宋) dynasty associated Taegeuk with the supreme rational principle of the universe. Taegeuk is a powerful blend of self-discipline, self-defense and healing. It is an art which has grown over the millennia to include hundreds of forms and variations, and can easily take a lifetime to master. Taegeukgwon based on the Taoist philosophies of Eum(陰, Yin) and Yang(陽) is an ancient Eastern form of exercises, characterized by slow reversing movements. There is strong research evidence validating Taegeuk as a safe form of exercise having potential for health promotion and rehabilitation. Today, Taegeukgwon has spread worldwide. The Internal Training of Taegeuk is one of the exercises for regiment. As exercise, Taegeukgwon is designed to provide relaxation in the process of body-conditioning exercise and is drawn from the principles of Taegeuk, notably including the harmonizing of the Eum-yang(陰陽, Yin-yang), respectively the passive and the active principles. It employs flowing, rhythmic, deliberate movements, with carefully individually prescribed stances and positions. In practice, two masters teach the system exactly alike. As a mode of attack and defense, Taegeukgwon resembles Kungfu and is properly considered a martial art. It may be used with or without weapons. Freehand exercise to promote health was practiced in Korea. This training proved to have effect on hypertension, enervation, impotence, premature ejaculation, seminal emission, chronic gastrointestinal diseases, and arteriosclerosis. There have been many schools of Taegeukgwon. Depending on school and master, the number of prescribed exercise forms varies from 24 to 108 or more.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reconsider Taegeukgwon and its effect on the body and mind-conditioning in Hwangjenaegyeong(黃帝內經).

  • PDF

간호대학생의 카데바 모델을 이용한 인체해부 관찰경험 (The experiences of human body anatomy observations using the Cadaver Model in the nursing students)

  • 강현임;이영란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4호
    • /
    • pp.233-242
    • /
    • 2017
  • 간호대학생의 카데바 모델을 이용한 인체 해부 관찰 경험을 확인하여 카데바 실습 프로그램 개발 및 해부학 교육과정 등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19명을 대상으로 2팀의 포커스그룹 인터뷰(Morgan, 1997)로 수집된 자료를, Colaizzi 분석방법을 선택하여 간호대학생의 카데바 모델을 이용한 인체 해부 관찰 경험의 의미와 그 본질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간호대 학생의 카데바 모델을 이용한 인체 해부 관찰 경험에 대한 분석 결과는 6개 범주와 13개의 주제묶음(theme clusters)으로 도출되었다. 본질적 구조로는 '카데바 실습에 대한 양가감정', '실제에 맞닥뜨림', '값진 것을 배움', '인간을 대하는 마음이 깊어짐', '간호인이 되어 감을 느낌', '온전히 내어줌에 대한 숙고.'등 6개의 범주로 도출되었다. 간호대학생은 카데바 실습을 통해 해부학에 대한 이해뿐만 아니라 인간의 이해, 생명 및 존중, 죽음, 직업윤리 등을 경험하고 또 고민하면서 간호인이 되어가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해부학교육에 대한 기초자료 뿐 만 아니라 해부학교육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교육방법에 도움이 되고, 인간의 이해 및 생명윤리, 간호윤리 등을 확립 할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을 위해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경호기법에 입각한 경호무도의 학문적 접근 (A study on approach thesis of protection martial arts)

  • 박준석
    • 시큐리티연구
    • /
    • 제6호
    • /
    • pp.103-122
    • /
    • 2003
  • Protection sciences are new science. therefore, protection martial arts sciences are will studied be based on study of protection in order to supply high level by request. Moreover, It is reconstruction that protection martial arts masters education, systematic manage, certificate system, protection martial arts recognition certificate, protection martial arts equipment, practice of protection martial arts. Protection martial arts occurs on the unforeseen accident and body guarding, therefore martial arts concept of protection martial arts different general martial arts and sport. In order to develope of protection martial arts First, scientific thesis need of protection martial arts learning. Especially, aims of present protection martial arts is not protect oneself, protect the VIP to safely from all dangers is different thing with aims of general martial arts. Instinct that VIP protect rather than oneself should study and develop. Second, techniques and model of protection martial arts spread to who in connection with security service by systematic and organized. Preferentially, study of protection martial arts Techniques and model possible the protection martial arts learned society, found laboratory and endowed protection martial arts society organize and prevention for random of protection martial arts and must make the original protection martial arts. Third, protection martial arts official certificate and license system must organize in order to training and manage of protection martial art master, Match director(First Second), life physical director(First, Second, Third) is systematically manage by Ministry of Culture & Tourism Republic of Korea. Like this protection martial arts also classify the certificate by scholarship and experience. Fourth, In union to university, private security service company, public institution, police and system that possible leaning to protection martial arts certificate course important. In addition, destroy the commercial character of present martial arts and cultivate the pure martial arts mind, should develop to martial arts in order to improve the humanism and temperament of right body guard.

  • PDF

마음챙김 명상관련 국내 임상연구 동향 분석 (Clinical Research Trends on Mindfulness Meditation in Korea)

  • 양영필;송익수;문진석;한창현;박지하;이상남
    •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 /
    • 제16권2호
    • /
    • pp.57-64
    • /
    • 2010
  • Background : Meditation is one of the healing therapies used to prevent and cure ailments and to improve health through regular practice. Although Meditation is within the paradigm of modern Western medical science, effects on the human body could be possible. Objectives : This study performed a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published in Korea focused on mindfulness meditation (MM), which is being applied as mind-body therapy around the USA lately. Method : Three hundred sixty six articles were found after searching with keyword, 'mindfulness meditation (MM)' in 6 journals and web databases. Ninety papers related MM were analyzed trend, Seventeen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RCTs) and 38 controlled clinical trials (CCTs) were researched by systematic review. Result : Most of them were studies about relationship between MM and syndrome such as stress, depression, anxiety and MM was also applied to some disease like hypertension, 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 in some cases. In 55 studies, It was shown that MM has positive effects on various symptoms and sometimes the effect of MM showed at post and follow-up study althoug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ontrol group and experimental group in some cases according to outcome measurement. Interestingly, there was no study reported about side effects of MM after the application. Conclusions : MM is being clinically applied at both western and oriental hospital in Korea, but more clinical trials with the high quality are needed to support its scientific basis.

배우 음성 훈련을 위한 EVT 구조연습 활용방안 I (How to Use EVT Figures for Actor Voice Training I)

  • 이영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9호
    • /
    • pp.136-148
    • /
    • 2021
  • 본 연구는 음성을 예술적 표현 수단의 매개체로 사용하는 배우의 연기 예술에서 음성 기관의 독립적인 조절,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에스틸 보이스 트레이닝(Estill Voice Training) 모델의 이론적 원리와 구조연습 훈련이 배우 음성 운용에 적용될 수 있는 긍정적 효용성을 탐구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생성기관의 원리에 기인하여 음성 산출물의 상이점을 조절하는 음성 과학적 방법론에 대한 연구는 심리와 신체를 함께 아우르는 기존의 배우 음성 훈련에 비해 국내에서 활발히 소개되지 못하고 있는 현실이다. 음성은 해부 생리학을 근간으로 우리 몸에 대한 이해가 선행될 때 운용의 정확성과 안정성을 담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인물 창조의 요소인 인물의 음성적 성격화에도 기여할 수 있다. 배우 음성 훈련에서 자기 수용적 감각을 통한 훈련 모델을 고찰하는 것은 배우가 일련의 목표음을 산출하는 과정에서 원리적이며 실질적인 방법론으로 모색될 수 있다는 실용적 가치와 대안적 의의를 지닌다.

${\ll}$삼일신고(三一神誥)${\gg}$에 나타난 의료기공(醫療氣功)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medical Qigong mentioned in ${\ll}$Samilshingo${\gg}$ (三一神誥))

  • 반창열
    • 대한의료기공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40-94
    • /
    • 2004
  • 최근 서구(西歐)에 불고 있는 명상(冥想)과 참선(參禪) 및 기공(氣功)붐과 더불어 우리 전통(傳統)의 양생법(養生法)들의 가치(價値)가 새롭게 평가(評價)되고 있는데, 아직 우리 고유(固有)의 이론적(理論的) 근거(根據)가 미흡(未洽)한 실정(實情)이다. 이에 저자(著者)는 한국의료기공(韓國醫療氣功)의 이론적고찰(理論的根據)를 마련하기 위해서 한국기공(韓國氣功)의 역사(歷史)를 시대순(時代順)으로 살펴보고, 한국기공(韓國氣功)의 이론적(理論的) 근거(根據)가 되는 ${\ulcorner}$${\lrcorner}$ 사상(思想)을 검토(檢討)한 후(後), ${\ll}$삼일신고(三一神誥)${\gg}$${\ll}$황제내경(黃帝內經)${\gg}$에 나타난 신(神)의 의미(意味)와 인체관(人體觀) 그리고 수련법(修鍊法)의 비교연구(比較硏究)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結論)을 얻었다. 삼국시대(三國時代)에 활기(活氣)를 띤 민족고유(民族固有)의 신선도(神仙道)는 점차(漸次) 도교(道敎)의 영향(影響)을 받아 통일신라시대(統一新羅時代) 이후(以後) 점점(漸漸) 쇠퇴(衰退)되어 겨우 명맥(命脈)만 유지하게 되었으며, ${\ulcorner}$${\lrcorner}$ 사상(思想)의 기원(起源)이 되는 삼대경전(三大經典)중 하나인 ${\ll}$삼일신고(三一神誥)${\gg}$에는 유(儒) 불(佛) 도(道) 삼교(三敎)의 원형(原形)이 포함(包含)되어 있었기 때문에 삼국시대(三國時代)부터 들어온 유(儒) 불(佛) 도(道)의 외래사상(外來思想)을 발전적(發展的)으로 수용(受容)할 수 있었다. ${\ll}$삼일신고(三一神誥)${\gg}$${\ll}$황제내경(黃帝內經)${\gg}$을 비교연구(比較硏究)한 결과 기공(氣功)의 이론적(理論的) 근거(根據)가 되는 세 가지 측면(側面)에서 공통(共通)된 점(點)을 찾아볼 수 있었다. 첫째, 신(神)의 의미(意味)에 있어, 천신(天神)과 인신(人神)의 층차(層差)가 존재하면서도 서로 상통(相通)하고 있으며 신(神)의 작용(作用)을 세 가지로 구분(區分)한다는 면에서 논리구조(論理構造)가 일치(一致)되는 공통점(共通點)이 있었다. 둘째, 인체관(人體觀)에 있어, ${\ll}$삼일신고(三一神誥)${\gg}$의 기일원론(氣一元論), 진망이분론(眞妄二分論), 성(性) 명(命) 정(精)과 심(心) 기(氣) 신(身)의 삼분론(三分論)과 형식적(形式的)인 면에서 공통점(共通點)이 있었고 또한 삼진(三眞)인 성(性) 명(命) 정(精)은 삼보(三寶)인 심(心) 기(氣) 신(身)의 이치적(理致的)인 측면(側面)으로, 삼망(三妄)인 심(心) 기(氣) 신(身)은 삼보(三寶)인 정(精) 기(氣) 신(神)의 기능적(機能的)인 측면(側面)으로 이해(理解)할 수 있었다. 셋째, 수련법(修鍊法)에 있어, ${\ll}$삼일신고(三一神誥)${\gg}$에 나타난 지감(止感) 조식(調息) 금촉(禁觸)의 수련법(修鍊法)은 각각(各各) 한의학(韓醫學)의 병인(病因)인 내인(內因) 외인(外因) 불내외인(不內外因)을 조절하는 방법(方法)으로 이해(理解)할 수 있었다. 즉 지감법(止感法)은 인간(人間)의 감정(感情)과 마음 그리고 본성(本性)을 조절(調節)하는 방법(方法)으로, 조식법(調息法)은 인체내부(人體內部)의 기운(氣運)뿐만 아니라 인체내외(人體內外)의 기운(氣運)을 조절(調節)하는 방법(方法)으로, 금촉법(禁觸法)은 인체(人體)의 이목구비(耳目口鼻)와 자세(姿勢) 그리고 생활습관(生活習慣) 등을 조절(調節)하는 방법(方法)으로 이해(理解)할 수 있었다. 이상(以上)의 결론(結論)을 통(通)하여 ${\ll}$삼일신고(三一神誥)${\gg}$에 나타난 신(神)의 의미(意味)와 인체관(人體觀) 그리고 수련법(修鍊法) 등이 ${\ll}$황제내경(黃帝內經)${\gg}$과 공통(共通)된 기공(氣功)의 이론적(理論的) 근거(根據)를 가지므로 ${\ll}$삼일신고(三一神誥)${\gg}$는 한국의료기공학(韓國醫療氣功學)에 있어서 큰 의의(意義)를 가지고 있으며, 향후(向後)에도 지속적(持續的)인 연구(硏究)가 필요(必要)할 것으로 사료(思料)된다.

교육콘텐츠 개발을 위한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 가정생활관(家庭生活觀)에 대한 고찰(考察) (A Study on The Family Life Consciousness of Dasan Jeong Yak-yong for Educational Contents Development)

  • 주영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529-544
    • /
    • 2018
  • 본 연구는 다산 정약용의 가정생활관을 고찰하여 그 의의를 찾고, 실천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다산의 가정생활관은 다산시문집, 편지글, 선행연구 등을 참고하여 가족관, 의식주생활관, 가정경제관으로 나누어 살펴 보았다. 다산의 가정생활관은 자기관리와 절제, 근검절약과 분수 지키기, 순리적인 나눔과 베품으로 정리할 수 있었으며, 일상에서 실천적인 노력이 강조되었다. 첫째 자기관리와 절제는 말과 행동을 조심하기, 효를 실천하기, 가족 간에 화목하기, 독서하기, 선함을 잃지 않기, 심신을 수양하기 포기하기 말고 독립적이고 당당하기, 용모와 안색을 바르게 하기 등이다. 둘째로 근검절약과 분수는 항상 부지런 하고, 검소한 생활을 실천하며, 사치를 금하고 자신의 일을 열심히 하며, 과음을 경계한 것이다. 셋째는 순리적인 나눔과 베품의 실천은 환경을 탓하지 말고 분수에 맞게 지내고, 곤궁함에 대처하며, 사욕을 막고 나누고 베풀어 주라는 것이었다. 이와 같은 다산의 가정생활관은 오늘날 공유가치, 공동체사회, 복지사회를 구현해 가기 위한 규범과 가치를 담고 있다고 사료된다. 앞으로 다산의 가정생활관에 대한 교육콘텐츠의 개발을 위해 본고가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며, 이를 통해서 시대를 초월한 다산 정신이 계승되고 실천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전경』에 나타난 대순사상의 생사관 (The View of Life and Death in Jeon-gyeong)

  • 쩡쯔밍
    • 대순사상논총
    • /
    • 제27집
    • /
    • pp.79-132
    • /
    • 2016
  • 대순진리회의 생사관은 천지귀신이 함께 하는 것이고, 인심을 근본적인 핵심으로 삼는다. 심성 수양의 정도에 따라 자신의 가치를 실현할 수 있으며, 이 모든 것을 일심(一心)의 묘용(妙用)으로 보고 있다. 즉, 인간의 잠재적 능력에 주목함으로써 인간이 수행을 통해 신성의 초월적 영역에 들어갈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대순진리회의 생사관은 삼계공사의 종교적 사명으로 건립되었다. 여기서 삼계공사는 천지인 삼계의 개벽을 말한다. 이 개벽은 천지 운행의 원래의 규칙으로 돌아가서 새로운 우주적 질서를 짜는 것이다. 천지는 스스로의 운행규칙이 있다. 그것은 직접적으로 도에서 비롯하고 발현하는 작용이다. 대순진리회는 인간의 행위에 의해 천지운행의 규칙이 손상을 입었고, 그 결과 상도를 잃었다고 진단한다. 따라서 대순진리회는 인간과 천지에 원래 존재하던 도를 바로 세우는 것에 중점을 두고, 상도를 잃은 천지와 인간의 화해를 시도한다. 요컨대 무너진 신도(神道)의 질서를 바로잡아 만고의 원한을 풀어주는 것이다. 더 나아가 천지도수를 다시 짜는 것으로 상생의 도가 생기게 하고, 인간과 귀신은 자기실현을 통하여 완성에 이룰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인간은 천지와 통할 뿐 아니라 귀신과도 감응한다. 귀신 역시 초월적인 생명 형태로 인간의 심성과 통한다. 이와 관련해 대순진리회는 인간이 귀신의 힘에 의해 좌우지 되는 것이 아니라, 심성의 초월적인 힘을 통해 귀신을 조종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대순진리회의 목적은 인심의 수행과 함께 천지자연의 조화에 참여하는 것에 있다. 또한 인간의 심성이 우주적 도의 화신과 합일을 이룸으로써 천지의 신명과도 합일을 할 수 있다고 본다. 이를 위한 실천과정으로 외적인 의식이나 법술에 의지하는 것이 아니라 심성의 도덕적 수양을 통해 완성의 경지에 이를 수 있다고 역설한다. 즉, 일심불이(一心不二)의 수행으로써 초월적 심성의 경지에 이르게 되고, 생사의 모순과 여러 가지 고통에서 벗어날 수 있다는 것이다. 인간의 생사는 피할 수 없는 필연적인 과정이다. 그렇기 때문에 생을 기뻐할 필요가 없고, 죽음을 슬퍼해야 할 이유도 없다. 오히려 육체를 초월하는 공부를 통해 심성의 에너지를 충만 시키면 죽음의 두려움에서 벗어나 초월할 수 있다. 불로불사란 형체를 가진 육체의 장생을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생명존재의 본질을 추구하는 것으로, 정신적인 차원에서의 영원함을 이루는 것이다. 대순진리회는 정기신을 개발하여 도와 합일하는 경지에 이르고, 인성의 자아실천 작용을 촉발시켜 불로장생의 초월적 경지를 추구한다. 인도(人道)의 윤리실천으로써 천지의 도화(道化)작용과 통하고, 천도의 합일로서 생명존재의 조화와 영원함을 이루게 된다. 이렇게 인간은 육체적인 생사를 초월한다. 즉, 도인들은 일심을 지킨 수도를 통해 도와 합진(合眞)을 이루는 경지에 이르면, 인간의 개체적 자아를 완성함과 동시에 여러가지 재난과 고통을 피하고 행복한 삶의 가치를 이룰 수 있을 것이다.

습관 형성으로서의 예배에 대한 기독교교육적 이해 (Christian educational understanding of worship as habit formation)

  • 김은주
    • 기독교교육논총
    • /
    • 제70권
    • /
    • pp.239-265
    • /
    • 2022
  • 본 논문은 습관 형성에 대한 기독교교육적 이해를 예배라는 기독교의 실천적 장을 통하여 살펴보고 있다. 제임스 스미스(James Smith)는 문화적 예전 시리즈에서 지금까지의 주지주의적인 기독교교육에 대해 비판하면서 습관 형성에 관한 탁월한 연구를 통하여 기독교교육에 대한 전혀 다른 차원의 가능성을 열어주었다. 그는 머리를 통한 교육이 아니라, 행동을 통한 교육에 방점을 두고 습관과 몸의 관계, 습관과 지식의 관계, 습관과 의미체계의 관계, 습관과 인간 형성의 관계를 심도 있게 다루고 있다. 그 가운데 예배는 습관을 통하여 참여자들의 정체성을 형성하는 주요한 예전임을 강조한다. 이러한 스미스의 입장을 긍정적으로 수용하여 본 논문은 우선 습관에 대한 주요 사상가들의 개념과 이해를 다룬다. 두 번째로, 몸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습관적 앎에 대하여 살펴본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습관 형성의 장으로서 예배에 대한 기독교교육적 이해를 다루고 있다. 예배는 일회적 사건이 아니라 규칙적으로 이루어지는 몸의 실천이라는 측면에서 습관과 뗄 수 없는 관계에 놓인다. 예배에서 이루어지는 참여와 몸의 활동을 통한 경험의 축적은 예배자의 세계를 이해하는 지평과 배경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논문은 습관 형성으로서의 예배의 기독교교육적 가능성을 조명하고 재확인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