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ll}$삼일신고(三一神誥)${\gg}$에 나타난 의료기공(醫療氣功)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medical Qigong mentioned in ${\ll}$Samilshingo${\gg}$ (三一神誥)

  • 반창열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한의학과 기공학)
  • Ban, Chang-Yul (Department of Oriental Medicine Graduate School Daegu Haany University)
  • 발행 : 2004.01.01

초록

최근 서구(西歐)에 불고 있는 명상(冥想)과 참선(參禪) 및 기공(氣功)붐과 더불어 우리 전통(傳統)의 양생법(養生法)들의 가치(價値)가 새롭게 평가(評價)되고 있는데, 아직 우리 고유(固有)의 이론적(理論的) 근거(根據)가 미흡(未洽)한 실정(實情)이다. 이에 저자(著者)는 한국의료기공(韓國醫療氣功)의 이론적고찰(理論的根據)를 마련하기 위해서 한국기공(韓國氣功)의 역사(歷史)를 시대순(時代順)으로 살펴보고, 한국기공(韓國氣功)의 이론적(理論的) 근거(根據)가 되는 ${\ulcorner}$${\lrcorner}$ 사상(思想)을 검토(檢討)한 후(後), ${\ll}$삼일신고(三一神誥)${\gg}$${\ll}$황제내경(黃帝內經)${\gg}$에 나타난 신(神)의 의미(意味)와 인체관(人體觀) 그리고 수련법(修鍊法)의 비교연구(比較硏究)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結論)을 얻었다. 삼국시대(三國時代)에 활기(活氣)를 띤 민족고유(民族固有)의 신선도(神仙道)는 점차(漸次) 도교(道敎)의 영향(影響)을 받아 통일신라시대(統一新羅時代) 이후(以後) 점점(漸漸) 쇠퇴(衰退)되어 겨우 명맥(命脈)만 유지하게 되었으며, ${\ulcorner}$${\lrcorner}$ 사상(思想)의 기원(起源)이 되는 삼대경전(三大經典)중 하나인 ${\ll}$삼일신고(三一神誥)${\gg}$에는 유(儒) 불(佛) 도(道) 삼교(三敎)의 원형(原形)이 포함(包含)되어 있었기 때문에 삼국시대(三國時代)부터 들어온 유(儒) 불(佛) 도(道)의 외래사상(外來思想)을 발전적(發展的)으로 수용(受容)할 수 있었다. ${\ll}$삼일신고(三一神誥)${\gg}$${\ll}$황제내경(黃帝內經)${\gg}$을 비교연구(比較硏究)한 결과 기공(氣功)의 이론적(理論的) 근거(根據)가 되는 세 가지 측면(側面)에서 공통(共通)된 점(點)을 찾아볼 수 있었다. 첫째, 신(神)의 의미(意味)에 있어, 천신(天神)과 인신(人神)의 층차(層差)가 존재하면서도 서로 상통(相通)하고 있으며 신(神)의 작용(作用)을 세 가지로 구분(區分)한다는 면에서 논리구조(論理構造)가 일치(一致)되는 공통점(共通點)이 있었다. 둘째, 인체관(人體觀)에 있어, ${\ll}$삼일신고(三一神誥)${\gg}$의 기일원론(氣一元論), 진망이분론(眞妄二分論), 성(性) 명(命) 정(精)과 심(心) 기(氣) 신(身)의 삼분론(三分論)과 형식적(形式的)인 면에서 공통점(共通點)이 있었고 또한 삼진(三眞)인 성(性) 명(命) 정(精)은 삼보(三寶)인 심(心) 기(氣) 신(身)의 이치적(理致的)인 측면(側面)으로, 삼망(三妄)인 심(心) 기(氣) 신(身)은 삼보(三寶)인 정(精) 기(氣) 신(神)의 기능적(機能的)인 측면(側面)으로 이해(理解)할 수 있었다. 셋째, 수련법(修鍊法)에 있어, ${\ll}$삼일신고(三一神誥)${\gg}$에 나타난 지감(止感) 조식(調息) 금촉(禁觸)의 수련법(修鍊法)은 각각(各各) 한의학(韓醫學)의 병인(病因)인 내인(內因) 외인(外因) 불내외인(不內外因)을 조절하는 방법(方法)으로 이해(理解)할 수 있었다. 즉 지감법(止感法)은 인간(人間)의 감정(感情)과 마음 그리고 본성(本性)을 조절(調節)하는 방법(方法)으로, 조식법(調息法)은 인체내부(人體內部)의 기운(氣運)뿐만 아니라 인체내외(人體內外)의 기운(氣運)을 조절(調節)하는 방법(方法)으로, 금촉법(禁觸法)은 인체(人體)의 이목구비(耳目口鼻)와 자세(姿勢) 그리고 생활습관(生活習慣) 등을 조절(調節)하는 방법(方法)으로 이해(理解)할 수 있었다. 이상(以上)의 결론(結論)을 통(通)하여 ${\ll}$삼일신고(三一神誥)${\gg}$에 나타난 신(神)의 의미(意味)와 인체관(人體觀) 그리고 수련법(修鍊法) 등이 ${\ll}$황제내경(黃帝內經)${\gg}$과 공통(共通)된 기공(氣功)의 이론적(理論的) 근거(根據)를 가지므로 ${\ll}$삼일신고(三一神誥)${\gg}$는 한국의료기공학(韓國醫療氣功學)에 있어서 큰 의의(意義)를 가지고 있으며, 향후(向後)에도 지속적(持續的)인 연구(硏究)가 필요(必要)할 것으로 사료(思料)된다.

Recently, meditation, Zen meditation and Qigong became popular in western. For that reason, Value of Korea traditional methods for health promotion have been evaluated but theoretical evidence about that is insufficient. ${\ll}$The Yellow Emperor's Inner Classic${\gg}$ (黃帝內經). So, I reviewed history of Korea Qigong according to period, in order to produce theoretical evidence of Korea medical Qigong and investigated ${\ulcorner}$Han${\lrcorner}$ thought (${\ulcorner}$${\lrcorner}$ 思想) as theoretical evidence of Korea Qigong. I have obtained following results by comparing meaning of god, a view of human body and practice method of the ${\ll}$Samilshingo${\gg}$ (三一神誥) with ${\ll}$The Yellow Emperor's Inner Classic${\gg}$ (黃帝內經). Sinsundo(神仙道) of native to race became active during the period of the Three Kingdoms but more disappeared due to under the influence of Taoism. So only has been remained in existence since the period of the unity silla. There could accept positively the foreign ideas belonging to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have been brought since the period of the Three Kingdoms because ${\ll}$Samilshingo${\gg}$ (三一神誥), one of three the scriptures as the origin of ${\ulcorner}$Han${\lrcorner}$ thought(${\ulcorner}$${\lrcorner}$ 思想) included the original form of three religion belonging to Confucianism, Buddhism, Taoism. Three common results as theoretical evidence of Qigong were found out by comparing ${\ll}$Samilshingo${\gg}$ (三一神誥) with ${\ll}$The Yellow Emperor's Inner Classic${\gg}$ (黃帝內經). First, in meaning of god, there is not only different from the gods of heaven and the gods of human but also keep understanding with each other and there was common feature of logical structure that function of god was divided into three. Second, In a view of human body, there were in common with ${\ll}$Samilshingo${\gg}$ (三一神誥) as theory of only as energy(氣一元論), theory of bisection as truth false(眞妄二分論), theory of trisection as spirit(性) destiny(命) nature(精) and mind(心) energy(氣) body(身)(性 命 精, 心 氣 身의 三分論) and ${\ll}$The Yellow Emperor's Inner Classic${\gg}$ (黃帝內經) as theory of only as energy(氣一元論), theory of bisection as shape and god(形神二分論), theory of trisection as nature(精) energy(氣) god(神) or shape(形) energy(氣) god(神)(精 氣 神, 形 氣 神의 三分論) according to formal part. Also, spirit(性) destiny(命) nature(精) as truths of three(三眞) were understand as nature(精) energy(氣) god(神) as treasure of three(三寶) by part of reason and mind(心) energy(氣) body(身) as false of three(三妄) were understand as nature(精) energy(氣) god(神) as treasure of three(三寶) by part of function. Third, In practice method, pause of thinking(止感) modulation of breath(調息). prohibition of sensibility(禁觸) mentioned in ${\ll}$Samilshingo${\gg}$ (三一神誥) as practice method each were understand regulation of an etiological cause as an internal cause, an external cause and not internal and external cause in oriental medicine. Namely, pause of thinking(止感) was understand as regulation method of emotion, mind and nature. modulation of breath(調息) was not only as modulation of energy from the inner parts of the body but also that from the internal and external parts of the body, prohibition of sensibility(禁觸) was understand as regulation method of ear, eye, mouth, and nose and posture, life style. These results suggest that ${\ll}$Samilshingo${\gg}$ (三一神誥) is worth meaning of Korea medical Qigong because meaning of god, a view of human body, practice method of mentioned in ${\ll}$Samilshingo${\gg}$ (三一神誥) is common with that of ${\ll}$The Yellow Emperor's Inner Classic${\gg}$ (黃帝內經) as theoretical evidence of Qigong.

키워드

참고문헌

  1. 漢醫學原論 金完熙深基相,金吉萱洪茂昌
  2. 氣와 人間科學 유아사 야스오
  3. 중국경기공 朴鐘寶
  4. 中國醫用氣功學 高鶴亭
  5. 삼일신고 최동환
  6. 譯解天符經三一神誥參佺형戒經 김청도
  7. 한철학 김상일
  8. 위대한 민족 송호수
  9. 弘益桓檀經 姜孝信
  10. 우리의 뿌리와 얼 강수원
  11. 동방의 밝은 빛(三一神誥의 哲學的 解義) 李日請;申盛宇
  12. 破閑集 李仁老(著);柳在永(譯)
  13. 韓國宗敎史 金得光
  14. 民族思想의 源流 安昶範
  15. 莊子 안동림(역주)
  16. 잃어버린 倍達思想과 東洋思想의 起源 安昶範
  17. 海東傳道錄${\cdot}$靑鶴集 李鍾殷(譯注)
  18. 朝鮮道敎史 李能和(著);李鍾殷(譯注)
  19. 朝鮮哲學史 河岐洛
  20. 역해 삼국유사 一然(著);朴性鳳(譯);高敬植(譯)
  21. 한국기공의 이론과 실제 김국성
  22. 한단고기 임승국
  23. 요해 한민족의 秘書 다물민족연구소
  24. 실증한단고기 이일봉
  25. 韓民族의 뿌리思想 송호수
  26. 환단고기 桂延壽(編著);李民樹(譯)
  27. 규원사화 北涯(著);高東永(譯)
  28. 반만년 대륙민족의 영광사 하나되는 한국사 고준환
  29. 科學과 道敎 都珖淳
  30. 大韓氣功醫學會誌 v.2 no.1 道家를 重心으로 본 養生法 歷史 이승훈;이호승
  31. 慶尙大學敎 敎育大學院 碩士學位論文 韓國固有思想으로서 神仙思想의 本質에 關한 硏究 李明嬉
  32. 잃어버린 桓(韓)民族上古由來史 李浩吉
  33. 韓國民族精神史 李永東
  34. 大韓醫療氣功學會誌 v.5 東醫寶鑑 內經編身形門의 醫療氣功學的 意義에 關한 考察 김성진;지선영
  35. 大韓氣功醫學會 no.???? 기공에 대한 개괄적 고찰 강희훈
  36. 大韓氣功醫學會誌 v.2 no.1 氣功에 對한 科學的硏究 側面의 考察 김준한;안병상;류영수
  37. 民族秘傳 정신수련법 정재승(편저)
  38. 大韓醫療功學會誌 v.6 韓國 氣功 團體의 現況 최은경;박승정;이기남
  39. 韓國文化史 大系 VI 高麗大學校民族文化硏究所
  40. 한국철학연구 제1집 v.1 한의 哲學 崔旼洪
  41. 仁川敎大論文集(敎育編) 한 思想의 歷史的 傳統性에 관한 硏究 金基泰
  42. 알타이 人文硏究 朴時仁
  43. 古家硏究 深柱東
  44. 韓國의 民族文化(학술대회보고총서) 李瑄根
  45. 韓國哲學 崔旼洪
  46. 國防大學院 碩士學位論文 한 思想과 韓國의 傳統思想 崔世鉉
  47. 민족사상과 정통종교의 연구 안호상
  48. 한국철학연구 v.16 한 思想의 原理와 經典 禹鍾模
  49. 한국철학연구 v.15 한 사상의 원리와 옛 기록 최민홍
  50. 한국철학연구 v.15 한 사상과 철학 우종모
  51. 한 철학 崔旼洪
  52. 韓國思想의 深層 趙明基(外)
  53. 한국동북아논총 v.6 韓國思想의 始原 硏究 深槿錫
  54. 한사상의 묘맥 이을호
  55. 弘益三經 孫敬植
  56. 이것이 개벽이다(下) 安耕田
  57. 弘益檀典(桓印) 姜孝信
  58. 圓光大學校 敎學大學院 碩士學位論文 開天經에 나타난 孝思想 硏究 姜東元
  59. 大韓醫療氣功學會誌 v.4 no.2 三一神話,眞理訓에 나타난 氣功原理 및 韓醫學과의 相關性에 關한 硏究 潘昌烈;池鮮渶;姜孝信
  60. 三一哲學(譯解倧經)合編 大倧敎總本司
  61. 宇宙變化의原理 韓東錫
  62. 內經多科學硏究 雷順群
  63. 內經的哲學和中醫學的方法 劉長林
  64. 中醫神主學說 王克勤
  65. 中醫形神病學 董連榮(等)
  66. 東醫生理學會誌 v.9 no.1 內經에 나타난 神의 意味 金廣中
  67. 大韓韓方醫學會誌 v.7 no.1 內經에 나타난 神의 考察 金知赫;黃義完
  68. 경희한의대논문집 v.19 no.2 神에 대한 硏究 丁彰炫;朴贊國
  69. 대한예방한의학회지 v.1 no.1 精神養生에 관한 文獻的 考察 琴宗喆;蘇敬順;金光湖
  70. 大韓原典醫史學會誌 v.11 no.2 黃帝內經의 形神關係論 丁彰炫
  71. 東醫生理學會誌 v.3 no.2 精神發顯에 관한 연구 蔣沂南;金完熙
  72. 內經詞典 武長春;張登本
  73. 出人 命門 中國醫學文化學導論 陳樂平
  74. 大倧經典總覽 姜天奉
  75. 大韓韓醫學原典學會誌 v.15 no.1 老子와 黃帝內經의 人間觀과 自然觀의 比較硏究 金度勳;洪元植
  76. 愛國志士 檀菴李容兌 先生文稿 박달재수련원
  77. 東醫生理學會誌 v.9 no.1 內經에 나타난 神의 意味 金廣中
  78. 大韓醫療氣功學會誌 v.4 no.1 黃帝內經에 나타난 氣功에 대한 文獻的 考察 허은호;김경환;윤종화
  79. 경희한의대논문집 v.17 no.2 素問 上古天眞論의 4部類 養生家의 養生에 關한 文獻的 考察 金東榮;蘇敬順;金光湖
  80. 東亞大學校部設스포츠科學論文集 v.18 韓國氣功 定立을 위한 方向設定에 관한 硏究 金永明;金相奎;申舜植
  81. 經山大學校 大學院 碩士學位論文 黃帝內經素問 卷之一 上古天眞論에 관한 硏究 金治東
  82. 圓光大學校 大學院 碩士學位論文 黃帝內經中 上古天眞論과 四氣調神大論에 對한 硏究 琴동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