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grant

검색결과 332건 처리시간 0.026초

외국인 노동자의 사회적 지지와 외로움과의 관계 (The Relation between Social Support and Loneliness in Migrant Workers)

  • 이순희;김신정;이영주;김숙영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67-74
    • /
    • 200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 of social support and loneliness and to examine of the relation between social support and loneliness in migrant workers. Methods: One hundred and thirty migrant workers were sampled from two churches located at Seoul and Gyeonggi-do in order to collect basic data onmigrant workers from August to December, 2007 using a questionnair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and ANOVA test. Results: 1) The average scores of social support and loneliness were $3.73{\pm}0.31$ and $2.57{\pm}0.31$, respectively. 2) With respect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ocial support, bu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loneliness according to religion (t=2.586, p=.001). 3)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social support and loneliness was not significant (r=-.010, p=.929). Conclusion: Social support should be considered in nursing intervention to decrease the level of loneliness in migrant workers. More studies are needed to identify variables influencing social support and loneliness in migrant workers.

  • PDF

Breaking Limitations: Constraints and Strategies of Indonesian Migrant Entrepreneurship in Taiwan

  • Rita Pawestri Setyaningsih;Paulus Rudolf Yuniarto;Yuherina Gusman
    • 수완나부미
    • /
    • 제15권2호
    • /
    • pp.187-213
    • /
    • 2023
  • As migrants develop businesses abroad, entrepreneurship needs specific strategies due to some barriers when establishing and doing businesses. This paper examines the kinds of problems that have been faced in Indonesian migrant entrepreneurships in Taiwan and how the entrepreneurs cope with the difficulties. They use structural and cultural strategies for survival, seize the opportunities for self-development, and develop future careers. Research result shows that the limitations of Indonesian entrepreneurships in Taiwan are related to institutional issues, migrant status, business regulations, resource-providing institutions, language barriers, competition among migrants and locals, and capital. Hence, migrant entrepreneurs must conduct strategic actions to continue their businesses by developing innovations to grow and survive. Some measures include changing from offline to online marketing especially when the COVID-19 pandemic hit, product diversification using migrants and local people's assistance and networks, and setting competitive prices. This paper is based on qualitative research. The data were obtained through interviews in East Java-Indonesia and in Taiwan in 2022. The data were analysed using the descriptive analysis with sociological perspectives.

Ritualism versus Universalism: The Challenge of Establishing an Effective Rights-Based Labor Migration Regime in ASEAN

  • Tigno, Jorge V.
    • 수완나부미
    • /
    • 제11권2호
    • /
    • pp.159-186
    • /
    • 2019
  • Southeast Asia accounts for nearly a tenth of total worldwide cross-border movements of migrant workers. Cambodia, Indonesia, Laos, Myanmar, and Philippines make up the sending countries while Malaysia, Singapore, and Thailand are the major destinations. Migrant worker movements are predominantly in production process and low- to medium-skilled sectors. It is not unusual for irregular or undocumented movements to take place. In not a few instances, migrants work under harsh and exploitative conditions. In recent years, however, ASEAN has taken steps to manage labor migration at the regional level. The paper argues that ASEAN has not managed these cross-border labor flows as well as it should particularly in terms of protecting and promoting the human rights of migrants. It will be difficult to establish the genuine building blocks for a regional human rights mechanism unless there is a diffusion of alternative universal norms and standards to what ASEAN already embodies. As long as states resist any attempt to weaken or question or deligitimize their capacity to determine who gets to enter, stay, and leave their jurisdictions, it will be difficult to establish an effective migrant rights framework for the region.

  • PDF

한국의 여성 결혼이주자정책 : 상호문화주의적 조망과 함의 (The Migrant Women Policy in Korea : Prospect and Implication in the point of Interculturalism)

  • 김경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9호
    • /
    • pp.21-33
    • /
    • 2014
  • 이 글에서는 한국 여성 결혼이주자정책의 특징과 한계를 상호문화주의(interculturalism)적 측면에서 조망하고 과제를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의 초점은 한국에서 압축적으로 급속하게 진행되고 있는 다인종사회화의 현황과 정책적 대응을 개괄하고, 여성 결혼이주자정책에서 나타나고 있는 인종 지향적이고 젠더 편향적인 이슈들을 검토한다. 그리고 여성 결혼이주자들은 '초국적 사회적 장'(transnational social field)에서의 독특한 정체성 재형성 과정을 거친다는 점에서 한국 여성 결혼이주자정책이 지향할 수 있는 현실적 지향점으로서의 상호문화주의의 개념과 특징, 유럽의 정책 및 사업 사례를 예시하고, '상호문화적 시민권'에 대한 인식 제고와 교육 프로그램 강화, '선택적 동화'를 통한 '다원적 통합' 지향, 여성 결혼이주자의 상호문화적응프로그램 강화, 한국의 특성을 고려한 상호문화성 측정 지표 개발과 평가 결과의 이주자정책에의 피드백 등 상호문화성 강화를 위한 과제를 제시한다.

다문화·탈북 가정 학생의 과학 학업성취도 특성 및 화학 문항 분석 (An Analysis of Science Academic Achievement and Chemistry Items for Multiple Culture and North Korean Migrant Students)

  • 김현경
    • 대한화학회지
    • /
    • 제58권3호
    • /
    • pp.303-312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전수로 시행된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중학생 과학 성취도를 다문화 탈북 집단별 성취특성, 문항별 집단별 정답률 및 변별도, 내용영역별, 정답률 차이가 큰 문항유형별 특성을 계량적, 질적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다문화 탈북 가정 학생의 과학과 학업성취도는 일반 학생에 비해 매우 낮았으며, 기초학력과 기초미달 학생의 비율이 매우 높았다. 또한 다문화 탈북 가정 학생의 하위집단별로 과학과 학업성취도가 다르게 나타났으며, 특히 중도입국 학생과 탈북 가정 학생의 학업성취도가 가장 낮았다. 일반 학생과의 정답률 차이가 큰 문항을 분석한 결과, 중도입국 학생과 탈북 가정 학생의 경우는 전 영역에서 고르게 취약한 반면, 외국인 가정 학생의 경우는 특정 영역에서 취약함을 보였다. 이로부터 다문화 탈북 가정 학생을 위한 교수 학습 및 교육 지원이 각각 집단의 상황을 고려하여 적합한 방식으로 이루어지도록 교육적 함의를 도출하였다.

결혼이주여성의 결혼만족도와 지역사회애착이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arriage Satisfaction and Community Attachment on Parenting Efficacy of the Married Migrant Women)

  • 최미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629-638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결혼이주여성의 결혼만족도와 지역사회애착이 양육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설문조사는 2017년 9월 말부터 10월 중순까지 약 3주간 진행되었고, 경기도 안산지역의 다문화가족지원센터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결혼이주여성으로부터 234부의 구조화된 설문지가 회수되었으며, 답변이 불성실한 응답지를 제외하고, 231명의 자료가 최종 분석에 활용되었다. 분석 방법은 SPSS 25 패키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 및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결혼이주여성의 결혼만족도와 지역사회애착은 양육효능감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역사회애착은 결혼만족도와 양육효능감 사이에서 부분 매개효과가 있음을 검증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하여 결혼이주여성의 결혼만족도와 지역사회애착 및 양육효능감 강화를 위한 정책 및 실천적 방안을 논의하였다.

한국 소설에 재현된 다문화 사회 장애 남성상 (Representations of the Korean Disabled Men Images through the Relationships in Multicultural Society in Korean Novels)

  • 김세령;남세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0호
    • /
    • pp.499-506
    • /
    • 2016
  • 본 연구는 한국 소설에 재현된 다문화 사회 장애 남성상에 주목하여 소설적 재현이 갖는 한계와 가능성, 결혼 이민 여성과 한국 장애 남성의 결합이 갖는 의미를 규명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목적에 부합하는 다섯편의 한국소설을 분석하고 비판하였다. 그 결과, 결혼 이민 여성과 결합한 장애남성의 경우 장애로 인해 본능에만 충실하거나 사회적 제약을 받는 소수자로서 재현되고 있으며, 결혼 이민 여성에 대한 가해자나 조력자로 드러나고 있다. 이는 결혼 이민 여성과 장애 남성의 결합이 가져올 수 있는 현실적인 문제들과 소설 속에 재현된 '장애'와 '남성'이 갖는 의미망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가치를 갖는다. 그러나 이러한 정형화된 표현은 다문화 사회에서 장애 남성이나 결혼 이민 여성에 대한 왜곡된 이미지를 초래할 수 있다는 점에서 문제적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문화 장애인 가정의 문제들이 개선되어 나가고, 소설 창작 속에서도 결혼 이민 여성과 한국 장애 남성이 편향된 재현을 벗어나 현실에 뿌리내린 대등한 소통관계로 온전히 그려졌으면 한다.

유럽연합의 경험을 통한 이주여성 사회프로그램 개발 방안에 대한 연구 (A Research on Development of Social Program for Migrant Women: considering EU experiences)

  • 한정원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12호
    • /
    • pp.41-46
    • /
    • 2015
  • 이주여성의 증가는 한국사회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지만, 적절한 사회프로그램이 제공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최근 이주여성은 사회적 약자의 위치에서 벗어나 자신의 문화를 지키고 스스로의 역량을 강화해 나가는 새로운 집단으로 부각되고 있다. 따라서 디아스포라의 함의를 포함하여 문화절충과 소수집단의 역량을 강화하는 측면에서 장기적이면서 비차별적인 사회프로그램의 개발이 시급한 상황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주의 역사가 오래된 EU의 이주여성을 위한 사회프로그램을 분석하여 앞으로의 사회프로그램개발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EU자료분석은 인터넷자료와 EU Commission의 공식자료를 주로 분석하여 표로 재구성하였다. EU 사회프로그램의 특징은 비차별, 완전 고용, 인권과 시민권을 기반으로 구성되었다는 것이고, 사회적배제의 차원이 아니라 사회포용정책의 일환으로 제공되고 있다. 단기간의 전시성 프로그램이 아니라 장기적으로 완전고용을 통한 시민권 보장을 위한 프로그램이 준비되는 것이 사회통합차원에서 필요할 것이다.

이주노동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 (Migrant Workers' Quality of Life Related to Health)

  • 김신정;이순희;김숙영;김애리;박현태;이영주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791-803
    • /
    • 200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llect basic data in the quality of life related to health in migrant workers. Methods: Data from 133 migrant workers was collected from August to December 2007 using a questionnaire from two free clinic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The data was scored by mean and standard deviation. Differences were evaluated according to the subjects' general characteristics by the t-test and the ANOVA test. The relationships in the quality of life related to health between the 9 sub-scales were evaluated by the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Results: 1) Total average score of migrant workers' quality of life related to overall health is $61.09{\pm}13.68$. The score of the quality of life related to physical health is $64.39{\pm}15.21$ and the quality of life related to mental health is $57.80{\pm}16.18$. 2) With respect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the quality of life related to health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age(F=3.852, p=.013), especially in physical health(F=6.868, p=.000). 3)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health and mental health was significant(r=.663, p=.000). Conclusion: Program development to improve quality of life related to health for migrant workers is needed.

  • PDF

공동체 라디오를 통한 다문화 인식개선과 스토리설계 방안 (Improvement of Multicultural Awareness and Story Building by Community Radio)

  • 홍숙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98-107
    • /
    • 2015
  • 본 연구는 공동체 라디오인 관악FM의 다문화프로그램인 '굿모닝 세상의 아줌마들'을 중심으로 이야기를 분석하였다. 이와 함께 제작진과 출연진에 대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여 공동체라디오가 생산하는 콘텐츠 및 제작자들이 인식하는 다문화 이해 증진을 위한 콘텐츠, 그리고 다문화 이해 증진을 위한 미디어 스토리텔링의 설계 방식에 대해 고찰하였다. 그 결과 이주여성들은 자국의 문화, 기후, 풍습 등에 대해 대표성을 갖고 대체로 공적인 담론을 펼치고 있었으며, 한국 제작진들은 프로그램을 통해 이주여성의 문화에 대한 이해와 소통, 사적 경험의 공유를 원한 반면 이주여성들은 자국 문화에 대한 이해와 존중, 차별의 철폐 등을 바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다문화 인식 개선을 위한 스토리텔링은 공적 담론을 전제로 한 사적담론이어야 하며, 한국과 이주민 문화를 모두 경험하고 잘 아는 매개자의 활용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또한 매체에 적합한 이야기의 기획과 구성, 전달을 위해 이주여성들에 대한 교육과 제작 지원이 필요하다는 것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