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methoxyl content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18초

Aspergillus japonicus에서 추출한 Pectinesterase를 이용한 Low Methoxyl Pectin Gel 및 LMP 사과 Jelly 제조에 관한 연구 (The Preparation of Low Methoxyl Pectin Gel and LMP Apple Jelly with Pectinesterase Isolated from Aspergillus Japonicus)

  • 최정선;오혜숙;윤선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1권5호
    • /
    • pp.542-547
    • /
    • 1995
  • Pectinesterase was isolated from the culture medium of Aspergillus japonicus and partially purified by DEAE-Sephadex batchwise, Sephadex G-75 gel filtration and ion exchange chromatography. The purified enzyme solution was completely free from polygalacturonase which depolymerizes pectin molecule. The ability of the pectinesterase to demethylate high methoxyl pectin was investigated. On 20 minute of incubation methoxyl content of low methoxyl pectin decreased from 88% to 6.93%. In general gel prepared with the pectin containing lower methoxyl content showed the lower value of percent sag, and showed the hieher Bel strength. Textural characteristics of pectin gel determined by Rheometer showed that as the methoxyl content was lowered, hardness and resilience of the gel were increased and cohesiveness was decreased. Apple juice containing HMP and organic acids can be converted into low methoxyl pectin apple jelly by the action of pectinesterase and addition of calcium ion. The strength of low methoxyl pectin apple jelly increased when it stored at room temperature.

  • PDF

감귤과 유자중의 펙틴질의 이화학적 성질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Pectic Substances from Citrus Fruits)

  • 이헌주;이혜수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9-12
    • /
    • 1990
  •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order to investigate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isolated pectic substances from Citron, Satsuma mandarin, Marumero, and Natsudaidai. Among varieties, Citron had the highest value of isnoluble pectin and Marumero had the hightest ratio of soluble pection. The total pectin contents isolated by 2% Sodium hexameta-phosphate(SHMP) varied in the range of 1.85% ~ 2.63%. Anhydrogalacturonic acid(AUA) contents were 78.64%~89.14% and were lower than commercial pectin. Isolated pectin contained above 7% methoxyl content and above 50% esterification. The apparent molecular weight of commercial pectin and isolated pectin were 72,000 and 42,000~46,000 respectively. Esterification and ester methoxyl content were the lowest and apparent molecular weight was the highest in Satsuma mandarin. Citron's values were a little higher in esterification and ester methoxyl content and lower in apparent molecular weight than the others.

  • PDF

Bacillus subtilis IFO 12113 유래 Protopectinase 를 이용산 사과박의 펙틴 추출 (Extraction of Pectin from Apple Pomace with Protopectinase produced by Bacillus subtilis IFO 12113)

  • 육현균;황용일;최정선;조용진;이승철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2권1호
    • /
    • pp.1-5
    • /
    • 1999
  • Protopectinase는 불용성의 프로토펙틴을 수용화시켜 펙틴을 생산하는 효소로서, 사과박으로부터 펙틴추출을 위한 최적 pH, 반응시간, 반응온도를 조사하였다. 효소 작용 최적조건은 pH 7.8, $60^{\circ}C$에서 48시간의 반응시간이었으며, 펙틴 추출률은 34.3%이었다. 최적조건에서 protopectinase에 의해 추출된 펙틴의 순도는 52.9%이었으며, methoxyl 함량은 2.75%로서 저 methoxyl 함량의 펙틴이었다. 효소 반응 온도와 시간은 펙틴의 추출률과 methoxyl 함량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반응 pH는 사과박의 펙틴 추출률과 methoxyl함량에 크게 영향을 미쳤다. 최적조건에서 추출된 펙틴의 고유점도와 분자량은 각각 0.178 ml/g과 4,900이었다.

  • PDF

Studies on the Poplar Deltoides Lignin Preparation and Effects on Its Structure Modifications

  • Naithani Ved P.;Madan R.N.
    • 한국펄프종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펄프종이공학회 2006년도 PAN PACIFIC CONFERENCE vol.2
    • /
    • pp.257-263
    • /
    • 2006
  • This paper examines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structural features of thio lignin and alcohol lignin preparations extracted from fast-growing poplar wood. The lignin preparations were characterized using UV, IR and alkaline nitrobenzene oxidation methods. The yield was higher in thiolignin due to its preparation from wood under drastic alkaline conditions and almost the total amount of alkaline degraded lignin was precipitated except acid soluble lignin. In case of ethanol lignin, structural modifications were comparatively less and form a cream colored lignin more or less similar to its original natural color. The methoxyl values were higher due to syringyl unit present in hard wood lignin in addition to guaicyl unit present in soft wood. The higher values of methoxyl content of isolated lignin revealed that it was built up of high syringyl units. The elementary analysis, methoxyl group and hydroxyl groups were presented by $C_{9}$ formula indicated that it was made up of phenyl propane monomers. Nitrobenzene oxidation of thio lignin and ethanol lignin yield more or less the chromatograms of similar pattern, except difference in relative percentage. The ultra violet spectra of lignins were quite similar, irrespective of the source and method of isolation. Infrared spectroscopy studies of poplar deltoides, thio and ethanol lignin shown different absorption bands which have been utilized for structural investigations.

  • PDF

과일 내의 pectin 함량 및 성숙도에 따른 pectin 특성 변화에 관한 연구 (Chemical and Gelation characteristics of Pectins Obtained from Ripened and Unripened Crabapples)

  • 문수재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3-39
    • /
    • 1981
  • This study was attempted to determine the pectin contents of various fruits(Cherry, strawberry, plum, peach, apricot, apple, crabapple) and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the properties of pectin and pectin gel during crabapple ripening. Methoxyl content, molecular weight and intrinsic viscosity were measured in ripened and unripened crabapples. In order to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of pectin gel, percent sag was measured by exchange Ridgelimeter, hardness and textural characteristics of jellies were measured by a penetrometer and a texturometer. The experimental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pectin contents of various fruits were 1.16% for cherry, 3.17% fir strawberry, 4.29% for plum, 5.51% for apricot, and pectin contents of peaches and apples varies depends on varieties from 4.54% to 5.61% to 6.52, respectively. The pectin contents of unripened and ripened crabapple wee 9.21% and 9.84% respectively, indicating that pectin content increased with fruit maturity. 2. The methoxyl contents, which was 6.61%~6.95%, was very low and it increased significantly during fruit ripening. Further, a decrease in acetyl content, intrinsic viscosity, molecular weight occurred during the ripening of crabapples. 3. The percent sag of crabapple jellies increased with fruit maturity from 5.26% to 5.79%, and the corresponding jelly grade decreased in ripened crabapple. 4. The hardness of jellies determined by a penetrometer was 79.15 pp.U. for ripened crabapple jelly, 90.62 pp.U. for unripe ned crabapple jelly. 5. In the textural characteristics of gels measured by a texturometer, the gels made from unripened crabapple were shown to have the highest values in hardness, cohesiveness, adhesiveness and gumminess.

  • PDF

Exo-polygalacturonase를 이용한 사과박의 펙틴 추출 (Extraction of Pectin with Exo-polygalacturonase from Apple Pomace)

  • 이승철;육현균;배성문;황용일;최정선;조용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68-73
    • /
    • 1999
  • 사과박에서 WAIP의 함량은 32.5%로 추출되었으며, 산처리를 통한 펙틴 추출수율은 약 8%로 나타났다. EPG는 불용성의 프로토펙틴을 수용화시켜 펙틴을 생산하는 효소로 최적조건시 높은 수율을 나타낼 수 있기 때문에 EPG를 이용하여 펙틴추출 조건을 pH, 시간, 온도, 효소 첨가량 등을 조사하였다. 먼저 최적조건을 조사한 결과 pH 7, 60시간, $45^{\circ}C$로 그 추출률은 27.1%로 측정되었다. 펙틴의 순도를 측정한 결과 산 추출 펙틴은 75.7%이었고, 효소를 이용하여 추출한 펙틴은 80.1%로 나타났다. 또한 methoxyl 함량을 측정한 결과 산 추출 펙틴은 2.44%, 효소 추출 펙틴은 6.36%로 저 methoxyl 펙틴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효소 추출물의 경우 저 methoxyl 펙틴으로 설탕을 전혀 첨가하지 않아도 2가 이상의 금속이 존재하면 겔의 망상구조를 만들 수 있으므로 저 칼로리 식품에 대한 겔화제로서 이용이 기대된다.

  • PDF

한국산 사과의 품종별 펙틴물질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ectic Substances of Korean Apple Varieties)

  • 임화재;이혜수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65-70
    • /
    • 1986
  • 수확적기의 한국산 사과품종별 총펙틴함량과 각 펙틴 fraction 함량을 알아보고 2% Sodium hexa metaphosphate (SHMP)로 추출한 펙틴의 품종간 그리고 시판 펙틴과의 성분을 비교하였다. Nitta 방법에 의해 정량한 사과의 품종별 펙틴함량은 건조중량으로 1.76∼4.0%로 품종간에 차이를 보여 국광이 4.0%로 가장 높았으며 스퍼 얼리 브래이스 골덴 딜리셔스, 후지, 홍옥의 순이었다. 각 펙틴 fraction을 보면 용해성 펙틴함량은 국광이 가장 낮았고 스퍼 얼리 브레이스와 골덴 딜리셔스가 가장 높았다. 한편 스퍼 얼리 브레이스와 골덴 딜리셔스의 불용성 펙틴함량이 낮은 것으로 보아 이 두 사과는 숙성초기에 펙틴물질이 많이 변하는 것 같다. 2% SHMP로 추출한 총펙틴질의 성분 분석에서 회분함량은 사과품종간에 차이를 보이며 시판 펙틴보다 높았다. Anhydrogalacturonic acid (AUA) 함량은 시판 펙틴보다 낮으며 품종간에 범위가 다양했다. 메톡실함량은 시판펙틴보다 높으며 모든 사과품종이 70% 이상의 에스터화정도를 가졌다.

  • PDF

염절임 및 가열에 의한 배추조직의 구조와 펙틴의 변화 (Changes in Tissue Structure and Pectins of Chinese Cabbage during Salting and Heating)

  • 유명식;김주봉;변유량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420-427
    • /
    • 1991
  • 배추의 염절임 및 가열처리 중의 조직구조 변화를 현미경적으로 관찰하고 펙틴질을 분별 정량하였으며 조직의 내부구조를 cytorrhysis로 측정하였다. 배추줄기 조직의 유세포의 세포막은 염절임시 수축 파괴되며 세포간 공간의 포집공기와 세포액은 세포수축과 함께 중엽을 파괴하면서 유출되었다. 배추조직의 펙틴은 주로고 메톡실 펙틴인 pA와 저 메톡실 펙틴인 pB로 구성 되었고 염절임 및 $60{\sim}70^{\circ}C$의 저온 가열시 상당량의 pA는 작용으로 pB로 전환되었고 $80^{\circ}C$ 이상으로 가열처리하면 열분해로 pB가 감소되었으며 열처리 중 조직의 firmness는 pB의 함량과 상관관계가 높았다(r=0.996). Cytorrhysis 실험결과 염절임 및 $60^{\circ}C$의 저온처리에서는 조직의 pore size가 더 작아졌고 $80^{\circ}C$ 이상의 고온 열처리에 의하여 조직의 pore size가 커졌는데 이는 저온에서 pB의 증가에 의해 조직이 더 치밀해지고 고온 열처리에서는 가열분해된 pB가 용출되면서 조직이 더 엉성해졌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유자로부터 펙틴의 추출 및 이화학적 특성 (Extraction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he Pectin in Citron Peel)

  • 박수미;이현희;장해춘;김인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569-573
    • /
    • 2001
  • 본 연구는 유자 과즙 제조시 부산물로 생기는 유자박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해 펙틴 물질을 추출하여 그 수율을 측정하였고, 추출된 펙틴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추출용매로서 무기산은 HCl을, 그리고 유기산은 citrate 와 tartrate를 사용하였다. 각각의 용매에 대하여 추출비율을 달리하여 펙틴을 추출한 결과 1:20이 가장 좋은 비율(건조 유자박: 용매, w/v)로 나타났으며, 사용한 추출용액의 최적 농도는 무기산인 경우는 0.05N, 유기산인 경우는 0.1N이었다. 펙틴 추출과정에서 펙틴에 잔존하는 당을 제거하기 위해 95% ethanol로 1차 펙틴을 침전시킨 후, 65% ethanol로 6회 세척하였다. 펙틴의 추출 수율은 0.05N HCl은 18.7%, 0.1N citrate는 15.5%, 그리고 0.1N tartrate는 11.4%이였다. 추출한 펙틴의 DE는 42.97~47.55%로 low methoxyl pectin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intrinsic viscosity는 0.94~2.63의 범위였다. 분리한 펙틴의 당조성은 무기산으로 추출된 펙틴(4.2~4.7%)이 유기산으로 추출된 펙틴(15~19%)에 비하여 arabinose가 적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rhamnose, xylose, glucuronic acid, galacturonic acid, galactose 그리고 glucose의 당 함량은 추출된 세 종류의 펙틴에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 PDF

배박에서 펙틴의 추출을 위한 Exo-polygalacturonase의 반응조건 검토 (Investigation of Reactive Conditions to Extract Pectin with Exo-polygalacturonase from Pear Pomace)

  • 육현균;최진호;조용진;하정욱;황용일;이승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971-976
    • /
    • 1999
  • WAIP에 존재하는 총 galacturonic acid의 함량은 34.6%로 측정되었으며, 산처리를 통한 펙틴 추출수율은 약6.2%로 나타났다. EPG는 불용성의 프로토펙틴을 수용화시켜 펙틴을 생산하는 효소로 최적조건시 높은 수율을 나타낼 수 있기 때문에 EPG를 이용하여 펙틴추출 조건을 온도, 시간, pH, 효소 첨가량 등을 조사하였다. 먼저 최적조건을 조사한 결과 $60^{\circ}C$, 36시간, pH 7.8로 그 추출률은 23.2%로 측정되었다. 기질과 효소 반응 최적비를 측정한 결과 10:1(w/w)에서 23.4%로 가장 높은 추출 수율을 나타내었다. 펙틴의 순도를 측정한 결과 산 추출 펙틴은 71.7%이었고, 효소를 이용하여 추출한 펙틴은 34.7%로 나타났다. 또한 methoxyl 함량을 측정한 결과 산 추출 펙틴은 5.0%, 효소 추출 펙틴은 0.7%로 저 methoxyl 펙틴으로 나타났다. 한편, 추출된 펙틴의 평균 분자량은 효소 추출 펙틴의 경우 $2.5{\times}10^{3}$이었으며, 산 추출 펙틴의 경우 $8.4{\times}10^{3}$으로 나타나 분자량이 적은 펙틴이 추출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