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tastasis(傳移)

검색결과 1,007건 처리시간 0.026초

위 점막하층암의 임상병리학적 특징과 수술 방법 (Clinicopathologic Characteristics of and Surgical Strategy for Patients with Submucosal Gastric Carcinomas)

  • 박찬용;서경원;주재균;박영규;류성엽;김형록;김동의;김영진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5권2호
    • /
    • pp.89-94
    • /
    • 2005
  • 목적: 조기위암은 진행위암에 비해 월등히 좋은 예후를 보인다. 조기위암의 5년 생존율은 현재 $90\%$를 상회하며 치료가 가능한 암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조기위암에서 중요한 예후인자는 림프절 전이의 존재 여부이다. 요즘 조기 위암에 대해 보존적 술식이 제안되고 있지만 각 개인에 있어서 적절한 술식을 선택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후향적 연구는 점막하층암에서 적절한 치료 방법을 결정하기 위해서 임상병리학적 형태와 림프절 전이와 관련된 인자들을 명확히 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대상 및 방법: 본 연구의 대상은 전남대학교병원에서 1981년부터 1999년 사이에 수술을 받았던 점막하층암(I군) 279예의 임상병리학적 특징을 점막암(II군), 근육층암(III군)과 비교한 것이다. 각 군들 간에 나이, 성별, 종양의 위치, 간 전이 여부, 복막파종 여부 등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과: 림프절 전이는 점막하층암 279명 중 47명($16.8\%$)에서 보였다. 점막하층암에서 림프절 전이는 점막에서 보다 유의하게 높았다($16.8\%\;vs.\;3.9\%$; P<0.01). 점막하층암(I군)에서 5년 생존율은 $88.6\%$이며 점막암(II군)과 근육층암(III군)에서는 각각 $95.2\%$$72.7\%$였다(I군 vs. II군, I군 vs. III군; P<0.01). 점막하층암 환자에서 림프절 전이가 있는 경우 생존율은 림프절 전이가 없는 경우에 비해 유의하게 불량하였다($82.2\%\;vs.\;93.6\%$; P<0.01). 결론: 점막하층암에서 림프절의 전이유무가 중요한 예후인자이므로 D2 림프절 곽청술을 포함한 위절제술이 점막 하층암 환자에서 적절한 수술적 방법으로 사료된다. 예후 인자라고 할 수 있다. STI-571은 재발 혹은 전이 환자에 있어 치료 효과를 나타내므로 술후 치료에 적용하는 것이 예후 향상에 기여하리라 생각된다.한 검사로 환자의 일반적인 상태를 반영하며, 특히 혈소판 증가증, 혈청 알부민 감소, 빈혈 등이 나타난 경우 병의 예후가 나쁠 것임을 예측하는데 유용한 것으로 판단된다.서는 C/C 116($40\%$), C/T 103$40\%$), T/T 68($24\%$)이었다(P=0.045). 암의 위치에 따른 MTHFR유전자형의 분포는 위 하부에서 C/C 16($28\%$), C/T & T/T 42($77\%$)이었고, 위 중부 및 상부에서 C/C 2($5\%$), C/T & T/T 36($75\%$) 이었다(P=0.006). 환자군 내에서 흡연력 유무에 따른 MTHFR유전 자형의 분포는 흡연력이 있을 때 C/C 13($23\%$), C/T & T/T 43($77\%$)이었고, 흡연력이 없을 때 C/C 5($12\%$), C/T & T/T 35 ($88\%$)였다(P=0.189). 환자군 내에서 음주력 유무에 따른 MTHFR유전자형의 분포는 음주력이 있을 때 C/C 12($26\%$), C/T & T/T 33($74\%$)이었고, 음주력이 없을 때 C/C 6($12\%$), CT & T/T 45($88\%$)였다.(P=0.063). 결론: 본 연구에서는 MTHFR C/T & T/T 유전자 다형성이 위암의 발생과 그 위치에 대해 관련이 있는 것으로 여겨지고, 흡연력, 음주력과는 관련이 없는 것으로 여겨진다.

  • PDF

신장암의 기관지내 전이 1예 (A Case of Endobronchial Metastasis from Renal Cell Carcinoma 10 years After Nephrectomy)

  • 임수진;김지민;권지혜;최준;김철태;김호균;전미영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2권5호
    • /
    • pp.557-562
    • /
    • 2002
  • Pumonary metastases from renal cell carcinoma are common, but metastases in the large brohchi are uncommon and recurrence of renal cell carcinoma 10 years after primary resection is rare case. When endobronchial metastasis do present they usually simulate, clinically and radiologically, bronchial carcinoma. We report a 67-year-old man with endobronchial metastasis of renal cell carcinoma 10 years after radical nephrectomy with a brief review of the literature.

두경부종양 환자에서 경부림프절 전이의 분포에 관한 고찰 (Distribution of Neck Node Metastasis in Head and Neck Cancer)

  • 신현수;금기창;김귀언;서창옥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9-17
    • /
    • 1999
  • Objectives: The records of 936 patients with previously untreated carcinoma of the head and neck were reviewed in order to define the incidence and topographical distribution of neck node metastasis on admission. Materials and Methods: The common regions of metastasis are presented for each of the 12th individual head and neck sites selected for study. Results and Conclusion: Knowledge of the preferred areas of spread and those that are almost never involved allows the design of more adequate radiation therapy plans to manage the individual tumors.

  • PDF

향나무 추출물의 Galectin-3 저해에 의한 암 전이 억제 효과 (Anti-Metastatic Activity of Juniperus chinensis Extract by Galectin-3 Inhibition)

  • 이경호;이기형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713-718
    • /
    • 2012
  • 향나무 에탄올 추출물에 대한 암 전이 억제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세포 수준에서 암 전이에 밀접히 관련되어 있는 galectin-3에 대한 억제 효과를 colon 26-M3.1 lung carcinoma에서 측정하였다. 향나무 추출물 $5{\mu}g/m{\ell}$, $50{\mu}g/m{\ell}$$500{\mu}g/m{\ell}$ 처리 시, 농도 의존적으로 galectin-3에 대한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다. 한편, 암 전이 관련 있는 또 다른 단백질로 MMP 효소에 대한 직접적인 억제효과를 측정한 결과, 향나무 추출물 $5{\mu}g/m{\ell}$, $50{\mu}g/m{\ell}$$500{\mu}g/m{\ell}$ 처리 시 직접적으로 MMP-1, MMP-2 및 MMP-9 효소에 대해서 농도의존적인 저해 효과는 나타났으나, 강한 활성으로 평가되지는 못하였다. Colon 26-M3.1 lung carcinoma을 이용한 in vivo mouse 모델에서 향나무 추출은 농도 의존적으로 전이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고, MMP-2 활성화 물질인 relaxin과 병용투여 시, relaxin의 기능에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in vivo mouse 모델에서 나타난 암 전이 억제 효과는 galectin-3 저해로 인한 효과로 사료된다.

흉부 세침 흡인 생검 후 발생한 폐암의 이식성 체벽 전이 2례 (Implantation Metastasis of Lung Cancer to Chest Wall after Percutaneous Fine-Needle Aspiration Biopsy)

  • 정승묵;원태경;김태형;황흥곤;김미영;정원제;임병성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0권6호
    • /
    • pp.718-725
    • /
    • 2001
  • 세침흡인생검을 통한 폐암의 파종성 체벽 전이는 매우 드물기는 하나 환자의 예후를 현저히 악화시킬 수 있는 매우 심각한 합병증이다. 그러나 그 보고가 매우 드문데, 본 저자등은 2예를 경험하여 이를 성공적으로 치료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43세 여자환자는 선암 IB로 수술 후 2년후에 이식성 체벽 전이암이 발생하여 이를 종양 적출술 및 방사선 치료를 하였다. 다른 65세 남자환자는 편평상피세포암 IB로 수술을 시행한 8개월 후 무통성 체벽 전이암이 발생하여 종양 적출술과 방사선 치료를 병행하였다. 그 후 이들은 체벽의 이식성 전이암을 제거한지 각각 15개월과 37개월이 지난 현재까지 생존해 있다. 아직까지 세침흡인 생검 후 발생한 암의 이식성 체벽전이에 대한 확립된 치료 지침은 없으나, 그간의 문헌의 고찰 및 본 저자등의 경험을 비추어 암 적출술과 방사선 치료를 병행하였을 경우 성공적으로 치료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혈관 육종의 폐 전이에 의한 기흉 (Pneumothorax due to Metastasis of Angiosarcoma to the Lung)

  • 함석진;백효채;김창완;권지은;최형윤;이두연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3권2호
    • /
    • pp.228-231
    • /
    • 2010
  • 3년 전 두피에 발생한 혈관 육종의 과거력이 있는 80세 남자 환자가 호흡 곤란을 주소로 본원 응급실 내원하여 시행한 흉부 X-ray상 좌측 기흉이 진단되었다. 환자는 3년 전 혈관 육종으로 두피의 종양 절제와 방사선 치료를 받았다. 입원 후 지속되는 공기 누출로 폐쐐기 절제술을 시행 받았으며 병리 검사상 혈관 육종의 폐전이가 진단되었다. 환자는 방사선 치료를 시행하였으나 혈관 육종의 폐전이 악화로 폐절제술 후 15개월에 사망하였다. 혈관 육종은 노인에서 두피 또는 얼굴에 호발하는 악성도가 높은 종양으로 드물게 폐에 공동성 병변의 형태로 전이되어 기흉을 발생시킨다. 저자들은 두피에 발생한 혈관 육종의 과거력이 있는 환자에서 폐전이에 의한 기흉을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점액성 지방육종: 단일기관 치료 결과 (Myxoid Liposarcoma: A Single Institute Experience)

  • 조완형;송원석;한강희;전대근;공창배;남희승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4권5호
    • /
    • pp.440-446
    • /
    • 2019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사지에 발생한 점액성 지방육종 환자의 치료 결과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여 생존율과 재발 및 전이의 양상 등 치료 결과를 알아보고,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1월부터 2015년 12월까지 원자력병원에서 점액성 지방육종으로 치료 받은 91명의 환자(일차성 83명, 재발성 8명)를 대상으로 하였다. 치료 후 재발 및 전이 발생 및 생존율 및 생존의 예후 인자를 조사하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84개월(범위, 5-196)개월이었다. 결과: 전체 환자의 5년 및 10년 생존율은 82%, 10년 생존율은 74%였다. 일차성 환자에서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종양의 크기(p=0.04), 원형 세포 분포 정도(p<0.0001), 병리적 등급(p=0.0002), 국소 재발(p=0.006)이었다. 폐외 전이는 전이 환자의 75.0%(18/24)에서 나타났으며 전이 후 평균 생존 기간은 26개월(범위, 2-72개월)이었다. 결론: 점액성 지방육종은 주로 하지에 발생하며 종양의 크기, 병리적 등급, 원형 세포의 분포, 국소 재발 여부가 예후에 영향을 미치고, 다른 일반적인 육종과 달리 폐 이외의 전이를 많이 하는 특징이 있음을 치료 또는 추시중 유의해야 할 것이다.

전이성 거세 저항성 전립선암의 치료 반응 평가를 위한 뼈스캔 기반의 전이성 골병변 반응 평가 지침: Prostate Cancer Clinical Trial Working Group 3 권장사항 (Guidelines for Evaluating Treatment Response Based on Bone Scan for Metastatic Castration-Resistant Prostate Cancer: Prostate Cancer Clinical Trial Working Group 3 Recommendations)

  • 장지성;이정현;박계진;김경원;박효정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4권6호
    • /
    • pp.1244-1256
    • /
    • 2023
  • 전립선암에서 뼈는 가장 흔한 전이병소이며, 전립선암의 질병 상태를 파악하고 치료 반응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전이성 골병변의 평가가 필수적이다. 거세 저항성 전립선암은 남성호르몬을 거세 수치로 떨어뜨렸음에도 불구하고 암이 진행하는 상태를 의미하며, 이 상태에서는 원격 전이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거세 저항성 전립선암의 치료 반응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뼈스캔을 기반으로 한 Prostate Cancer Working Group 3 (이하 PCWG3) 가이드라인이 발표되었으나 실제 이를 쉽게 숙지하여 적용하기에는 어려운 점이 있다. 본 종설에서 PCWG3 가이드라인에 준한 거세 저항성 전립선암의 뼈스캔 기반 골병변 반응 평가를 위한 구체적인 영상 획득 방법 및 치료 반응 평가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조기 위암 환자에서 전이암과 감별이 필요했던 간내 단발성 궤사성 결절: 3T MRI 및 PET/CT 소견 (Solitary Necrotic Nodule of the Liver Mimicking Metastasis in Patient with Early Gastric Cancer : 3T MRI and PET/CT Findings)

  • 최우선;김기현;이화연;이종범;권귀영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13권2호
    • /
    • pp.213-217
    • /
    • 2009
  • 간에 생기는 단발성 괴사성 결절은 매우 드문 양성 질환으로 대개 아무 증상 없이 우연히 발견되고, 간에서 생길 수 있는 여러 가지 단발성 병변과의 감별을 필요로 하며, 특히 악성 종양의 병기 결정에 있어서 간내 전이암과 구별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고 알려져 있다. 영상의학적으로 간의 단발성 괴사성 결절은 조영증강이 얼거나 미약한 주변부 조영증강을 보이는 경계가 좋은 간내 결절로 보고되고 있다. 하지만 단발성 괴사성 결절이 영상에서 과녁 모양으로 보이는 경우는 지금까지 보고된 바 없으며, 특히 고자장의 자기 공명 영상과 양성자 방출 단층 촬영 소견이 보고된 경우도 전무하다. 이에 저자들은 조기 위암 환자에서 과녁 모양으로 보여 전이암과 감별이 어려웠던 간내 단발성 결절을 경험하여 이의 다양한 영상 소견을 보고하고자 하며, 병리학적 소견과 이에 대한 문헌 고찰을 통해 원인을 알아 보고자 하였다.

  • PDF

다발성 근골격계 전이로 오인된 신세뇨관 산증이 동반된 Sj$\"{o}$gren 증후군 (Sj$\"{o}$gren's Syndrome with Renal Tubular Acidosis mimicking Multiple Skeletal Metastasis)

  • 정국진;유정한;노규철;이동녕;윤회수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43-47
    • /
    • 2007
  • Sj$\"{o}$gren 증후군은 외분비샘에 임파구 침윤으로 발생한 안구와 구강 건조를 특징적인 증세로 하는 만성적이며 서서히 진행하는 자가면역질환이나 저자들은 건조성 증세 없이 전신적 증세만을 호소하였으며 방사선 검사상 다발성 근골격계 전이로 오인되었으나 신세뇨관 산증을 동반한 일차성 Sj$\"{o}$gren 증후군으로 확진되었던 증례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