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asuring tool

검색결과 1,280건 처리시간 0.029초

감마나이프 퍼펙션의 자동환자이송장치에 대한 정렬됨 평가 (The Alignment Evaluation for Patient Positioning System(PPS) of Gamma Knife PerfexionTM)

  • 진성진;김경립;허병익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203-209
    • /
    • 2020
  • 본 연구는 렉셀 감마나이프 퍼펙션 모델에서 다양한 무게를 가진 자동환자이송장치의 안정성 즉 정렬됨 평가를 위함이다. 퍼펙션 자동환자이송장치의 정렬됨을 평가하기 위해서 부산, 경남 소재 3개 대학병원에서 교정된 서비스 다이오드 테스트 도구를 사용하여 다중 빔의 방사선 초점과 감마나이프 교정 중심점의 일치성에 대한 방사상 편차 △r을 측정하여 평균하였다. 자동환자이송장치 상에 무게 없이 모든 콜리메이터 4, 8, 16 mm에 대한 중심 다이오드에 조사와 4 mm 콜리메이터에 대한 짧은 다이오드와 긴 다이오드에 조사한 경우를 살펴보면 중심 다이오드에 4, 8, 16 mm 콜리메이터 각각 조사 시 검증 차이 즉 방사상 편차의 평균은 각각 0.058 ± 0.023, 0.079 ± 0.023, 0.097 ± 0.049 mm로 나타났고, 중심 다이오드, 짧은 다이오드와 긴 다이오드에 4 mm 콜리메이터 조사 시 방사상 편차의 평균은 각각 0.058 ± 0.023, 0.078 ± 0.01, 0.070 ± 0.023 mm로 나타났다. 무게 없이 짧은 다이오드와 긴 다이오드에 8, 16 mm 조사 시 방사상 편차의 평균은 각각 0.07 ± 0.003(8 mm sd), 0.153 ± 0.002 mm(16 mm sd)와 0.031 ± 0.014(8 mm ld), 0.175 ± 0.01 mm(16 mm ld)로 측정되었다. 다양한 무게 50 ~ 90 kg을 자동환자이송장치에 올린 경우 4, 8, 16 mm에 대한 중심 다이오드에 조사 시 방사상 편차의 평균은 각각 0.061±0.041 ~ 0.075±0.015, 0.023±0.004 ~ 0.034±0.003, 0.158±0.08 ~ 0.17±0.043 mm를 나타냈다. 또한 동일한 상황에서 4, 8, 16 mm에 대한 짧은 다이오드에 조사 시 방사상 편차의 평균은 각각 0.063±0.024 ~ 0.07±0.017, 0.037±0.006 ~ 0.059±0.001, 0.154±0.03 ~ 0.165±0.07 mm로 나타났다. 그리고 4, 8, 16 mm에 대한 긴 다이오드에 조사 시 방사상 편차의 평균이 각각 0.102±0.029 ~ 0.124±0.036, 0.035±0.004 ~ 0.054±0.02, 0.183±0.092 ~ 0.202±0.012 mm로 측정되었다. 수행된 모든 검증 결과는 제조사의 허용 편차 기준에 적합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제 치료 환경을 흉내 낸 자동환자이송장치에 올린 다양한 무게에 따른 정렬됨의 측정 결과 무게 의존성은 무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저자들은 다양한 무게에 따른 자동환자이송장치의 검증 테스트가 렉셀 감마나이프 퍼펙션의 통상적인 정도관리를 위하여 적합한 것으로 확인하였다.

염기성 아미노산인 라이신 중합체가 일차 배양된 햄스터 기관표면 상피세포에서의 점액소 유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olymer of lysine on the mucin release from primary cultured hamster tracheal surface epithelial cells)

  • 이충재;김선;홍경희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25-29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분자량 78,000과 9,600의 poly-L-lysine(PLL)이 일차배양된 햄스터의 기관표면 상피세포로부터의 뮤신유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완전히 다 자란 배양세포에 $^3H$-glucosamine을 함유하는 완전 배양액을 첨가하고 24시간 배양함으로써 배양세포 중의 뮤신에 대사적 방사선 표지를 완결한 후 다양한 농도의 PLL을 30분간 처리하고, 유리되는 방사성 뮤신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PLL에 의한 세포독성 발현여부를 검증하기 위하여 PLL 처리 후 배양세포로부터 유리되어 배양액 중에 존재하는 Lactate Dehydrogenase(LDH)의 활성을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PLL은 분자량 78,000 및 9,600의 두 물질 공히 용량 의존적으로 뮤신유리를 억제하였다. 그러나 세포독성의 지표인 LDH 유리에 대한 영향은 PLL 9,600의 경우에는 유의성이 없었으나, PLL 78,000의 경우에는 현저한 유리 증가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PLL의 경우, 분자량이 10,000 이하의 범위에서 세포독성을 발현하지 않으면서도 뮤신유리를 특이적으로 억제할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으며, 동시에 PLL이 기도점액 과다분비 현상을 연구함에 있어서 유용한 실험수단으로 이용될 가능성도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

  • PDF

간호학생 임상실습 교육에서 실습 지도자 활용(preceptorship)의 교수 효율성과 임상실습 만족도 (The Teaching Effectiveness of Preceptorship and Satisfaction of Student for Clinical practice on Nursing Education)

  • 최공옥;조현숙;김정엽;김병연;장순자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73-83
    • /
    • 2002
  • To identify the effects of preceptorship on teaching effectiveness at clinical nursing education, a group of nursing students who participate in program under the instruction of the preceptors was compared with the other group of nursing students trained by head nurses.The data were collected from 14 Mary. 2001 to 8 June 2001.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85 nursing students trained by the preceptors in the G. medical college hospital in Inchon, and 122 nursing students trained by head nurses at several hospitals in Inchon and Puchon, Korea. The scale for measuring the teaching effectiveness and satisfaction of student for clinical practice developed by Kim, Miae and Lee, Sookja were employed as the tool for the study. The data collected were analysed with SPSS on the teaching effectiveness items, then mean value and SD were evaluated. The t-test were also employed to compare the teaching effectiveness and satisfaction of student for clinical practice of the both groups. The relation of teaching effectives and satisfaction of student for clinical practice were analysed with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The following findings were carried out from this study. 1) The group trained by preceptors showed significant higher teaching effectiveness statistically than the group trained by head nurses, scored mean value of 3.46 and 3.04 respectively in the item of teaching effectiveness. 2) The respective item showing high score of teaching effectiveness in both groups was 'smooth and reasonable dealing on the issues occurred in the wards'. But the items of 'help nursing students to familiarize with other staffs quickly'and 'help always at near' showed low scores. 3) For 5 causal factors classified on the teaching effectiveness, the factor of 'professional knowledge and capability' got the highest score, but 'availability as a supporter' showed the lowest score in both groups. 4) The group trained by preceptors showed significant higher students'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 than the group trained by head nurses, scored mean value of 3.54 and 3.17. 5) Total teaching effectives were posive correlation with students'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 significantly (r=0.603)

  • PDF

가정간호행위 업무량의 상대적 가치 측정에 관한 연구 (Workload Measurement of Home Health Care Nurses상 Services using Relative Value Units)

  • 이태화;박정숙;김인숙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1543-1555
    • /
    • 2000
  • Home health care is moving into a set of new realities. An era of competition and cost containment has arrived. Before nurses are able to contain costs or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ing activities, cost must be accurately measured based on the nurse's workload. Nurses in home health care usually desire to measure expenses for one of three reasons : reimbursement, management, or research.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work input by Registered Nurse in each of the home health care activities by relative value units and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the nurses' total work input in health care services. To measure the work input by nurses, work was defined by four dimensions: time, physical effort, mental effort, and stress. This study used a descriptive-correlational design. Data collection consisted of two phases. In phase I, data on home health activities performed by nurses were collected. In phase II, data on nurses' time, physical effort, mental effort, and stress in each of home health care activities discovered phase I were collected. In this method, the respondent was asked to rate a service in relation to a reference service using a ratio scale. The sample included 39 home health care nurses.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d that home health care activities performed by the nurses were in 10 categories and 69 items. Measuring the relative work inputs in each of home health care activities, and foley catheterization was selected as the reference to service. In terms of time and physical effort dimensions, full bath service was rated as the most strenuous among 69 activities by the respondents, and intramuscular injection was rated as least. It was found that emergency treatment required the highest mental effort and the highest stress, while blood sugar tests required the lowest mental effort. Approximately 91.3% of the variance in total work input was accounted for by the linear combination of time, physical effort, mental effort judgement, and stress. Examining the regression coefficients of those variables, physical effort, time, and stress were found as the predictors which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total work of nurses in home health care. Professional nursing's next step in the conundrum of economic volatility is to develop a tool to reflect the interaction of functional deficiency and direct professional nursing care. And this will be a more accurate predictor of nursing resource use and ultimately a great forcaeter cost.

  • PDF

블록기반 프로그래밍 코드의 수준 및 취약수준 측정방안 (A Method for Measuring and Evaluating for Block-based Programming Code)

  • 손원성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293-302
    • /
    • 2016
  • 최근 SW 교육의 관심이 증대되고 프로그래밍 교육이 대학 학부교육의 주요한 부분으로 인식되고 있다. 특히 프로그래밍 입문 도구로서 블록 기반 프로그래밍 도구가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프로그래밍 입문자에게 기존 프로그래밍 언어와 비교하여 매우 다양한 장점들을 제공하고 있다. 한편 블록기반 프로그래밍 도구로 작성된 코드가 스크립트 언어일 경우 스크립트의 품질과 수준을 정교하게 측정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노력을 기울어야 한다. 따라서 블록기반 프로그래밍 코드의 품질측정과 관련된 대부분의 연구는 단순히 프로그래밍 개념과 연관된 블록의 사용개수를 정량화하여 스크립트의 수준을 평가하고 있다. 그 결과 기존연구의 기법으로는 취약수준을 측정하거나 스크립트에 명시되지 않는 프로그래밍 개념에 대한 평가가 어렵다. 본 연구는 블록기반 프로그래밍 스크립트의 품질측정 및 취약수준 분석이 가능한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프레임워크에서는 블록기반 프로그래밍 언어들이 내포한 다양한 프로그래밍 개념을 구조화한 평가 매트릭스를 구축하고 동 지표를 기반으로 스크립트의 품질 측정과 항목별 취약점 개선에 따른 수준향상 모델을 제안함으로써 개인별 수준진단 및 향후 개선 가능한 목표수준을 예측할 수 있도록 하였다.

수학 학습에서의 정의적 영역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분석 (Analyzing Research Trend of Affective Aspects in Mathematics in Korea)

  • 조혜정;김인수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0권1호
    • /
    • pp.67-83
    • /
    • 2016
  • 우리나라 수학교육에서 당면한 가장 큰 문제 중 하나가 수학 학습에서의 학생들의 인지적 영역과 정의적 영역의 심각한 불균형으로 인식되면서 이를 해소하기 위한 정의적 영역 요인 분석, 정의적 영역 측정 도구 개발, 정의적 영역 개선 방안 등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최근 11년간(2005~2015년) 한국학술지인용색인(KCI: Korea Citation Index) 등재(후보) 학술지에 실린 수학 학습에서의 정의적 영역 관련 논문 103편을 분석하고 관련된 논의와 이슈 동향을 파악하고, 연구 방향 설정 및 시사점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수학 학습에서의 정의적 영역 관련 연구 편수가 특별히 증가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보아 사회적 관심도에 비해 학계의 관심이 다소 부족한 것으로 보인다. 연구 방법은 통계를 이용한 양적 연구가 가장 많이 활용되었으며, 연구 대상으로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았고 초등학생 대상이 그 뒤를 이었다. 연구 주제는 수학 학습에서의 정의적 영역 요인 분석, 정의적 영역 인식 변화, 정의적 영역 측정 및 분석이 고르게 이루어졌으며, 특히 프로그램(활동, 문제해결 등) 적용에 따른 정의적 영역 변화(효과)에 대한 분석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적 배경 요인들이 함께 고려된 수학 학습에서의 정의적 영역 인식 변화를 위한 집중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장기적인 안목에서 실효성 있는 방안 마련을 위해 교사, 학생, 학부모 등의 소통 공간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디자인 진로적성검사의 개발 (A Development of Career Aptitude Scale for Design Majoring University Students)

  • 길임주;양성용
    • 디자인학연구
    • /
    • 제19권1호
    • /
    • pp.283-292
    • /
    • 2006
  • 본 연구는 디자인을 전공하려는 학생들이나 디자인내의 세분화된 진로선택을 하는데 갈등이 있는 대학생들을 위하여 '디자인 진로적성검사'를 개발하여 학생들이 자신의 적성에 맞는 세분화된 전공 및 진로분야를 선택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먼저 디자인 진로적성의 하위영역을 '직업공통기초능력', '디자인 기초능력', '디자인 전공심화능력'의 세 가지로 분류하고, 문헌 및 자료연구를 통하여 우선적으로 '직업공통기초능력'과 '디자인 기초능력'에 관하여 각 능력에 해당하는 세부요소와 요구되는 능력에 대한 정의를 시도하였다. 그 분류를 기반으로 문항시안 개발에 착수하였고, 개발된 문항은 연구의 단계별로 전문가협의회를 구성하여 3차에 걸쳐 타당성을 검증하고 기초조사가 진행되었다. 디자인 진로적성검사 개발을 위하여 구성된 예비척도(직업 공통기초능력 40문항, 디자인 기초능력 53문항)를 대도시에 소재하는 대학교의 디자인 전공계열 대학생 506명을 대상으로 기초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는 탐색적 요인분석에 의해 직업공통기초능력은 네 개의 요인(대인관계능력, 목표 추진력, 문제해결력, 자기개발능력)으로 구성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디자인기초능력 문항은 다섯 개의 요인(디자인기초 소양, 컴퓨터 활용력, 재질감, 조형력, 색채감)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척도의 결과는 직업수행을 위한 디자인 진로적성으로써 매우 정교하고 현실감 있는 합당한 요인구조를 반영해주고 있다. 본 척도의 타당성에 대해 관련 타척도 및 준거집단과의 관계를 지속적으로 연구하고, 나아가서 디자인전공심화능력에 대한 척도를 개발한다면, 대학생들의 전공결정과 진로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유용한 척도가 될 것이라고 본다.

  • PDF

물리치료사의 관점에서 뇌성마비 아동과 청소년을 위한 ICF-Core Set을 기반으로 한 접근법의 효과: 단일 사례 연구 (An ICF-Core Sets for Children and Youth With Cerebral Palsy Based Approach From a Physical Therapist Perspective: A Single Case Study)

  • 김정희;김태호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55-64
    • /
    • 2016
  • Background: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core set (ICF-core set) for children and youth (CY) with cerebral palsy (CP) provides a useful conceptual framework and a guide for health care planning and measuring the changes brought by interventions across a multitude of dimensions from body functions to personal activities, social participation, and environmental factors for them. Objects: This single case study was reported to illustrate the use of a goal directed approach in applying the ICF-core set for CY with CP from a physical therapist perspective. Methods: An eleven year old boy with spastic CP, Gross Motor Function Classification System (GMFCS) level V, and his mother participated in an evaluation of his functioning state. The intervention goal was set through an interview using the ICF-core set, 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 (COPM) and Goal Attainment Scale (GAS). Physical therapy was carried out on an outpatient basis using a goal directed approach for 30 min, 1 time/week during 12 weeks and the boy's gross motor function was assessed using the Gross Motor Function Measure (GMFM)-66 version (item set 2)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Results: As measured by the boy's mother, the COPM score showed a meaningful clinical change (performance=mean 3.5, satisfaction=mean 2.5) and the T-score of GAS changed 34.4 after the goal directed approach. The GMFM-66 (item set 2) score changed from 31.8 to 38.7 and evaluation using the ICF-core set displayed improvement in 6 items of activity level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Conclusion: The ICF-core set for CY with CP is useful for understanding the overall functioning of CY with this condition and provides an opportunity to share and integrate information and opinions from different disciplines. We consider it as a useful tool in the universal language for the therapy and education of CY with CP.

맥진 가압 트레이닝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Indentation Training System for Pulse Diagnosis)

  • 이전;이유정;전영주;우영재;김종열
    • 전자공학회논문지SC
    • /
    • 제45권6호
    • /
    • pp.117-122
    • /
    • 2008
  • 맥진은 한의 진단에 있어 중요한 요소이나 맥진 교육에 있어서 수련자와 교육자 간에 언어적 표현 외에는 적절한 교육 정보 소통의 도구가 없어 정량적이며 과학적 교육이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맥진 시 한의사가 세 손가락을 통해 맥진 부위에 가하는 가압력 프로파일을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하드웨어와 이를 기반으로 맥진 동작을 트레이닝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가압력 프로파일 측정 하드웨어는 인조 팔 속 맥진 위치에 놓인 3개의 로드셀과 맥진 가압력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 및 상용 A/D 변환 모듈인 NI-USB 6009로 구성하였으며, 3채널 가압력 신호는 200Hz로 샘플링하였다. 하드웨어 출력 신호를 질량 값으로 교정할 수 있도록 $50{\sim}500g$ 범위의 8개 추를 인조 팔에 올려놓았을 때의 질량 대비 출력전압 테이블을 작성하였다 또한, 이 시스템을 통해 한방 전문의 3명의 맥진 가압 프로파일을 각 3회씩 측정해 보았으며, 이를 통해 한의사의 맥진은 크게 3개의 구간으로 나눌 수 있고 최대 가압력이 약 $500g{\cdot}f$인 것 등을 알 수 있게 되었다. 맥진 가압트레이닝 프로그램은 LabView를 통해 구현하였으며, 수련자가 미리 저장된 목표 맥진 가압 프로파일과 유사하도록 인조 팔을 맥진할 때의 가압 프로파일이 목표 가압 프로파일과 유사한 정도를 평가하여 일정 범위를 벗어나면 경고하고, 실습이 끝나면 목표 프로파일과 유사도 점수를 화면에 표시하도록 하였다. 더 나아가 유사도 점수의 추이를 통해 숙련 추이를 관찰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 시스템을 맥진 교육에 활용한다면 보다 정량적이며 과학적인 교육이 가능해질 뿐만 아니라 교육의 효율도 크게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과거력 의무기록 정보의 기재정도 및 일치도 분석 (A Study on the Level of Medical Record Documentation and Agreement in the Information on the Patient's Past History)

  • 서정숙;유승흠;오현주;김용욱
    • 한국병원경영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42-64
    • /
    • 200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quality in medical records by analyzing its completeness through setting up the level of record on the patient's past history and through examining the actual medial records. Targeting the information on the patient's past history in interns' records, residents' records and nurses' records toward 403 inpatients who were admitted first in 2004 at an university hospital due to stomach cancer. We analyzed whether the charts were recorded or not, recording level, the satisfaction with the expectant level of the records in the hospital targeted for a research and the level of agreemen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s for the rate of recording those each items, they were high in the chief complaint & present illness and the past illness history. Depending on the group of recorders, the recording rate showed big difference by items. Second,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level after dividing the recording level of items for the patient's past history from Level 1 to Level 4 by each item, the admission history, the past illness history, and the family history were about Level 3, and the smoking history, the medication history, the chief complaint & present illness, the drinking history and allergy were about Level 2. In the admission department, it was excellent in the interns' records for the medical department. Third, as a result of its satisfactory level by comparing the expect level of a record and the actual record by item in information on the patient's past history, which was expected by the medical-record committee members of the hospital targeted for a study. And forth, we analyzed the level of agreement with Kappa score in the level of 'Yes' or 'None' related to the corresponding matter in Level 1, in terms of information on the past history in the intern's record, the resident's record, and the nurse's record. The level of agreement in the resident's record & the nurse's record, and in the intern's record & the resident's record was from "excellent" to "a little good".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level of completeness and in reliability for the information on the past history by the recorder group or by the admission department. The encounter process that was performed by the admission department or the recorder group, indicated the result that was directly reflected on the quality of medical records, thus it was required further study about the medical record documentation process and quality of care. The items that showed the high recording rate quantitatively were rather low, consequently we'd should develop the tool for the qualitative inspection and evaluate the medical records further. And the items were needed to be detailed in the record level were rather low, and hence there needed to be a documentation guideline and education by the clinical departmen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