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aning of work

검색결과 896건 처리시간 0.028초

A Study on the meaning of work and job embeddedness affecting the creative behavior of organization members

  • Kim, Moon Jun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10권2호
    • /
    • pp.97-107
    • /
    • 2021
  • This study attempted to confirm the factors that the meaning of work perceived by organization members and job embeddedness affects creative behavior. In addition, we tried to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eaning of work and job embeddedness. On the other hand, we tri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job embeddedness between the meaning of work and creative behavior. Accordingly, the following results and implications were derived through the hypotheses set for the members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First, the meaning of work showed a positive effect on job embeddedness and creative behavior, and it was empirically analyzed that job embeddedness was improved on creative behavior. In order to improve the creative behavior of organizational members, the need for advancement of the management and training system to systematically improve and strengthen the meaning of work and job embeddedness has emerged. Second, job embeddedness showed a mediating effect between the meaning of work and creative behavior. In other words, the employee's job embeddedness acted as a direct or indirect factor according to the improvement of the meaning of work and creative behavior. Accordingly, as one of the major factors in human resource management and strategic human resource development for the advancement of the sustainable management system, the need for institutional establishment and implementation was required as it became more efficient and effective.

개인, 가족, 조직 관련 요인이 일-삶 균형과 행복에 미치는 영향 : 맞벌이 부부를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Work-Life Balance and Well-Being on the Individual, Family, and Organization: A Study Focused on Working Couples with a Double Income)

  • 최환규;김성희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22권4호
    • /
    • pp.33-60
    • /
    • 2018
  •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identify factors that affect work-life balance and happiness among married working couples with a double income. To this end, a survey was administered to 260 married working couples in the Seoul metropolitan region. The analysis of the survey responses using the SPSS (Ver. 21) program yielded several important results. First, the variables that significantly affected work-family balance included the number of family dinners eaten together, meaning of life, efforts to strike a work-life balance, and the availability of social institutions and policies that promote work-life balance. Variables that significantly affected work-leisure balance included meaning of life, number of family dinners eaten together, gender, and the availability of social institutions and policies that promote work-leisure balance. As for work-growth balance, significant variables included meaning of life, communication with colleagues, income, and meaning of work. Finally, variables that significantly affected happiness included meaning of life, income, communication with colleagues, and work-growth balance. Based on these results, follow-up research needs to be conducted on various groups to help determine the factors that will ensure their work-life balance and happiness.

중년 성인의 일의 의미가 행복에 미치는 영향: 삶의 의미의 매개 효과 (The Impact of Meaning in Work on Happiness in Mid-aged: Mediating effect of Meaning of Life)

  • 조설애;정영숙;이재식;주미정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8권10호
    • /
    • pp.871-882
    • /
    • 2018
  • 본 연구는 중년 성인의 일의 의미가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삶의 의미의 매개 효과를 확인하였다. 중년 성인 171명을 대상으로 일의 의미, 삶의 의미 및 행복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SPSS를 이용하여 상관 및 경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의 의미, 삶의 의미 및 행복 변인들은 모두 정적으로 상관이 나타났다. 즉, 일의 의미 수준이 높으면 삶의 의미, 행복 수준 또한 높았다. 그리고 삶의 의미와 행복 사이에서 정적으로 유의한 상관이 관찰되었다. 즉, 삶의 의미 수준이 높으면 행복 수준도 높았다. 둘째, 일의 의미가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삶의 의미는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즉 일의 의미는 행복에 직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또한 일의 의미는 삶의 의미 수준을 높이고, 이러한 높은 삶의 의미는 다시 행복의 수준을 높여줄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일의 의미가 행복과 삶의 의미를 높이는 것을 확인한 동시에, 일의 의미와 행복 사이의 관련성을 이해하는데 삶의 의미가 중요한 기여를 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보호직공무원의 소명의식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일의 의미와 경력몰입의 매개효과 (Relations between Perceiving a Calling and Job Satisfaction in Probation Officers: Testing a Mediated Effect of Work Meaning and Career Commitment)

  • 고자인;강경아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194-203
    • /
    • 2015
  • Purpose: This study examined relations between perceiving a calling and job satisfaction in probation officers. Additionally, multiple mediator model was run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work meaning and career commitment in the relations of perceiving a calling and job satisfaction. Methods: Four factors (job satisfaction, perceiving a calling, work meaning, career commitment) were measured with Likert scales.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Aug. 1 to Sept. 20, 2014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s. Participants (211 probation officers) were selected from 7 probation offices and 1 Juvenile Training School in Seoul of South Korea.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WIN 21, AMOS 21, and Sobel test. Results: The study result was as followings. 1) Job satisfaction was influenced by perceiving a calling, work meaning and career commitment. 2) Results indicated that work meaning and career commitment fully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perceiving a calling and job satisfactio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improving job satisfaction and mental health in probation officers is necessary to implement concerning work meaning and career commitment program at the organizational level.

변혁적 리더십이 직장인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일의 의미와 일 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An Empirical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Employee Creativity: Mediating Role of Perception of Meaning in Work and Work Engagement)

  • 무홍레이;이영찬;단상청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8호
    • /
    • pp.117-128
    • /
    • 2018
  • 중국의 급속한 경제 성장은 지속되고 있으나 창의성 측면은 아직 요원하다. 중국 기업의 관리자들은 직원들이 보다 효율적으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장려하는 노하우가 아직 부족하다. 한편 중국 기업에서 일하고 있는 대부분의 직원들은 자신의 업무에 몰입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때로는 자신의 업무가 의미가 없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배경에서 변혁적 리더십은 중국 IT 기업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 심천에 소재한 IT기업에서 근무하는 직원들을 대상으로 업무 및 업무 참여의 의미에 대한 인식을 통해 변혁적 리더십이 직원의 창의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사례 IT기업에 근무하는 직원들을 대상으로 광범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140개의 유효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자료의 통계분석은 SPSS와 AMOS를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일과 노동 참여의 의미를 통한 변혁적 리더십이 직원의 창의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에 대한 학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주관적 사회적 지위가 일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ubjective Social Status on Meaning of Work)

  • 박지영;손영우
    • 감성과학
    • /
    • 제21권2호
    • /
    • pp.43-60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주관적 사회적 지위가 일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주관적 사회적 지위를 한 개인이나 조직이 갖는 존경과 영향력으로 정의하고, 조직 내 개인의 주관적 사회적 지위가 높을수록 일의 의미를 높게 지각할 것이라고 예상하였다. 또, 조직 내 개인의 주관적 사회적 지위는 개인이 속한 직종의 주관적 사회적 지위보다 일의 의미 향상에 더 큰 영향을 줄 것이라고 예측하였고 두 개의 실험을 통해서 이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실험 1에서 미국 직장인을 대상으로 조직 내 개인의 주관적 사회적 지위와 직종의 주관적 사회적 지위가 일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실험 2에서는 한국 직장인을 대상으로 해당 가설을 반복 검증하고, 조직 내 객관적 사회적 지위인 계급에 따라 조직 내 주관적 사회적 지위가 일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이 다를 것이라는 가설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한국과 미국 직장인 모두 조직 내 개인의 주관적 사회적 지위가 높을수록 일의 의미를 높게 인식했다. 또, 조직 내 개인의 주관적 사회적 지위는 직종의 주관적 사회적 지위보다 일의 의미에 더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실험 1). 실험 2에서 객관적 사회적 지위인 계급에 따라 조직 내 개인의 주관적 사회적 지위가 일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는데, 객관적 사회적 지위가 낮은 경우에는 개인이 조직 내에서 존경을 받고 영향력이 있다고 생각할수록 일의 의미가 향상되었지만, 객관적 사회적 지위가 높은 경우에는 조직 내 주관적 사회적 지위가 일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학문적 의의, 한계와 미래 연구 방향을 논의하였다.

신규간호사의 일의 의미, 조직몰입, 전문직 자기이미지 및 재직의도 간의 관계 (Relationships between Meaning of Work, Organizational Commitment, Professional Self-image, and Retention Intention among New Nurses)

  • 김미영;서형은;이지애;박진화
    • 임상간호연구
    • /
    • 제28권1호
    • /
    • pp.54-65
    • /
    • 2022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among new nurses' meaning of work, organizational commitment, professional self-image, and retention intention through path analysi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872 nurses with less than a year of clinical experience working at general or tertiary hospitals over 500 beds in Korea.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from May 15, 2021 to June 28, 2021, and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WIN 22.0 and AMOS 21.0 programs. Results: Retention intention was explained by meaning of work,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professional self-image, its explanatory power was 46.5%. The mediating effect of professional self-image was foun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eaning of work and retention intention. Conclusion: To encourage the retention intention among new nurses, an environment where new nurses can set a high value on the meaning of work and sense of accomplishment should be created, and a strategy to improv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professional self-image should be established.

일의 의미가 직장인의 삶의 만족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일-삶 균형의 매개효과: 다집단 구조모형분석 (The Relations among Meaning in Work, Life Satisfaction and Depression: The Mediating Effect of Work-Life Balance)

  • 이정미 ;최환규
    • 한국심리학회지 : 코칭
    • /
    • 제7권1호
    • /
    • pp.33-57
    • /
    • 2023
  • 본 연구는 일의 의미, 일-삶 균형, 삶의 만족과 우울 간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고자 서울 및 경기도 소재 사무직에 종사하는 직장인을 대상으로 이메일을 통해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연구참여자는 남자 직장인 329명과 여자 직장인 176명, 총 505명(평균 연령 38.1세, 표준편차 8.3세)이었으며, 측정도구로는 한국판 일의 의미 척도, 일-삶 균형척도, 한국판 삶의 만족 척도, 그리고 단축형 CES-D를 사용하였다. 주요 변인 간 구조적 관계에 대한 가설적 연구모형을 설정한 후, 수집된 자료를 사용하여 측정모형과 구조모형을 검증하였으며, 성별 및 연령대별 집단 구분에 따른 비교를 통해 모형의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분석 결과, 일의 의미가 직장인의 삶의 만족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일-삶 균형이 부분적으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모형의 측정동일성이 확보된 연령대별 다집단 구조모형분석을 실시한 결과, 일의 의미가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일-삶 균형의 매개효과는 연령대에 따라 차이가 없었지만, 일의 의미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일-삶 균형의 매개효과는 연령대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이 같은 결과는 개인 및 집단 코칭 및 상담 실제에서 대상에 따라 강조점이 달라질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일에 대한 의미 인식과 이직의도 간의 관계: 일-가정 촉진의 조절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 of the Meaning of Work and Turnover Intention: Moderating Effect of Work-Family Facilitation)

  • 차윤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223-234
    • /
    • 2022
  • 본 연구는 조직내 구성원들의 일에 대한 의미 인식과 이직의도 간의 관계를 실증함과 동시에 일-가정 촉진 노력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부산지역의 중소기업 근로자 14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확보하였으며 그 결과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조직내 구성원들이 자신의 일에 대한 의미와 가치를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경우 이직의도와는 부(-)의 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조직내 일-가정 촉진의 노력이 이 과정에서 조절효과를 보이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중소기업의 경우 대기업과 비교하여 다소 미흡한 처우 및 복리후생제도를 운영하게 되므로 조직의 성장 가능성 및 일에 대한 기술적 우위와 의미 등을 더 많이 인식할 수 있게끔 각종 인사제도설계 및 운영에 관심을 두어야 할 것이다. 특히, 급격히 성장하는 중소기업의 경우 일-가정 촉진에 대한 제도적 지원이 미흡할 수 있는데 이를 좀 더 활성화 할 수 있는 제도 도입 및 운영의 중요성을 제시하였다.

예술 작품의 진리문제에 대한 존재론적 이해 - H. G. Gadamer의 철학적 해석학을 중심으로 - (The ontological understanding in the matter of truth in a work of art -on the subject of philosophical hermeneutics of H. G. Gadamer)

  • 김진엽
    • 조형예술학연구
    • /
    • 제8권
    • /
    • pp.95-127
    • /
    • 2005
  • It's a matter of ontology rather than that of cognition and methodology to discuss a work of art in Gadamer's philosophy. In addition, he emphasizes the cognitive aspect of a work of art instead of comparing forms and contents of them. For that reason, he excludes aesthetic consciousness derived from Kant first and then makes away with Schiller's theory of aesthetic education. For Gadamer, the concept of truth does not mean accord or correspondence. It would rather be an encounter. This encounter is not axed on a specific time, but a continuous and historical one. Basically. a work of art guarantees this kind of an encounter. This encounter is not based on mutual agreement through an objective standard but on recognition with mutual understanding. Therefore, prejudice or tradition should be acknowledged and respected instead of being excluded. We have only to minimize difference between them through conversation. Gadamer's ontology of a work of art is based on such a ground. The function of a work of art is not only simple satisfaction of aesthetic senses but an object of interpretation, that is, a text by presenting a ground of truth through an agreement of situation. This text reveals its meaning in the situation of author-text-reader. The appearance of this meaning is nothing but the birth of truth. Symbol-allegory and classicism show how to express this kind of truth in a work of art. It is true that Gadamer's philosophical hermeneutics cannot be easily applied to interpret a concrete work of art because it just lays emphasis on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instead of a detailed analysis on an individual work. For that reason, he was criticized by some people because of this subjectivity of understanding. However, it's meaning could be changed according to the viewpoint on a work of art. There appears various structural approaches on a work of art in contemporary theory of art. Gadamer just asks the basis of such approaches instead of criticizing a specific one Therefore, a practical approach on individual work should be made separately and hermeneutics enriches the meaning of open-ending of each work of ar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