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an temperature

검색결과 3,941건 처리시간 0.035초

집결시간(集結時間)이 합판접착강도(合板接着强度)에 미치는 영향(影響) (The Effect of Variation of Assembly Time on Glue Bond Strength)

  • 심종섭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0권3호
    • /
    • pp.118-131
    • /
    • 1982
  • 1. 이 연구(硏究)는 Yale대학교(大學校) 임과대학목재이학교실(林料大學木材利學敎室)에서 최근(最近) 새로히 쓰기 시작(始作)한 phenolic resin의 일종(一種)과 soy-bean glue 1auxein 10-B에 대(對)하여 assembly time의 변동(變動)이 제작(製作)된 합판(合板) shear strength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를 알고 또한 그의 비교적(比較的) 적당(適當)한 실질적(實質的)인 assembly time의 범위를 결정(決定)하기 위하여 실시(實施)된 것이다. 2. 이 연구(硏究)에서 쓴 단판은 동실험실(同實驗室)에 실험용재료(實驗用材料)로 비치(備置)된 1/22in. 너도 밤나무(beech) 단판을 사용(使用)하였으며 수지는 phenolic resin U.S.P. low temperature liguid resorcinol type 와 Lauxein No. 10-B cold press water - resistant soygule 등으로 실험용(實驗用) sample을 구입(購入)하여 사용(使用)하였다. 3. 실험용(實驗用) ply-wood는 삼합식(三合式)으로 실험(實驗)을 하게 된 assembly time의 variation은 일분(一分)에서 시작(始作)하여 5, 10. 15, 25, 35, 50, 70분(分)등으로 8개(個)의 variation이 있게 하고 assembly 법(法)으로는 open assembly와 closed assembly의 2법(法)으로 하였으며 제작(製作)된 ply-wood의 성질비교(性質比較)는 dry test와 wet test의 shear strength test를 통(通)하여 나타나는 shear strength와 목파율을 가지고 하였다. 4. assembly time의 variation에 따른 합판의 shear strength와 목파율은 Table 1. 2. 3. 4에 표시(表示)된 바와 같은 결과(結果)를 보였으며 phenolic resin을 갖이고 closed assembly 법(法)으로 제작(製作)된 합판의 wet test를 제외하고는 모두 assembly time이 증가(增加)됨에 따라 shear strength와 목파율은 감소(減少)되여 가는 경향(傾向)을 보이고 있다. 그리고 실질적(實質的)으로 유효(有效)한 assembly time의 범위는 다음 표(表)(8)과 같다. 5. 이 실험(實驗)을 하는 동안 친절(親切)한 충고(忠告)와 지도편달(指導鞭達)를 애끼지 않고 도와주신 Yale 대학교(大學校) 목재이용학교수(木材利用學敎授) Dr. F.F.Wangaard씨(氏)와 Prof. Hess a. 그리고 실험실(實驗室) 담임자(擔任者)인 Mr. Clanch씨(氏)에게 충심(衷心)으로 사의(謝意)를 표시(表示)한다.

  • PDF

실험실(實驗室)에서 사육(飼育)한 저울베도라치의 난발생(卵發生) 및 부화자어(孵化仔魚) (Egg Development and Morphology of Larval Blenniid Fish, Istiblennius stellifer (Jordan et Snyder) Reared in the Laboratory)

  • 김용억;한경호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권1_2호
    • /
    • pp.9-18
    • /
    • 1989
  • 1988년(年) 5월(月) 15일(日)에 부산시(釜山市) 남구(南區) 남천동(南川洞) 연안(沿岸)에서 채포(採捕)한 친어(親魚)를 실험실(實驗室)에서 사육중(飼育中) 1988년(年) 5~6월(月) 사이에 4회(回)에 걸쳐 조개껍질의 내면(內面)과 작은 돌의 하면(下面) 등에 자연산난(自然産卵)하였다. 이 중(中) 조개껍질 내면(內面)에 산난(産卵)한 알을 대상으로 난발생과정(卵發生過程)과 부화(孵化)한 자어(仔魚)의 형태발달(形態發達)에 대해 관찰(觀察)하였다. 미수정난(未受精卵)은 백색(白色)이고, 수정난(受精卵)은 침성점착난(沈性粘着卵)으로 난경(卵徑)은 0.84~0.88 mm(평균(平均) 0.86 mm, n=30)로 황적색(黃赤色)과 보라색의 많은 소유구(小油球)를 가지고 있으며, 발생중(發生中)인 난(卵)의 난황(卵黃) 위에는 분절(分節)이 일어난다. 사육수온(飼育水溫) $18.5{\sim}23.3^{\circ}C$ 염분(鹽分) $28.2{\sim}29.5^{\circ}/_{\circ\circ}$에서 130시간(時間)에 최초로 부화(孵化)하기 시작(始作)하여, 162시간(時間) 40분(分)만에 부화(孵化)가 완료(完了)되었다. 부화(孵化) 직후(直後)의 자어(仔魚)는 전장(全長)이 2.70 mm로 근절(筋節)이 35개(個)이며, 입이 열리기 시작(始作)하고 항문(肛門)은 열려 있지 않으며, 큰 난황을 가지고 있다. 부화(孵化) 2일(日)째의 자어(仔魚)는 전장(全長)이 3.15 mm로 흑색소포(黑色素胞)는 주(主)로 난황(卵黃) 위에 분포(分布)한다. 부화(孵化) 3일(日)째의 자어(仔魚)는 전장(全長) 3.35 mm로 입이 완전(完全)히 열리고, 흑색소포(黑色素胞)는 난황(卵黃) 위와 꼬리의 배쪽 가장자리를 따라서 분포(分布)한다. 부화(孵化) 7일(日)째의 자어(仔魚)는 전장(全長) 4.0 mm로, 난황(卵黃)이 완전(完全)하게 흡수(吸收)되며 머리가 커지고, 비공(鼻孔)이 열리기 시작(始作)하며, 소화관(消化管) 위에 흑색소포(黑色素胞)가 분포(分布)한다. 부화(孵化) 10일(日)째의 자어(仔魚)는 전장(全長)이 4.55 mm로 비공(鼻孔) 주변(周邊)과 전새개부에 새로이 흑색소포(黑色素胞)가 착색(着色)되기 시작(始作)한다. 부화(孵化) 13일(日)째의 자어(仔魚)는 전장(全長)이 5.75 mm로 꼬리지느러미에 처음으로 원기(原基)가 나타나고, 등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가 융기(隆起)하기 시작(始作)한다.

  • PDF

산란계에 대한 하절기 사료 개발에 관한 연구 (Studies on Development of Optimum Laying Hen Diet during Summer Period)

  • 오세정;강경래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29-246
    • /
    • 1988
  • 본 시험은 하절기 산란계의 생산성 저하 방지 및 사료효율개선을 목적으로 하절기 산란계 사료의 적정 에너지수준 및 단백질수준을 구명하기 위해 대사에너지 3수준(2,500, 2,700, 2,900kcal/kg) 과 단백질 2수준(15%, 17%)을 조합한 6개 처리에 49주령 된 산란기 480수를 공시하여 1988년 6월 10일부터 1988년 9월 1일까지 12주간에 걸쳐 시험을 실시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생존율은 전처리구에서 98.75~100%로 처리간에 유의성이 없었으며, 대사에너지수준이나 단백질수준간에도 일정한 경향이나 큰 차이가 없었다. 2. 산란율, 난중 및 산란량은 대사에너지 2,500 kcal/kg, 단백질 17%수준에서 각각 84.37%, 62.29g, 그리고 52.55g으로 가장 우수했으며 대사에너지수준이 증가함으로써 점차 낮아졌고, 사료 내 단백질수준이 증가함으로써 유의하게 높아졌으나(p<0.05), 산란율은 대사에너지 2,500kcal/kg과 2,700kcal/kg, 난중은 2,500kcal/kg과 2,700kcal/kg 및 2,700kcal/kg과 2,900kcal/kg 수준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 사료 섭취량은 대사에너지 2,500kcal/kg, 단백질 55%수준에서 118.28g/day으로 가장 높았으며, 대사에너지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사료 섭취량은 유의하게 감소했으나(p<0.05), 사료중 단백질 수준에 따라서는 큰 차이가 없었다. 4. 대사에너지 섭취량은 대사에너지 2,900kcal/kg, 단백질 15%수준에서 326.60kcal/day로 가장 높았으며 대사에너지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되었으나(p<0.05), 사료중 단백질 수준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5. 단백질섭취양은 대사에너지 2,500kcal/kg, 단백질 17%수준에서 19.99 g/day로 가장 높았으며 대사에너지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 사료 중 단백질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6 사료 요구율은 대사에너지와 2,500kcal/kg과 단백질 17%수준에서 2.24로 가장 낮았으나, 사료중 대사에너지수준에 따라서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단백질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하게 개선되었다 (p<0.05). 7. 산란kg당 대사에너지와 단백질 요구량은 2,900kcal/kg와 15% 및 2,700kcal/kg와 17%의 대사에너지와 단백질수준에서 각각 6871.64kcal와 385.76g으로 가장 높았으며 사료중의 에너지수준이 증가할수록 산란kg당 대사에너지요구량은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p<0.05), 단백노요구량을 일정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고. 사료중 단백질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산란당 대사에너지 요구량은 유의하게 감소한 반면 산란당 단백질요구량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산란kg당 사료비는 2,500kcal/kg과 15%의 대사에너지와 단백질수준에서 279.84 won으로 가장 적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하절기 산란계사료의 적정 대사에너지 및 단백질수준은 각각 2,500kcal/kg과 17%가 가장 적합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다슬기 (Semisulcospira libertina libertina)의 상대성장과 보육낭 유생단계의 월별 조성 (Relative Growth of the Melanin Snail, Semisulcospira libertina libertina and Monthly Composition of Larval Stages in its Brood Pouch)

  • 장영진;장해진;김재준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31-136
    • /
    • 2001
  • 양산시 내원사 계곡에 서식하는 다슬기 (Semisulcospira libertina libertina)를 대상으로 상대성장과 보육낭내 유생조성을 조사하였다. 조사한 다슬기의 총 개체수는 1,200마리였으며, 각고(SH), 각경 (SD), 전중 (TW), 육중 (MW) 및 각중 (SW) (평균$\pm$표준편차)은 각각 $15.96\pm3.41\;mm$, $7.82\pm1.38mm$, $0.55\pm0.31\;g$, $0.24\pm0.15g$, $0.39\pm0.23g$이었다. 각각의 상대성장식은 SD=0.3583 SH+2.1648 $(R^2=0.8391),\;TW=0.0005SH^{2.4853}\;(R^2=0.8391)$, $MW: 0.0005SH^{2.849}\;(R^2= 0.8391)\;SW=0,0004SH^{2.3798}\;(R^2=0.7057)$였다. 다슬기는 연중 보육낭내 발생중인 유생을 갖고 있었으며, 유생수는 봄$\cdot$여름에 감소하고 가을에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다슬기 암컷 1개체당 보육낭내의 평균 유생수는 11월에 396$\pm86$마리로 가장 많았으나, 7월에는 $91\pm86$33마리로 가장 적은 수를 나타냈다. 보육낭내 유생의 발달단계별 조성에 있어서 trochophore는 5월에 $66.7\%$, pre-veliger는 11월에 $70.7\%$, veliger는 2월에 $60.9\%$, juvenile은 1월에 $13.9\%$로 가장 높은 값을 보였다. 출산 전 단계인 juvenile의 빈도는 $3\~5$월, $8\~11$월에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이상의 조사결과에 따라, 다슬기의 출산성기는 $3\~5$월, $8\~10$월의 연 2회인 것으로 추정되었다.

  • PDF

질적 간호제공을 위한 간호단위 시범 운영 효과에 관한 임상적 연구 (A Clinical Study for Promoting Quality Nusing Care in a University Hospital)

  • 이애주;김선한;성영희;유순애;권인각;정연이;남혜경;권은정
    • 대한간호
    • /
    • 제32권5호
    • /
    • pp.66-77
    • /
    • 199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new nursing unit which can meet changing health care needs, enhance patients' satisfaction and nurses' job satisfaction, and finally guarantee quality nursing care with present manpower. For this, one medical unit was selected as a unit for quality care. And one medical unit which is similar in staffing and patients' characteristics was selected as a control unit. To assess present problems and identify the remedies to the problems a hospital-wide survey and a workshop were performed.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s, educational programs and improvement of the facilities and equipment supply system, managereal support for interdepartmental cooperation and intensification of bed-side nursing care were adopted as main principles for operating model unit, This model unit was operated for 3 months from Sep. 1, 1992 to Nov. 30, 1992.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model unit, derect/indirect nursing care hours, patients' satisfaction to nursing care, nurses' job satisfaction, and quality care index were measured. Direct/indirect nursing care hours were compared with that of the control unit, and patients' and nurses' satisfaction and quality care index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operating model unit and compared with each other.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In the model unit mean direct nursing care hours per cach shift was 146.88 minutes and indirect nursing care hours was 354.72 minutes. The ratio of the direct nursing care hour to indirect nursing hour was 29.6 ; 70.4 and that of the control unit was 26.9 : 73.1. Direct nursing care hour in model unit was longer than that of the control unit. But,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In subcategories of direct nursing care, the time spent in mobility and exercise, conservation of body temperature, hygiene, and communication and health education were longer than that of the con" trol unit. 2. Indirect nursing care hour in model unit was shorter than that of the control unit. But,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In subcategories of indirect nursing care, the time spent in drug management and ward arrangement was shorter than that of the control unit. 3. Patients' satisfaction to nursing care was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operating the model unit (T=-3.48, P=-0.002) and satisfaction to subcategories of physical comfort measure, psychological cate, and unit management compone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before. 4. In the model unit, nurses' total job satisfaction was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operating the model unit(Z=2.1004, P=.0357) and satisfaction to subcategory of satisfaction to administra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before (Z=-2.0732, P=.0382). 5. After operating the model unit, quality care index was increased from 89 to 93. With this results, it can be summarized that all the measures tried for quality care, such as educational programs, managereal support for interdepartmental cooperation, and improvement of the equipment and facility provision resulted in partial increase in direct nursing care hours, nurses satisfaction to their job and patients' satisfaction to nursing care. In can be postulated that managereal support and motivation without proper staff supplementation is not enough for increasing direct nursing care hours. And for the enhancement of the level in clinical nursing, and staff supplement must be considered sincerely and the measures for reducing indirect nursing care hours, such as computerization of nursing care activities, improvement of facilities and equipment and facilities supply system, must be instituted in addition.

  • PDF

기후변화에 따른 농촌 소유역에서의 비점오염 영향 분석 (Climate Change Impact on Nonpoint Source Pollution in a Rural Small Watershed)

  • 황세운;장태일;박승우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209-221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향후 강수량의 변화가 유역의 비점오염 발생 부하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정량적 분석을 목적으로, 발안유역의 HP#6 소유역을 대상유역으로 선정하여 자료를 구축하고 유역규모의 수문수질 모델인 GWLF 모형의 시험유역에 대한 적용성 검토를 수행하였으며, WGEN 모형을 이용하여 일 기상자료를 발생시켜 대상유역의 향후 기후변화를 고려한 발생 오염부하량 변화를 예측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기상 변화에 따른 유역의 비점오염 영향 분석을 위하여 대상유역을 선정하고 기상, 수문, 수질자료와 오염원 현황을 비롯한 유역 특성 자료를 조사하고 수집하였으며, 수문모형으로는 GWLF 모형을 선정하였다. 2. GWLF모형의 보정과 검정 과정에서 모의된 일유출량은 $R^2$$0.40{\sim}0.98$로 GWLF 모형은 농촌 소유역에 대해 적용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모의한 오염부하량과 실측치를 비교한 결과, $R^2$가 유사량은 $0.40{\sim}0.98$, TN은 $0.50{\sim}0.94$, TP는 $0.59{\sim}0.97$로 높게 나타났으며, 모형의 효율지수도 유출이 $0.51{\sim}0.69$, 유사량이 $0.23{\sim}0.84$, 그리고 영양염류의 경우는 $0.38{\sim}0.65$로 비교적 양호한 값을 나타내었다. 3. 수원 기상청으로부터 1964년${\sim}$2004년의 강수량 자료를 수집하여 대상유역을 포함하는 지역의 일 강수량과 강우 발생빈도에 대한 10년-이동평균과 회귀식을 이용하여 추세분석을 실시함으로서 기후변화에 따른 기상인자의 영향을 확인하였으며, 10년-이동평균을 이용하여 강우 발생 빈도에 대한 추세를 살펴본 결과, 0.2 mm 이상의 강수량을 기록한 연간 일수는 감소하나, 80 mm이상의 강수량을 기록한 호우 발생 연간일수는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4. IPCC에서 제시한 미래 배출 시나리오에 따른 한반도 기후변화를 고려하여 WGEN 모형을 응용함으로서 향후 $2041{\sim}2050$년의 남한 지역 월 강수량과 월평균기온의 변화율을 적용한 강수량과 평균 기온에 대한 일 기상자료를 발생시켰으며, 수원 지방의 강우 일수 변화 추세를 고려하기 위해 WGEN모형의 마코브체인 매개변수를 수정하여 시나리오별 기상자료 집합을 구축하였다. 5. 강수량 증가에 따른 유출량을 비롯한 영양물질 부하량의 변화는 선형적 상관성을 보였으나, 유사량의 경우는 강수량 변화가 없고 강우일수가 감소하면서 사상별 최대 일강수량이 증가하는 경우에 대한 모의 결과가 평균 21%정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강우 강도와 관련성이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6. 연 강수량이 17.4% 증가해 월별 평균 강수량 변화가 가장 큰 시나리오 Al은 연 유출량이 24.6% 증가하고, 유사량과 TN, IP 부하량은 각각 60.1%, 14.4%, 27.1%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에 비하여 연 강수량 증가가 2.5%로 가장 작은 시나리오 B1의 연 유출량 변화는 -0.4%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유사량과 TN, TP 부하량은 각각 14.6%, 3.0%, 7.2% 증가하는 것으로 모의되었다. 7. 강우 발생 일수 변화를 가정한 시나리오에 대한 모의 결과, 연강우일수가 약 10일 감소한 A1-1, A2-1, B1-1, B2-1의 경우, 강우 일수 감소 이전과 연 유출량 변화는 거의 없었으나, 유사량과 영양물질 부하량은 다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연강우일수를 약20일 감소시킨 A1-2, A2-2, B1-2, B2-2의 경우는 강우일수를 감소시키기 이전에 비해 유출량이 $4{\sim}6%$ 정도 더 증가하였으며, 유사량은 $20{\sim}25%$, TN 부하량은 $4{\sim}5%$, TP 부하량은 $9{\sim}12%$가 더 증가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중 유통판매 중인 편육에서의 Staphylococcus aureus 성장예측모델 개발 (Development of a Predictive Model Describing the Growth of Staphylococcus aureus in Pyeonyuk marketed)

  • 김안나;조준일;손나리;최원석;윤상현;서수환;곽효선;주인선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06-210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축산식품인 편육을 대상으로 황색포도상구균의 성장예측모델을 개발하였다. 편육에서 황색포도상구균의 성장패턴은 4, 10, 20, $37^{\circ}C$의 보관온도에서 측정되었으며, 황색포도상구균은 각각의 저장 온도에서 모두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편육에 오염된 황색포도상구균의 생육결과를 토대로 Baranyi model을 이용하여 유도기(LPD)와 최대성장률(${\mu}_{max}$)을 산출한 결과, 유도기는 4, 10, 20, $37^{\circ}C$에서 212.81, 79.67, 3.12, 2.21 h으로 온도에 반비례한 것으로 나타났고 최대성장률은 같은 보관온도에서 0.004, 0.009, 0.130, 0.568 log CFU/g/h으로 온도에 비례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2차 모델은 ${\mu}_{max}$의 경우, square root model, LPD는 polynomial equation을 사용하여 산출하였고, 개발한 모델의 적합성을 평가하기 위해 통계적 지표인 RMSE 값을 계산한 결과, 비교적 0에 가까운 0.42로 도출되어 모델이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개발된 모델이 편육에 대한 황색포도상구균의 성장 예측모델로 사용 가능하다고 판단되어지며, 편육에서의 식중독을 예방하고 미생물학적 위생관리기준을 설정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시판 고구마전분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ommercial Sweet Potato Starches)

  • 백만희;차동수;박현진;임승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755-762
    • /
    • 2000
  • 고구마, 감자, 옥수수전분의 회분과 조단백질 함량은 각각 $0.36{\sim}1.02%$$0.04{\sim}0.14%$였으며, 고구마전분의 백도는 옥수수나 감자전분보다는 낮은 값을 보였다. 평균입자크기는 $14.23{\sim}21.08\;{\mu}m$로 작은 입자와 큰 입자 그룹으로 분리된 분포를 보였다. 고구마전분의 호화개시온도는 $74.0{\sim}80.35^{\circ}C$를 보였는데, D사 전분이 가장 낮은 값을, 필리핀산(P사) 전분이 가장 높은 값을 보였다. 고구마전분 페이스트의 최고점도는 제조사에 따라 차이가 컸으며, HL사가 가장 높은 값을, S사가 가장 낮은 값을 보였고, 옥수수전분보다는 높고, 감자전분보다는 낮은 값을 보였다. 전분현탁액을 호화시킨 후 빛투과도를 측정한 결과 HK사가 20.67%로 가장 높은 값을 보였고, 다른 전분은 $11.14{\sim}14.76%$를 보였다. 고구마전분겔(10%)의 조직감 특성은 필리핀산(P사)과 S사를 제외한 고구마전분은 부드럽고 약한 겔을 형성하였으며, 제조사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저장 1일에는 P사 전분이 견고성, 뭉치는 성질, 씹히는 성질이 가장 높은 값을 보인 반면, 저장 3일에는 S사가 가장 높은 값을 보였다. 탄력성은 저장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접착성은 저장 3일에 P사와 S사에서만 높게 나타났으며, 감자전분의 조직감과 비슷하였다. 고구마전분겔(10%)의 냉 해동안정성은 옥수수전분 보다는 높고 감자전분 보다는 낮게 나타났으며, S사가 3회 반복시 17.53%를 보인 반면, P사 고구마전분이 65.72%로 3.7배의 높은 값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보듯이 제조사가 각기 다른 고구마전분의 물리적 특성은 다소 차이가 있었으며 특히 필리핀산 전분이 한국산 전분과 큰 차이를 나타냈다.혀졌다. 또한 instant curry 제품을 사용하여 pH 1.2 조건하에서 nitrite 분해능을 측정한 결과 제품별 차이는 있었으나 12${\sim}$28% 정도의 분해능을 가지고 있었다.수 변환중 cross-over가 일어나고 이후의 진동수 영역에서는 저장탄성율이 손실탄성율보다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24시간 경과 후 겔을 형성하여 겔화제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항산화 효과는 뚜렷한 상관관계가 발견되지 않았다.CaSO_4$, GDL, $MgCl_2$, $Ca-gluconate+MgCl_2$, $GDL+CaSO_4$ 첨가구는 0.3%에서, 그리고 $Ca-gluconate+CaSO_4$ 첨가구는 0.4%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그 중 0.3% $GDL+CaSO_4$ 첨가구가 적당한 경도를 가지면서도 부드럽고 고소한 맛이 강하여 가장 높은 기호도를 나타내었다.cids은 $190^{\circ}C$까지는 $2.51{\sim}4.41$ ppm으로 거의 변화를 보이지 않다가 $210^{\circ}C$에서 18.92 ppm으로 급증하였고, 이후 $220^{\circ}C$에서 7.20ppm, $230^{\circ}C$에서 5.56 ppm으로 점진적으로 감소하였다. 이는 nonanoic acid, palmitic acid, stearic acid등이 고온가열에 의해 생성되었다가 이들이 열분해로 소실되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평균치는 34점이었으며 여윔에서는 너무 살찜으로 갈수록 사회적 체형불안도가 상승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후쿠오카 지역의 체형 불안 도가 대구지역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한 일 여대생의 자기 체형인식 및 체형 불안도에 관한 비교연구에서

  • PDF

한국산 빙어의 지리적 형태변이에 대하여 (Morphological Variations in Relation to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Pond Smelt, Hypomesus olidus Pallas)

  • 류봉석;이경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179-188
    • /
    • 1981
  • 이식된지 50여 년간에 걸쳐 토착분포한 빙어의 분포수역과 상뜰골, 지느러미의 연조수, 비늘의 특성, 척추골, 새파수, 유문수, 형질간의 관련도 등을 비교 검토하여 분포수역에 따른 형질의 변이를 조사 비교 검토하고, 그 결과를 다음과 갈이 요약한다. 1. 한국산 빙어의 주 서식수역은 파노호, 소양호, 한강, 의림지, 옥정호(운암호)이고 이들과 관련되는 유노에 토착 분포되어 있었다. 2. 빙어의 형태변이는 각 개체에 발현된 개개의 형질에 의하여 서로 다르게 나타나, 기준형에 지역적평균값을 Mosaic형으로 비교한 바 기준형에 닮았거나 차이가 심한 것이 뚜렷하게 나타난다. 3. 서식수역별로 가슴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의 연조수, 가승지느러미 앞길이/표준체장, 배지느러미앞길이/됫지느러미 앞길이, 안경, 부상악골, 유문수의 철, 비늘의 특성등 형질에서 심한 변이가 있었다. 4. 빙어의 지역적 형질변이중 가장 안정성을 나타난 것은 매지느러미, 등지느러미의 연조수와 새파수, 척추골수, 일종열린수, 미타고, S-D/SL이었다.5. 빙어의 비늘은 어체부위에 따라 비늘의 모양, 초점의 형태와 그 위치, 융기선의 수가 다르며, 방사선이 없다. 6. 인횡장과 인폭과의 관계는 소양호산과 옥정호산 그리고 한강산과 의림지산이 각각 근친적 유녹관계로 나타났다. 7. 빙어의 지리적 형태변이는 탁도, 수온, 염분의 환경요소와, 이 외에 위도와 유속에도 깊은 관계가 있다고 생각된다. 이상의 결과에서 부상악골 인횡장과 인폭과의 관계, 미추골수, 안경과 두장과의 비 등은 지리적 형태변이의 검색자료로 유용하다고 생각된다.

  • PDF

기포유동층에서 수증기 및 소성된 백운석 첨가에 의한 바이오매스 가스화의 영향 (Effects of Biomass Gasification by Addition of Steam and Calcined Dolomite in Bubbling Fluidized Beds)

  • 조우진;정수화;박성진;최영태;이동현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3권6호
    • /
    • pp.783-791
    • /
    • 2015
  • 바이오매스 가스화 공정을 위하여 내경이 0.1 m이고 높이가 1.2 m인 유동층 반응기에서 수증기 및 촉매의 첨가가 프로듀서가스(Producer gas)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가스화 장치는 유동층 반응기, 연료공급 장치, 사이클론, 2개의 냉각기, 수증기 발생장치 및 가스분석기로 구성하였다. 층물질 및 촉매물질로 평균입자크기 $380{\mu}m$의 비구형 silica sand 와 평균입자 $356{\mu}m$ 크기의 소성된 백운석을 사용하였다. 사용된 바이오매스는 국산 우드펠릿(Korea woody pellet) 및 동남아 팜 부산물인 EFB(empty fruit bunch)를 펠릿 형태로 가공하여 사용하였다. 실험 고정 변수로는 연료공급량 50 g/min(EFB), 38 g/min(KWP) 반응 온도 $800^{\circ}C$, ER(equivalence ratio) 0.25로 설정하였다. 조업 변수로 촉매인 소성된 백운석을 층물질 0~100 wt%의 혼합비로 사용하였다. 가스화매체로 공기 또는 Air-Steam을 사용하였다. 이때 수증기 첨가량은 SBR(steam to biomass ratio) 기준 0.3으로 하였다. 생성된 가스의 조성, 타르(Tar) 및 저위발열량을 측정하였다. 실험의 결과로 소성된 백운석은 모든 실험조건에서 프로듀서가스 타르의 함량을 감소시키며 최대 67.3 wt%의 감소율을 보였다. 저위발열량은 공기가스화에서 소성된 백운석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하지만 Air-steam 가스화에서 저위발열량은 변화가 적거나 오히려 소폭 증가한 경향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