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an surface elevation

검색결과 84건 처리시간 0.023초

How to utilize vegetation survey using drone image and image analysis software

  • Han, Yong-Gu;Jung, Se-Hoon;Kwon, Ohseok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1권4호
    • /
    • pp.114-119
    • /
    • 2017
  • This study tried to analyze error range and resolution of drone images using a rotary wing by comparing them with field measurement results and to analyze stands patterns in actual vegetation map preparation by comparing drone images with aerial images provided by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of Korea. A total of 11 ground control points (GCPs) were selected in the area, and coordinates of the points were identified. In the analysis of aerial images taken by a drone, error per pixel was analyzed to be 0.284 cm. Also, digital elevation model (DEM), digital surface model (DSM), and orthomosaic image were abstracted. When drone images were comparatively analyzed with coordinates of ground control points (GCPs), root mean square error (RMSE) was analyzed as 2.36, 1.37, and 5.15 m in the direction of X, Y, and Z. Because of this error,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locations between images edited after field measurement and images edited without field measurement. Also, drone images taken in the stream and the forest and 51 and 25 cm resolution aerial images provided by the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of Korea were compared to identify stands patterns. To have a standard to classify polygons according to each aerial image, image analysis software (eCognition) was used. As a result, it was analyzed that drone images made more precise polygons than 51 and 25 cm resolution images provided by the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of Korea. Therefore, if we utilize drones appropriately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subject, we can have advantages in vegetation change survey and general monitoring survey as it can acquire detailed information and can take images continuously.

새만금 갯벌의 퇴적환경 변화 (Changes of Sedimentary Environment in the Saemangeum Tidal Flat on the West Coast of Korea)

  • 우한준;최재웅;안순모;권수재;구본주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8권4호
    • /
    • pp.361-368
    • /
    • 2006
  • The Saemangeum tidal flat with an area of approxirnately $233km^2$ is one of the biggest estuarine tidal flats on the west coast of Korea. Because of its location in the estuary of Mangyeong and Dongjin Rivers, the tidal flat receives large amount of sediments. A 33-km long sea dyke, enclosing a coastal zone of $401km^2$, was constructed to reclaim tidal flat in the Saemangeum area. The dyke construction radically changes the local tidal current regime and estuarine circulation. These have an effect on sedimentary environments in the tidal flat. On the tidal flats of the study area net deposition occurred, but net erosion occurred near tidal channel in 2004. The comparison of topography and surface sediments in summer 2004 with those in summer 1988 before the dyke construction showed that elevation increased with maximum 80cm and mean grain sizes were fining at Gwanghwal tidal flats. Sedimentary facies of two cores from Gwanghwal tidal flat revealed homogeneous layers in the upper part suggesting rapid deposition after the dyke construction. The sedimentation rate in Gwanghwal tidal flat(GW 6) using $^{210}Pb$ analysis was about 5.4cm/yr which is well matched with the sedimentation pattern revealed by change in topography.

도시지역 LiDAR DSM으로부터 DEM추출기법 연구 (DEM Extraction from LiDAR DSM of Urban Area)

  • 최연웅;조기성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9-25
    • /
    • 2005
  • 최근에는 LiDAR시스템의 등장으로 기존의 항공사진측량에 비하여 효율적이고, 경제적으로 도시지역의 수치표고자료를 효과적으로 구축할 수 있게 되었으나, 도시지역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객체들이 모두 포함된 DSM(Digital Surface Model) 형식의 자료를 취득하게 된다. 따라서, 홍수범람예측에 있어서의 인공지물의 영향 해석 등을 위하여 건물이 제거된 지형에 관한 상세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DSM으로부터 DEM(Digital Elevation Model)을 추출하기 위한 전처리 과정이 필요하다. 된 연구는 LiDAR 시스템으로부터 취득된 도시지역에 대한 DSM으로부터 건물 등이 제거된 DEM을 추출하기 위한 연구로서 영상처리기법의 경계검출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건물 등의 건물들에 대한 경계를 추출하였으며, 선행연구에서 건물로 추출된 지역에 대하여 보간법을 적용함으로써 발생하는 원시 DSM 자료의 변형에 따른 대안으로써, 추출된 경계에 대여 평균값 필터 링, 중간값 필터링, 최소값 필터링을 각각 적용함으로써 원시 DSM자료의 변형을 최소화하여 건물 등의 지물들을 제거하였으며, LiDAR DSM으로부터 DEM을 제작하는 과정을 간략화, 자동화하였다.

  • PDF

교통소음지도 작성을 위한 3차원 도시모델 구축 : 항공 LiDAR와 GIS DB의 혼용 기반 (Extraction of Three-dimensional Hybrid City Model based on Airborne LiDAR and GIS Data for Transportation Noise Mapping)

  • 박태호;전범석;장서일
    • 한국소음진동공학회논문집
    • /
    • 제24권12호
    • /
    • pp.985-991
    • /
    • 2014
  • The combined method utilizing airborne LiDAR and GIS data is suggested to extract 3-dimensional hybrid city model including roads and buildings. Combining the two types of data is more efficient to estimate the elevations of various types of roads and buildings than using either LiDAR or GIS data only. This method is particularly useful to model the overlapped roads around the so called spaghetti junction. The preliminary model is constructed from the LiDAR data, which can give wrong information around the overlapped parts. And then, the erratic vertex points are detected by imposing maximum vertical grade allowable on the elevated roads. For the purpose of efficiency, the erratic vertex points are corrected through linear interpolation method. To avoid the erratic treatment of the LiDAR data on the facades of buildings 2 meter inner-buffer zone is proposed to efficiently estimate the height of a building. It is validated by the mean value(=5.26 %) of differences between estimated elevations on 2 m inner buffer zone and randomly observed building elevations.

드론영상을 이용한 지형 현황도 제작 및 정확도 분석 (Production and Accuracy Analysis of Topographic Status Map Using Drone Images)

  • 김두표;백기석;김성보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22권2호
    • /
    • pp.35-39
    • /
    • 2021
  • 드론을 이용한 사진측량은 고해상도의 정사영상을 제작할 수 있고 높은 정확도의 3차원 위치정보를 취득할 수 있어 토목·건설 분야에서의 활용성이 높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드론사진측량을 이용하여 지형 현황도를 제작하고 제작 시 발생되는 문제점과 정확도를 분석하여 공원 조성에 드론사진측량의 활용 가능성을 판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드론 영상으로 정사영상과 수치표면모델(DSM: Digital Surface Model)을 제작하고 벡터화하여 지형 현황도를 작성하였다. 정확도 분석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와 TS(Total Station)으로 제작한 지형 현황도를 기준으로 비교하였다. 검사점을 이용한 정확도 분석 결과 잔차의 평균이 평면에서 0.044m, 표고에서 0.066m로 나타나 1/1,000 수치지도 허용오차 범위를 만족하였으며 연구 대상지 내 호수의 면적을 비교한 결과 약 4.4%의 면적의 차이를 보여 지형현황도 작성 가능이 있다고 판단된다. 한편, 지형 현황도 제작 시 식생이 존재하는 지형의 경우 높이 값을 정확하게 취득하기 어려웠으며 지하 구조물 같은 경우 영상에서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현장에서 직접적인 공간정보 취득이 필요하였다. 따라서, 드론사진측량을 이용한 지형 현황도 작성은 일부 지형에 대하여 직접적인 공간정보 취득이 같이 이루어지면 효율적으로 제작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Volumetric analysis of mucous retention cysts in the maxillary sinus: A retrospective study using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 Hung, Kuofeng;Hui, Liuling;Yeung, Andy Wai Kan;Wu, Yiqun;Hsung, Richard Tai-Chiu;Bornstein, Michael M.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51권2호
    • /
    • pp.117-127
    • /
    • 2021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volumetric characteristics of mucous retention cysts(MRCs) in the maxillary sinus and to analyze potential associations of MRCs with dentoalveolar pathologies. Materials and Methods: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CBCT) scans exhibiting bilateral maxillary sinuses that were acquired from January 2016 to February 2019 were initially screened. A total of 227 scans(454 sinuses) that fulfilled the inclusion criteria were included. The presence, location, and volumetric characteristics of the diagnosed MRCs were evaluated on CBCT images using the 3D-Slicer software platform. The presence of MRCs was correlated with potential influencing factors including age, sex, and dentoalveolar pathology. For MRCs located on the sinus floor, factors with a potential impact on the volume, surface, and diameter were analyzed. Results: An MRC was present in 130 (28.6%) of the 454 sinuses. Most MRCs were located on the sinus walls and floor. The mean MRC volume, surface, and diameter were 551.21±1368.04 mm3, 228.09±437.56 mm2, and 9.63±5.40 mm, respectively. Significantly more sinuses with associated endodontically treated teeth/periapical lesions were diagnosed with an MRC located on the sinus floor. For MRCs located on the sinus floor, endodontic status exhibited a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increased volume, surface, and diameter. Conclusion: Periapical lesions might be a contributing factor associated with the presence and volume of MRCs located on the sinus floor. The 3D-Slicer software platform was found to be a useful tool for clinicians to analyze the size of MRCs before surgical interventions such as sinus floor elevation procedures.

In vivo verification of regional hyperthermia in the liver

  • Noh, Jae Myoung;Kim, Hye Young;Park, Hee Chul;Lee, So Hyang;Kim, Young-Sun;Hong, Saet-Byul;Park, Ji Hyun;Jung, Sang Hoon;Han, Youngyih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32권4호
    • /
    • pp.256-261
    • /
    • 2014
  • Purpose: We performed invasive thermometry to verify the elevation of local temperature in the liver during hyperthermia. Materials and Methods: Three 40-kg pigs were used for the experiments. Under general anesthesia with ultrasonography guidance, two glass fiber-optic sensors were placed in the liver, and one was placed in the peritoneal cavity in front of the liver. Another sensor was placed on the skin surface to assess superficial cooling. Six sessions of hyperthermia were delivered using the Celsius TCS electro-hyperthermia system. The energy delivered was increased from 240 kJ to 507 kJ during the 60-minute sessions. The inter-session cooling periods were at least 30 minutes. The temperature was recorded every 5 minutes by the four sensors during hyperthermia, and the increased temperatures recorded during the consecutive sessions were analyzed. Results: As the animals were anesthetized, the baseline temperature at the start of each session decreased by $1.3^{\circ}C$ to $2.8^{\circ}C$ (median, $2.1^{\circ}C$). The mean increases in temperature measured by the intrahepatic sensors were $2.42^{\circ}C$ (95% confidence interval [CI], 1.70-3.13) and $2.67^{\circ}C$ (95% CI, 2.05-3.28) during the fifth and sixth sessions, respectively. The corresponding values for the intraperitoneal sensor were $2.10^{\circ}C$ (95% CI, 0.71-3.49) and $2.87^{\circ}C$ (1.13-4.43), respectively. Conversely, the skin temperature was not increased but rather decreased according to application of the cooling system. Conclusion: We observed mean $2.67^{\circ}C$ and $2.87^{\circ}C$ increases in temperature at the liver and peritoneal cavity, respectively, during hyperthermia. In vivo real-time thermometry is useful for directly measuring internal temperature during hyperthermia.

RS.GIS 기법을 활용한 해운대 해저.해빈지형의 3차원 입체변화 탐지 및 분석 (Detection and Analysis of Three-dimensional Changes in Haeundae Marine and Beach Topography using RS and GIS Technology)

  • 홍현정;최철웅;한경수;전성우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43-253
    • /
    • 2006
  • 해안지역의 해저 해빈모래가 다량 유실되면서 해안지역의 장기관리를 위해 침식구간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 작업이 필요하다. 그러나 각 구청은 지형변화 분석작업 없이, 양빈작업에 급급하고 있어 장기효과가 나타나지 않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수심측량 및 GPS 측량을 통해 해저 해빈지대의 정확한 공간자료를 구축하고, RS GIS기법을 도입하여 지형변화를 정량 정성적으로 탐지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해운대 해저지형은 과도한 도시개발과 하천복개공사로 지난 25년간, 평균수심 0.40 m, 수표면적 11,028 $m^2$, 수중체적 2,207,884 $m^3$ 가량 침식되었다. 해빈지형은 지난 5년간, 평균고도 0.27 m, 총면적 6,501 $m^2$, 총체적 25,667 $m^3$ 가량 퇴적되었다. 이의 원인은 지오그리드의 설치로 해빈모래가 서측까지 도달하지 못하고, 계절영향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해저 해빈지형의 정확한 측량작업으로 해안 및 지형변화에 관한 모니터링 작업을 실시하여 연안침식 현황을 분석하고, 양빈작업 및 안전한 해양레저 활동, 해수욕장 관리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2000년 여름 영산강 하구의 해수 특성과 순환 (Hydrography and Circulation in the Youngsan River Estuary in Summer, 2000)

  • 조양기;조철;선연종;박경양;박래환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6권4호
    • /
    • pp.218-224
    • /
    • 2001
  • 영산강 하구 내 해수 유동의 시공간적 변화를 이해하기 위하여 해수의 물성과 유속을 종합적으로 관측하였다. 수문 개방으로 많은 양의 담수 유입이 있었던 다음 날인 2000년 7월 27일부터 28일까지 25시간 동안 영산강 하구에서 관측을 실시하였다. 하구 내 12개 정점에서 27일 저조, 28일 고조와 저조때 각각 CTD 관측을 하였고, 하구 내한 정점에서 25시간 동안 수심별 수온과 유속 관측을 실시하였다. 유속은 Acoustic Doppler Profiler(1.5 MHz)를 이용하여 수직적으로 1m 간격으로 측정하였다. 동시에 하구 내 두 정점에서 TGPS 부이를 띄워 표층 해수 유동을 관측하였다. 관측기간은 소조에 해당되며, 조차는 약 4 m, 최대 조류는 약 12 cm/sec였다. 25시간 동안 관측된 유속은대부분의 수층에서 하구를 따라 동서방향으로 반일주조형태의 조류 특성을 잘 보여준다. 그러나 표층의 경우 바람에 의해 유속의 방향이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층 2m이내에 존재하는 22 psu 이하의 저염수는, 관측 초기 남풍에 의해 북쪽 해안선을 따라 관측되었다. 바람의 방향이 동풍으로 바뀜에 따라 표층수는 외해로 흘러나가, 이튿날 관측시에는 하구 내에서 22 psu 이하의 저염수가 발견되지 않았다 유속과 수괴 특성을 분석한 결과일반적인 하구의 수직구조와 달리 본 해역은 수직적으로 네 개의 층으로 나눌 수 있었다. 담수 기원으로 생각되는 표층과 중층의 해수는 25시간 평균 유속이 외해를 향하며, 상층과 하층의 평균 유속은 강쪽을 향하고 있다 이러한 수직 구조는 하구언으로부터 강물의 유입이 불규칙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발생한 현상이라고 생각된다.

  • PDF

수치도화 프로그램 StereoCAD를 이용한 무인 항공영상의 묘사 정확도 평가 (Accuracy Assessment of Feature Collection Method with Unmanned Aerial Vehicle Images Using Stereo Plotting Program StereoCAD)

  • 이재원;김두표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40권2호
    • /
    • pp.257-264
    • /
    • 2020
  • 현재 무인항공사진측량을 이용한 지도제작의 지형·지물 묘사는 주로 벡터화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벡터화는 평면과 표고 위치를 별도로 취득하기 때문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수치표면모델에서 표고값을 추출 할 때 과대 오차가 발생될 수 있다. 이에 3차원 공간정보를 동시에 취득가능한 수치도화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으나, 고가의 도화장비가 필요하고 무인항공영상의 수치도화 기술이 불완전한 단점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저가의 시스템으로 수치도화가 가능한 Menci사의 StereoCAD를 이용하여 지형·지물의 묘사정확도를 분석 평가하였다. 무인항공영상의 취득은 Phantom4 pro에 FC 6310 카메라를 탑재하여 비행고도 90 m에서 GSD (Ground Sample Distance) 3 cm로 촬영하였다. 정확도 분석은 검사점과 점·선·면형 레이어별 모서리에 대한 지상측량결과와 도화결과의 3차원 좌표의 차이를 산출하여 비교하였다. 그 결과 검사점의 RMSE는 평면 0.048 m, 표고 0.078 m이고, 레이어별 RMSE는 평면이 0.104~0.127 m, 표고는 0.086~0.092 m로 나타나 무인항공영상의 입체도화로 1:1,000 수치지형도 제작의 가능성을 입증할 수 있었다.